KR200208279Y1 -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279Y1
KR200208279Y1 KR2020000019049U KR20000019049U KR200208279Y1 KR 200208279 Y1 KR200208279 Y1 KR 200208279Y1 KR 2020000019049 U KR2020000019049 U KR 2020000019049U KR 20000019049 U KR20000019049 U KR 20000019049U KR 200208279 Y1 KR200208279 Y1 KR 200208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game
output
uni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중
Original Assignee
김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중 filed Critical 김관중
Priority to KR2020000019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4Foot operated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주음이 출력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화면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조정패드의 발판을 누르는 상태를 인식하여 점수와 메시지를 표시하는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게임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노래의 곡을 선택하면 반주음이 출력되고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되는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르면 상기 반주음과 혼합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댄스게임의 모습을 상기 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신호를 녹화기기를 통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 중 원하는 장면을 선택한 정지화상을 인화용 프린터 또는 비디오 프린터에서 용지에 인쇄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중에 다양한 재미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DANCING GAME MACHINE HAVING VIDEO AND AUDIO INPUT/OUTPUT}
본 고안은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여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동전이나 지폐의 액수에 따라 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원하는 노래의 곡을 선택하여 반주음에 맞추어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는 자신의 모습을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고 게임하는 모습 중 원하는 정지화상을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에는 음악에 따라서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스텝)을 안내하는 내용과 속도가 변화하는 스텝안내표시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하여 그것에 맞추어서 사용자가 스텝을 밟도록 하여 댄스게임을 즐기도록 하는 소위 DDR(Dance Dance Revolution)이라고 하는 댄스게임장치가 오락실마다 설치되어 청소년층에 대단히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상기 댄스게임장치의 가정판으로서 사용자의 컴퓨터의 패러럴 포트(parallel port)에 터치패드를 접속하고 그 컴퓨터에서 댄스게임 프로그램을 구동시켜서 사용자가 오락실에 가지 않고도 컴퓨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는 댄스게임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터치패드는 1인용이고 3 x 3의 격자형상을 하고 있으며 게임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고 원하는 곡을 선택한 후 홈포지션부(H)인 중앙의 격자에 위치한 상태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반주음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되는 스텝의 방향표시에 의하여 다수의 격자에 스텝을 밟으면서 댄스게임을 즐기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가 혼자서 스텝의 위치를 지시하는 화살표형상에 의하여 단순하게 스텝을 밟는 단순한 동작만 수행하는 상태이므로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댄스게임장치는 동영상 캐릭터 데이터, 가요 데이터 및 게임용 스텝 데이터를 가지는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동영상 캐릭터 및 게임 데이터가 출력되는 모니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게임을 할 수 있도록 댄스가요를 출력하는 스피커, 복수의 압력감지부와 램프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압력감지부를 밟게 되면 이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함과 동시에 램프를 점등시키는 게임용 터치패드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들로 구성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댄스게임장치는 대체적으로 사용자가 게임시작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상으로 동영상 캐릭터 및 게임용 스텝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게임용 스텝 데이터를 보면서 게임용 터치 패드의 상부에서 게임용 스텝 데이터와 동일한 영역을 표시하는 압력감지부를 발로 밟아야 된다. 사용자가 밟은 위치의 압력감지부에서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에서 게임용 스텝 데이터로 출력된 영역과 압력감지부에 의한 영역이 동일한 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만 점수가 가산되도록 한다.
