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854Y1 -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854Y1
KR200205854Y1 KR2020000015414U KR20000015414U KR200205854Y1 KR 200205854 Y1 KR200205854 Y1 KR 200205854Y1 KR 2020000015414 U KR2020000015414 U KR 2020000015414U KR 20000015414 U KR20000015414 U KR 20000015414U KR 200205854 Y1 KR200205854 Y1 KR 200205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frame
bar
support
guide
sl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태영에스.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태영에스.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태영에스.이.엠
Priority to KR2020000015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8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5/00Tool, instrument or work supports or storage means used in association with vehicles; Workers' supports, e.g. mechanics' cree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프론트프레임(100) 일측을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구비된 메인바(10)와; 상기 메인바(10)의 일측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이 밀착되어 접하게 되는 지지판부재(30)와; 상기 지지판부재(30)의 사이에 협지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복수개의 가이드바(40)와; 상기 가이드바(40)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바(50)와; 상기 슬라이드바(50)의 일단에 프론트프레임(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장치(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프론트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써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프론트프레임을 정비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Front Frame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차체 전방 하부의 프레임을 정비할 시에 프레임 내지는 프레임의 일부가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차체 바디는 각각의 기능을 갖는 롱지튜디널, 크로스멤버, 서포트패널등과 같은 다수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되어 차체 바디의 골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차체 바디의 프레임은 충격이 차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차체 바디의 전방부에 형성된 프론트프레임에는 엔진이 구비되는 바, 이러한 엔진과 같은 부피가 큰 부품이 차실내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한 프론트프레임은 다수의 프레임이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구조로서 결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프론트프레임에는 조향장치등과 같은 여러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부품들이 결합되게 되는 바, 이러한 프론트프레임의 결함은 승객의 생명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게 되므로써 주기적인 정비가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론트프레임의 정비시에는 작업자가 차량의 하부로 들어가 상기한 프론트프레임 및 이에 결합된 주변부품들을 정비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가 프론트프레임에 결합된 주변부품이나 프론트프레임을 분리하여 정비할 시, 프론트프레임을 이루는 일측의 프레임 내지는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작업자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이외에 여러사람들이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정비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프론트프레임의 일측을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체의 프론트프레임을 정비할 시에 이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 주는 별도의 지지장치를 구성하여 주므로써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 2의 A-A선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 2의 'B'부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지지장치 10: 메인바
10a: 관통공 12: 부시
14: 스토퍼 20: 슬라이드부재
22: 웰트너트 24: 고정핀
24a: 나사부 30: 지지판부재
30a,30b: 관통공 32: 스토퍼핀
34: 힌지핀 36: 고정볼트
40: 가이드바 42: 웰드너트
44: 고정볼트 50: 슬라이드바
52: 스토퍼판 54: 부시
60: 지지부재 62: 고무패킹
64: 가이드부재 66: 탭홀
68: 고정볼트 70: 스터드볼트
72: 무나사부 74: 요부
76: 나사부 78: 단턱부
80: 핸들 82: 베어링
90: 유압장치 92: 실린더
94: 피스톤 96: 지지판
98: 관통공 100: 프론트프레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의 프론트프레임 일측을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구비된 메인바와; 상기 메인바의 일측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유압장치의 지지판이 밀착되어 접하게 되는 지지판부재와; 상기 지지판부재의 사이에 협지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복수개의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일단에 프론트프레임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지장치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결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부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지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론트프레임(100)을 지지하여 주는 지지장치(2)는 크게 메인바(10), 슬라이드부재(20), 지지판부재(30), 가이드바(40), 슬라이드바(50), 지지부재(60)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메인바(1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서, 그 일측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관통공(10a)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0a)에 대응한 메인바(10)의 내측에는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부시(12)가 내장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바(10)는 차체 바디의 프론트프레임(100) 하부 일측을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한 메인바(10)에는 이 메인바(10)를 프론트프레임(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한 고정수단은 차종에 따라 각기 달리 구비되는 프론트프레임(100)에 메인바(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 고정수단에는 메인바(10)의 외주면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재(20)가 구비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부재(20)의 상면에는 웰드너트(22)가 구비되고, 이 웰드너트(22)에 그 일단의 나사부가 체결.고정되며, 타단은 프론트프레임(100)에 형성된 소정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된 고정핀(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메인바(10)의 양측단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슬라이드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볼트로 이루어진 스토퍼(14)가 메인바(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메인바(10)의 일측 상하면에는 지지판부재(30)가 구비되되, 상기 하단부의 지지판부재(30)에는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이 밀착되어 접하게 되므로써 이 하단부의 지지판부재(30)는 메인바(10)의 하면과 같은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메인바(10)의 전면 하단부에 용접고정된다.
