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66Y1 -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 Google Patents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66Y1
KR200201066Y1 KR2020000013472U KR20000013472U KR200201066Y1 KR 200201066 Y1 KR200201066 Y1 KR 200201066Y1 KR 2020000013472 U KR2020000013472 U KR 2020000013472U KR 20000013472 U KR20000013472 U KR 20000013472U KR 200201066 Y1 KR200201066 Y1 KR 200201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ence
protective fence
presen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to KR2020000013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등이 주행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방호 울타리(방호책)에 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지지를 도모하고자 구성된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소마다 슬롯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1)의 일측내면에 면접되는 원호부(32)와, 상기 원호부(32)에 부착되는 나사로드(31)로 되는 홀딩볼트(3)가 상기 레일(1)과 레일리브(21)간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제작이 손쉽고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한 방호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측에 레일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체 방호울타리의 지지능력을 십분 발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 등의 충돌시 2차 사고로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Reinforced fence}
본 고안은 차량 등이 주행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방호 울타리(방호책)에 대한 것으로, 특히 설치가 용이하면서 견고한 지지를 도모하고자 구성된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에 관한 고안이다.
최근 도로 또는 교량에서 빗길 미끄럼사고나 충돌 추돌사고등으로 차량이 난간을 뚫고 들어가 추락하여 인명을 해치는 치명적인 사고로 확대되는 사례가 빈발되고 있음에 따라 이의 방지책으로 굽은 길이나 고속주행지점 및 교량이나 고가도로등의 측부에 난간구조물과 동일하나 충분한 보강으로 강도를 가지는 방호 울타리(방호책)를 설치하여 대비하는데, 이러한 방호울타리는 도로환경이나 경제성등을 고려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안중 하나가 본인의 등록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84037호의 '안전로우프가 설치된 교량용 난간'과, 본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10107호의 '안전로우프를 내장한 안전난간'과, 본인의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5794호의 '압출식 포스트' 및 본인의 특허등록출원 제99-58965호의 '차량용 방호 울타리 강화구조'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 고안들은 방호 울타리를 강화화기 위하여 포스트나 레일 내에 로우프를 특수하게 내장하는 구조이므로 본 고안과는 그 목적을 달리하며, 또한 '압출식 포스트'도 특수한 포스트를 안출한 것으로 이역시 본 고안과는 그 목적이 다르며, '차량용 방호 울타리 강화구조'의 고안도 레일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특수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 것이므로 본 고안과 다른 목적으로 개발된 고안이며, 따라서 본 고안과 동일한 목적의 선행 고안은 없는 실정이며, 다만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통상적인 방호울타리를 선행기술로 들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고안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의 주변에 구축되는 콘크리트블럭(6)에 삽설된 앵커볼트(61)로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 2, …)와, 상기 포스트(2, 2)간을 이어서 설치되는 레일(1)로 이루어지는 방호 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각 포스트(2)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레일리브(21)가 형성되어 이에 단면의 일측이 원형인 레일(1)이 안착되어 볼트(4)와 너트(5)로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루어지는 종래의 방호울타리는 설계사양에 맞추어 제작된 것이므로 설계하중이내에서의 충격력을 가지는 차량의 충돌시에는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적절히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레일리브(21)가 단면이 반원형이므로 레일(1)의 장착은 손쉬우나, 지지력은 그만큼 떨어지게 되며, 특히 레일(1)과 레일리브(21)간에 체결을 위해서는 볼트(4)의 머리나 너트(5)가 파이프상의 레일(1)안에 장설되어야 하는데 그 작업이 까다로워서 설치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렇게 설치된 경우에도 한 두개의 볼트(4)의 머리나 너트(5)가 레일(1)을 레일리브(21)측으로 밀착되도록 작용/지지하는 것이므로 그 작용/지지력이 한계가 있으며, 이는 결국 레일(1)이 쉽게 탈락된다는 문제점 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노력한 결과 본 고안을 안출하기에 이르렀는데, 본 고안은 제작이 손쉽고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한 방호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측에 레일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체 방호울타리의 지지능력을 십분 발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 등의 충돌시 2차 사고로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 설치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의 전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 전개도,
도 4는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레일
11 --- 슬롯홈
2 --- 포스트
21 --- 레일리브 22 --- 부착부재
3 --- 홀딩볼트
31 --- 나사로드 32 --- 원호부
4 --- 볼트
5 --- 너트
6 --- 콘크리트블럭
