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223Y1 - 김치 냉장숙성장치 - Google Patents

김치 냉장숙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223Y1
KR200207223Y1 KR2020000010304U KR20000010304U KR200207223Y1 KR 200207223 Y1 KR200207223 Y1 KR 200207223Y1 KR 2020000010304 U KR2020000010304 U KR 2020000010304U KR 20000010304 U KR20000010304 U KR 20000010304U KR 200207223 Y1 KR200207223 Y1 KR 200207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mchi
ripening
storage medium
refrig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재
이건호
Original Assignee
장성재
이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재, 이건호 filed Critical 장성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2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4Foldable, pliable or separable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 및 각 국가별 맛의 기호에 따른 적절한 김치의 냉장과 숙성과정을 IC카드에 탑재시켜 사용자가 각종 김치의 냉장 및 숙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방에 설치가 용이하고 김치통의 수납시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며 김치의 보관시 활용성을 향상시킨 김치 냉장 숙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김치통을 적재하는 소정 개수의 숙성칸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김치 냉장 숙성을 실행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숙성칸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부; 상기 숙성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숙성칸의 내벽 내측부 적소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저장매체 슬롯; 및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매체 슬롯에 적재되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인출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온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를 동작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치 냉장숙성장치{KIMCHI RIPENING APPARATUS}
본 고안은 김치 냉장 숙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 및 각 국가별 맛의 기호에 따른 적절한 김치의 냉장과 숙성과정을 IC 카드 등의 저장매체에 탑재시켜 사용자가 각종 김치의 냉장 및 숙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방에 설치가 용이하고 김치통의 수납시 사용 편의성이 뛰어나며 김치의 보관시 활용성을 향상시킨 김치 냉장 숙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저온에서 발효시키고 냉장 저장하는 것이 최선의 맛을 유지하는 방법이다. 많은 연구 보고에 따르면 김치의 발효속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온도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치는 -1±1℃에서 저장할 때 상품성이 가장 오래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효과적인 김치의 품질 유지를 위해서는 온도관리를 단지 저장단계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고, 전과정에 대한 적산적(Cummulative) 개념의 도입을 필요로 하며, 여기에 TTT-PPP(Time Temperature Tolelance-Product, Processing, Packaging)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김치 제조의 중요한 공정인 염절임시 사용되는 소금의 농도가 김치의 발효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남부 지방의 김치가 짜고, 여름철에 김치를 담글 때 겨울철보다 더 많은 양의 소금을 첨가하게 된다.
김치류는 사용하는 재료가 주로 그 지방에서 생산되는 것을 사용하여 왔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 다르고, 시대 및 계절환경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또 각 가정마다 전래의 독특한 방법으로 담그기 때문에 솜씨에 따라 각양각색이며, 식생활 양상의 변천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김치는 주재료의 형태에 따라, 부재료의 사용여부에 따라 품질이 달라진다.
김치는 독특한 감칠 맛, 상쾌한 산미 등의 조화된 맛을 가지는 한국 고유의 발효 식품으로써 오랜 옛날부터 한국 식생활에서 가장 중요시되어 온 부식중의 하나이다.
김치의 산업적 상품화 연구가 시도되면서 김치의 저장기간 연장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방법들로는 냉장 및 냉동 저장법, 방사선 사용법, 가열살균법, 방부제 및 완충제의 첨가에 의한 방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부제 첨가에 의한 저장기간 연장 방법은 소비자들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냉장 및 냉동 저장법은 저온유통 및 저장 시설에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방사선 사용법은 김치의 변색을 초래하여 상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열 살균법은 김치의 맛과 조직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와 관능적 품질을 크게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통적으로 김치는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지고 있으나, 식생활과 주거 양식의 변화, 대형식당, 집단급식 등의 증가로 70년대초부터 일부 기업적 규모로 생산판매되기 시작하였고, 주부들의 사회참여 확대와 여가선용 욕구의 증대, 그리고 식생활 편의화의 급진전에 힘입어 종전에 각 가정에서 자가 제조하여 소비하던 김치는 차음 김치 공장에서 제조한 것으로 대체되고 있는 바, 현재 국내에서 상품화되고 있는 김치의 숙성 및 보전에 관한 일정한 표준이 없기 때문에 각 회사마다 각기 다른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하고, 유통중 신선도 연장에 관해서도 처리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본래의 김치맛을 보존시켜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들어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김치 냉장고는 숙성실을 개폐시키는 도어를 상부로 여닫거나 또는 슬라이드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숙성실에 김치를 수납하거나 꺼낼 때 허리를 굽히고 작업해야 하므로 허리에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숙성실로 김치를 수납할 때 김치를 담은 용기의 동선이 승하강되는 방향으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 수납방식이 불편하다.
