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039Y1 - 가설작업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가설작업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039Y1
KR200201039Y1 KR2020000012303U KR20000012303U KR200201039Y1 KR 200201039 Y1 KR200201039 Y1 KR 200201039Y1 KR 2020000012303 U KR2020000012303 U KR 2020000012303U KR 20000012303 U KR20000012303 U KR 20000012303U KR 200201039 Y1 KR200201039 Y1 KR 20020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nstruction
work
construction work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식
Original Assignee
이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식 filed Critical 이상식
Priority to KR2020000012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상부에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가설작업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가설작업용 브래킷(10, 20)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분되는 L자 형상의 지지판(11, 21), 상기 지지판에 수직부에 형성되는 ㅅ자 형상의 경사진 유도로(13, 23)로 구성되며, 상기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설치되는 부재의 종류에 따라 고정수단(15)을 접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은 형강 또는 강관 등과 같은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고,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동바리를 교각 상부로 설치할 수 있게 하여 가설작업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교량공사에서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사용함으로써 거더 사이에 설치하는 가설작업만으로 동바리, 안전망 및 작업발판을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설작업용 브래킷{Bracket for temporary construction work}
본 고안은 가설작업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가설프레임을 완성하여 상기 가설프레임 상부에 동바리를 설치하거나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가설작업용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공사에서 축조된 교각 상부로 슬래브 타설을 위한 가설공법은 교량의 형식, 현장지형, 가설높이, 교량하부의 교통상태, 공기 및 공사비 등의 여러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하여 선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가설공법으로 이미 축조된 교각 사이에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가교각을 설치하고 교각 하부 지반으로부터 시스템 서포트 등을 사용하여 동바리를 설치한 후 그 상부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동바리 공법, 기계화된 동바리공과 거푸집이 일체화된 이동식 비계 공법 또는 거더와 거더사이에 데크를 깔고 그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을 주로 적용해 왔다.
하지만 동바리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가설높이가 높아지면 동바리 설치를 위해 많은 자재와 인력이 필요하게 되며, 이동식 비계 공법에서는 지반에서부터 동바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형하공간이나 지반등의 조건에 좌우되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나 설치작업이 복잡하고 대형장비의 투입이 필수적이게 된다. 그리고 데크를 거푸집 대신 사용하는 공법은 데크가 외부로 노출되어 녹슬기 쉽고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의 균열 발생에 따른 유지보수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가설공법에서는 거더 상부에 돌출된 스터드 볼트에서 철선을 연결한 후 측면으로 내려 단관비계를 묶어 가설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철선과 단관비계와의 연결이 견고하기 못해 동바리를 설치할 수 없게 되며 작업발판 또는 안정망을 설치하는 데에도 위험이 뒤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면서 교각상부에서 동바리를 설치할 수 있고 동시에 작업발판 또는 안전망을 설치할 수 있는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견고하게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할 수 있는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동바리를 교각 상부로 설치할 수 있어 가설작업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교량에서 거더와 거더 사이에 이루어지는 가설작업으로, 동바리, 안전망 및 작업발판을 동시에 설치할 수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제3도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변형예이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교량공사에서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가설재를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교각 2: 거더
3: 턱이 형성된 부재 4:턱
5: 슬래브 콘크리트 6: 거푸집
7: 동바리 10, 20: 가설작업용 브래킷
11, 21: 지지판 13, 23: 유도로
15: 고정수단 17: 수평재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은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분되는 L자 형상의 지지판(11, 21), 상기 지지판(11, 21)의 수직부에 형성되는 ㅅ자 형상의 유도로(13, 23)로 구성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의 사시도 및 단면도로써, 지지판은 그 수직부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삼각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삼각뿔대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그 결과 좌우로 경사면을 이루게 되며, 유도로(13)는 역V자 또는 상부가 벌어지는 ㅅ자 형상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판(11)의 경사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4)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설작업용 브래킷(20)은 제3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판(21)의 수직부의 내부에 역V자 또는 상부가 벌어진 ㅅ자 형상으로 경사면을 이루는 내부홈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홈이 유도로(23)를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유도로(13, 23)는 제5도 또는 제6도에서처럼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거나 하부 끝에서 각이 형성되는 유도로(13′, 13″)일 수 있으며, 유도로를 형성하는 측면은 경사면과 직각 또는 직각보다 큰 각을 이룬다.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10, 20)을 턱이 형성된 부재(3)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10, 20)의 하부에 고정수단(15)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5)은 브래킷의 지지판(11, 21)의 수평부 아래에 ㄴ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 턱이 형성된 부재(3)의 턱(4)은 브래킷(10, 20)과 고정수단(15)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고정수단(15)을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면 브래킷(10)의 설치와 해체는 용이해진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교량공사에서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이용하여 가설재를 설치한 실시예로,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량에서 하부구조물인 교각공사가 완성되면 상기 교각 상부에 거더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거더로 강상자, H 형강 또는 I 형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강상자는 턱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그대로 적용가능하고, H 형강 또는 I 형강의 경우에는 상기 H 형강 또는 I 형강의 하부 플랜지가 턱을 대신하게 된다.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10) 다수개를 마주보는 거더(2)에 서로 지그재그로 엇갈리도록 설치한다. 이때 강상자와 같이 돌출되는 턱의 길이가 짧은 경우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고정시킬 수 있다.
