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04B1 -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 Google Patents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704B1
KR100324704B1 KR1019990013771A KR19990013771A KR100324704B1 KR 100324704 B1 KR100324704 B1 KR 100324704B1 KR 1019990013771 A KR1019990013771 A KR 1019990013771A KR 19990013771 A KR19990013771 A KR 19990013771A KR 100324704 B1 KR100324704 B1 KR 10032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crete
nut
bridg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084A (ko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서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대원 filed Critical 서대원
Priority to KR101999001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7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이나 도로 육교의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는 거푸집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피씨 빔(2)의 전단연결재(4)에 한 쪽에 너트(12)를 용접 부착한 띠쇠(11)를 용접설치하고; 긴 구멍(18)이 뚫린 ㄱ-형강(15) 과 상기 긴 구멍(18)을 관통하여 레벨 너트(14)가 끼워진 볼트(13)를 상기 너트(12)에 결합하고; 상기 레벨 너트(14)를 돌려 상기 ㄱ-형강(15)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고; 상기 ㄱ-형강(15) 위에 거푸집 널 지지대(40)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고; 교량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교량 상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레벨 너트(14)를 풀고 상기 ㄱ-형강(15)과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와 상기 거푸집 널(17)을 해체하는 단계로 공사한다.

Description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Formwork method using no prop for the floor concrete of the bridge}
본 발명은 거푸집 설치 공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량을 축조할 때 교량의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거푸집을 설치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교량 공사, 도로의 육교부분을 건설할 때 교각을 세우고 교각의 상부에 피씨 빔(prestressed concrete girder)이나 철제로 만든 상자형 거더(box girder)를 교각 사이에 걸치고 피씨 빔이나 상자형 거더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구조를 형성하여 도로면을 만든다. 이를 피씨 합성형교(composite girder bridge)라 한다. 본 공법은 합성형교를 구축할 때 도로 상면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피씨 빔은 단면이 I형상을 사용한다. 종래에는 현장에서 도로면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피씨 빔 하단의 돌출부에 버팀목을 대고, 버팀 목 위에 동바리를 설치하고 그리고 동바리 위에 거푸집을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종래의 공법은 버팀목과 동바리의 설치하는데 인력 투입이 많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해체하는데 역시 인력 투입이 많으며, 해체작업 중 자재가 많이 훼손되기 때문에 해체한 자재를 재사용하는 비율이 낮았다. 높은 곳에서 작업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그 만큼 작업 중 안전사고가 생길 위험이 높을 뿐 아니라 자재의 소모량이 많아 원가가 높고, 자재의 소모량이 많으므로 발생하는 폐기물의 량도 많아 환경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발명자는 종래 공법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거푸집 공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이나 도로의 육교에서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이나 도로 육교의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는 거푸집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와 해체가 쉽고 폐기물이 적게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거푸집 설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및 그 상세도이다.
제3도는 교량의 피씨 빔(2)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입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으로 공사할 때 거푸집 널(17)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framing)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교각 2: 피씨 빔
2′: 상자형 거더 3: 상판
4: 전단연결재 11: 띠쇠
12: 너트 13: 볼트
14: 레벨 너트 15: ㄱ-형강
40a: ㄷ-형강 17: 거푸집 널
18: 긴 구멍 40b: 데크플레이트
31, 31′: 헌치 철판 40:거푸집 널 지지대
본 발명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공사부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교각(1) 위에 미리 제작한 피씨 빔(2)을 여러 개 걸치고 피씨 빔의 상부에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판(3)을 만들어 도로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상판(3)을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 공법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및 그 부분 상세도이다.
피씨 빔(2)과 피씨 빔 사이의 상부에는 상판을 만들기 위하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피씨 빔 하단의 돌출부에 버팀목을 설치하고 버팀목 위에 동바리를 세우고 동바리 위에 거푸집 널을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종래의 공법으로 공사할 경우 버팀목 설치, 동바리 설치에 인력이 많이 투입되었었다.
본 발명은 피씨 빔(2)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전단연결재(4)에 띠쇠(11)를 용접하여 연장시키고 띠쇠(11)가 전단연결재와 용접된 반대쪽에는 너트(12)를 용접 접합한다. 상기 전단연결재(4)는 피씨 빔(2)과 상판(3)이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화시키는 기능을 하기 위하여 피씨 빔(2)을 제작할 때 돌출시켜 두는 것으로 통상 철근을 연장시키고 있다.
