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5021B1 -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 Google Patents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5021B1
KR100595021B1 KR1020050133873A KR20050133873A KR100595021B1 KR 100595021 B1 KR100595021 B1 KR 100595021B1 KR 1020050133873 A KR1020050133873 A KR 1020050133873A KR 20050133873 A KR20050133873 A KR 20050133873A KR 100595021 B1 KR100595021 B1 KR 10059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bridge
connector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3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성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1834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9502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씨
Priority to KR1020050133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5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으로서, 교량을 점검하기 위하여 교각 상단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은 일련의 철재 구조물이 앵커 볼트에 의하여 장착되어 교각의 외부에 앵커 볼트에 의하여 교각이 손상되고 충격이나 진
동 등에 의하여 고정 자켓을 고정하는 앵커 볼트 등이 헐거워져 작업시 흔들림으로 불안정하거나 또는 추락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교각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제1 프레임의 장공과 상응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와;
상기 수평받침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인접한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난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이다.
교량, 점검

Description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Fixing jacket for checking brid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
도 4a~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10은 종래 교량용 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을 나타낸 개념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걸이대
11 : 제1 프레임 12 : 제2 프레임
13 : 제1 보강리브 14 : 브라켓
111 : 장공 112 : 장착홀
113 : 제2 장착홀 141 : 고정홀
2 : 연결프레임
21 : 장공 22 : 볼트
23 : 연결프레임 연결구
3 : 수평받침대
31 : 제2 보강리브 32 : 제2 브라켓
321 : 고정홀
4 : 난간부
41 : 수직부재 42 : 수평부재
5 : 걸이대 연결구
6 : 보강프레임
61 : 장공 62 : 보강프레임 연결구
7 : 난간 연결구
71 : 제3 브라켓 72 : 장착홀
73 : 삽입돌출부
80 : 교각상면설치부 81 : 교각측면설치부
82 : 안전난간 83 : 발판
84 : 점검대 85 : 점검대받침부
86 : 받침부보강부
100 : 교각
본 발명은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의 구조를 개선하여 교각의 내구성을 해치지 않고 다양한 규격의 교량에도 용이하게 적용하며 견고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개발된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과거 교량의 붕괴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문제점으로 부실공사와 관리문제에 대하여 사회적인 이슈가 된 적이 있다.
이러한 교량의 붕괴는 많은 인명과 재산 및 경제적인 여파가 매우 큰 대형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항상 잔존해 있으며 이는 시공 당시의 문제점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나 교량의 노후, 누적된 응력, 교량의 고유진동계수의 예측 못한 설정 등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관련규정 등에서 교량의 안전도를 측정하는 가장 큰 기준인 교좌부분의 상태 및 기타 교각을 비롯한 곳을 점검하기 위하여 교각에는 점검용 고정 자켓이 설치되어 주기적인 점검을 의무화하고 있다.
종래에는 교각의 측면에 "L"자형 브라켓을 다수 앵커볼트에 의하여 장착하여 시공하였으나, 이때 앵커볼트는 교각의 중심부까지 박히도록 하여 이에 의한 교각의 상단부의 균열 및 장기간 하중의 누적에 의한 피로파괴의 우려가 잔존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 출원인이 발명한 특허등록 제 0374141호 "교량용 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 및 점검대의 시공방법"에서는 이러한 앵커볼트에 의한 교각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앵커볼트를 사용하지 않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도 10은 이러한 종래 교량용 점검대 설치용 고정자켓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교각의 상면에 면접되어 설치되는 교각상면설치부(80)와; 상기 교각상면설치부(8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각각 연속하여 교각의 측면에 면접되어 설치되는 교각측면설치부(81)와; 상기 각 교각측면설치부(81)의 단부에 연속하는 한편, 수평 되게 절곡되어 안전난간(82)과 발판(83)이 구비되는 점검대(84)가 설치되게 하는 점검대받침부(85)와; 상기 각 점검대받침부(85)의 단부에 연속하는 한편, 교각의 측면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점검대받침부(85)가 수평위치로 유지되게 하는 받침부보강부(86)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은 앵카볼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교각을 보호하는데 중점을 두어 개발된 것으로 교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는 분명히 있으나 고정을 하기 위한 수단이 미흡한 단순히 교각의 상부에 씌우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받침부보강부의 경우 구조적인 안전성을 줄 수는 있으나 자재의 과도한 소비와 또한 부피의 증가에 따른 설계상의 문제점을 가져오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외관상으로 볼 때에도 간결하면서도 안정된 모습이 바람직하나 자칫 둔중해 보여 미관상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둔중해 보이는 고정자켓의 경우 심리적으로 교각에 추가적으로 많은 하중을 준다는 생각을 가져오게 하여 여 러모로 불편한 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교각의 상면 및 측면에 최대한 밀착시키면 흔들거림이나 부유물의 충돌 등에 의한 벗겨짐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으나 상기 고정 자켓은 교각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제작된 고정 자켓을 운반하는 작업이 불편하였으며, 특히 그 크기가 클 경우에는 운반상의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앵커에 의하여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이 설치되어 교각의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크기와 형상의 교각에도 용이하게 구비된 부품을 결합하여 자재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하고, 부피의 증가에 따른 설계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그 크기와 형상에 차이가 있는 교각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리된 부품을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교각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와; 상기 걸이대의 제1 프레임의 장공과 상응하는 장공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와;
상기 수평받침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인접한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난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인 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 끝단에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접합하되, 접합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제1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인 관의 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사각 판형으로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 끝단에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접합하되, 접합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프레임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제1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프레임(11)과 연결프레임(2)은 결합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11)과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의 장공(111, 21)과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대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2)은 사각 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걸이대 연결구는 제1 프레임의 끝단과 두 개의 양측 연결프레임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대 연결구는 제1 프레임의 끝단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을 연결가능하도록 'I'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각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의 양측 끝단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두개의 연결프레임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에 의하여 수직으로 양측 연결프레임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프레임 연결구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는 상기 보강프레임이 연결되는 타측이 돌출되어 제1 프레임의 끝단과 결합되도록 '+'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은 판 형상을 가진 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교각의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연결프레임이 직각으로 만나는 곳은 두 개의 연결프레임이 결합되도록 'L'자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연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받침대의 끝단의 형상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브라켓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된 장착 홀에 의하여 상기 수평받침대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3 브라켓이 장착된 상면에서는 내단면이 상기 난간부의 수직부재의 외단면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삽입돌출부가 형성되는 난간 연결구에 의하여 상기 난간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교각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와;
