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4882Y1 -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4882Y1
KR200204882Y1 KR2019980013046U KR19980013046U KR200204882Y1 KR 200204882 Y1 KR200204882 Y1 KR 200204882Y1 KR 2019980013046 U KR2019980013046 U KR 2019980013046U KR 19980013046 U KR19980013046 U KR 19980013046U KR 200204882 Y1 KR200204882 Y1 KR 2002048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signal
information
input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0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3037U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30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488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30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0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48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48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 H04N5/205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 H04N5/208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for correcting amplitude versus frequency characteristic f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high frequency components, e.g. crispening, aperture distortion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윤곽보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비디오 단자가 있는 TV의 경우 S-비디오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변조회로의 신호이득(Gain)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TV 혹은 비디오 입력신호 또는 S-비디오 신호정보 입력시에도 동일하게 윤곽을 보정하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좋은 S-비디오신호정보의 입력시 흑백구간이 원신호에 비해서 불균형하게 되므로서, 원신호의 정보가 많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일반적인 TV 혹은 비디오 신호와 S-비디오신호정보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불균형한 윤곽보정량을 S-비디오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변조(VM;Velocity Modultin)회로의 증폭도 이득 및 주파수 특성을 보상하므로서, 원신호의 정보손실없이 흑백의 윤곽보정이 균형있게 보정될 수 있도록 하여 선명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에 있다.

Description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본 고안은 윤곽보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S-비디오 단자가 있는 TV의 경우 S-비디오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속도변조회로의 신호이득(Gain)을 자동적으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한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비디오 신호는 휘도신호(Y), 칼라신호(C)가 분리되어 입력되는 신호로서, 일반적인 TV신호나 비디오 입력신호 처럼 휘도(Y) 및 칼라신호(C)를 분리하는 콤필터(Comb filter)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좋은 신호이다.
종래의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보정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A/V(Audio/Video)스위칭부(1)의 합성영상신호(Y+C)를 휘도(Y) 및 칼라신호(C)로 분리하는 콤필터(Comb filter)부(2)와, S-비디오신호입력부(3)의 S-비디오 입력신호에 선택되고 출력신호(Y,C)를 스위칭하는 선택스위칭부(4)와, 상기 선택스위칭부(4)의 칼라신호(C)를 입력받아 색차신호(R-Y,B-Y,G-Y)로 출력하는 복조회로(5)와, 상기 선택스위칭부(4)의 휘도신호(Y)를 처리하는 휘도신호처리부(6)와, 상기 복조회로(5)와 휘도신호처리부(6)의 출력(R-Y,B-Y,G-Y)(-Y)을 CPT(8)에 입력시키는 CPT출력부(7)와, 상기 S-비디오신호 입력부(3)의 S-비디오신호정보와 선택스위칭부(4)의 휘도신호(Y)를 입력받아 CPT(8)의 VM(Velocity Modultin)코일에 윤곽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속도변조회로(10)로 구성된다.
상기 속도변조회로(10)는, 선택스위칭부(4)의 휘도신호(Y) 출력을 S-비디오신호정보에 의해 지연시키는 지연부(11)와, 상기 지연부(11)에 의해 지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1차증폭부(12)와, 상기 1차증폭부(12)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완충시키는 버퍼(13)와, 상기 버퍼(13)에 의해 완충된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14)와, 상기 미분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2차증폭부(15)와, 상기 2차 증폭부(15)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상기 CPT(8)의 VM코일에 보정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동 및 출력하는 구동회로부(16) 및 출력부(17)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V스위칭부(1)에서 A/V입력신호와 TV신호 중에서 선택된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신호중 합성영상신호(Y+C)는 콤필터부(2)에서 휘도신호(Y)와 칼라신호(C)로 분리되어 선택스위칭부(4)에 입력된다.
상기 선택스위칭부(4)는 S-비디오신호입력부(3)의 휘도 및 칼라신호(Y.C)와 콤필터부(2)에서 분리된 휘도 및 칼라신호(Y.C)를 선택하고, 이 선택된 휘도 및 칼라신호(Y.C)는 각각 복조회로(5)와 휘도신호처리부(6)를 거친 다음 색차신호(R-Y,G-Y,B-Y)와 휘도신호(-Y)로 출력되어 CPT출력부(7)에 입력된다.
