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014B1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58014B1 KR100958014B1 KR1020100008408A KR20100008408A KR100958014B1 KR 100958014 B1 KR100958014 B1 KR 100958014B1 KR 1020100008408 A KR1020100008408 A KR 1020100008408A KR 20100008408 A KR20100008408 A KR 20100008408A KR 100958014 B1 KR100958014 B1 KR 1009580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installing
- shear
- concrete
- bridge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83 ground sta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2 p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현장타설 바닥판에 비합성단면을 유지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완료된 후 전단연결재 위치에 무수축 모르타르로 충진하여 합성단면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은 교각부에 전단연결재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속 형성된 강거더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거더에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동바리 및 제1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지점부 비합성 구간 강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비합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연결재 주위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점부에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점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제2거푸집으로 전단연결재 위치에 전단포켓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을 통해 지점부 바닥판 구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부 사이인 지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간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전단포켓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동바리와 제1,2거푸집을 해체한 후 도로를 형성하고 방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은 교각부에 전단연결재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속 형성된 강거더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거더에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동바리 및 제1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지점부 비합성 구간 강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비합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연결재 주위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점부에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점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제2거푸집으로 전단연결재 위치에 전단포켓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을 통해 지점부 바닥판 구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부 사이인 지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간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전단포켓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동바리와 제1,2거푸집을 해체한 후 도로를 형성하고 방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현장타설 바닥판에 비합성단면을 유지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완료된 후 전단연결재 위치에 무수축 모르타르로 충진하여 합성단면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하천, 호소(湖沼), 해협, 만(灣), 운하, 저지 또는 다른 교통로나 구축물 위를 건너갈 수 있도록 만든 고가구조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부구조(10)와 하부구조(20)로 나뉘어진다.
상부구조(10)는 교대(22) 또는 교각(24) 위에 있는 구조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거더(Girder; 주형)(12), 슬래브(14)로 구성된다.
교량의 형식을 결정짓는 것은 주부재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 주부재란 힘을 가장 많이 받는 부재로서, 주부재가 거더(12)인 경우를 거더교라 하며, 슬래브(14)는 상부에 차량 등이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으로 상기 바닥판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게 된다.
하부구조(20)는 상부구조(10)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대(22)와 교각(24)을 의미한다.
교대(22)는 교량 시종점부의 지점이고, 교각(24)은 시종점부 이외의 중간 지점으로, 이 교각(24) 밑의 지반상태에 따라 직접 기초, 말뚝기초, 우물통기초 등의 형식이 결정되고, 그 교각(24) 하부에는 기초슬래브(26)가 위치한다.
한편 상기 바닥판인 슬래브(14)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현장에 타설하는 방식과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작하여 이동한 후 가설하는 방식이 있다.
현장 타설 방식은 공정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므로 교각 상부의 지점부 부모멘트 구간에서 인장 응력이 발생하여 유효하지 않은 단면이 되는데, 바닥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면 부모멘트에 대한 인장 응력이 발생하더라도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압축 응력 상태로 유효한 바닥판 단면이 된다.
종래에는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하였으나 경제성이 저하되고, 현장타설 바닥판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거더와 합성된 상태에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거더에 압축 응력 발생으로 불리한 응력 상태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현장타설 바닥판에 비합성단면을 유지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이 완료된 후 전단연결재 위치에 무수축 모르타르로 충진하여 합성단면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강거더에 불리한 응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은 교각부에 전단연결재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속 형성된 강거더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거더에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동바리 및 제1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지점부 비합성 구간 강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비합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연결재 주위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점부에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점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제2거푸집으로 전단연결재 위치에 전단포켓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을 통해 지점부 바닥판 구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부 사이인 지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간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전단포켓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동바리와 제1,2거푸집을 해체한 후 도로를 형성하고 방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합성 부재는 접착 시트재, 비닐, 테이프, 섬유재료 및 그리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를 지점부 바닥판 구간의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28MPa 이상인 경우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시공방법이 개구제형, 구형, 플레이트 거더 및 소수주형 형식의 강합성 교량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강거더에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강거더가 불리한 응력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현장타설 바닥판을 적용하여 비용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거더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교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9는 도 2의 공정별 상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교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9는 도 2의 공정별 상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더교 시공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도 2의 공정별 상세 도면으로서, 특히 도 3b와 도 9b는 강거더(31)를 보강하기 위한 L형강의 지지보(50)가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곳에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부(30)에 크레인 작업 등을 통하여 강거더(31)를 설치하고 강거더(31) 상부에 전단연결재(32)를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속 형성한다(S202).