또한, 상기한 지지판부재(30)의 상하면에는 다수의 관통공(30a,30b)이 형성되며, 전방의 관통공(30a)에는 후술되는 양측의 가이드바(40)의 회전을 제어하게 되는 스토퍼핀(32)이 구비되고, 후방의 관통공(30b)에는 상기한 가이드바(40)가 그 내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중공의 힌지핀(34)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판부재(30)의 일면에 접하는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에는 지지판부재(30)와 지지판(96)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지지판(96)과 지지판부재(30) 후방의 관통공(30b) 내지는 메인바(10)의 관통공(10a)에 고정볼트(36)를 관통.체결하여 지지판(96)과 지지판부재(3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한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은 작업성과 차종에 따른 차체 바디의 중량에 따라서 지지판부재(30) 후방의 관통공(30b) 내지는 메인바(10)의 관통공(10a)에 선택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유압장치(90)는 실린더(92)와, 실린더(92)내에서 유압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94)과, 이 피스톤(94)의 선단에 지지판부재(30)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는 지지판(96)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바(40)는 그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핀(34)에 의해서 상,하 지지판부재(3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힌지되고, 타단에는 가이드바(40)에 내장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슬라이드바(50)가 구비된다.
상기한 슬라이드바(50)가 그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바(40)에는 이동된 슬라이드바(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바, 상기 고정수단은 가이드바(40)의 일측면에 고정된 웰드너트(42)와, 상기 웰드너트(42)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가이드바(40)를 관통하여 슬라이드바(50)의 일면에 압착되도록 된 고정볼트(4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드바(50)에는 가이드바(4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되는 바, 상기한 이탈방지수단은 가이드바(40)내에 삽입된 슬라이드바(50)의 일단에 이동된 슬라이드바(50)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볼트(44)가 압착되는 슬라이드바(50)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고정볼트(44)에 걸림되도록 가이드바(40)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의 스토퍼판(52)이 첨부도면 도 2에 은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드바(50)의 선단에는 프론트프레임(100)의 일측을 지지하게 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지지부재(60)가 구비된다.
상기한 지지부재(60)의 상면에는 프론트프레임(100)과 지지부재(60)의 접촉소음 및 지지부재(6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패킹(6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슬라이드바(50)상에 구비된 지지부재(60)는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되는 바, 상기한 승강수단은 가이드부재(64), 스터드볼트(70), 핸들(80), 베어링(82)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가이드부재(64)는 그 하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상면이 지지부재(60)의 하면에 용접고정되고, 그 외주면 일측에는 고정볼트(68)가 체결되도록 된 탭홀(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스터드볼트(70)는 무나사부(72)와 나사부(76)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무나사부(72)는 가이드부재(64)의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가이드부재(64)내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가이드부재(64)의 탭홀(66)에 대응한 곳에 단차져 함몰된 요부(74)가 형성된다.