61 --- 앵커볼트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로의 주변에 구축되는 콘크리트블럭(6)에 삽설된 앵커볼트(61)로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 2, …)와, 상기 포스트(2, 2)간을 이어서 설치되는 레일(1)로 되고, 상기 각 포스트(2)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레일리브(21)가 형성되어 이에 단면의 일측이 원형인 레일(1)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소마다 슬롯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1)의 일측내면에 면접되는 원호부(32)와, 상기 원호부(32)에 부착되는 나사로드(31)로 되는 홀딩볼트(3)가 상기 레일(1)과 레일리브(21)간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의 레일리브(21)하단에 부착되어 레일리브(21)가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부착부재(22)를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설치는 통상적인 방호울타리와 거의 동일하지만, 레일(1)이 레일리브(21)에 안착되기 전에 홀딩볼트(3)의 원호부(32)를 레일(1)의 슬롯홈(11)을 통하여 삽입하고 약 90。정도 회전시키면 원호부(32)가 레일(1)의 내면에 면접되면서 나사로드(31)가 돌출되는데, 이 나사로드(31)를 레일리브(21)에 형성된 볼트홀에 관통시켜서 너트(5)로 체결하므로서 설치를 완료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도로의 측면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차량용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소마다 슬롯홈(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설치시방에 기술한 바와 같이 홀딩볼트(3)의 원호부(32)가 레일(1)내로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홀딩볼트(3)의 원호부(32)가 좁고 길므로 이것이 겨우 들어가는 규격으로 형성되면 충분하며, 따라서 슬롯(11)이 형성되어도 전체적인 레일(1)의 강도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홀딩볼트(3)는 상기 레일(1)의 일측내면에 면접되는 원호부(32)와, 상기 원호부(32)에 부착되는 나사로드(31)로 되는 것이므로, 상기 설치시방에서와 같이 슬롯홈(11)을 관통한 후 약 90。정도 회전시키면{이때, 홀딩볼드(3)의 나사로드(31)를 당기면서 회전시키면 레일(1)의 내면에 원호부(32)가 밀착되므로 각도는 특별히 신경쓰지 않아도 됨} 레일(1)의 내면에 원호부(32)가 전면적으로 면접촉되고, 통상적인 볼트의 몸체로 되는 나사로드(31)만이 돌출되게 되며, 이렇게 레일(1)과 레일리브(21)간을 홀딩볼트(3)로 고정하면, 종래의 볼트의 머리부분이나 너트에 의한 체결보다 체결면적이 넓어져서 더 큰 힘으로 체결 설치할 수 있게 되며, 레일리브(21) 뒤쪽에서 홀딩볼트(3)에 체결되는 너트(5)에는 와샤와 같은 공지의 도구를 추가함으로서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포스트(2)의 레일리브(21)하단에 부착부재(22)를 부착하는데, 이 부착부재(22)는 레일리브(21)가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레일리브(21)가 열려져 있는 개구가 최대일수록(예컨대, 단면이 정원일 경우에는 반원으로 형성되는 경우임) 레일(1)의 취부가 손쉬워지기는 하나, 이는 레일(1)의 지지면적을 축소시키게 되어 지지력을 떨어트리게 되나, 부착부재(22)를 추가하므로서 결국 단면이 반원형인 레일리브(22)가 연장되어 레일(2) 외주의 반이상을 지지하도록 하여 견고한 지지와 손쉬운 설치를 동시에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이 손쉽고 조립이 간편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한 방호울타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측에 레일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여 전체 방호울타리의 지지능력을 십분 발휘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차량 등의 충돌시 2차 사고로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도로의 주변에 구축되는 콘크리트블럭(6)에 삽설된 앵커볼트(61)로 입설되는 다수의 포스트(2, 2, …)와, 상기 포스트(2, 2)간을 이어서 설치되는 레일(1)로 되고, 상기 각 포스트(2)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레일리브(21)가 형성되어 이에 단면의 일측이 원형인 레일(1)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방호울타리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개소마다 슬롯홈(11)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1)의 일측내면에 면접되는 원호부(32)와, 상기 원호부(32)에 부착되는 나사로드(31)로 되는 홀딩볼트(3)가 상기 레일(1)과 레일리브(21)간을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2)의 레일리브(21)하단에 부착되어 레일리브(21)가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부착부재(22)를 추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20000013472U 2000-05-12 2000-05-12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200201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72U KR200201066Y1 (ko) 2000-05-12 2000-05-12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72U KR200201066Y1 (ko) 2000-05-12 2000-05-12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66Y1 true KR200201066Y1 (ko) 2000-11-01

Family

ID=1965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72U KR200201066Y1 (ko) 2000-05-12 2000-05-12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0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7992A (zh) * 2022-04-25 2022-07-08 龙德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公路及其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17992A (zh) * 2022-04-25 2022-07-08 龙德建设有限公司 一种城市公路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555B1 (ko) 회동방지기능을 갖는 가드레일포스트
JP2011007033A (ja) 防護柵用支柱
KR100723027B1 (ko) 충격흡수장치와 도난방지장치를 갖춘 차량 방호 울타리
KR200201066Y1 (ko) 보강된 차량용 방호 울타리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EP1528157B1 (en) Tie-rod device for anchoring road and superhighway barriers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JP4377868B2 (ja) 防護柵用支柱の立設構造
JPH111913A (ja) 防護柵における緩衝方法及びその防護柵
KR100942674B1 (ko) 방호 울타리
KR200259641Y1 (ko)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KR100605272B1 (ko) 강선체결구를 구비한 안전난간
KR200199750Y1 (ko) 포스트용지지구조체
KR100549164B1 (ko) 도로의 내리막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200283319Y1 (ko) 지하도로 입구의 구조물 보호를 위한 현수식 높이 한계틀구조
KR200199588Y1 (ko) 가변레일 부착 방호 울타리
JPH11350439A (ja) 防護柵
KR200148808Y1 (ko) 차량 방호용 난간의 가드 레일
KR200215173Y1 (ko) 도로 난간 보강 구조
KR20090081600A (ko) 완충용 롤러가 설치된 가이드레일
KR20040003110A (ko) 도로용 방호책
KR200175483Y1 (ko)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336530Y1 (ko) 도로설치용 가이드레일
KR20000019434U (ko) 포스트용 지지구조체
KR200295943Y1 (ko)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