다음 도 4a 및 도 4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제1거푸집(34)을 바닥에 설치하고, 상기 제1거푸집(34)을 지지할 동바리(33)를 강거더(31)에 설치하되, 전단연결재(32)가 형성된 강거더(31)의 상부 플레이트(31a)에는 제1거푸집(34)을 설치하지 않는다(S204).
이때 상기 제1거푸집(34)이 설치되지 않는 강거더(31) 부분이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강거더(31)에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비합성 구간(a)이 된다.
다음 도 5a 내지 도 5c의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부 비합성 구간(a)을 형성하는 강거더(31)의 상부 플랜지(31a)에 비합성 부재(35)를 설치하고, 전단연결재(32) 주위의 상부 플랜지(31a) 사방에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도록 제2거푸집(36)을 설치한다(S206).
이때 상기 비합성 부재(35)는 접착 시트재, 비닐, 테이프, 섬유재료 및 그리스 등 비합성 확보가 가능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고, 상기 비합성 구간(a)은 지점부 바닥판(39)에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강거더 상부 플랜지(3a)와 지점부 바닥판(39)의 비합성 작용을 유도하는 구간이 된다.
다음 도 6a 및 도 6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부에 철근을 조립하고, 프리스트레스 도입을 위한 쉬스(Sheath)관(37)과 강선을 배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함으로써 지점부 바닥판(39)이 형성된다(S208).
이때 상기 전단연결재(32) 주위는 제2거푸집(36)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이 배제되어 전단포켓(38)이 된다.
상기 쉬스관(37)은 포스트텐션(post tension) 방식에 있어서 프리스트레스 강재(미도시)의 배치 구멍을 만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배치된 관이다.
다음 도 7a 및 도 7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어 지점부 바닥판(39) 구간의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도로교 설계기준 기준값(예를 들어 28MPa(N/㎟)) 이상이 되면, 쉬스관(37)에 프리스트레스 강재를 삽입한 후 압축 응력으로 지점부 바닥판(39)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또한 상기 쉬스관(37)과 프리스트레스 강재 사이에 펌프를 사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 또는 모르타르 등을 가압 주입하는 그라우팅(grouting) 작업을 수행한다(S2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지점부 바닥판(39)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 지점부 바닥판(39)이 강거더(31)와 합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시 강거더(31)에 압축 응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 도 8a 및 도 8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부(30)와 교각부(30) 사이 즉, 지간(span)부에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함으로써 지간부 바닥판(41)이 형성된다.
또한, 지점부 전단포켓(38)에 무수축 모르타르(40)를 충진하여 강거더(31)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지점부 바닥판(39)과의 합성작용을 유도한다(S212).
상기 지점부 바닥판(39)과 지간부 바닥판(41)으로 거더교 전체의 바닥판(42)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9a 및 도 9b의 측면도 및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치되어 있던 동바리(33)와 거푸집(34,36)을 해체한 후 바닥판(42)을 적절한 교면 포장 재료로 포장하여 도로(43)를 형성하고, 그 양측을 따라 방호벽(44)을 설치하여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을 완료한다(S214).
이상과 같은 거더교의 시공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강합성 교량 형식은 개구제형, 구형, 플레이트 거더 및 소수주형 형식이다.
