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784Y1 - 도어용손잡이 - Google Patents

도어용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784Y1
KR200205784Y1 KR2020000019863U KR20000019863U KR200205784Y1 KR 200205784 Y1 KR200205784 Y1 KR 200205784Y1 KR 2020000019863 U KR2020000019863 U KR 2020000019863U KR 20000019863 U KR20000019863 U KR 20000019863U KR 200205784 Y1 KR200205784 Y1 KR 2002057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frame
exposed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중
Original Assignee
윤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규중 filed Critical 윤규중
Priority to KR2020000019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7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7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7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비사용중에서는 은폐되고, 사용을 위한 노출시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보관관리가 양호하여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한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도어용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도어손잡이는 프레임 이면의 상단 또는 하단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며 양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일자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반원형태의 손잡이와 일체성있게 부착되는 지지대의 경계선상 소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과 대응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손잡이가 노출된 상태나 수납된 상태에서도 안전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 지도록 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서 손잡이가 노출 및 수납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제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용손잡이{Side Handle for Door}
본 고안은 가전제품, 산업용제품, 건구 등의 여닫이와 미닫이에 공히 적용될 수 있는 간이 개폐형태의 도어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평소에는 은폐되고, 사용시에는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외부로 노출됨과 동시에 안전한 고정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양호한 관리와 안전한 사용을 이루게 하면서 간단한 조작으로 편리한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도어용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용 손잡이에서는 가전제품, 산업용 제품 및 건구 등의 여닫이와 미닫이 도어에 적용하여 사용되며, 도어의 개폐동작을 도모하고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반원형태의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반원형태의 손잡이는 도어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원활한 회동을 이루기 위하여 편심중량무게 중심을 갖는 손잡이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손잡이를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잡이를 프레임의 후단으로 배치하여 손잡이와 일체성있게 형성된 지지판이 프레임과 수평면적 형태로 놓여지므로 손잡이가 내부로 은폐되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보관상태를 이루게 되고, 만일 손잡이 사용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프레임과 수평선상으로 놓여진 지지판의 하단이나 상단중 어느한 곳을 누르게 되면 손잡이는 회동하게 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정지되어 손잡이 사용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는 하부측 중량이 상부측 보다 무거운 상태이므로 무게 중심이 이동된 상태에서는 프레임의 상단을 밀게 되므로 손잡이가 노출된 상태로 정지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손잡이가 무게 중심이동에 의하여 정지되고 있기 때문에 손잡이를 사용하던 중에 수시로 손잡이 위치가 바뀌게 될 뿐만이 아니라 부정확할 경우에는 무게중심이 이동되어 손잡위의 위치가 양호한 상태가 되지 못하게 되므로 작동을 여러번 반복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또한 상부로 이동된 손잡이의 무게중심이 프레임에 밀착되는 것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적은 충격이나 진동에도 쉽게 원상복귀되므로 손잡이의 위치가 사용에 불편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레임에 연결되는 손잡이가 은폐된 상태 또는 노출된 상태일 경우에도 손잡이를 간편하게 고정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손잡이 관리가 안전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도어용 손잡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의 기술적 특징은,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의 소정영역에 부착되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서 회동이 자유로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면의 상단 또는 하단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며 양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일자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반원형태의 손잡이와 일체성있게 부착되는 지지대의 경계선상 소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과 대응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측에 마련된 지지돌기는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프링의 전후면과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원내 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고정스프링의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 20; 프레임
22; 나사못 24; 스프링
26,26a; 고정돌기 30; 손잡이
32; 지지대 34,34a; 지지돌기
40; 힌지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는 도어(10) 측의 소정영역에 프레임(20)이 부착되며 프레임(20)에는 힌지 결합되어 회동이 자유로운 손잡이(30)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10)는 여닫이나 미닫이 모두가 적용되나 본 고안의 경우 여닫이 형태의 도어가 바람직하다.
프레임(20)은 도어(10)의 소정영역에 배치되어 나사못(22)으로 고정되며, 상단이나 하단중 어느 한 곳에 일자형태의 스프링(24)이 배치된다. 스프링(24)은 탄성력을 갖을 수 있도록 양단이 고정돌기(26)(26a)에 고정되어 있다.
손잡이(30)는 상기 프레임(20)의 중앙에 배치된 힌지핀(40)과 결합되고 있는 지지대(32)에 일체성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2)의 경계선상 소정영역에는 지지돌기(34)(34a)가 마련되어 있어 손잡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스프링(24)의 전면 또는 후면중 어느한 부위를 선택적으로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손잡이를 나타낸다. 도어손잡이는 도어(10)측에 프레임(20)을 나사못(22)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며, 프레임(20)과 핀지핀(40)으로 결합되는 손잡이(30)가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먼저 손잡이(30)가 프레임(20)내에 수납되어 은폐되는 상태는 프레임(20)의 수평면상에 지지대(32)가 배치되어서 손잡이(30)를 후단으로 이동시켜 은폐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안전한 보관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손잡이(30)의 고정은 도3에서와 같이 프레임(20)의 이면에 설치되는 일자형태의 스프링(24)에 손잡이(30)와 지지대(32) 경계선상중 상부측에 배치되는 지지돌기(34)가 스프링(24)을 타고 넘은 위치에서 지지되고 있어 고정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한다.
한편, 손잡이(30)를 사용할 경우에는 지지대(32)의 하단을 눌러 상기 지지돌기(34)가 스프링(24)을 밀면서 이탈됨과 동시에 힌지핀(40)을 중심으로 반전운동을 이루게 되면 도 2의 가상선과 같은 상태로 손잡이(30)는 프레임(2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되므로 손으로 잡고 도어(10)의 개폐를 이루게 한다.
여기서, 손잡이(30)와 지지대(32)의 경계선상에 배치되어 있던 지지돌기(34a)는 상부로 이동되어 스프링(24)을 밀어 지지됨과 동시에 결속상태를 이루게 되므로 손잡이(30)가 노출된 상태를 고정하여 안전하고 편리한 손잡이(30)사용을 이루게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24)은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20) 측에 배치되어 손잡이(30)의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돌기(34)(34a)를 교대로 지지와 동시에 결속하여 하나로써 노출상태나 수납상태가 되는 손잡이(30)이 고정을 이루게 하므로 보다 안전하고 양호한 사용을 이루게 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는 손잡이가 노출된 상태나 수납된 상태에서도 안전한 고정상태를 이루게 되어 안전한 관리를 이루게 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이루게 하고, 간단한 구조로 노출 및 수납상태를 이루게 하여 제작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사용편리성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손잡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미닫이 또는 여닫이 도어의 소정영역에 부착되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하여서 회동이 자유로운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면의 상단 또는 하단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되며 양단이 고정되어 탄성변형이 자유로운 일자형태의 스프링과;
    상기 반원형태의 손잡이와 일체성있게 부착되는 지지대의 경계선상 소정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과 대응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손잡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측에 마련된 지지돌기는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프링의 전후면과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손잡이.
KR2020000019863U 2000-07-11 2000-07-11 도어용손잡이 KR2002057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63U KR200205784Y1 (ko) 2000-07-11 2000-07-11 도어용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863U KR200205784Y1 (ko) 2000-07-11 2000-07-11 도어용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784Y1 true KR200205784Y1 (ko) 2000-12-01