상기의 점수는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댄스게임장치는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이 스텝을 밟으면서 흥겹게 노래를 따라 부르고 싶어도 노래를 부를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 단순하게 입으로만 따라 부르게 되거나, 스텝을 밟는 중에 멋있는 동작을 연출하여도 이를 동화상의 상태나 정지화상의 상태로 남길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없어 게임을 즐기는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여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원하는 노래의 곡을 선택하여 반주음에 맞추어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는 자신의 모습을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고 게임하는 모습 중 원하는 정지화상을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게임을 보다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에서 전원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를 초기화하고, 사용자가 투입한 동전이나 지폐의 금액에 의해 댄스게임 외에 추가로 자신이 직접 노래를 부르는 노래방 기능, 자신이 부른 노래를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하는 녹음, 화상촬영에 의한 녹화, 게임을 즐기는 중에 좋은 정지화상의 선택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티커 사진 출력, 좋은 장면을 일반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사진출력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의 선택이 끝나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에서 중앙의 화면을 곡명선택 화면으로 전환하면서 화면에 곡명을 종이나 횡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부의 조이스틱 및 확정버튼을 이용하여 그 중에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도록 하고, 상기 곡명의 선택은 선정된 곡명에 대응하는 반주데이터를 반주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하도록 하며, 상기의 반주데이터가 출력되어 반주가 개시되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박자수의 리듬을 갖는 터치패드의 영역이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지정되도록 하고, 이 밟기위치 지시데이터는 터치패드의 소정의 위치, 가령, 레벨에 따라 다른 난이도를 갖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가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의 리듬 그리고 설정된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난이도에 따른 난이도의 댄스화상이 설정되도록 한다.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최초 1세트 데이터씩 설정되면 그 중에서 1세트 데이터에 대해서, 디스플레이화면의 배경 댄스화상 위에 겹치는(overlap) 형으로 밟기위치 마크로서 스크롤 표시하고, 4개 방향, 5개 방향 또는 9개 방향의 각 밟기위치 지시마크의 스크롤 표시가 개시되면 정해진 시간 내에 터치패드의 4개로 분할된 영역, 5개로 분할된 영역 또는 9개로 분할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상태를 각각의 영역에 설치된 압력감지부에서 감지하도록 한다.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마크 데이터에 의한 영역과 압력감지부에서 감지하는 위치가 동일한 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편차량 검출부에 의한 감시가 행하여지고, 상기의 감시처리는 1세트 데이터 단위로 행해지며 첫 번째 1세트 데이터에 대한 감시 결과가 편차량 적산부로 전달되어 점수의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평가량 적산부로부터의 감시에 따른 점수는 연산부로 전달되어 전체점수의 계산과 그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의 1세트 데이터에 의해 평가가 수행되는 중에 두번째 1세트 데이터가 출력되어 댄스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연속적인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그리고 상기의 첫 번째 1세트 데이터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어 점수를 계산하는 중에 세 번째 1 세트 데이터가 설정됨과 동시에 댄스화상의 설정이 행해지도록 한다.
상기의 사용자가 노래방기능을 선택하면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면서 부르고 싶은 노래의 곡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조이스틱과 확정버튼으로 선택하면 해당 곡의 곡명에 대응하는 반주데이터를 반주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하도록 하고, 동시에 터치패드의 영역이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로부터 지정되도록 하여 밟기위치 마크로서 스크롤 표시하면서 터치패드의 분할된 영역을 터치하는 상태를 각각의 영역에 설치된 압력감지부에서 감지하면서 점수를 계산하는 댄스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하여 노래를 부르면 음성데이터가 상기의 반주데이터와 혼합하여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노래방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는 가사의 자막데이터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가 믹싱되어 출력되는 배경이 되는 영상신호와 혼합되어 상기의 반주데이터의 속도에 동기되어 출력되도록 하여 박자에 따른 댄스댄스 게임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음성데이터와 상기의 반주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박자에 대한 점수를 검출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녹음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신호를 오디오신호 처리부로 출력하여 오디오 데크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화상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터치패드에서 각 영역을 터치하면서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장면을 촬영하고 이를 동기출력부로 출력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배경화면과 가사의 자막이 오우버레이된 영상신호에 화면분할에 의한 혼합이 이루어져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같이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녹화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터치하면서 댄스게임을 즐기는 장면에 대한 화상신호를 비디오신호 처리부로부터 전달받으면서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음성신호를 전달받는 녹화재생장치에서 비디오 데크 구동부에 의해 작동하는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스티커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생장치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는 중에 스티커 출력버튼을 온시키고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온시키면 녹화중의 정지화상의 영상신호를 비디오 프린터에 출력함으로써 용지에 인쇄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일반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생장치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는 