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164Y1 -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 Google Patents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164Y1
KR200208164Y1 KR2019970700005U KR19970700005U KR200208164Y1 KR 200208164 Y1 KR200208164 Y1 KR 200208164Y1 KR 2019970700005 U KR2019970700005 U KR 2019970700005U KR 19970700005 U KR19970700005 U KR 19970700005U KR 200208164 Y1 KR200208164 Y1 KR 200208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shaft
projections
member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700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865U (ko
Inventor
스벤 라우리트센
Original Assignee
옌 센 한스 피터
한스 옌센스 마스킨패브리크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옌 센 한스 피터, 한스 옌센스 마스킨패브리크 아/에스 filed Critical 옌 센 한스 피터
Publication of KR19990033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16Controlling lubricant pressure or quant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4Adjustable reciprocating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대형 선박 디젤엔진용의 중앙 윤활장치에서, 최대 및 최대 위치간의 부가적인 윤활을 위한 조절 샤프트 (22, 28) 의 제어를 위해 작동기가 사용되며, 이에 의해 샤프트상의 돌출부 (42) 는 각각의 조절가능한 단부 정지 접촉부 들 (50, 52) 에 대해 이동한다. 본 고안은 이들 단부 정지 접촉부의 유리한 구조를 제공하며, 이 구조는 샤프트의 돌출영역을 포위하고 공구의 사용없이 조절가능한 대향 부싱부재들 (44, 46) 내의 내부 접촉부로 형성된다.

Description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본 고안은 대형 선박 디젤엔진의 엔진 실린더용의 중앙 윤활장치와 주로 관련되며, 여기에서 펌프 실린더 열의 펌프 피스톤의 작동 행정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과 접속된 작동기 동작 샤프트의 회전 운동에 대한 제한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윤활유는 펌프 실린더로부터 각 엔진 실린더상의 다수의 윤활 지점으로 압력하에 이동한다.
이러한 설비에서, 상이한 이유로 인해 상기 접촉부들의 모두의 위치 조절을 행하여, 회전각 뿐만아니라 원주에 대한 회전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 공간은 좁으며, 따라서 전술한 정지 구조는 양 접촉부의 조절을 위해 샤프트의 일단으로부터 접근가능한 컴팩트한 유니트로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는 부분적으로 둥글게 이어지는 트랙을 갖는 디스크를 상기 보유수단이 구비하고, 각각의 접촉부를 변경가능한 방식으로 고정하는데 클램프 스크루가 사용되며 유니트의 한 동일 측으로부터 작동되는 구조에 의해 이미 해결되었다. 그러나, 클램핑에 의한 인체의 상해 및 오염 환경의 위험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전체 조절 시스템은 제거가능한 커버로 덮여야 하며, 이것은 외부로부터의 가끔 행해지는 조절을 곤란하게 한다. 게다가 조절을 위해 공구를 요하는 것도 번잡한 일이다.
본 고안은 회전가능한 작동기 샤프트의 각운동성을 일회전의 소망부분으로, 예컨대 완전 봉쇄상태인 0°와 270° 사이의 선회도로 제한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정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샤프트는 반경방향 돌출부를 가지며 양방향으로의 돌출부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원주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 조절 접촉부용의 보유수단에 의해 둘러싸인다.