아울러 숙성실이 한 두개로 제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그 특성에 맞게 구분 숙성 및 냉장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그리고 김치 냉숙고의 작동상태 및 운전조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숙성실을 개폐시키는 도어의 상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동상태 및 운전조건 등을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 및 각 국가별 맛의 기호에 따른 적절한 김치의 냉장과 숙성과정을 IC 카드 등의 저장매체에 탑재시켜 사용자가 각종 김치의 냉장 및 숙성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을 용이하게 하고 수납작업시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구분 보관이 용이하고 표시부가 눈에 잘 띄는 구조를 가진 김치 냉장 숙성장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는 김치통을 적재하는 숙성칸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김치 냉장 숙성을 실행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숙성칸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부; 상기 숙성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숙성칸의 내벽 내측부 적소에 설치되어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저장매체 슬롯; 및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매체 슬롯에 적재되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인출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를 동작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매체는 IC 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온부는 상기 숙성칸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서 내벽 외측을 감싸면서 권취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부는 상기 숙성칸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서 내벽 외측을 감싸면서 권취되는 냉매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칸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분리부재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숙성칸으로 수직분리되고, 상기 분리된 숙성칸은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각 숙성칸의 개폐가 개별적으로 가능한 도어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분리부재로 분리된 각 숙성칸은 공간을 수평분할하는 소정 분할판으로 더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는 상기 각각의 숙성칸에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가온부 및 냉각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C 카드에는 각종 김치의 숙성 과정, 각 국가별 입맛에 맞는 김치의 숙성 과정, 특정 양념의 특유한 맛을 내는 과정이 저장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상기 프린터로 프린팅제어하고, 김치 냉장 숙성 냉장장치의 현재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인출한 김치 냉장 숙성 과정대로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를 제어하면서 동작 조건이 변화되면 변화된 동작 조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제어하며,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에 수록된 패스워드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일치할 때 김치 냉장 숙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요구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조건에 맞게 냉장 기능을 수행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 장치는 김치통을 적재하는 숙성칸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김치 냉장 숙성을 실행하는 김치 냉장 숙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숙성칸을 가온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김치를 냉장 숙성하는 김치 냉장 숙성부; 상기 숙성칸의 적소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각종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이 저장되는 메모리; 인터넷 접속을 처리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 처리부; 및 사용자의 김치 제조 과정 수신 요구시 상기 인터넷 접속 처리부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시도하여 각종 김치 제조 과정을 수신받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김치 냉장 숙성 요구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해당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인출하여 인출한 김치 냉장 숙성 과정에 따라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온도에 참조하면서 상기 김치 냉장 숙성부를 동작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의 가온부의 상세도.
도 3은 도 1에서의 냉각부의 상세도.
도 4는 도 1에서의 저장매체의 상세도.
도 5는 도 5에서의 메모리의 메모리 맵도.
도 6은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도어 개문시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의 저장매체 슬롯부의 부분 상세도.
도 9는 도 6에서의 저장매체 슬롯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 숙성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조작패널
14 : 표시부 16 : 프린터
18 : 온도 감지부 20 : 가온부
22 : 냉각부 26 : IC 카드 슬롯
28 : IC 카드 30 : 메모리
40 : 본체 42 : 슬롯 도어
44 : 도어 46 : 숙성칸
281 : 프로세서 283 : 메모리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 사용자가 냉장 온도, 숙성 온도, 숙성 시간, 자동익힘 기능, 김치 종류의 선택, 계절에 맞는 맛, 숙성 정도, 추가 익힘, 간편기능, 냉장, 냉동 또는 숙성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 등을 구비하는 조작 패널(12), 냉장 온도, 숙성 온도, 숙성 시간 등 조작패널(12)에 의하여 선택된 기능에 대한 동작진행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 또는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16), 숙성칸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18), 김치통(도시하지 않음)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부(20), 김치통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22), 여러 종류의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 각 국가별 맛의 기호에 따라 각종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 등이 프로그램된 내용이 저장되는 저장매체인 IC카드, IC카드(28)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고, IC카드(28)를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연결시키기 위하여 탑재시킬 수 있도록 된 IC 카드 슬롯(26),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동작과 관련하여 발생되는 각종 처리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작패널(12)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가별 선택버튼(12a)과, 사용자의 식성에 맞게 김치의 숙성정도, 예컨대 미숙성, 숙성, 과숙성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12b)과, 번호를 선택하여 재료에 따른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택버튼(12c) 등이 구비된다.