중에 사진 출력버튼을 온시키고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온시키면 녹화중의 정지화상의 영상신호를 인화용 프린터에 출력함으로써 인화용지에 인쇄하여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즐기던 게임의 종료여부는 게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의 경과유무, 선정곡 반주의 종료유무, 또는 소정의 댄스평가가 어느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어 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한 판단으로 행하여지며, 게임이 종료되면 연산부의 최종내용인 게임자의 댄스에 대한 평가결과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면서 상기 노래방 기능에 의한 노래점수도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댄스게임을 즐기는 중에 다양한 재미를 추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댄스게임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2 : 콘트롤러 5 : 반주데이터 메모리
6 : 지시데이터 메모리 14 : 그래픽롬
14a : 폰트롬 15 : 오우버레이부
22 : 오디오데크 구동부 24 : 화상카메라
26 : 동기출력부 31 : 비디오 프린터
32 : 인화용 프린터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1과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보인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구(1a)에 투입하면 이의 투입여부와 수를 검출하는 동전 및 지전검출부(1)와,
상기 동전 및 지전검출부(1)로부터 동전이나 지전의 투입에 대한 신호를 전달받으면 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콘트롤러(2)와,
상기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와,
사용자가 댄스댄스 게임, 노래방 기능, 녹음기능, 화상촬영기능, 녹화기능, 스티커 사진 출력 및 일반사진출력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버튼과 게임선택버튼과 곡선택용 조이스틱, 확정버튼, 스티커 출력버튼, 사진 출력버튼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 입력부(4)와,
상기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곡명에 대응하는 반주데이터를 출력하는 반주데이터 메모리(5)와,
상기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상기의 반주데이터가 출력되어 반주가 개시되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박자수의 리듬을 갖는 터치패드(7)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밟기위치 지시데이터를 출력하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6)와,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에 의해 4개 방향, 5개 방향 또는 9개 방향의 각 밟기위치 지시마크의 스크롤 표시를 위한 출력이 개시되면 정해진 시간 내에 터치패드(7)의 4개로 분할된 영역, 5개로 분할된 영역 또는 9개로 분할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상태를 각각의 영역에서 감지하는 압력감지부(8)와,
상기의 압력감지부(8)에서 감지한 결과에 의한 위치와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마크 데이터에 의한 영역이 동일한 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편차량 검출부(9)와,
1세트 데이터 단위로 행해지는 감시결과가 전달되면 점수의 계산을 수행하는 편차량 적산부(10)와,
상기 평가량 적산부(10)로부터의 감시에 따른 점수를 전달받아 전체점수의 계산과 그에 따른 평가를 수행하는 연산부(11)와,
상기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바탕이 되는 화상을 중앙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그래픽롬(14)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2)와,
상기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곡명선택을 위해 저장되었던 곡명을 종이나 횡으로 표시하거나 가사가 되는 자막데이터를 출력하는 폰트롬(14a)과,
상기 폰트롬(14a)에서 출력되는 곡명이나 가사의 자막데이터를 상기 그래픽롬(14)으로부터의 영상데이터에 오우버레이에 의해 혼합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우버레이부(15)와,
상기의 오우버레이부(15)에는 밟기위치 마크를 스크롤로 표시하기 위한 밟기위치 지시데이터도 출력되도록 하여 오우버레이로 디스플레이화면(13)에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마이크(16)를 통하여 노래를 부르면 음성데이터가 상기 반주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7)를 거치면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반주데이터와 혼합하여 스피커(19)로 출력되도록 하는 음성출력부(18)와,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음성데이터와 상기의 반주데이터를 비교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박자에 대한 점수를 검출하여 상기의 연산부(11)에 전달하여 점수로 디스플레이화면(13)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교부(20)와,
사용자가 녹음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의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신호를 음성출력부(18)로부터 전달받아 오디오 데크 구동부(22)에 의해 작동하는 카세트 테이프(23)에 녹음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21)와,
사용자가 화상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콘트롤러(2)에 의해 작동하는 화상 카메라(24)가 터치패드(7)에서 각 영역을 터치하면서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장면을 촬영하면 이를 동기출력부(26)로 출력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을 통해 출력되는 배경화면과 가사의 자막이 오우버레이된 영상신호에 면분할에 의한 혼합이 이루어져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비디오신호 처리부(25)와,
사용자가 녹화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의 화상 카메라(24)에 의하여 촬영되어 비디오신호 처리부(25)를 경유한 화상신호와 오디오신호 처리부(23)로부터의 반주데이터 및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음성신호를 비디오 데크 구동부(28)에 의해 작동하는 비디오 테이프(29)에 녹화되도록 하는 녹화재생장치(27)와,
사용자가 스티커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생장치(27)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30)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면서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용지에 인쇄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프린터(31)와,
사용자가 일반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상장치(27)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30)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면서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인화용지에 인쇄하여 사진으로 출력하는 인화용 프린터(32)와,
사용자가 즐기던 게임의 종료여부를 게임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의 경과유무로 판단하기 위한 시간정보를 상기의 콘트롤러(2)에 전달하는 타이머(33)들로 구성한 것이다.