상기한 요부(74)에는 전술한 가이드부재(64)의 탭홀(66)에 체결되는 고정볼트(68)의 단부가 삽입되어 요부(74)의 일측 상단부가 고정볼트(68)의 외주면에 걸림되어 상기한 스터드볼트(70)는 가이드부재(64)내에서 공회전가능한 상태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한 가이드부재(64) 하단의 무나사부(72)에는 베어링(82)이 구비되어 지지부재(60)의 승강시 마찰과 같은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한 무나사부(72)와 나사부(76)의 경계면에는 단턱진 단턱부(78)가 형성되어 스터드볼트(70)의 승강시 이 단턱부(78)와 가이드부재(64)에 의해 베어링(82)도 승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스터드볼트(70)의 나사부(76)는 슬라이드바(50)의 일측에 구비되어 그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부시(54)에 체결되고, 그 일단에는 스터드볼트(70)를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지지장치는 차체 바디의 프론트프레임(100) 하부 일측에 지지장치(2)의 메인바(10)를 프론트프레임(100)에 가로질러 구비함과 동시에 메인바(10)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부재(20)의 고정핀(24)을 차종에 따라 각기 다르게 구비되는 프론트프레임(100)에 대응하게 메인바(10)상에서 이동시켜 조절한 후, 프론트프레임(100)에 형성된 소정의 구멍에 슬라이드부재(20)의 고정핀(24)을 삽입시켜 메인바(10)를 프론트프레임(10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한 메인바(10)의 양측단에 이 메인바(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 스토퍼(14)는 메인바(10)상에서 이동되는 슬라이드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한 지지장치(2)의 가이드바(40)를 프론트프레임(100)의 지지하고자 하는 곳에 따라 지지판부재(30) 상에서 회전시킨 후, 이 가이드바(40)로부터 슬라이드바(50)를 인출시켜 빼내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슬라이드바(50)를 가이드바(40)로부터 인출할 시는 먼저, 가이드바(40) 일측의 웰드너트(42)에 체결된 고정볼트(44)를 소정량 풀어 슬라이드바(50)의 일측면에 압착된 고정볼트(44)의 단부를 슬라이드바(50)로부터 해제시킨 후, 상기한 슬라이드바(50)를 프론트프레임(100)에 대응하게 가이드바(40)로부터 인출시켜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출되는 슬라이드바(50)는 가이드바(40)내에 위치한 일단에 가이드바(40)의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된 스토퍼판(52)의 일측이 고정볼트(44)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슬라이드바(50)를 가이드바(40)로부터 완전히 인출시켜도 이 스토퍼판(52)이 고정볼트(44)의 일측에 걸림되게 되므로써 고정볼트(44)를 가이드바(40)로부터 완전히 풀어 빼내지 않는 한, 상기한 슬라이드바(50)는 가이드바(4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프론트프레임(100)에 대응하게 슬라이드바(50)를 인출한 후에는 상기한 고정볼트(44)를 웰드너트(42)에 완전히 체결하면, 이 고정볼트(44)의 단부가 다시 슬라이드바(50)의 일측면에 압착되어 상기한 슬라이드바(50)를 가이드바(4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한 슬라이드바(50)의 선단에 구비된 지지부재(60)를 지지하고자 하는 프론트프레임(100)의 높이에 대응하게 상,하로 승강시키게 되는 바, 본 고안에서는 지지부재(60)의 상승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한 지지부재(60)의 상승은 작업자가 지지부재(60)의 하단부에 위치한 스터드볼트(70)의 핸들(80)을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스터드볼트(70)는 그 일측의 나사부(76)가 슬라이드바(50)에 내장된 부시(54) 내주면의 나사부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이 부시(54)에 계속해서 체결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승되는 스터드볼트(70)에 의해서 지지부재(60)는 상승하게 되는 바, 이는 지지부재(60)의 하단에 용접고정된 가이드부재(64)에 삽입된 스터드볼트(70)의 일단이 무나사부(72)로 형성되어 있어 스터드볼트(70)의 회전시 그 일단의 무나사부(72)가 가이드부재(64)내에서 공회전하게 되면서 지지부재(60)를 밀어 올려 상승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무나사부(72)의 일측에는 지지부재(60)의 가이드부재(64)에 형성된 탭홀(66)에 대응한 요부(74)가 단차져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재(64)의 탭홀(66)에 고정볼트(68)가 체결되어 그 단부가 스터드볼트(70)의 요부(74)로 삽입되어 요부(74)의 전면에는 접하지 않고, 요부(74)의 상단부가 고정볼트(68)의 외주면에 걸림되게 되므로써 스터드볼트(70)를 지지부재(60)의 가이드부재(64)내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부재(64)의 하단과 스터드볼트(70)의 