상기 표시부(14)는 추가적으로 현재 시간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IC카드(28)에는 수백가지 김치의 담그는 과정과 각 나라의 구미에 맞는 조리과정 등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 또는 숙성시키는 과정이 각각 김치 종류에 따라 개별적인 IC카드로 저장되거나 또는 많은 종류의 김치 담그는 과정이 하나의 IC카드에 저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IC카드(28)가 삽입되면 IC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인출하여 진행하면서 가온부(20), 냉각부(22) 등을 제어하여 냉장, 냉동 또는 숙성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IC카드(28)로부터 전송되는 프로그램을 프린터(16)를 통해 출력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 출력된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조작패널(12)를 통해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동작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작패널(12)에는 사용자가 상기 IC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들 중에서 하나의 김치 담그는 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IC카드(28)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면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12)을 통해 입력되어 메모리(30)에 기설정된 동작 조건에 맞게 가온부(20) 및 냉각부(22)를 동작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메모리(30)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의 숙성 및 냉장에 관한 동작 조건을 근거로 김치의 숙성 및 냉장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 숙성칸이 냉동 용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온도제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가온부(2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온부(20)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서로 독립적인 가온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가온부(201∼20N)로 구성되어 있고, 각 가온부(201∼20N)는 도 2에서의 해당 숙성칸의 가온을 담당하게 된다. 각 가온부(20)는 히터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서의 냉각부(22)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부(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서로 독립적인 냉각동작을 수행하는 다수의 냉각부(221∼22N)로 구성되어 있고, 각 냉각부(221∼22N)는 도 2에서의 해당 숙성칸의 냉각을 담당하게 된다. 각 냉각부(22)는 응축기, 냉매관 등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숙성칸의 내벽의 적소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8)가 설치되어 있으며,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냉장 또는 냉동 동작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온도 감지부(18)의 감지온도에 따라 각각의 가온부(201∼20N) 및 냉각부(221∼22N)의 동작을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숙성 동작시 IC카드(28)로부터 전송되어 온 프로그램을 근거로 온도 감지부(18)의 감지온도를 참조하면서 가온부(201∼20N) 및 냉각부(221∼22N)를 동작제어하여 숙성 동작을 실행제어하게 된다.
각 가온부(201∼20N) 또는 냉각부(221∼22N)로 이용되는 히터 또는 냉매관은 각 숙성칸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내벽을 감싸면서 권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저장매체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C카드(28)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인터페이스하여 IC카드의 제어를 담당하는 프로세서(281), 많은 종류의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 각 국가의 고유 입맛에 맞도록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 특정한 양념을 추가하여 그 특유한 맛을 내는 과정 등의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을 저장하는 메모리(2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도 4에서의 메모리(283)의 메모리 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283)에는 각종 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영역, 해당 IC카드(28)의 ID를 저장하는 ID 영역, 해당 IC 카드(28)의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패스워드 영역을 가지고 있다.
