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6504Y1 -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6504Y1
KR200166504Y1 KR2019990015360U KR19990015360U KR200166504Y1 KR 200166504 Y1 KR200166504 Y1 KR 200166504Y1 KR 2019990015360 U KR2019990015360 U KR 2019990015360U KR 19990015360 U KR19990015360 U KR 19990015360U KR 200166504 Y1 KR200166504 Y1 KR 200166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pit
crane
roller
colum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5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씨.에스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에스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에스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5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65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6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65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칼럼부(1)에 제공된 유,공압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를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부에 연결하여 조정석(2)의 작업시야에 따라 조정패널(3), 조정석(2) 및 조정석 프레임(23)을 포함하는 조정부를 승강시키되,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부에 제공된 롤러(22a)를 칼럼부(1)에 대응설치된 안내레일(22b)을 따라 습동되도록 하고 또한, 롤러(22a)가 안내레일(22b)을 이탈하더라도 조정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부에 제공된 안내지주(21a)를 칼럼부(1)에 대응설치된 관형의 서포트(21b)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크레인 작업을 하는 경우에 적재함(10)이나 기타 주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역 또는 상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Operation seat view-securing device of vehicle mounting crane}
본 고안은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크레인을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하역 또는 상차할 경우에 크레인 칼럼부에 설치된 조정석의 시야를 확보하여 작업편의성을 구현한 조정석 시야확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장착차량은 소정 위치에 적재된 화물을 원하는 위치로 운반, 하역하는 일련의 작업을 별도의 장비없이 수행할 수 있어 가격대 작업효율이 매우 높은 장비이다. 여기서, 특장차의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에 제공된 크레인은, 선회자재하게 제공된 칼럼부의 단부에 붐 조립체를 적재함의 후방으로 위치되도록 조립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특장차는 통상, 칼럼부의 상부에 조정레버가 부설된 조정석을 제공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화물의 적재/하역 및 상차작업시 작업후방 및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특장차는 조정석이 칼럼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많은 경우에, 적재함이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 또는 붐 조립체 등에 의해 후방 및 측방시야가 확보되지 않아 작업이 용이치 못한 문제점이 상존하고 있었다. 특히, 배관, 건축용 파일 또는 전신주 등과 같이 전장이 긴 화물을 시야가 충분하게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주변의 적재물이나 장애물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작업자의 인명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많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물을 적재/하역 또는 승차하는 크레인 작업시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나 주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크레인 작업에 필요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크레인 장착차량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는 조정석 프레임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b는 칼럼부에 설치된 안내레일과 서포트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조정석 시야확보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럼부 2 : 조정석
3 : 조정패널 4,15 : 조정레버
5 : 실린더 7 : 베이스부
8 : 발판 9 : 붐실린더
10 : 적재함 11 : 붐 조립체
12,13 : 아웃트리거 14 : PTO 레버
21a : 안내지주 21b : 서포트
22a : 롤러 22b : 안내레일
23 : 조정석 프레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운전석과 적재함 사이에 크레인이 설치된 크레인 장착차량에 있어서, 칼럼부의 상부에 제공된 조정석 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기 조정패널과 조정석을 체결하여 구성된 조정부와; 크레인 작업시 조정석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부를 승강자재하도록 제공된 승강수단과; 상기 조정석 프레임에 제공된 롤러와;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조정석 프레임의 롤러가 습동되도록 상기 칼럼부에 제공된 안내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크레인 장착차량은 도 1 및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정석 프레임(23)의 양단에 조정패널(3)과 조정석(2)을 체결하여 칼럼부(1)의 상부에 제공하되, 칼럼부(1)에 제공된 유,공압실린더(5)에 의해 조정패널(3), 조정석(2) 및 조정석 프레임(23)을 포함하는 조정부를 상하 승강자재하도록 구성하여 후방 및 측방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함(10)이나 적재함(10)의 화물 또는 주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화물을 적재/하역 또는 상차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레인 작업시 후방 및 측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조정부를 승강자재하도록 칼럼부(1)에 제공된 조정석 시야확보장치는, 조정석 프레임(23)의 좌측 및 우측단부(24,25)에 각기 조정패널(3)과 조정석(2)이 체결되어 있으며, 조정석(2)이 체결된 조정석 프레임(23)의 인접부에 롤러(22a)를 구비하여 칼럼부(1)의 상단부에 대응설치된 안내레일(22b)을 통해 습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 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는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부에 연결되어 조정레버(4)의 조작에 대응하여 조정부를 승강시킴으로써 후방 및 측방의 작업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정부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 유,공압실린더(5)에 한정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 또는 기어장치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조정부를 승강시키는 유,공압실린더(5)는 조정석(2)에 크레인 조작자가 앉은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적인 조정부의 무게중심 부분을 승강시키도록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가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단부에 편심체결되어 있다. 그리고, 롤러(22a)가 습동되는 안내레일(22b)은 도 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롤러(22a)가 습동시 이탈되지 않을 정도로 일면이 일부 개방되어 있어 습동에 필요한 그리스 주입과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본 고안은 유,공압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가 체결된 조정석 프레임(23)의 좌측에 도 1 및 도 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안내지주(21a)를 하방으로 길게 부설하고 그(21a)의 승강에 대응된 위치에 안내지주(21a)를 지지할 수 있도록 관형의 서포트(21b)를 칼럼부(1)에 설치함으로써, 롤러(22a)가 안내레일(22b)로부터 이탈되더라도 항시 안내지주(21a)가 서포트(21b)에 지지되어 조정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서포트(21b)의 최상단부는 조정부가 최저점에 위치되는 경우에 적어도 조정부 프레임(23)의 하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이러한 특장차의 작동관계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우선 엔진을 구동한 후 PTO 레버(14)를 조작하여 크레인을 작동하는 펌프(도시 안됨)를 구동한 다음, 아웃트리거 조정레버(15)를 조작하여 프론트 및 리어 아웃트리거(12,13)를 신장하여 전체적인 특장차의 수평을 맞춘다. 그런 다음, 크레인 조작자가 적재함 전판(10a)에 제공된 발판(8)을 딛고 조정패널(3)이 설치된 조정석(2)에 착석하여 조정레버(4)를 조작하면, 그에 대응된 붐실린더(9), 붐 조립체(11) 등이 각기 신장되고 최종적으로 후크(16)에 화물의 와이어를 걸어 원하는 화물의 적재/하역 또는 상차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설명번호 7은 칼럼부(1)의 하부에 설치된 베이스부이다.