도 1 은 공지의 윤활장치의 단면도;
도 2 및 도 3 은 관련 조절 작동기의 직교 단면도;
도 4 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기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5 는 변형예의 작동기에 대한 도 3 에 대응하는 단면도; 및
도 6 은 도 5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오염 환경에서도 임의의 공구의 사용없이 접촉부의 위치설정의 조절을 행하도록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고 접촉부가 집중되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배치되고 신체적인 상해의 위험이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라, 샤프트의 돌출영역 둘레에 둘출부를 포위하는 두부재의 회전 부싱을 제공하고, 돌출부의 양단 측부들은 돌출부들이 부싱부재들의 내측에서 각각의 접촉부 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자유롭게 피봇가능한 방식으로 각각의 부싱부재내의 내부 요홈에 수용되며, 또한 부싱부재들은 이 부싱부재들이 주위에 대해 구속되었을 때, 한 부싱부재내의 접촉부가 최소 정지부로 사용되는 한편 다른 부싱부재내의 접촉부가 최대 정지부로 사용되도록 개별적으로 회전조절할 수 있게끔 장착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회전 부싱부재들은 예컨대, 자체로 또는 배경 눈금을 사용하여 각각의 정지 접촉부의 위치를 지시하는 반경방향 돌출 핑거 핸들에 의해 그들의 각위치를 지시하기 위한 외부 표시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부싱부재들을 구속하기 위해, 이들 부싱부재를 그의 소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구속하기 위한 보유수단을 사용할 수 있지만, 또한 부싱부재들의 회전성을 마찰적으로 방해하는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충분한 고정부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부싱부재들은 매개 스패이서링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않고 상기 반경방향 돌출부 주위에 밀폐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염 환경에 대한 부가적인 차폐가 전적으로 불필요하다. 부싱부재들은 공구의 사용없이 개별적인 조절을 위해 직접 접근가능하며, 돌출부는 주위환경으로부터 완전히 차폐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윤활장치는 잘 알려진 것이며 매우 간략하게만 설명한다. 이 장치는 하우징 (2) 을 구비하고, 그의 전방벽에는 유동 측정 글래스 (8)를 통해 또한 유출 스터브 (10) 를 통해 오일을 펌핑하여 올리기 위한 피스톤 펌프 (6)를 각각 구비하는 펌프 하우징의 열이 장착되어 있다. 내부적으로, 피스톤 펌프 (6) 는 피스톤 로드 헤드 (12) 를 구비하며, 이 피스톤 로드 헤드는 조절 스크루 (26) 근방에 배치된 상단부 (24) 를 가지고 선회가능한 편심 샤프트 (22) 상에 장착된 피봇 레버 (20) 상의 단부 (18)를 매개로 샤프트 (16) 상의 회전 캠 (14) 의 작용에 의해 스프링 바이어스에 대항하여 눌려질 수 있다. 관련 펌프 피스톤의 작동 행정의 길이에 대한 개별적인 조절은 이 스크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작동 행정의 대응하는 집단적인 조절은 점선으로 지시된 회전 샤프트 (28) 와 편심적으로 접속된 피봇 샤프트 (22) 의 선회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즉, 개개의 조절 펌프의 작동 행정의 최소 및 최대 연장에 각각 대응하여, 샤프트를 180°선회시킴으로써 피봇 샤프트 (22) 의 최대 수평변위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 샤프트 (28) 의 조절가능한 회전각을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이 샤프트는 간단한 작동기 제어에 의해 각각의 선택된 최대 및 최소 정지부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관련 작동기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즉 블록 (30) 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블록내에서 피스톤 (32) 은 스위치 밸브 (36)를 통한 압축 공기원 또는 유압 펌프 (34) 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왕복할 수 있다. 피스톤 (32) 은 상기 샤프트 (28) 상의 기어부 (40)를 구동하는 톱니 (38)를 갖는다.
샤프트 (28) 용의 조절가능한 회전 정지부를 배치하는 것이 소기의 목적을 위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것은 도 4 내지 도 6 에 예시된 방식으로 달성되며, 여기에서 샤프트 (28) 는 한쌍의 주변 부싱부재 (44 및 46) 에 전적으로 수용된 반경방향 돌출부 (42)를 구비하는 짧은 외측 연장부를 갖도록 제조된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들 부싱부재 각각에는 내부 요홈 (48)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은 각각의 요홈들 (48) 의 접촉부들 (50 및 52) 사이에 돌출부 (42) 의 각각의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을 수용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부싱부재는 작동기 하우징 (30) 상의 조절 눈금 (56) 에 대비하여 관찰가능한 돌출 핸들 (54) 을 구비한다.