또한, 선택스위칭부(4)에서 선택된 휘도신호(Y)는 윤곽보정을 위해서 속도변조회로(10)에 입력되는데,
속도변조회로(10)의 지연부(11)는 윤곽보정을 위해서 휘도신호(Y)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휘도신호(Y)는 1차증폭부(12)에서 버퍼(13)을 통해 증폭된 신호로서 미분기(14)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증폭된 휘도신호(Y)는 미분기(14)에서 미분되어 보정된 신호로서 출력되고, 이 보정신호는 2차 증폭부(15)에 의해 증폭된 다음 구동회로부(16)와 출력부(17)를 거쳐 CPT(8)의 VM(Velocity Modultin)코일에 윤곽보정신호를 입력시켜서 신호의 윤곽부분에서 전자비임의 속도변조가 되어 흑백의 윤곽이 뚜렷한 화상을 화면에 재현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속도변조회로(10)에서는 TV신호 혹은 비디오 입력신호와 동일하게 S-비디오신호정보 입력시에도 윤곽보정을 행하기 때문에 주파수 특성이 뛰어난 S-비디오 신호정보 입력시 도 4의 (B)와 같이 구간 "t1(흑색 구간)"의 정보손실과 "t2(백색 구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원신호에 대한 정보손실 및 불균형 때문에 흑백구간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어 원신호의 정보가 많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본 고안 속도변조회로에서는 S-비디오 신호정보를 이용하여 1차 증폭부의 이득과 2차 증폭부의 이득과 주파수를 보정하기 위해 임피던스를 변환하는 제 1, 제 2임피던스 변환기를 추가로 구비하므로서, 일반적인 TV신호 혹은 비디오신호와 S-비디오신호정보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불균형한 윤곽보정량의 편차를 자동으로 보정해 주므로서, 원신호의 정보손실없이 흑백의 윤곽이 균형있게 보상되도록 하여 화면이 선명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보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 요부인 제 1, 제 2임피던스 변환기의 상세 회로 구성도.
도 4의 (A)는 윤곽을 보정하지 않았을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S-비디오신호정보의 파형도.
(B)는 종래 윤곽보정을 했을 때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S-비디오신호정보의 파형도.
(C)는 본 고안에 의해 윤곽보정을 했을 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S-비디오 신호정보의 파형도.
(D)는 윤곽보정을 하지 않았을 경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TV/비디오 영상신호의 파형도.
본 고안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보정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S-비디오 신호정보와 일반적인 TV 혹은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 특성의 차이에 의한 보정량의 편차를 S-비디오신호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휘도신호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변환시켜 그 이득을 조절하는 속도변조회로(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속도변조회로(20)는, 선택스위칭부(4)의 휘도신호(Y) 출력을 S-비디오신호정보에 의해 지연시키는 지연부(21)와, 상기 지연부(21)에 의해 지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1차증폭부(22)와,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1차증폭부(22)의 증폭도를 조절하는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와, 상기 1차증폭부(22)에서 증폭도의 이득이 조절된 신호를 완충시키는 버퍼(24)와, 상기 버퍼(24)에서 완충된 신호를 미분하는 미분기(25)와, 상기 미분된 신호를 다시 증폭시키는 2차증폭부(26)와,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상기 2차증폭부(26)의 증폭도의 이득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제 2임피던스 변환기(27)와, 상기 2차 증폭부(26)에서 이득 및 주파수가 조정된 신호를 상기 CPT(8)의 VM코일에 보정신호를 인가하도록 구동 및 출력하는 구동회로부(28) 및 출력부(29)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는,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오프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2)와,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오프에 따른 임피던스로 1차증폭부(22)의 이득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R3)(R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2임피던스 변환기(27)는,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3)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온/오프에 의해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온/오프에 따른 임피던스로 2차증폭부(26)의 증폭도의 이득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R7,R8) 및 콘덴서(C1,C2)로 구성된다.
