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828Y1 - 명함 용지 - Google Patents

명함 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828Y1
KR200205828Y1 KR2019980009846U KR19980009846U KR200205828Y1 KR 200205828 Y1 KR200205828 Y1 KR 200205828Y1 KR 2019980009846 U KR2019980009846 U KR 2019980009846U KR 19980009846 U KR19980009846 U KR 19980009846U KR 200205828 Y1 KR200205828 Y1 KR 200205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iness card
business
cutting line
card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408U (ko
Inventor
이규성
Original Assignee
이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성 filed Critical 이규성
Priority to KR2019980009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828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4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828Y1/ko

Links

Landscapes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각 개인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문구를 작성하여 프린터로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명함 1장의 가로와 세로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의 명함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절단선을 가로 및 세로로 형성한 명함 용지를 제공한다.
절단선은 명함부를 양쪽으로 분리시키는 구멍과 명함부 양쪽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번갈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구멍의 폭은 서로 나뉘어졌을 경우에 모서리에 돌출되는 지지부의 높이가 작도록 최대한 좁게 형성한다.
또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문양(심벌마크, 로고타입, 시그너처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단선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명함부에 소정의 문양을 미리 인쇄하여 제공한다.

Description

명함 용지
본 고안은 명함 용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단선 및 심벌마크나 로고타입 또는 시그너처 등을 형성하여 각 개인이 필요에 따라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자신에 맞는 명함을 제작할 수 있는 명함 용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명함은 이름과 주소, 전화번호, 회사명, 부서명 등이 대략 8.0㎝×5.5㎝ 정도 크기의 종이에 인쇄된 것으로서, 서로 자신의 연락처나 이름을 상대방에게 정확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한 명함은 대부분 수분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지 않고 잘 구겨지지 않는 특수한 종이인 명함 용지를 사용하여 제작하고, 상기한 명함 용지는 각각 명함 1장에 해당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종래의 명함은 각각 명함 1장의 크기로 절단하여 공급되는 명함 용지에 회사로고나 상호명 또는 이름과 주소 등을 인쇄기로 인쇄하여 사용한다.
또 최근에는 컴퓨터와 고급 프린터의 보급으로 자신만의 개성을 연출할 수 있는 명함을 소량으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명함은 인쇄기를 이용하여 인쇄작업을 행하므로 항상 일정한 양(최소 100장 정도) 이상을 제작하여야 유리하며, 긴급하게 소량이 필요한 경우에도 도안 및 제판을 하고 인쇄를 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다.
또 기업에서는 기업 이미지 통일화(corporate identity, CI) 작업의 일환으로 명함에 인쇄되는 심벌마크(symbol mark), 로고타입(logo type), 시그너처(signature) 등을 규정하여 항상 일정한 위치에 일정한 크기로 인쇄하여 사용하므로, 개인용 컴퓨터로 작성하고 프린터로 출력하여 사용하는 종래의 명함은 규정된 양식에 맞출 수 없으므로 사용이 제한되고, 프린터로 출력한 다음 명함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재단기나 칼과 자 등을 사용하여 절단작업을 행하므로 균일하게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불량이 많이 발생하여 상품성이 떨어지며,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명함 1장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다수의 절단선을 형성하고 다수의 사람이 동일하게 사용하는 소정의 문양(심벌마크, 로고타입, 시그너처 등)은 인쇄하여 제공하므로 각 개인이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문구를 작성하여 프린터로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명함 용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 명함 용지는 명함 1장의 가로와 세로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의 명함부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절단선을 가로 및 세로로 형성한다.
상기한 절단선은 명함부를 양쪽으로 분리시키는 구멍과 명함부 양쪽을 연결하는 지지부를 번갈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구멍의 폭은 서로 나뉘어졌을 경우에 모서리에 돌출되는 지지부의 높이가 작도록 최대한 좁게 형성한다.
또 본 고안 명함 용지는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심벌마크나 로고타입 또는 시그너처 등의 문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절단선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명함부에 소정의 문양을 인쇄하여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명함 용지에 의하면, 동일한 소정의 문양이 인쇄되고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각자 필요한 사항(예를 들면 부서명, 직책, 이름, 연락처, 간결한 문구 등)을 작성하고, 프린터로 출력한 다음 절단선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것으로 명함의 제작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비용이 절감되고 품질과 상품성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절단선(11)을 명함 1장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다수의 명함부(10)를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절단선(11)에 의하여 1장의 명함에 대응되는 크기의 명함부(10)가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다수 형성된다.
상기한 절단선(11)은 이웃하는 명함부(10)를 양쪽으로 분리시키는 구멍(14)과, 이웃하는 명함부(10)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부(12)를 번갈아 형성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멍(14)의 폭은 이웃하는 명함부(10)가 서로 나뉘어졌을 경우에 명함부(10)의 모서리에 나뉘어져 돌출되는 지지부(12)의 높이가 작도록 최대한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지지부(12)는 프린터를 사용하여 부서나 직책 또는 이름이나 연락처 등을 인쇄할 때에 프린터 내에서 절단선(11)이 절단되어 용지가 걸리지 않을 정도의 지지력을 갖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절단선(11)을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함부(16)의 형상이 다양하게 이루어지도록 곡선이나 파형상 또는 원호가 반복하여 연결되는 형상 등으로 절단선(17)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한 절단선(11)은 명함부(10)를 형성하고 남는 바깥쪽 부분인 여유부(18)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도록 명함부(10)의 바깥쪽에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사람이 동일한 문양인 심벌마크나 로고타입 또는 시그너처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절단선(11)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명함부(10)에 심벌마크(20)와 로고타입(22) 등을 시그너처에 맞게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규격으로 미리 인쇄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업에서 이미지 통일화(CI) 작업의 일환으로 소정의 규격으로 정한 심벌마크(20)와 로고타입(22) 및 시그너처에 맞추어 소정의 문양을 인쇄하여 제공하므로, 각 개인이 필요한 사항을 프린터로 출력하여 사용하여도 회사에서 규정한 양식에 맞는 명함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일실시예는 주소와 부서명 등이 동일할 경우에도 각각의 명함부(10)에 주소(24)와 부서명(26) 등을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규격으로 미리 인쇄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일실시예는 각각의 명함부(10) 한쪽 부분(28)에 각종 캐릭터, 마스코트, 엠블럼(휘장), 문장, 바탕 화면, 안내문(취급 품목이나 광고문안 등의 간결한 문구) 등을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규격으로 미리 인쇄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는 일반적인 프린터에서 출력이 가능한 A4, A3, B4, B5 등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많이 사용되는 A4의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어 공급되는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는 각각의 사용자가 개인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사항인 부서명, 직책, 이름, 연락처, 간결한 문구 등을 작성하여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명함을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사용할 때에는 상기한 절단선(11)을 따라 각각의 명함부(10)를 분리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에 의하면, 필요할 때마다 개인이 자신에게 필요한 사항을 컴퓨터로 작성하여 프린터로 출력하고, 절단선을 따라 명함부를 분리하는 것에 의하여 명함의 제작이 완료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필요에 대응할 수 있다.
또 공통으로 사용하는 소정의 문양(심벌마크, 로고타입, 시그너처 등)을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정해진 규격으로 인쇄하여 공급하면, 기업의 이미지 통일화(CI) 작업에도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규격에 맞게 명함을 작성하고 출력할 수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명함 제작이 더욱 편리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의 편리성 및 효과가 증대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에 의하면, 일정한 규격으로 미리 절단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하나 하나의 명함을 절단하기 위하여 재단기나 칼과 자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의하여 불량이 발생하지 않아 시간과 재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뛰어나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명함 용지에 의하면, 1장씩 명함을 제판하여 인쇄하기 위한 명함 인쇄용 전용기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정을 단축시키며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동일한 명함 용지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필요한 사항은 각 개인이 작성하므로 개성을 창출할 수 있으며 생산성이 높고, 대량 생산에 따른 원가 절감이 기대된다.