위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은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구(1a)를 통하여 투입하면 동전이나 지폐의 수를 검출하는 동전 및 지전검출부(1)에서 이를 콘트롤러(2)에 전달하여 전원공급부(3)를 제어하여 내부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서 내부를 초기화한다.
상기의 사용사가 투입한 동전이나 지폐의 금액에 의해 댄스댄스 게임 외에 추가로 자신이 직접 노래를 부르는 노래방 기능, 자신이 부른 노래를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하는 녹음기능, 화상촬영에 의한 녹화기능. 게임을 즐기는 중에 좋은 정지화상의 선택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티커 사진 출력, 좋은 장면을 일반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는 사진출력 등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에는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그래픽롬(14)에 저장된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 구동부(1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화면(13)에 바탕이 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이므로 상기 콘트롤러(2)에서 폰트롬(14a)에 저장한 문자데이터를 읽어내어 디스플레이 구동부(12)를 통해 디스플레이화면(13)에 모드의 선택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으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한 후 확정버튼을 온시켜 이를 콘트롤러(2)에 알리도록 한다.
사용자의 모드선택이 끝나면 이를 인식한 콘트롤러(2)에서 중앙의 디스플레이화면(13)을 곡명선택화면으로 전환하면서 곡명을 종이나 횡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입력부의 조이스틱 및 확정버튼을 이용하여 그 중에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의 곡명 선택은 선정된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곡명에 대응하는 반주데이터를 반주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하여 사용자가 스피커(19)를 통해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반주데이터가 출력되어 반주가 개시되면 상기의 콘트롤러(2)의 제어에 의해 선곡된 곡에 대응하는 박자수의 리듬을 갖는 터치패드(7)의 영역이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6)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데이터는 터치패드(7)의 소정의 위치, 가령. 레벨에 따라 다른 난이도를 갖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가 설정됨과 동시에, 상기의 리듬 그리고 설정된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난이도에 따른 난이도의 댄스댄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최초 1세트 데이터씩 설정되면 그 중에서 1세트 데이터에 대해서, 디스플레이화면(13)의 바탕이 되는 그래픽롬(14)에 저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화면(13)에 겹치는 형으로 밟기위치 마크를 스크롤로 표시한다.
4개 방향, 5개 방향 또는 9개 방향의 각 밟기위치 지시마크의 스크롤 표시가 개시되면 정해진 시간 내에 터치패드(7)의 4개로 분할된 영역, 5개로 분할된 영역 또는 9개로 분할된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상태를 각각의 영역에 설치된 압력감지부(8)에서 감지하게 된다.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마크 데이터에 의한 영역과 압력감지부(8)에서 감지하는 위치가 동일한 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편차량 검출부(9)에 의한 감시처리가 행하여 진다.
상기의 감시처리는 1세트 데이터 단위로 행해지며 첫 번째 1세트 데이터에 대한 감시결과가 편차량 적산부(10)로 전달되어 점수의 계산이 가능하게 되고, 이 점수는 연산부(11)로 전달되어 전체점수의 계산과 그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의 1세트 데이터에 의해 평가가 수행되는 중에 두 번째 1세트 데이터가 출력되어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연속적인 밟기위치 지시데이터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의 첫 번째 1세트 데이터에 대한 평가가 완료되어 점수를 계산하는 중에 세 번째 1 세트 데이터가 설정됨과 동시에 댄스화상의 설정이 행해지도록 한다.
상기의 사용자가 노래방기능을 선택하면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면서 부르고 싶은 노래의 곡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조이스틱과 확정버튼으로 선택하면 해당 곡의 곡명에 대응하는 반주데이터를 반주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읽어내어 출력한다.