미 설명 부호 1은 A/V스위칭부, 2는 콤필터부, 3은 S-비디오신호 입력부, 5는 복조회로, 6은 휘도신호처리부, 7은 CPT출력부, 8은 CPT이며, 종래와 동일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처리하고 그 중복구성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S-비디오 신호 입력시 윤곽 자동 보정장치의동작에 대하여 도 2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V스위칭부(1)에서 A/V입력신호와 TV신호 중에서 선택된 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신호중 합성영상신호(Y+C)는 콤필터부(2)에서 휘도신호(Y)와 칼라신호(C)로 분리되어 선택스위칭부(4)에 입력되며, 이 선택스위칭부(4)는 S-비디오신호입력부(3)의 휘도 및 칼라신호(Y.C)와 콤필터부(2)에서 분리된 휘도 및 칼라신호(Y.C)를 선택하게 된다.
여기서, 선택된 휘도 및 칼라신호(Y.C)는 각각 복조회로(5)와 휘도신호처리부(6)를 거친 다음 색차신호(R-Y,G-Y,B-Y)와 휘도신호(-Y)로 출력되어 CPT출력부(7)에 입력되어 CPT(8)에서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선택스위칭부(4)에서 선택된 휘도신호(Y)는 윤곽보정을 위해 속도변조회로(20)에 입력된다.
상기 속도변조회로(20)의 지연부(21)는 윤곽보정을 위해서 휘도신호(Y)를 S-비디오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다르게 지연시키고, 이 지연된 휘도신호(Y)는 1차증폭부(22)에서 증폭되어 버퍼(24)를 통해 출력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속도변조회로(20)의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는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1차증폭부(22)의 증폭도의 이득을 조절하게 되는데,
먼저,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는 S-비디오 신호정보가 없을 경우, 즉 일반적인 TV신호 혹은 비디오신호 입력시에는 "로우"의 신호가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에 입력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고, 이 트랜지스터(Q1)의 오프에 의해 전원전압(Vcc)이 저항(R2)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2)를 온 시키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온에 의해 그 콜렉터단에 연결된 이득조절 저항(R3)(R4) 중에서 저항(R3) 값만큼 1차 증폭부(22)의 이득을 상승시키게 되며, 이때의 저항(R4)은 단락(Short)된다.
한편, S-비디오 신호정보가 입력될 경우, "하이" 신호가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온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온에 의해 그 콜렉터에 베이스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Q2)의 오프에 따른 저항(R3)(R4)의 합(R3+R4)에 의해 1차증폭부(22)의 증폭도 이득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른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의 임피던스 변화로 1차 증폭부(22)의 증폭도 이득을 조절하게 되면, 상기 이득이 조절된 신호는 버퍼(24)를 통해 미분기(25)에 입력되어 미분된 후 보정된 신호로서 출력되며, 이 보정신호는 2차 증폭부(26)에 의해 다시 증폭된다.
이때, 속도변조회로(20)의 제 2임피던스 변환기(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TV 혹은 비디오 신호가 입력될 경우, S-비디오 신호정보의 "로우" 신호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입력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Q3)를 오프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오프에 의해 전원전압(Vcc)이 저항(R6)를 통해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입력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4)를 온 시키게 된다.
이 트랜지스터(Q4)의 온에 의해 그 콜렉터에 연결된 이득조절 저항(R7)(R8)과 주파수특성 조절 콘덴서(C1)(C2) 중에서 저항(R7) 및 콘덴서(C2)는 단락되므로, 2차 증폭부(26)의 이득은 저항(R7) 값만큼 상승하게 되고, 그 주파수 특성은 콘덴서(C1)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S-비디오 신호정보가 입력될 경우 " 하이"의 신호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Q3)에 입력되어 온 시키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온에 의해 그 콜렉터에 베이스가 접속된 트랜지스터(Q4)가 오프되므로서, 2차증폭부(26)의 이득은 합의 저항(R7+R8)에 의해 감소되고, 주파수특성는 콘덴서(C1+C2)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속도변조회로(20)의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와 제 2임피던스 변환기(27)에서 S-비디오신호정보 입력시 1차 증폭부(22)의 이득과 2차 증폭부(26)의 이득 및 주파수특성을 조절하므로서, 2차증폭부(26)로 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출력구동부(28)와 출력부(29)를 거쳐 CPT(8)의 VM(Velocity Modultin) 코일에 윤곽보정신호를 입력시켜서 원신호의 정보손실이 없고 흑백의 윤곽이 균형있게 보정되도록 한다.