형강 또는 강관 등과 같은 수평재(17)의 한쪽 끝을 거더(2)에 결합된 브래킷(10)의 유도로(13) 상부에 끼우고 수평재(17)의 다른쪽 끝을 마주보는 거더(2)에 결합된 브래킷의 유도로(13) 상부에 끼우면, 수평재의 자중이나 유동에 따라 상기 수평재(17)는 유도로(12)의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수평재(17)는 거더(2)와 수직에 가까워지고, 상기 수평재(17)의 양끝은 점점 브래킷의 유도로(13)의 경사면과 수직에 가까워지면서 브래킷의 지지판(11)에 밀착되어 단단하게 고정된다. 하부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거나 하부 끝에서 각이 형성된 유도로(13′, 13″)를 갖는 브래킷(제5도 또는 제6도)을 사용하게 되면 수평재(17)는 상기 지지판(11)에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이어 수평재를 수개소에 설치하면, 엇갈리도록 설치된 브래킷을 따라 수평재는 하나의 브래킷에서 다른 브래킷으로, 다시 또 다른 브래킷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10)과 수평재(17)를 설치한 후, 제7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재(17) 위로 동바리(7)를 설치함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5) 타설을 위한 거푸집(6)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바리(7)의 설치는 교각(1) 상부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별도의 가설작업없이 상기 수평재 위에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을 설치하면 가설작업이 완성된다.
본 고안의 가설작업용 브래킷을 사용하면 채널, 앵글 또는 강관 등과 같은 수평재와의 간단한 조립만으로 안전망 또는 작업발판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량 등과 같이 지상작업이 어려운 공사에서 동바리를 교각 상부로 설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설작업을 쉽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교량공사에서 거더 사이에 설치하는 가설작업만으로 동바리, 안전망 및 작업발판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분되는 L자 형상의 지지판(11, 21); 및,
    상기 지지판(11, 21)의 수직부에 형성된 ㅅ자 형상의 유도로(13, 23);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11)의 수직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삼각단면의 크기가 커지는 삼각뿔대 형태로 돌출되어 좌우로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유도로(13)는 상기 지지판의 경사면에 가이드 플레이트(14)를 설치하여 역V자 또는 상부가 벌어지는 ㅅ자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10).
  3.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21)의 수직부의 내부에 역V자 또는 상부가 벌어지는ㅅ자 형상의 경사진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이 유도로(23)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20).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판(11, 21)의 수평부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을 구조물에 고정하는 고정수단(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유도로(13)는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점 작아지는 유도로(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유도로(13)는 하부 끝에 각이 형성된 유도로(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작업용 브래킷.
KR2020000012303U 2000-04-29 2000-04-29 가설작업용 브래킷 KR20020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303U KR200201039Y1 (ko) 2000-04-29 2000-04-29 가설작업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303U KR200201039Y1 (ko) 2000-04-29 2000-04-29 가설작업용 브래킷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209A Division KR100402095B1 (ko) 2001-07-26 2001-07-26 가설작업용 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039Y1 true KR200201039Y1 (ko) 2000-11-01

Family

ID=1965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303U KR200201039Y1 (ko) 2000-04-29 2000-04-29 가설작업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03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036A (en) Railroad crossing signal foundation and spi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958014B1 (ko)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KR102009134B1 (ko) 장경간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949601B1 (ko) 가도없이 기존교량을 확폭하는 공법
KR101527782B1 (ko) 합성형 교량의 변위관리 및 반전합성 경사지보공 설치방법
KR101701220B1 (ko) 도로 확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402095B1 (ko) 가설작업용 브래킷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200201039Y1 (ko) 가설작업용 브래킷
JP6889010B2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0324704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KR101713653B1 (ko) 전도방지 psc 빔을 이용한 교량의 시공 공법
JP2005171703A (ja) 吊り足場
KR910007423B1 (ko) 조정용 브라켙 장치(Bracket)를 이용한 피시-빔(PC-Beam) 교량 가설공법
KR100463073B1 (ko) 교량의 상판 보수 보강용 삼각지주와 이를 이용한 교량의상판 보수 보강 공법
KR100660036B1 (ko) 교량의 교각간격 확장공법
CN216379170U (zh) 一种现浇混凝土梁支架上跨施工安全装置
JP3241029U (ja) ワイヤーロープ式防護柵の支柱支持構造
CN220598191U (zh) 一种支撑机构及桥墩施工平台
CN217536682U (zh) 一种预制梁架设的墩顶操作平台
CN214271747U (zh) 复杂交通转换半副封闭跨线桥拆除体系
RU2539461C1 (ru) Способ уширения мостов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антовой системы
CN215829267U (zh) 一种拼装式桥梁施工防护装置
JP2005090109A (ja) 橋梁の架設工法および橋梁の上部工ユニット
JPH0619609Y2 (ja) 歩道側部用防護柵の柵支柱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