각각의 부싱부재 (44 및 46) 에는 반경방향 홀 (58)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홀은 작동기 하우징 (30) 상의 돌출 빔 부재 (64) 로부터 현수하는 튜브부 (62) 내의 스프링 바이어스에 의해 안내되는 각각의 잠금 핀 (60) 과 협동하며, 이들 핀은 하부 파지 플레이트 (66)를 갖는다.
이에 의해 각각의 부싱부재 (44 및 46)를 상이한 불연속 위치로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부싱부재들중 하나의 접촉부 (50)를 일측에 대한 정지부로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부싱부재의 반대쪽 접촉부 (52)를 다른측에 대한 정지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구멍 (58) 의 열들은 마찰 영역으로 대체되어 무단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다르게는, 돌출부 (42) 를 각각의 접촉부상에 작용시키는 힘에 대항하여 위치를 안정시키는 다른 강성 지지체 또는 하우징 (30) 에 맞대어 부싱부재들을 축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 (42) 는 샤프트 (28) 에 고정된 부싱 (68) 에 제공되어 있지만, 이 돌출부는 샤프트로부터 직접 돌출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또한 이 돌출부는 각각의 부싱 절반부와 협동하는 두 개의 돌출부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 돌추부들 사이에는 매개 와셔 또는 부싱이 배치될 수도 있다.
조절 시스템이 작동기 하우징과 직접 관련하여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원칙적으로 시스템은 작동기와 장치 하우징 (2) 간의 트랜스미션 접속부 (28) 의 어디에라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하우징의 반대측에도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작동기는 하우징 (2) 측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따라서 조절 시스템은 작동기 하우징의 외측에 장착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선택적으로, 부싱부재들 (44, 46) 내의 내부 요홈들은 완전히 둥글게 계속되어, 각각의 부싱내에서 동작하는 정지 접촉부들 (50, 50) 중의 하나를 대체하는 단일 캠 또는 핀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이 접촉부들중의 하나만이 동작한다. 단지, 샤프트의 돌출영역을 통합하여 포위하고, 조절 시스템을 견고하고 용이 작동가능하게 구성하면 족하다.

Claims (3)

  1. 조립 피스톤 펌프의 작동 행정 길이의 조절을 위한 작동기 구동식 회전가능한 조절 샤프트와, 조절 샤프트상의 또는 이와 접속된 작동기 샤프트상의 반경방향 돌출부와 협동하여 각각의 최소 및 최대 행정 길이를 한정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접촉 정지부를 구비하는 중앙 윤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샤프트의 영역은 이 둘출부를 포위하는 두부재의 회전 부싱에 의해 둘러싸이고, 돌출부의 양단 측부들은 돌출부들이 각각의 부싱부재의 내측에서 정지 접촉부 쪽으로 그리고 그로부터 자유롭게 피봇가능한 방식으로 각각의 부싱부재내의 내부 요홈에 수용되며, 또한 부싱부재들은 이 부싱부재들이 개별적인 회전조절시 주위에 대해 구속되었을 때, 한 부싱부재내의 정지 접촉부가 최소 정지부로 사용되는 한편 다른 부싱부재내의 정지 접촉부가 최대 정지부로 사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개별적으로 회전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윤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들은 위치 표시를 위해 고정 조절눈금과 협동하는 반경방향 돌출 핸들 형태의 표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윤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들을 불연속적인 또는 임의의 위치에 구속하기 위해 수동식 구속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윤활장치.