동시에 터치패드(7)의 영역이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6)로부터 출력되어 디스플레이화면(13)에 밟기위치 마크로서 스크롤 표시하는 동시에, 터치패드(7)의 분할된 영역을 터치하는 상태를 각각의 영역에 설치된 압력감지부(8)에서 감지하면서 점수를 계산하는 댄스댄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마이크(16)를 통하여 노래를 부르면 음성데이터가 상기의 반주데이터 메모리(5)로부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7)를 경유하는 중에 아날로그신호로 출력되는 반주데이터와 혼합되어 음성출력부(18)를 거쳐 스피커(19)로 출력되도록 하는 노래방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노래방기능을 수행하는 중에는 가사의 자막데이터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가 믹싱되어 출력되는 배경이 되는 영상신호와 오우버레이부(15)에 의해 혼합되어 상기의 반주데이터의 속도에 동기되어 출력되도록 하여 박자에 따른 댄스댄스 게임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노래를 부르는 음성데이터와 상기의 반주데이터를 비교부(20)에서 비교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사용자의 박자에 대한 점수를 검출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그 최종적인 점수를 표시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녹음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신호를 음성출력부(18)로부터 전달받아 오디오신호 처리부(23)로 출력하여 오디오 데크 구동부(21)에 의해 작동하는 카세트 테이프(25)에 자기기록의 방식으로 기록하는 녹음이 행하여지도록 한다.
사용자가 화상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24)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터치패드(7)에서 각 영역을 터치하면서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장면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전달받는 비디오신호 처리부(25)에서 동기출력부(26)로 출력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을 통해 출력되는 배경화면과 가사의 자막이 오우버레이된 영상 신호에 화면분할에 의한 혼합이 이루어져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녹화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24)에 의하여 촬영되어 비디오신호 처리부(25)를 거쳐 출력되는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터치하면서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장면에 대한 화상신호 및 상기의 오디오신호 처리부(23)로부터의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음성신호를 각각 전달받는 녹화재생장치(27)에서 비디오 데크 구동부(28)를 통하여 비디오 테이프(29)에 녹화한다.
사용자가 스티커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생장치(27)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30)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는 중에 스티커 출력버튼을 온시키고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온시키면 녹화된 정지화상에 해당하는 영상신호가 비디오 프린터(31)로 출력함으로써 용지에 인쇄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일반 사진출력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을 녹화한 영상이 녹화재생장치(27)의 재생에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30)의 화상을 통하여 확인하는 중에 사진 출력버튼을 온시키고 정지화상의 연속되는 화면 중에 원하는 장면을 선택하여 확인버튼을 온시키면 녹화중의 정지화상의 영상신호를 인화용 프린터(32)에 출력함으로써 인화용지에 인쇄하여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게임을 즐기는 중에 타이머(33)를 통하여 계시하여 게임의 개시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가 선정한 곡의 반주가 종료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즐기는 댄스에 대하여 압력감지부(8)와 편차량 검출부(9)와 편차량 적산부(10) 및 연산부(11)의 평가결과가 어느 레벨보다 낮은 상태를 소정의 시간동안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게임을 종료하는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게임이 종료되면 연산부(11)의 최종내용인 게임자의 댄스에 대한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화면(13)에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의 비교부(20)에 의한 노래방 기능에 의한 노래점수도 출력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에 의하여서는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하면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면 반주음이 출력되는 동시에 디스플레이화면에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하여 조정패드의 발판을 누르는 상태를 인식하여 점수와 메시지를 표시하는 댄스댄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화상 카메라를 통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같이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부르고 싶은 노래의 곡을 선택하면 반주음이 출력되고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 표시되는 가사를 보면서 노래를 부르면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어 상기의 반주음과 혼합되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댄스댄스의 게임을 즐기는 자신의 모습을 상기 화상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신호를 녹화기기를 통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 중 원하는 장면을 선택한 정지화상을 인화용 프린터에서 용지에 인쇄하여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게임하는 모습 중 원하는 장면을 선택한 정지화상을 비디오 프린터에서 용지에 인쇄하여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댄스댄스 