상기 패스워드는 IC 카드를 도용하거나 표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ID는 김치의 종류(이름)로 하여도 좋을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IC 카드(28)가 IC 카드 슬롯(26)에 삽입되면 프로세서(281)로 ID 및 패스워드의 전송을 요구하고, 프로세서(281)는 메모리(283)에서 ID 및 패스워드를 인출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 전송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전송되어 온 ID와 패스워드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ID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 판단하게 되는 바,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한해서만 메모리(283)에 수록된 사용자 영역의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ID 또는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고, 이후 몇 번의 ID 및 패스워드 입력을 보장하여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IC 카드(28)로부터 프로그램을 인출한 후 모든 목록을 표시부(14)를 통해 표시한 후 사용자로부터 조작 패널(12)을 통해 선택되는 목록에 관한 숙성 과정을 실행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상기 IC 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이 배추김치, 무김치, 파김치를 숙성시키는 과정이라면 이 목록을 출력한 후 사용자로부터 배추김치가 선택되면 배추김치의 숙성과정에 맞게 숙성칸을 동작제어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도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김치 냉장숙성장치는 본체(40)에 수직되는 방향으로 소정 개수의 숙성칸(46)이 형성되며, 그 숙성칸(46)에는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도어(44)가 설치된다.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본체(40)의 내부에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냉동장치, 즉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또는 모세관) 및 압축기가 설치되어 김치 냉숙고의 냉각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증발기의 냉매관은 숙성칸의 측벽에 매설되어 숙성칸을 냉장시킨다.
그리고 숙성칸(46)의 측벽 내부에는 냉매관 뿐만 아니라 가온부로서의 열전소자가 설치되어 김치를 숙성시키게 된다.
각 열전소자 또는 냉매관은 각 숙성칸(46)의 내벽(46a)과 외벽(46b) 사이 소정의 공간부에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내벽을 감싸면서 권취하여 구성할 수 있고, 내벽(46a)과 외벽(46b)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진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연계 설치되는 IC 카드(28)는 본체(40)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본체(40) 측에 IC 카드 슬롯(26)을 형성하여 IC 카드(28)를 입출시켜서 착탈시킨다.
슬롯(26)을 통해 본체(4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평방향으로 회동되는 슬롯 도어(42)를 설치시킨다.
슬롯 도어(42)의 전면에는 김치의 냉장과 숙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42a)가 형성된다.
한편, 다수의 숙성칸(46)은 서로 독립적으로 가온 또는 냉각이 가능하고, 숙성칸(44)의 내부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소정 분할판(48)이 설치되어 숙성칸(44)의 내부를 적어도 두부분으로 구분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김치통(50)을 적재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숙성칸(46)의 내부를 활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IC카드를 이용한 김치 냉장 숙성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먼저,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시스템이 기동되어 각 부에 적절한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IC카드(28)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IC카드(28)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면 메모리(30)에 기설정되어 있는 동작 조건에 맞게 각 숙성칸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IC카드(28)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면 표시부(14)를 통해 사용자측으로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ID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IC카드(28)측으로 ID 및 패스워드의 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이어서, IC카드(28)측으로부터 ID 및 패스워드가 전송되어 오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ID 및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게 되고, 각 ID 및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표시부(14)를 통해 ID 및 패스워드의 재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한편, 각 ID 및 패스워드가 일치하면 IC카드(28)측으로 프로그램의 전송을 요구하게 되고, IC카드(28)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에 따라 숙성고의 동작 조건을 설정한 다음 해당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IC카드(28)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일련의 프로그램을 프린터(16)를 통해 프린팅제어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IC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한 종류의 김치에 대한 제조 과정이 아니라 많은 종류의 김치에 대한 제조 과정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라면, ID 및 패스워드가 일치하였을 때 IC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각 김치에 대한 프로그램 메뉴를 일괄적으로 표시한 후 조작 패널(12)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프로그램대로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프린팅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프린터(16)를 통해 프린팅된 프로그램을 참조하면서 사용자는 김치의 냉장 또는 숙성 과정을 숙지할 수 있고, 그 동작 조건 및 일련의 수순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 숙성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에서 도 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는 인터넷을 통해 각종 김치 제조 과정 등을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서비스 제공자는 김치 제조 과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적재하여 두고, 사용자는 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김치 냉장 숙성 장치는 도 1에서의 김치 냉장 숙성 장치에 부가하여 인터넷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부(102), 인터넷 접속부(104)가 구성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00)와 메모리(106)의 기능이 확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인터넷 접속부(104)를 통해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운용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와 접속 제어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김치 제조 과정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해당 김치 제조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부(102)를 통해 해석하여 메모리(106)에 저장 제어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프로세서(100)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해당 김치 제조 과정을 메모리(106)에서 인출하여 가온부(20), 냉각부(22)등을 제어함으로써 김치 냉장 숙성을 