30: 교각부 31: 강거더
32: 전단연결재 33: 동바리
34,36: 거푸집 35: 비합성 부재
37: 쉬스관 38: 전단포켓
39,41,42: 바닥판 40: 무수축 모르타르
43: 도로 44: 방호벽
50: 지지보
32: 전단연결재 33: 동바리
34,36: 거푸집 35: 비합성 부재
37: 쉬스관 38: 전단포켓
39,41,42: 바닥판 40: 무수축 모르타르
43: 도로 44: 방호벽
50: 지지보
Claims (4)
- 교각부에 전단연결재가 소정거리 이격되게 연속 형성된 강거더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강거더에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동바리 및 제1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지점부 비합성 구간 강거더의 상부 플랜지에 비합성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전단연결재 주위에 제2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점부에 쉬스관을 배치하고 콘트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점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제2거푸집으로 전단연결재 위치에 전단포켓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쉬스관을 통해 지점부 바닥판 구간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그라우팅하는 단계와,
상기 교각부 사이인 지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써 지간부 바닥판을 형성하고 전단포켓에 무수축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와,
상기 동바리와 제1,2거푸집을 해체한 후 도로를 형성하고 방호벽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합성 부재는 접착 시트재, 비닐, 테이프, 섬유재료 및 그리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트레스를 지점부 바닥판 구간의 콘크리트 압축 강도가 28MPa 이상인 경우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방법이 적용되는 강합성 교량은 개구제형, 구형, 플레이트 거더 및 소수주형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408A KR100958014B1 (ko) | 2010-01-29 | 2010-01-29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US13/059,933 US8474080B2 (en) | 2010-01-29 | 2010-06-04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ion girder bridge |
JP2012551071A JP5373979B2 (ja) | 2010-01-29 | 2010-06-04 | 鋼合成桁橋の施工方法{ConstructionMethodofSteelCompositeGirderBridge} |
PCT/KR2010/003590 WO2011093556A1 (ko) | 2010-01-29 | 2010-06-04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CN201080002906.7A CN102203346B (zh) | 2010-01-29 | 2010-06-04 | 钢复合板梁桥施工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8408A KR100958014B1 (ko) | 2010-01-29 | 2010-01-29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58014B1 true KR100958014B1 (ko) | 2010-05-17 |
Family
ID=4228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8408A KR100958014B1 (ko) | 2010-01-29 | 2010-01-29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474080B2 (ko) |
JP (1) | JP5373979B2 (ko) |
KR (1) | KR100958014B1 (ko) |
CN (1) | CN102203346B (ko) |
WO (1) | WO2011093556A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3154B1 (ko) | 2012-03-14 | 2012-11-21 | 윤만근 | 휨 모멘트 제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 시공방법 |
CN103103922A (zh) * | 2011-11-09 | 2013-05-15 | 陈永生 | 现浇混凝土桥梁钢丝绳受力托吊模架代替地面支撑模架 |
KR101296805B1 (ko) * | 2013-02-18 | 2013-08-14 | (주)연우지앤비 | 슬래브 콘크리트 동시 타설을 위한 상부개방형 거더교의 시공방법 |
CN103321159A (zh) * | 2013-07-09 | 2013-09-25 | 中铁十五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一种能提高双线t梁大桥架梁速度的施工方法 |
KR101347113B1 (ko) | 2012-06-15 | 2014-01-06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강합성 교량의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 시공을 위한 압출가설 장치 |
CN103981809A (zh) * | 2014-05-15 | 2014-08-13 | 宝鸡中铁宝桥天元实业发展有限公司 | 中小桥梁桥面支撑落梁方法及专用支撑装置 |