게임을 즐기는 중에 노래를 다라 부를 수 있는 노래방 기능과 즐기는 장면을 스티커 사진, 영상녹화, 일반 사진 다양한 형태로 출력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동전이나 지폐의 투입을 동전 및 지전검출부(1)에서 검출하면 동작이 초기화되는 콘트롤러(2),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 입력부(4), 반주데이터를 출력하는 반주데이터 메모리(5), 터치패드(7)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밟기위치 지시데이터를 출력하는 밟기위치 지시데이터 메모리(6), 터치패드(7)의 터치상태를 감지하는 압력감지부(8), 상기의 압력감지부(8)에서 감지한 결과에 의한 위치와 상기의 밟기위치 지시마크 데이터에 의한 영역이 동일한 가의 여부를 검출하는 편차량 검출부(9), 점수의 계산을 수행하는 연산부(11), 디스플레이화면(13)로 그래픽롬(14)에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구동부(12), 곡명과 가사의 자막데이터를 출력하는 폰트롬(14a), 자막데이터를 상기의 영상데이터에 오우버레이에 의해 혼합하여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표시되도록 하는 오우버레이부(15), 음성데이터와 반주데이터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18)와, 음성데이터와 반주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의 연산부(11)에 전달하는 비교부(20)로 구성되는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에 있어서, 녹음기능이 선택되면 상기의 반주데이터와 음성데이터가 혼합된 신호를 음성출력부(18)로부터 전달받아 오디오 데크 구동부(22)에 의해 작동하는 카세트 테이프(23)에 녹음하는 오디오신호 처리부(21), 화상기능이 선택되면 화상 카메라(24)를 작동시켜 사용자가 댄스게임을 즐기는 장면을 촬영하고 이를 동기출력부(26)로 출력하여 상기의 배경화면과 가사의 자막이 오우버레이된 영상신호에 면분할에 의한 혼합이 이루어져 게임을 진행하는 사용자의 모습을 상기의 디스플레이화면(13)에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비디오신호 처리부(25), 상기 비디오신호 처리부(25)를 경유한 화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비디오 테이프(29)에 녹화재생장치(27), 상기 녹화재생장치(27)의 의해 재생되는 서브 화면(30)의 화상중 원하는 장면을 스티커 사진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프린터(31)와, 상기 장면을 인화용지에 인쇄하여 사진으로 출력하는 인화용 프린터(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KR2020000019049U 2000-07-03 2000-07-03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KR200208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049U KR200208279Y1 (ko) 2000-07-03 2000-07-03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049U KR200208279Y1 (ko) 2000-07-03 2000-07-03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279Y1 true KR200208279Y1 (ko) 2000-12-15

Family

ID=1966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049U KR200208279Y1 (ko) 2000-07-03 2000-07-03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2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50A (ko) * 2000-11-02 2002-05-09 현 허 비디오 녹화장치
WO2002075635A1 (en) * 2001-01-19 2002-09-26 Ocon Inc. An interactive video game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able media directly used for the method
KR101402609B1 (ko) * 2013-02-27 2014-06-03 주식회사 해피큐브 가상 인증카드 제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550A (ko) * 2000-11-02 2002-05-09 현 허 비디오 녹화장치
WO2002075635A1 (en) * 2001-01-19 2002-09-26 Ocon Inc. An interactive video game device, a method thereof and a recordable media directly used for the method
KR101402609B1 (ko) * 2013-02-27 2014-06-03 주식회사 해피큐브 가상 인증카드 제작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1056B2 (en) Music game software and music game machine
JPH10268876A (ja) カラオケ装置
JP4059410B2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KR200208279Y1 (ko) 영상 및 오디오의 입출력 수단을 구비한 댄스게임장치
CN102015045A (zh) 游戏装置、乐曲检索方法、信息记录介质以及程序
JP3577273B2 (ja) ダンスゲーム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記憶媒体
JP2002006866A (ja) カラオケ装置
KR100434243B1 (ko) 음악 게임 진행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음악 게임 진행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3815938B2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347837B1 (ko) 리듬 앤드 댄스 게임 제어장치 및 풋 키
JP3697811B2 (ja) カラオケ装置
JPWO2008053591A1 (ja) エクササイズ支援装置及び検知装置
JPH10308911A (ja) 撮影画像印刷装置
JP4605295B2 (ja) カラオケ装置
JPH10301586A (ja) カラオケ装置
KR100404917B1 (ko) 영상가요 반주기능 복합형 운동용 게임시스템
JP4275762B2 (ja) 音声指示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3614049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装置の外部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182282Y1 (ko) 댄스연습용 프로그램이 수록된 동영상-오디오물 디스크의제조장치
JP3885250B2 (ja) カラオケ装置
JP2001062019A (ja) ダンスゲーム機及び記憶媒体
KR200182151Y1 (ko) 댄스 게임 장치 및 가요반주기 기능을 가지는 댄스 게임장치
JP3572841B2 (ja) カラオケ装置
KR100349323B1 (ko) 노래방 연주기의 드럼연주장치및 그 제어방법
JP2001070644A (ja) ダンス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