나사부(76) 사이의 무나사부(72)에는 스터드볼트(70)의 승강시 이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된 베어링(82)이 구비되는 바, 이 베어링(82)은 지지부재(60)의 상승시 무나사부(72)와 나사부(76)의 경계면에 형성된 단턱부(78)에 의해서 지지부재(60)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지지부재(60)의 승강은 결국 스터드볼트(70)의 회전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상기한 스터드볼트(70)의 회전시는 지지부재(60)와 가이드부재(64) 및 베어링(82)은 회전하지 않고, 지지부재(60)내에 삽입된 스터드볼트(70)의 무나사부(72)는 공회전되면서 이 스터드볼트(70)의 나사부(76) 선단은 베어링(82)의 하단에 접하게 되어 이의 회전에 의한 저항이 최소화되면서 용이하게 회전되어 승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지지부재(60)는 가이드부재(64)에 의해서 스터드볼트(70)와 같이 회전되어도 무방하나, 상기한 지지부재(60)가 회전될 시에는 프론트프레임(100)에 지지부재(60)를 구비시킴에 있어 많은 제약과 불편함이 있어 스터드볼트(70)의 회전시에는 지지부재(60)는 회전되지 않고, 다만 스터드볼트(70)의 무나사부(72)와 요부(74) 및 고정볼트(68)에 의해서 이의 승강만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승강되는 지지부재(60)는 그 상면에 구비된 고무패킹(62)에 의해서 프론트프레임(100)에 지지부재(60)가 접할 시, 금속음의 접촉소음 및 지지부재(60)의 파손을 방지하게 되면서 프론트프레임(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프론트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된 지지장치(2)의 지지판부재(30)에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이 구비되어 지지장치(2)를 프론트프레임(100)측으로 밀어 지지하게 되되, 상기한 지지판(96)과 지지판부재(3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볼트(36)를 지지판(96)과 지지판부재(30) 후방의 관통공(30b) 내지는 메인바(10)의 관통공(10a)에 삽입시켜 힌지핀(34) 내지는 부시(12)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체결.고정한다.
이때, 상기한 작업자는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을 작업부위의 작업성 및 차종에 따른 차체 바디의 중량에 따라 고정볼트(36)를 매개로 지지판부재(30) 내지는 메인바(10)에 선택적으로 체결.고정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체 바디의 프론트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지지장치(2)에 의해서 작업자는 안전하게 프론트프레임(100)을 정비할 수 있게 되며, 상기한 프론트프레임(100)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도 지지장치(2)에 의해서 지지되므로써 이 프론트프레임(100)이 작업자측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는 프론트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써 프론트프레임이 차체 바디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프론트프레임을 정비하는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차량의 프론트프레임(100) 일측을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구비된 메인바(10)와;
    상기 메인바(10)의 일측 상하면에 각각 고정되며, 그 하부에는 유압장치(90)의 지지판(96)이 밀착되어 접하게 되는 지지판부재(30)와;
    상기 지지판부재(30)의 사이에 협지되어 회전가능하게 힌지된 복수개의 가이드바(40)와;
    상기 가이드바(40)내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슬라이드바(50)와;
    상기 슬라이드바(50)의 일단에 프론트프레임(100)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지지부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100)의 일측 하단부를 지지하는 메인바(10)에는 차종에 따라 각기 달리 구비되는 프론트프레임(100)에 메인바(10)를 지지.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수단은 메인바(10)의 외주면상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상면에는 웰드너트(22)가 구비된 슬라이드부재(20)와;
    상기 슬라이드부재(20)의 웰드너트(22)에 그 일단이 체결.고정되고, 타단은 프론트프레임(100)에 형성된 소정의 구멍에 삽입되도록 된 고정핀(24)과;
    상기 메인바(10)상에서 슬라이드부재(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메인바(10)의 양측단에 돌출되게 구비된 스토퍼(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50)가 그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가이드바(40)에는 이동된 슬라이드바(5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이드바(40)의 일측에 고정된 웰드너트(42)와;