CN113005908A (zh) * | 2021-02-22 | 2021-06-22 | 广东冠粤路桥有限公司 | 一种跨线天桥的安装方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014B1 (ko) | 2010-01-29 | 2010-05-17 | 변형균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DE102011105329B4 (de) * | 2011-06-03 | 2013-06-27 | Areva Np Gmbh | Verbundbauteil und damit hergestellte Stahlbeton-Stahl-Struktur |
CN105780655A (zh) * | 2014-12-23 | 2016-07-20 | 任丘市永基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 桥梁速成技术 |
GB2546093B (en) * | 2016-01-08 | 2019-01-23 | Bright Structures Ltd | A bridging system |
US10309068B2 (en) * | 2017-06-06 | 2019-06-04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Prefabricated bridge including steel abutments |
US11479929B2 (en) * | 2020-08-07 | 2022-10-25 | Peri Se | Formwork system and method |
US11603632B1 (en) * | 2021-01-11 | 2023-03-14 | AEEE Capital Holding & Advisory Group | Method for producing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beam |
CN113863140A (zh) * | 2021-09-02 | 2021-12-31 | 武汉二航路桥特种工程有限责任公司 | 适用于整体驮运安装的钢混组合梁及其施工方法 |
CN113638387A (zh) * | 2021-09-17 | 2021-11-12 | 清华大学 | 海上大型钢-混凝土组合固定式平台结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6320A (ja) * | 1996-03-21 | 1997-09-30 | Kawasaki Steel Corp | 断続合成床版橋 |
KR20020088472A (ko) * | 2001-05-17 | 2002-11-29 |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합성형 스틱박스교 시공방법 |
KR20060041078A (ko) * | 2004-11-08 | 2006-05-1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91248A (en) * | 1988-05-13 | 1991-02-12 | Allen Research & Development Corp. | Load bearing concrete panel reconstruction |
KR100248247B1 (ko) * | 1992-04-09 | 2000-04-01 | 테라다 토키오 | 정경기의 모우사 보수장치 |
JPH06228913A (ja) * | 1993-02-03 | 1994-08-16 | Dream Kyoryo Kk | 橋梁における防音装置と防音発泡吹付け工法 |
US5978997A (en) * | 1997-07-22 | 1999-11-09 | Grossman; Stanley J. | Composite structural member with thin deck por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JP3940211B2 (ja) * | 1997-12-22 | 2007-07-04 |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製主塔の水平梁の施工法 |
CN1322202C (zh) * | 2004-06-30 | 2007-06-20 | 清华大学 | 钢-混凝土组合梁负弯矩区抗裂的方法 |
US7461427B2 (en) * | 2004-12-06 | 2008-12-09 | Ronald Hugh D | Bridge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
ES2397273T3 (es) * | 2005-12-20 | 2013-03-05 | Flatiron Constructors, Inc. | Método y aparato para construir un puente |
CN101424073A (zh) * | 2008-12-04 | 2009-05-06 | 中铁大桥局股份有限公司 | 整孔预制的钢-混凝土组合连续箱梁的桥面板与钢梁的二次结合方法 |
CN101550675B (zh) * | 2009-04-22 | 2010-12-29 | 东南大学 | 一种波纹钢腹板预弯组合梁及其施工方法 |
CN101550674A (zh) * | 2009-04-29 | 2009-10-07 | 中铁大桥勘测设计院有限公司 | 一种钢桁-混凝土结构的桥梁及其施工方法 |
US8266751B2 (en) * | 2009-12-10 | 2012-09-18 | Yidong He | Method to compress prefabricated deck units by tensioning supporting girders |
KR100958014B1 (ko) | 2010-01-29 | 2010-05-17 | 변형균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
2010
- 2010-01-29 KR KR1020100008408A patent/KR10095801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6-04 CN CN201080002906.7A patent/CN10220334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04 WO PCT/KR2010/003590 patent/WO201109355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04 US US13/059,933 patent/US847408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04 JP JP2012551071A patent/JP537397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56320A (ja) * | 1996-03-21 | 1997-09-30 | Kawasaki Steel Corp | 断続合成床版橋 |