실행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김치 담그는 과정이 저장된 IC카드를 이용하여 손쉽게 김치를 담글 수 있음은 물론 김치를 전혀 담그어 보지 못한 사람도 자기 취향에 맞도록 적절하게 양념이 배합되거나 숙성도가 조절된 김치를 담글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되는 방향으로 숙성칸을 형성시켜 수납작업시 김치가 채워진 김치통을 수직방향으로 든 상태에서 숙성칸으로 밀어 넣기 때문에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 수납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숙성칸을 다수개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김치를 그 특성에 맞게 구분 숙성 및 냉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김치 냉장 숙성장치의 작동상태 및 운전조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슬롯 도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작동상태 및 운전조건 등을 용이하게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각종 김치 제조 과정을 손쉽게 다운로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김치통을 적재하는 숙성칸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면서 김치 냉장 숙성을 실행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숙성칸을 가온시키기 위한 가온부;
    상기 숙성칸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상기 숙성칸의 내벽 내측부 적소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매체;
    상기 저장매체를 적재할 수 있는 저장매체 슬롯; 및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매체 슬롯에 적재되면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인출하여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온도에 따라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를 동작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IC칩을 내장한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부는
    상기 숙성칸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서 내벽 외측을 감싸면서 권취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숙성칸의 내벽과 외벽 사이의 소정의 공간부에서 내벽 외측을 감싸면서 권취되는 냉매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칸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분리부재를 통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숙성칸으로 수직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숙성칸은 각 숙성칸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도어가 여닫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분리부재로 분리된 각 숙성칸은 공간을 수평분할하는 소정 분할판으로 더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는 상기 각각의 숙성칸에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각각의 가온부 및 냉각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에는
    각종 김치의 숙성 과정, 각 국가별 입맛에 맞는 김치의 숙성 과정, 특정 양념의 특유한 맛을 내는 과정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10. 제 1항, 제 2항 또는 제4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터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김치 냉장 숙성 과정을 상기 프린터로 프린팅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김치 냉장 숙성 냉장고의 현재 동작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로부터 인출한 김치 냉장 숙성 과정대로 상기 가온부 및 냉각부를 제어하면서 동작 조건이 변화되면 변화된 동작 조건을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저장매체에 수록된 패스워드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가 일치할 때 김치 냉장 숙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요구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동작 조건에 맞게 냉장 기능을 수행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 냉장 숙성장치.
KR2020000010304U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숙성장치 KR2002072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953A KR20010095664A (ko)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 숙성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53A Division KR20010095664A (ko)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 숙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223Y1 true KR200207223Y1 (ko) 2000-12-15

Family

ID=196634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53A KR20010095664A (ko)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 숙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0010304U KR200207223Y1 (ko)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숙성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953A KR20010095664A (ko) 2000-04-11 2000-04-11 김치 냉장 숙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95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55B1 (ko) * 2002-05-1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치숙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255B1 (ko) * 2002-05-10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김치숙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664A (ko) 200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766B1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refrigerator
JP2001231443A (ja) 複合型漬物貯蔵庫
JP2008286516A (ja) 冷凍冷蔵庫
KR200207223Y1 (ko) 김치 냉장숙성장치
CN112393498B (zh) 风冷冰箱的控制方法与风冷冰箱
KR100568242B1 (ko)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H0585140B2 (ko)
KR100826715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114948B1 (ko) 아이스 음료 냉온장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532315B1 (ko) 냉장고의 고온저장장치
KR100340326B1 (ko) 주류 보관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0256407B1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운전방법
KR100820838B1 (ko) 김치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18128A (ko) 김치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JP3506616B2 (ja) キムチ貯蔵庫の冷凍保管方法および装置
KR20020090591A (ko) 압력 센서에 의한 김치저장고 및 그 숙성제어 방법
KR20050018129A (ko) 김치냉장고 및 그 운전 방법
KR100556371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100690137B1 (ko) 고내온도 제공형 냉장고
KR20000059585A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코스 선택장치
KR100586986B1 (ko) 냉장고
KR20060067605A (ko) 업소용 숙성 냉장고
KR200374744Y1 (ko) 냉장고 겸용 요리재료 진열대
JP2022187307A (ja) 冷蔵庫
KR100761119B1 (ko) 김치냉장고, 김치냉장고의 청국장 발효 조절 장치 및청국장 발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