Family

ID=1966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863U KR200205784Y1 (ko) 2000-07-11 2000-07-11 도어용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7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79A (ko) * 2015-03-11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79A (ko) * 2015-03-11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KR102021638B1 (ko) * 2015-03-11 2019-09-16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5784Y1 (ko) 도어용손잡이
US3447196A (en) Collapsible handle operable by exertion of a push downwardly on one end thereof
KR100293030B1 (ko) 배전반용 핸들
JPS6018166Y2 (ja) コンパクト容器
JPH1118858A (ja) キッチンカウンタのシンク構造
KR200389282Y1 (ko) 가구용 도어 개폐장치
CN215686905U (zh) 电饭煲的煲盖开关机构和电饭煲
KR200400546Y1 (ko) 우편함
KR20110045741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KR970001857Y1 (ko) 좌우 개폐가 가능한 의류건조기 도어어셈블리
KR200370662Y1 (ko) 휴지통의 여닫이문 개폐 장치
KR20020069982A (ko) 다 방향 도어
KR940000765Y1 (ko) 가전제품용 도어의 좌우개폐장치
JPS6036173Y2 (ja) 化粧用コンパクト
JPH044575Y2 (ko)
KR200205786Y1 (ko) 도어용 손잡이
JPH0323387Y2 (ko)
KR200334732Y1 (ko) 양측 개폐형 여닫이문
JP2002238787A (ja) 浴槽の蓋装置
JPS6011271Y2 (ja) 鏡扉の開閉装置
JPH04109521A (ja) スイッチ
JPS6239783Y2 (ko)
JP2580757Y2 (ja) 蓋体付き容器
KR200266055Y1 (ko) 안전장치가 부착된 버너용 밸브
JPS5829700Y2 (ja) 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