이 때, 크레인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후방 및 측방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에는 조정패널(3)에 부설된 조정부 승강용 조정레버(4)를 조작하면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정부가 원하는 높이로 상승되어 적재함(10)이나 주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양호한 작업시야가 확보되어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역 또는 상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특장차는 적재함(10)의 전장 예컨대, 적재함 전판(10a)에서 후판(10b)까지의 길이보다 긴 배관, 건축용 파일 또는 전신주와 같은 화물은 적재함(10)에 적재할 수 없는 반면, 본 고안의 특장차는 조정부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이러한 화물을 전판(10a)과 후판(10b)에 경사지도록 적재, 상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레인이 탑재된 특장차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크레인을 포함하는 다양한 작업 어태치먼트를 탑재한 특장차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는 작업 어태치먼트의 종류와는 무관하지만 작업 어태치먼트와는 함께 연동되지 말아야 하며, 적어도 조정부가 설치될 수 있는 칼럼부는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정석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조정부를 승강하는 것이기 때문에 유,공압실린더, 롤러 및 안내레일의 위치는 그에 대응하여 변형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구조에 의하면, 크레인 작업을 하는 경우에 적재함이나 기타 주변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고 작업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화물을 안전하게 적재/하역 또는 상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구조를 이용하면 적재함의 전장보다 긴 배관, 건축용 파일 또는 전신주와 같은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조정석과 적재함(10) 사이에 크레인이 설치된 크레인 장착차량에 있어서,
    칼럼부(1)의 상부에 제공된 조정석 프레임(23)의 양단부(24,25)에, 각기 조정패널(3)과 조정석(2)을 체결하여 구성된 조정부와;
    크레인 작업시 조정석(2)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조정부를 승강자재하도록 제공된 승강수단과;
    상기 조정석 프레임(23)에 제공된 롤러(22a)와;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조정석 프레임(23)의 롤러(22a)가 습동되도록 상기 칼럼부(1)에 제공된 안내레일(22b)을 포함하여 구성된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칼럼부(1)에 제공된 유,공압실린더(5)로서, 상기 유,공압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가 상기 조정석 프레임(23)의 하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22b)는 상기 롤러(22a)의 습동에 필요한 그리스의 주입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도록 상기 롤러(22a)의 습동에 방해되지 않게 일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22a)가 상기 안내레일(22b)로부터 이탈되더라도 상기 조정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조정석 프레임(23)의 좌측단부(24)와 상기 유,공압실린더(5)의 피스톤 로드 또는 랙기어가 연결된 사이의 상기 조정석 프레임(23) 하부에 제공된 안내지주(21a)와, 상기 안내지주(21a)의 승강에 대응된 상기 칼럼부(1)의 위치에 제공된 관형의 서포트(21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KR2019990015360U 1999-07-29 1999-07-29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KR200166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360U KR200166504Y1 (ko) 1999-07-29 1999-07-29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5360U KR200166504Y1 (ko) 1999-07-29 1999-07-29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6504Y1 true KR200166504Y1 (ko) 2000-02-15

Family

ID=1958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5360U KR200166504Y1 (ko) 1999-07-29 1999-07-29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65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6724A (en) Hydraulically operated operator's step for large machinery
US20210016648A1 (en) Telehandler with improved stabilisers
US5445281A (en) Light-duty electric crane
US20200399099A1 (en) Crane
EP2407414A1 (de) Hubgerüst für ein Flurförderzeug
US5992571A (en) Mast assembly for forklift trucks
JP6026862B2 (ja) 軌陸車両搭載用クレーン
KR101507626B1 (ko) 지게차의 안전작업을 위한 카메라 장치
JP3209342U (ja) 移動式クレーン
KR200166504Y1 (ko) 크레인장착차량의조정석시야확보장치
KR100280104B1 (ko) 크레인 장착차량의 조정석 시야확보장치
KR20070000864A (ko) 지게차의 포크 모니터링 시스템
US2595897A (en) Tractor mounted crane
JP4019841B2 (ja) クローラクレーン
KR101215359B1 (ko) 지게차용 크레인 탈부착장치
EP2557065B1 (en) Carriage frame and fork pin lock assembly
JP3432095B2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
JP2004001941A (ja) マスト装置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KR20210051850A (ko) 크레인 차량
JPS63180697A (ja) 車両用昇降作業装置
AU2020200580A1 (en) Working vehicle
JP2580610Y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KR970002037Y1 (ko) 유압크레인의 붐(boom) 고정구조
JP2000255997A (ja) フォークリフト及びフォークリフトのアタッチメ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