Claims (2)

  1. 구멍과 지지부가 번갈아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절단선을 명함 1장의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가로 및 세로로 배열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가로 및 세로로 배열되는 다수의 명함부를 형성하는 명함 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절단선으로 분리되는 각각의 명함부에는 정해진 규격으로 정해진 위치에 소정의 문양을 인쇄하는 명함 용지.
KR2019980009846U 1998-06-10 1998-06-10 명함 용지 KR200205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46U KR200205828Y1 (ko) 1998-06-10 1998-06-10 명함 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46U KR200205828Y1 (ko) 1998-06-10 1998-06-10 명함 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08U KR20000000408U (ko) 2000-01-15
KR200205828Y1 true KR200205828Y1 (ko) 2001-02-01

Family

ID=6951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846U KR200205828Y1 (ko) 1998-06-10 1998-06-10 명함 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8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08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855B2 (en) Label and a lever arch file of ring binder
JP3062167B2 (ja) 刷版装着位置指示装置
CN102460540B (zh) 标签组件及其使用方法
RO118124B1 (ro) Metoda de imprimare
KR200205828Y1 (ko) 명함 용지
US4171831A (en) Continuous stationery assemblies
JPH10166748A (ja) 容易に切り取り可能な部分を有する記録媒体
EP0777581B1 (en) Duplicate copies from a printer or copier
JPH08118757A (ja) 印刷システム
JPH0916085A (ja) ラベルシート
JP4536472B2 (ja) 印刷物
JP3668220B2 (ja) 分離照合可能な印刷用紙セットおよび同印刷用紙セットの製造方法
TWI843601B (zh) 印刷有以讀取器可讀取的識別碼的碼
JPH08216565A (ja) カード状印刷物
JPH11334261A (ja) 名刺及びハガキの製作方法並びにその用紙
JP3070988U (ja) カード作製用紙
SI23216A (sl) Pisemska ovojnica in postopek izpisovanja zaupnih vsebin z laserskim tiskalnikom
US20030039790A1 (en) Cut sheet label product having alternating recipient address labels and return address labels and method for using
JPH11277879A (ja) 分離手段を有する記録媒体
JP2002264570A (ja) 名刺作成用紙
JP4475746B2 (ja) サーマルロール紙
JP6142484B2 (ja) 印刷物、印刷物製造方法
JPS61185495A (ja) 連続フオ−ムとその製造方法
JPH071873A (ja) 印刷用紙,印刷物の製造方法
JP2002086594A (ja) 紙製品及びそれの生産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抜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