    상기 웰드너트(42)에 체결되어 그 단부가 가이드바(40)를 관통하여 슬라이드바(50)의 일면에 압착되도록 구비된 고정볼트(44)와;
    상기 슬라이드바(50)의 일단에는 이 슬라이드바(50)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고정볼트(44)측으로 돌출되어 이 고정볼트(44)에 그 일측이 걸림되도록 가이드바(40)의 내경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된 스토퍼판(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50)의 선단에 구비된 지지부재(60)에는 이 지지부재(60)를 상하로 승강시켜 주는 승강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승강수단은 지지부재(60)의 하면에 고정된 가이드부재(64)와;
    상기 가이드부재(64)내에 그 일단이 삽입되어 공회전되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그 일측의 나사부(76)가 슬라이드바(50)에 관통되어 체결된 스터드볼트(70)와;
    상기 스터드볼트(70)의 타단에 삽입되어 고정된 핸들(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70)는 가이드부재(64)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회전되도록 그 일단부에 가이드부재(64)의 내경에 대응하게 형성된 무나사부(72)와;
    상기 무나사부(72)의 외주면 일측에 단차져 함몰된 요부(74)와;
    상기 스터드볼트(70)의 요부(74)에 대응한 가이드부재(64)의 외주면 일측에 관통.체결되어 그 외주면에 스터드볼트(70)의 요부(74) 일측면이 접하여 걸림되도록 된 고정볼트(68)와;
    상기 스터드볼트(70)가 회전되면서 승강될 시 이의 저항을 저감시키도록 가이드부재(64)의 하단부와 스터드볼트(70)의 나사부(76) 사이의 무나사부(72)에 베어링(8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0)의 상면에는 고무패킹(6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KR2020000015414U 2000-05-31 2000-05-31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KR2002058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14U KR200205854Y1 (ko) 2000-05-31 2000-05-31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414U KR200205854Y1 (ko) 2000-05-31 2000-05-31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854Y1 true KR200205854Y1 (ko) 2000-12-01

Family

ID=1965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414U KR200205854Y1 (ko) 2000-05-31 2000-05-31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8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16135A1 (de) Liftkabine mit wartungsfenster
FR2833560A1 (fr) Structure de protection de conducteur et dispositif supportant cette structure
CN1902117B (zh) 防止轿厢掉落的装置
KR970003777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용 붐 고정장치
KR200205854Y1 (ko) 차량용 프론트프레임 지지장치
KR20180071678A (ko) 지게차용 사이드 도어
US11060954B2 (en) Safety fence and vehicle testing device
US11169053B2 (en) Vehicle testing device having a safety fence
KR100774339B1 (ko) 차량용 캡의 틸팅 스테이 유닛
DE102013003302B3 (de) Fahrzeugscharnieranordnung
DE4138834A1 (de) Flurfoerderzeug mit einer schwenkbaren lenkanordnung
KR100411030B1 (ko) 자동차 엔진후드의 스테이 장치
JP6236703B1 (ja) 車両の車輪固定装置
KR100514248B1 (ko) 화물차용 플랩 개폐 장치
KR100280104B1 (ko)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JP3422756B2 (ja) チェーンゲート
KR20040017108A (ko) 차량용 캡 틸팅 스테이장치
CN110864020A (zh) 一种双油缸自动拔销机构
JPH0346999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装置
KR100543998B1 (ko) 휠로더의 프론트 지지장치
JPH01301475A (ja) 自動車用タイヤの収納装置
KR19990034971A (ko) 자동차의 후드스테이 로드
DE102022124204A1 (de) Wagenhebersystem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Wagenhebersystem
KR970003329Y1 (ko) 차량의 엔진후드 지지구조
KR100472229B1 (ko) 견인차량의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