KR20020088472A (ko) * | 2001-05-17 | 2002-11-29 | 브이에스엘코리아 주식회사 |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합성형 스틱박스교 시공방법 |
KR20060041078A (ko) * | 2004-11-08 | 2006-05-11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03922A (zh) * | 2011-11-09 | 2013-05-15 | 陈永生 | 现浇混凝土桥梁钢丝绳受力托吊模架代替地面支撑模架 |
KR101203154B1 (ko) | 2012-03-14 | 2012-11-21 | 윤만근 | 휨 모멘트 제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 시공방법 |
KR101347113B1 (ko) | 2012-06-15 | 2014-01-06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강합성 교량의 전단포켓형 상부슬래브 시공을 위한 압출가설 장치 |
KR101296805B1 (ko) * | 2013-02-18 | 2013-08-14 | (주)연우지앤비 | 슬래브 콘크리트 동시 타설을 위한 상부개방형 거더교의 시공방법 |
CN103321159A (zh) * | 2013-07-09 | 2013-09-25 | 中铁十五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 一种能提高双线t梁大桥架梁速度的施工方法 |
CN103321159B (zh) * | 2013-07-09 | 2015-03-18 | 中铁十五局集团有限公司 | 一种能提高双线t梁大桥架梁速度的施工方法 |
CN103981809A (zh) * | 2014-05-15 | 2014-08-13 | 宝鸡中铁宝桥天元实业发展有限公司 | 中小桥梁桥面支撑落梁方法及专用支撑装置 |
CN103981809B (zh) * | 2014-05-15 | 2016-01-20 | 宝鸡中铁宝桥天元实业发展有限公司 | 中小桥梁桥面支撑落梁方法及专用支撑装置 |
CN113005908A (zh) * | 2021-02-22 | 2021-06-22 | 广东冠粤路桥有限公司 | 一种跨线天桥的安装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203346A (zh) | 2011-09-28 |
US20120279000A1 (en) | 2012-11-08 |
JP5373979B2 (ja) | 2013-12-18 |
US8474080B2 (en) | 2013-07-02 |
JP2013518199A (ja) | 2013-05-20 |
WO2011093556A1 (ko) | 2011-08-04 |
CN102203346B (zh) | 2014-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8014B1 (ko) |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2009134B1 (ko) | 장경간 거더교의 시공방법 | |
KR100770574B1 (ko) | 프리스트레스된 철골철근 콘크리트 합성형 라멘교 및 그시공방법 | |
KR100837608B1 (ko) |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 |
KR100522170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합성형교(合成桁橋)의 시공법 | |
KR101260863B1 (ko) | 아치형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27130B1 (ko) | 교량의 프리케스트 합성형 프리스트레스트 박스 거더교시공방법 | |
KR100745401B1 (ko) | 접속슬래브 연결 및 말뚝과 거더가 강결일체화되고 하중상쇄 및 캠버를 자동관리하는 씽크로나이즈드 동바리시스템을 설치한 무받침, 무신축이음 및 무교대 다가구 슬래브 교량 및 이의 설치방법 | |
KR100991869B1 (ko) | 단경간 및 다경간 피에스씨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 |
KR200407182Y1 (ko) | 피씨플레이트 | |
CN209114299U (zh) | 一种单箱多室箱梁桥 | |
KR20060017949A (ko) | 편심거리 증가로 인한 내하력이 증강된 현장조립식프리스트레싱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0785634B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 |
JP6543077B2 (ja) | 構造物の施工方法 | |
KR20120029625A (ko) |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적용한 강합성 거더교 시공방법 | |
KR101194866B1 (ko) | 종방향 강재와 횡방향 강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101228107B1 (ko) |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대 일체형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법 | |
KR20070081812A (ko) | 에이치 형강이 삽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 및 그의제작방법 | |
KR102294467B1 (ko) | 해안구조물용 전단연결재와 그 전단연결재를 이용한 해안구조물 | |
KR100793158B1 (ko) | 후긴장 프리캐스트 바닥판이 설치되는 거더교 시공방법 | |
CN216809531U (zh) | 河床冲刷综合防护结构 | |
KR20030062289A (ko) | Pre-tension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U형보(이하'U형보') | |
CN215104688U (zh) | 一种高架桥跨地面平行桥梁支墩满堂组合支架 | |
JP7242821B1 (ja) | コンクリート製壁高欄の構築方法 | |
KR20120030206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를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