KR2019970700005U 1994-09-21 1995-09-21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KR20020816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1084/94 1994-09-21
DK108494 1994-09-21
PCT/DK1995/000378 WO1996009492A1 (en) 1994-09-21 1995-09-21 A central lubrication apparatus with an adjustment actu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865U KR19990033865U (ko) 1999-08-16
KR200208164Y1 true KR200208164Y1 (ko) 2001-04-02

Family

ID=810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700005U KR200208164Y1 (ko) 1994-09-21 1995-09-21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046468U (ko)
KR (1) KR200208164Y1 (ko)
CN (1) CN2297620Y (ko)
AU (1) AU3517395A (ko)
DE (1) DE19581076T1 (ko)
DK (1) DK172845B1 (ko)
WO (1) WO19960094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38B1 (ko) 2006-04-05 2013-09-25 린컨 게엠베하 윤활 또는 유압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00100841A (da) * 2001-05-25 2002-11-26 Hans Jensen Lubricators As Centralsmøreapparat
DE10149125B4 (de) * 2001-10-05 2005-03-17 Willy Vogel Aktiengesellschaft Zylinderschmiervorrichtung
DK176670B1 (da) * 2003-10-28 2009-02-09 Hans Jensen Lubricators As Centralsmöreanlæg samt fremgangsmåde til smöring af cylinderfladerne i store dieselmotorer, især skibsmotorer
DK200601005A (da) 2006-07-21 2008-01-22 Hans Jensen Lubricators As Smöreapparat til et doseringssystem for cylindersmöreolie samt fremgangsmåde til dosering af cylindersmöreolie
WO2013003800A1 (en) * 2011-06-29 2013-01-03 Compressor Products International Llc Lubricator pump adjus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27626A1 (de) * 1978-04-24 1979-10-25 Burmeister & Wains As Verfahren beim schmieren der zylinderlaufflaechen einer kolbenmaschine und schmiersystem zur ausuebung dieses verfahrens
DK169589B1 (da) * 1985-10-31 1994-12-19 Jensens Hans Maskinfabrik Centralsmøreaggregat til olieforsyning af smøresteder på en stor dieselmotorcylinder
JPH01244109A (ja) * 1988-03-25 1989-09-28 Mitsubishi Heavy Ind Ltd 内燃機関のシリンダ注油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438B1 (ko) 2006-04-05 2013-09-25 린컨 게엠베하 윤활 또는 유압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172845B1 (da) 1999-08-16
DE19581076T1 (de) 1998-04-16
AU3517395A (en) 1996-04-09
CN2297620Y (zh) 1998-11-18
JP3046468U (ja) 1998-03-10
DK31597A (da) 1997-03-20
KR19990033865U (ko) 1999-08-16
WO1996009492A1 (en) 199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2893B1 (ko) 선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또는 역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장치
KR200208164Y1 (ko) 조절 작동기를 갖는 중앙 윤활장치
FR2445891A1 (fr) Transmission pour machines munies de pistons a course variable, animees d'un mouvement de va et vient
ATE17154T1 (de) Kolbenmaschine mit mindestens einer zylindrischen arbeitskammer.
KR930023598A (ko) 사판형 압축기
US7367258B2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reversible axial piston machine
JP3073500B2 (ja) 回転運動を往復上下運動に、または往復上下運動を回転運動に変換するための装置
EP0201147B1 (en) Pump
US3374683A (en) Transmission devices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into reciprocating motion
KR930006217B1 (ko) 진동 발생장치
US3981645A (en) Displaced piston machine
US4955254A (en) Eccentricity control device
US4044630A (en) Adjustable eccentric
US3171287A (en) Mechanism for the stroke-control of reciprocating members, particularly in proportioning pumps
EP0476379A1 (en) Improved oscillator apparatus for imparting axial oscillations to a roller
JPH02199346A (ja) 並進運動する構成部材のための揺動駆動装置
US3706233A (en) Eccentric mechanism for converting a rotary movement into a reciprocating rectilinear movement of variable amplitude
JPS57113902A (en) Piston machine for engine or the like
US4941367A (en) Rotary to linear motion converter
KR200149686Y1 (ko) 수치제어선반용 터릿 인덱싱장치
JP3562861B2 (ja) 斜板式ピストンポンプ・モータ
SU1611543A1 (ru) Шпиндельный узел на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их опорах с разгруженным шкивом
US2608101A (en) Motion translating mechanism
SU51283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штамповки деталей
SU11754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ибрационного масс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