상기 너트(12)에는 볼트(13)를 끼우고, 상기 볼트(13)의 중간에는 높이 조절용 레벨 너트(14)를 하나 더 끼워 둔다. 상기 레벨 너트(14)는 나중에 거푸집 널(17)의 높이를 조절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해체할 때에는 레벨 너트(14)를 풀어 내리면 공간이 생겨 쉽게 거푸집 널 등을 해체할 수 있도록 한다.
볼트(13)에는 긴 구멍(18)이 뚫려 있는 ㄱ-형강(15)이 설치하고, 상기 ㄱ-형강(15) 위에는 거푸집 널 지지대(40)의 하나로서 이용되는 ㄷ-형강(40a)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ㄷ-형강(40a) 위에는 거푸집 널(17)을 깐다. 거푸집 널(17) 위에는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상판(제1도에서 3)이 완성된다. 즉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 공사를 할 수 있다.
제3도는 교량의 피씨 빔(2)에 거푸집이 설치되는 상태를 보인 본 발명의 입체도이다.
피씨 빔에서 돌출된 전단연결재(4)에 용접된 띠쇠(11)와 상기 띠쇠에 용접된 너트(12), 상기 너트(12)에 끼워진 볼트(13), 상기 볼트(13)의 중간에 더 설치된 레벌 너트(14)가 거푸집을 매달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상기 볼트(13)를 긴 구멍(18)이 뚫린 ㄱ-형강(15)을 관통하여 끼우고, 레벨 너트(14)를 조절하여 상기 ㄱ-형강(15)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고, 상기 ㄱ-형강(15) 위에 ㄷ-형강(40a)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ㄷ-형강(40a)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아 거푸집 공사를 완료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거푸집 널(17)은 철판, 알루미늄판, 또는 합판 등 판상의 재료는 구조물의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으로 공사할 때 거푸집 널(17)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 구조(framing)를 보인 평면도이다. ㄱ-형강(15)에 뚫린 긴 구멍(18)을 통하여 볼트(13)를 끼워 ㄱ-형강(15)을 매달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의 B-B 단면은 제5도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즉 ㄱ-형강(15) 위에 ㄷ-형강을 설치하면 부재 수가 많아 번거롭고, 휨강성이 약할 우려가 있으므로 제 2,3,4도의 ㄷ-형강(40a) 대신에 거푸집 널 지지대(40)로서 데크플레이트(40b)를 사용하는 것이다. 데크플레이트는 철판을 접어 효과적인 구조 성능을 가지도록 만든 구조재이다. 즉 ㄱ-형강(15) 위에 데크플레이트(40b)를 깔고, 상기 데크플레이트(40b)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데크플레이트의 구조적 성능을 이용하여 합성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합성구조를 형성할 때에는 데크플레이트 위에 거푸집 널(17)을 생략하고 직접 데크플레이트 위에 철근을 배근하여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를 일체구조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 볼트(13)를 풀고 ㄱ-형강(15)만 해체하면 된다.
제6도와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교각(2) 위에 통상 많이 사용하는 피씨 빔(2) 대신 철제로 만든 상자형 거더(2′, box girder)를 사용할 경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을 보인 것이다. 제6도는 입체도이고 제7도는 제6도의 C-C 단면도와 그 부분 상세도이다.
상자형 거더(2′)에는 끝 부분에 날개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이 날개에 레벨 너트(14)가 달린 볼트(13)로 헌치 철판(haunch철판, 31 & 31′)을 고정시켜 데크플레이트(40b)를 지지한다. 데크플레이트(40b)를 사용할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산과 산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가 스며드는 것을 막기 위해 막음 철판(closure steel plate)으로 막는다.
헌치 철판(31, 31′)은 상자형 거더의 높이가 서로 다를 경우에 각각 다른 모양을 사용한다.
제3도에 따라 본 발명의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피씨 빔(2)의 전단연결재(4)에 한 쪽에 너트(12)를 용접 부착한 띠쇠(11)를 용접설치하고, 긴 구멍(18)이 뚫린 ㄱ-형강(15)을 상기 긴 구멍(18)을 관통하여 레벨 너트(14)가 끼워진 볼트(13)를 상기 너트(12)에 결합하고, 상기 레벨 너트(14)를 돌려 상기 ㄱ-형강(15)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고, 상기 ㄱ-형강(15) 위에 거푸집 널 지지대(40)로서 ㄷ-형강(40a) 또는 데크플레이트(40b)를 설치한다. 상기 ㄷ-형강(40a) 또는 데크플레이트(40b)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레벨 너트(14)를 풀고 상기 ㄱ-형강(15)과 상기 ㄷ-형강(40a) 또는 데크플레이트(40b)와 상기 거푸집 널(17)을 해체하고, 볼트(13)를 제거하고 남는 구멍은 코킹재로 메우는 과정으로 공사한다.
