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346A -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346A
KR20020097346A KR1020010035125A KR20010035125A KR20020097346A KR 20020097346 A KR20020097346 A KR 20020097346A KR 1020010035125 A KR1020010035125 A KR 1020010035125A KR 20010035125 A KR20010035125 A KR 20010035125A KR 20020097346 A KR20020097346 A KR 20020097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er
hole
bridge
han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0600B1 (ko
Inventor
김원균
하재복
Original Assignee
정호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호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호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600B1/ko
Publication of KR2002009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6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 및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는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함께 교각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또 난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 및 운반이 편리한 난간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교각(B)의 상부 면에 거취되고, 거취되어 있는 다른 브라켓(100)과 연결될 수 있는 관통공(111)을 갖는 거취부(110)와 상기 거취부(110)로부터 절곡되어 교각(B)의 측면과 밀착이 되는 측면부(120), 상기 측면부(120)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고 난간 및 보행판을 설치할 수 있는 볼트공(131)을 갖는 받침부(130), 상기 받침부(130)로부터 연속되는 상태로 받침부(130)를 보강해주는 보강부(140), 상기 보강부(140)를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Inspective Handrail-bracket of bridge}
본 발명은 교각 및 교량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난간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교량을 점검하는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함께 교각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며, 또 난간의 설치가 용이하고, 제작 및 운반이 편리한 난간 설치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교각 및 교량의 점검을 위하여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1)을 교각(B)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교각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고정넛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끼워 고정한 다음 고정보울트(3)로서 결합시킨 후, 브라켓(1)에 난간(2)을 체결볼울트(4)를 사용하여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은 설치방식에 의하여 난간을 설치하는 경우 교각에 고정넛트를 끼워 고정하기 위하여 교각에 일정한 높이로 구멍을 형성시켜야 하고, 이 구멍을 교각의 설치시 형성하여 고정넛트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득이 교각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고정너트용 구멍을 형성하고 그 구멍에 시멘트 등의 바인더를 이용하여 고정너트를 삽입 설치하여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가해지는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교각에 무리가 가게 되며, 또 일단 양생된 시멘트로 된 교각에 구멍을 형성하여 시멘트를 이용하여 고정너트를 설치한다고 하여도 처음 교각의 설치 시 일체로 형성한 것처럼 견고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으로 차츰 이완이 일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공보 등록번호 제20-216859호로부터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교각상면설치부(11), 교각측면설치부(12), 점검대받침부(13), 점검대 받침 보강부(14)으로 구성되고 브라켓(10)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볼울트 구멍(15)과 난간 체결용 보울트구멍(16)로 구성되는 브라켓(10)을 제공하여 교각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점검대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고안과 같은 점검대 설치용 브라켓(10)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거취되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교각(B)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음으로서 교각(B)에 손상을 주지 않고 점검대를 설치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하고자 하는 대상 교각(B)의 형상, 모양 및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관계로 현장에서 당해 교각(B)에 맞추어서 제작을 하여야 하는 관계로 규격화가 될 수 없어 그 제작 작업의 번거로움을 면할 수 없고, 또 현장에서 절곡 및 용접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브라켓(10)의 절곡부위 또는 용접부위의 강도가 다소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지적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어떠한 형상, 모양 및 크기의 교각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규격화를 하여 시공현장에서 제작함이 없이 별도의 공장에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하여 절곡부위 및 용접부위의 강도저하를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강화할 수 있으며, 현장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점검대 설치용 브라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라켓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라켓을 이용한 난간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난간 설치에 관한 상태도
도 5는 또다른 종래의 난간설치용 브라켓
도 6은 도 5의 브라켓을 이용한 난간 설치 상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교각 100 : 브라켓
110 : 거취부 111 : 관통공
112 : 연결바 120 : 측면부
121 : 체결공 130 : 받침부
131 : 보울트공 140 : 보강부
150 : 지지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각(B)의 상부 면에 거취되고, 거취되어 있는 다른 브라켓(100)과 연결될 수 있는 관통공(111)을 갖는 거취부(110)와 상기 거취부(110)로부터 절곡되어 교각(B)의 측면과 밀착이 되는 측면부(120), 상기 측면부(120)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고 난간 및 보행판을 설치할 수 있는 볼트공(131)을 갖는 받침부(130), 상기 받침부(130)로부터 연속되는 상태로 받침부(130)를 보강해주는 보강부(140), 상기 보강부(140)를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부(150)로 이루어지는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거취부(110)의 관통공(111)은 인접하여 있는 다른 브라켓(100)과 바 또는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시 용접 또는 보울트 및 너트에 의한 체결방법 등에 의하여 교각의 상부 외주연에 설치되고 받침부(130)에는 보행판으로서 인접하고 있는 브라켓(100)과 연결되고 받침부(130)의 외측으로 난간이 설치되어 점검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이 도면의 도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라켓의 사시도로서, 관통공(111)을 가지며 밑면이 교각의 상면과 수평의 상태로 상접할 수 있도록 수평면으로 된 거취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취부(110)와 연속한 상태로 절곡되어 교각의 측면과 상접할 수 있는 측면부(120), 상기 측면부(120)와 연속된 상태로 절곡되어 점검자의 보행을 위한 보행판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31) 및 난간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공(131)을 갖는 받침부(130), 상기 받침부(130)와 연속된 상태로 절곡되어 받침부(1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지탱하기 위한 보강부(140) 및 보강부(140)를 지지해 주기 위한 지지부(150)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브라켓(100)을 교각(B)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난간의 설치 상태도로서 교각(B)의 상부 외주연을 따라 거취부(110)의 밑면이 교각의 상부면에 거취되고 측면부(120)가 교각과 서로 상접되어 있는 상태로 필요한 숫자로 거취된 상태에서 바(112)를 관통공(111)에 끼워 각 브라켓(100)이 교각(B)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받침부(130)의 상면에 보행판 및 난간을 교각(B)의 외주연을 따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서 거취부(110)의 관통공(111)이 삼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관통공(111)이 반드시 삼각형이어야 할 필요는 없는 것이며, 원형, 반원형, 사각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바 등의 조립이 편리한 상태라면 제한을 받지 않는다.