다시말하면, 기존에는 TV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가 도 4의 (D)와 같은 파형으로 입력될 때 윤곽보정후 도 4의 (B)와 같은 파형이 되면 문제가 없으나, 주파수 특성이 좋은 S-비디오 신호정보가 입력되었을 때에도 TV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와 동일하게 윤곽보정을 하여 도 4의 (B)와 같은 파형이 되기 때문에 구간(t1)(t2)에 정보손실과 흑백의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서는 S-비디오 신호정보가 입력될 때에만 속도변조회로(20)의 이득을 감소시켜 도 4의 (C)와 같은 파형, 즉 구간(t3=t4)이 되어 흑백의 윤곽을 균형있게 보정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는 25" 이상 대형 TV에서 윤곽보정을 위해 속도변조회로(20)를 사용할 경우,
S-비디오신호정보의 입력시 제 1임피던스 변환기(23) 및 제 2임피던스 변환기(27)의 임피던스 변화로 1차 증폭부(22) 및 2차 증폭부(26)의 증폭도 이득 및 주파수를 별도로 보정해주도록 하므로서, 윤곽보정된 흑백구간이 균형있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대형 TV에 윤곽보정을 위해 일반적인 TV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와 S-비디오 신호정보 특성 때문에 불균형하게 되는 윤곽보정량을 속도변조회로의 이득을 자동적으로 보정해 주므로서, 원신호의 정보손실이 없이 흑백의 윤곽보정을 균형있게 하여 화면이 선명하게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TV신호 혹은 비디오 신호 또는 S-비디오 정보를 입력받아 휘도신호의 윤곽보정을 위해 CPT의 속도변조 코일에 윤곽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속도변조 회로에 있어서,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1차 증폭되는 휘도신호의 증폭도를 조절하는 제 1임피던스 변환기와, S-비디오 신호정보의 입력유무에 따라 임피던스를 변환시켜 1차증폭된 후 미분되어 2차 증폭된 휘도신호의 증폭도 이득 및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제 2임피던스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보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임피던스 변환기 및 제 2임피던스 변환기는 S-비디오신호정보의 입력시 1차 및 2차 증폭된 휘도신호의 이득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변조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KR2019980013046U 1998-07-15 1998-07-15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KR2002048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046U KR200204882Y1 (ko) 1998-07-15 1998-07-15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046U KR200204882Y1 (ko) 1998-07-15 1998-07-15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37U KR20000003037U (ko) 2000-02-15
KR200204882Y1 true KR200204882Y1 (ko) 2000-12-01

Family

ID=1953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046U KR200204882Y1 (ko) 1998-07-15 1998-07-15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48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037U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71669A (ja) 階調補正装置
EP0342511B1 (en) Aperture correction circuit
JP2967008B2 (ja) 自動画質補償方法及び装置
KR200204882Y1 (ko) 속도변조 회로의 윤곽 자동 보정장치
US5262848A (en) White balance control circuit for video camera with specified range control circuitry
JPH0544878B2 (ko)
GB2372166A (en) Edge achromatization circuit
US4174522A (en) Composite color signal-handling circuit
CA1123094A (en) Color corrector
US4346400A (en) Matrix circuits
JP2002044679A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3124170A (ja) 画質調整回路
GB2130841A (en) Hue control system
JP3223666B2 (ja) 色信号クランプ回路
KR940002289Y1 (ko) 감마 보정회로
US5311298A (en) Chroma adjustment circuit
JP2891380B2 (ja) 平衡・不平衡変換装置
JPH07231453A (ja) 彩度/位相自動調整回路
JP3395333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JPH054376Y2 (ko)
JPH0865698A (ja) 映像表示装置
JP3086617B2 (ja) ミュート回路
KR930002684Y1 (ko) 색재생 보상회로
JP2569962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電力増幅器の特性補償回路
JPH0446485A (ja) 逆r補正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