제6도와 제7도와 같이 상자형 거더(2′)인 경우에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 공사가 진행된다.
본 발명으로 교량이나 도로의 육교에서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공법을 제공하여, 교량이나 도로 육교의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가 쉽고 폐기물이 적게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피씨 빔(2)의 전단연결재(4)에 한 쪽에 너트(12)를 용접 부착한 띠쇠(11)를 용접설치하고;
    긴 구멍(18)이 뚫린 ㄱ-형강(15) 과 상기 긴 구멍(18)을 관통하여 레벨 너트(14)가 끼워진 볼트(13)를 상기 너트(12)에 결합하고;
    상기 레벨 너트(14)를 돌려 상기 ㄱ-형강(15)의 높이와 수평을 조절하고;
    상기 ㄱ-형강(15) 위에 거푸집 널 지지대(40)를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고;
    교량 상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리고,
    상기 교량 상판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상기 레벨 너트(14)를 풀고 상기 ㄱ-형강(15)과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 와 상기 거푸집 널(17)을 해체하는 단계로 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는 ㄷ-형강(40a) 또는 데크플레이트(40b) 중에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거푸집 널 지지대(40)가 데크플레이트(40b)인 경우에는, 상기 데크플레이트(40b) 위에 거푸집 널(17)을 깔지 않음으로서, 교량상판 콘크리트와 데크플레이트(40b)를 서로 일체화 시켜, 데크플레이트(40b) 및 거푸집 널(17)의 해체 작업이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방법.
KR1019990013771A 1999-04-19 1999-04-19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KR10032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771A KR100324704B1 (ko) 1999-04-19 1999-04-19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771A KR100324704B1 (ko) 1999-04-19 1999-04-19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156A Division KR100334257B1 (ko) 2000-11-13 2000-11-13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084A KR19990073084A (ko) 1999-10-05
KR100324704B1 true KR100324704B1 (ko) 2002-02-16

Family

ID=3747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771A KR100324704B1 (ko) 1999-04-19 1999-04-19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7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1303117B1 (ko) 2011-11-18 2013-09-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용 하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125A (ko) * 2002-03-06 2002-05-04 전병철 철골콘크리트 구조물의 상판 거푸집 지지구조
KR100737841B1 (ko) * 2007-03-13 2007-07-12 김창수 교량용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고정 클램프
CN109518603A (zh) * 2018-12-06 2019-03-26 北京市政路桥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钢-混组合桥面板模板构造及用法
KR102493228B1 (ko) * 2021-06-03 2023-01-30 (주)한맥기술 외부로 돌출된 봉강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반단면데크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121A (ko) * 1973-04-24 1975-03-26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121A (ko) * 1973-04-24 1975-03-2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1303117B1 (ko) 2011-11-18 2013-09-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 사이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용 하면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의 연결 콘크리트 타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084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92078A (ja) 橋梁の構造と構築方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04137686A (ja)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CN108589507B (zh) 全拼装预制混凝土梁桥上部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324704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 공사방법
JP2734987B2 (ja) 既設橋の改修工法
JP3737475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51009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넬과 강재 거더가 결합된 일체형골조를 이용한 지중아치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0334257B1 (ko) 동바리를 받히지 않는 교량 상판 콘크리트용 거푸집공사방법
KR100403988B1 (ko) 강재 연결장치를 이용한 피에스씨 빔 연속화공법 및 그 장치
JP6889010B2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0499976B1 (ko) 피씨 강선 및 티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철근콘크리트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910007423B1 (ko) 조정용 브라켙 장치(Bracket)를 이용한 피시-빔(PC-Beam) 교량 가설공법
JP2536376B2 (ja) 道路保護用シェッドの基礎構造
KR20210004289A (ko) 트랜스퍼보 타설용 철골보를 이용한 트랜스퍼층 시공방법
KR102670768B1 (ko) 형강받침과 교차철근으로 보강한 합성형 라멘교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H0361810B2 (ko)
KR200302134Y1 (ko) 피씨 강선 및 티형 강판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철근콘크리트 빔
KR20000074712A (ko) 철골철근콘크리트 아치교의 아치링 구축방법
KR2000006351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교각구조물 시공방법및 그 구조물
KR200333777Y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JPH0881918A (ja) 橋脚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24002803A (ja) 波形鋼板ウェブ橋の架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