또, 받침부(130), 보강부(140) 및 지지부(150)가 삼각형을 이룬 형상을 하고 있으나,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방법중 가장 경제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형상일 뿐, 사각형의 형상, 리브의 설치 등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로서, 기본적인 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나, 측면부(120)를 교각(B)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비록 거취부(110)가 교각(B)의 상면에서 상호 연결되고, 받침부(130)에서 보행판에 의하여 상호 연결됨으로서 설치후, 점검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측면부(120)를 교각(B)에 보다 밀착을 시킴으로서 브라켓(100)과 교각(B)이 더욱 일체감을 갖게 되며, 교량의 점검 및 수리시 장비의 도입 등에 의한 지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측면부(120)에 체결공(121)을 형성시켜그 체결공(121)에 바(122)를 끼워 더욱 긴밀한 설치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체결공(121)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점검대용 브라켓을 제공함으로서, 임의의 형상, 모양 및 크기의 교각에도 설치가 용이하며, 규격화를 하여 시공현장에서 제작함이 없이 별도의 공장에서 일정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하여 절곡부위 및 용접부위의 강도저하를 열처리과정을 통하여 강화할 수 있으며, 현장설치 및 운반이 용이한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교각(B)의 상부 면에 거취되고, 거취되어 있는 다른 브라켓(100)과 연결될 수 있는 관통공(111)을 갖는 거취부(110)와 상기 거취부(110)로부터 절곡되어 교각(B)의 측면과 밀착이 되는 측면부(120), 상기 측면부(120)로부터 연속하여 절곡되고 난간 및 보행판을 설치할 수 있는 볼트공(131)을 갖는 받침부(130), 상기 받침부(130)로부터 연속되는 상태로 받침부(130)를 보강해주는 보강부(140), 상기 보강부(140)를 지지해주기 위한 지지부(1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교각(B)에 밀착되는 측면부(120)가 체결공(1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KR10-2001-0035125A 2001-06-20 2001-06-20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KR10043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25A KR100430600B1 (ko) 2001-06-20 2001-06-20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5125A KR100430600B1 (ko) 2001-06-20 2001-06-20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498U Division KR200247442Y1 (ko) 2001-06-20 2001-06-20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346A true KR20020097346A (ko) 2002-12-31
KR100430600B1 KR100430600B1 (ko) 2004-05-12

Family

ID=2771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5125A KR100430600B1 (ko) 2001-06-20 2001-06-20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6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77A (ko) * 2002-08-02 2004-02-11 최성문 교량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 및 점검대의 시공방법
KR100684173B1 (ko) * 2005-04-19 2007-02-20 주식회사 엘엔비 교량 점검용 자켓
KR100719956B1 (ko) * 2005-03-16 2007-06-25 (주)서현컨스텍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27Y2 (ja) * 1981-04-08 1984-01-07 東日本鉄工株式会社 橋脚用吊足場
KR200188355Y1 (ko) * 2000-02-02 2000-07-15 최영범 교량보수용 답판 지지체
KR20000024672A (ko) * 2000-02-29 2000-05-06 원창연 고정식 교량점검대
KR20010088161A (ko) * 2000-03-10 2001-09-26 이종석 교량유지점검용 통로를 볼트없이 인장재를 이용하여장치하는 방법
KR100353882B1 (ko) * 2000-05-15 2002-09-27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각에 점검대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 및 그 고정방법
KR200216859Y1 (ko) * 2000-10-02 2001-03-15 최성문 교량용 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377A (ko) * 2002-08-02 2004-02-11 최성문 교량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 및 점검대의 시공방법
KR100719956B1 (ko) * 2005-03-16 2007-06-25 (주)서현컨스텍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KR100684173B1 (ko) * 2005-04-19 2007-02-20 주식회사 엘엔비 교량 점검용 자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0600B1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021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0430600B1 (ko)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20180028216A (ko) 절곡빔을 이용한 교량 점검로
KR200247442Y1 (ko) 교량 점검용 난간 브라켓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KR19990001958A (ko) 교량의 상부구조물 인상용 잭 받침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 보수방법
KR100719956B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KR100595019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JP4563879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100526996B1 (ko) 강봉을 이용하여 조립한 조립식 교량 점검대 및 이를이용한 설치방법
JP4590810B2 (ja) 倒壊防止機能付きポール
JP3140435B2 (ja) 法面設置用階段及びその設置方法
JP3386785B2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足場支持装置及び足場装置
KR200367073Y1 (ko) 교량 점검로용 타공발판
KR100458945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KR200400952Y1 (ko) 교량 점검대
KR100549986B1 (ko) 교량 빔의 내하력 보강을 위한 조립식 보수보강장치 및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72180Y1 (ko) 현수식으로 고정 및 지지되는 교량점검장치
KR200387028Y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CN219011881U (zh) 一种脚手架吊点桁架
KR100453952B1 (ko) 매설용 앵커볼트의 고정구조
KR200290770Y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102316060B1 (ko) 교각에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조를 갖는 교량점검대 및 그 시공방법
KR100497701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