상기 인접한 걸이대의 제2 프레임의 양측에 결합하여 교각의 측면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와;
상기 수평받침대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와 인접한 수직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난간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교각(100)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 각(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3)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1)와;
상기 걸이대(1)의 제1 프레임(11)의 장공(111)과 상응하는 장공(21)이 형성되어 볼트(22)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31)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3)와;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41)와 인접한 수직부재(4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42)로 구성되는 난간부(4)로 구성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 앵커를 사용하지 않는 고정 자켓의 경우 단일의 강재를 구부리거나 용접한 상태로 생산하여 다리에 걸치는 작업을 함으로서, 작업에 필요한 인력과 장비가 많이 소요되며 또한 이를 생산하여 운반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각 부분을 분리가능하게 하여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렇게 함으로서 점검장치가 교각에 밀착되어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11,12)은 단면이 사각인 관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프레임(12)은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은 상기 제2 프레 임(12)의 상부 끝단에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접합하되, 접합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제1 보강리브(13)가 형성되어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응력과 충격에 저항성이 좋으며 교각에의 밀착성을 확보하고 또한 제작이 용이한 형상이 관의 형상이기에 비롯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로서, 상기 제2 프레임(12)은 단면이 사각인 관의 형상을 가지고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프레임(11)는 사각 판형으로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부 끝단에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접합하되, 접합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제1 보강리브(13)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교각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리의 본체인 교량을 올리는 완충 및 지지 장소인 교좌부분(shoe)의 경우 교각 상면과 교량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기에 높이가 적은 판형으로의 제작하였으며, 또한 이때 연결프레임(2) 또한 판의 형상으로 제작함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프레임(2)은 사각 판 또는 사각 관의 형상을 제공하였으며,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도 사각 판 또는 사각 관의 형상을 제공하여, 상기 도면과 같이 판과 판의 결합, 관과 관의 결합 이외에도 관과 판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겠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다.
인접한 제1프레임(11)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이 상기 교각(100)을 따라 형성하게 되면 상기 교각(100)의 양측 면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부분이 생기는데 이때 이러한 평행한 부분이 매우 길 경우 충격에 의하여 인장됨으로서 견고한 밀착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프레임(2)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6)을 형성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도 4a 내지 도 4d는 상기 제1 프레임(11)과 연결프레임(2)은 결합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11)과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의 장공(111, 21)과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대 연결구(5)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 때 도 4a는 상기 걸이대 연결구(5)가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두 개의 양측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 도5에서 볼 수 있는 보강프레임 연결구(62)가 도 4와 동일한 양측 끝단에는 장공(61)이 형성되어 두 개의 연결프레임(2)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21)에 의하여 수직으로 양측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도 4b는 상기 걸이대 연결구(5)가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I'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도 4c 및 도 5에서는 전술한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62)는 상기 보강프레임(6)이 연결되는 타측이 돌출되어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결합되도록 '+'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이때 이러한 보강프레임 또는 연결프레임은 장력을 주로 작용하므로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6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은 판 형상을 가져도 구조 또는 내구성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또한, 도 4d는 상기 교각(100)의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연결프레임(2)이 직각으로 만나는 곳은 두 개의 연결프레임(2)이 결합되도록 'L'자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연결구(23)가 형성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들은 각기 구 부분에 따라 그 형상의 차이가 있은 뿐 각각 연결하고자하는 프레임의 방향과 수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의 전환이 가능하지만 가장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었으며 때로는 일부가 굴곡된 형태 또는 그 이외의 형태로의 개발이 용이할 것이다.
또한, 도 4a의 경우 'T'자의 형태를 가진 연결구는 두개의 연결프레임(2)과 하나의 보강프레임(62)을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걸이대(1)의 제1 프레임(11)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단면에 상응하는 내단면을 가진 브라켓(14)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결합부 상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3)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4)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12)은 상부가 상기 브라켓(14)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141)에 상응하는 장착홀(112)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상기 구성은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을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이러한 상기 실시 예에 의하여 주물과 같은 방법으로 제1 프레임(11)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가진 제2 프레임(12)의 경우 상황에 따라 적정 길이로 절단하고 장착홀(112)을 천공하는 작업만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과정이 교각의 형상에 좌우되지 않고 일괄 생산이 가능하며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임(1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 이외에도 다른 변용이 가능할 것이나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볼트체결에 의한 것이라면 동일 또는 유사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수평받침대 (3)는 상기 제2 프레임(12)의 외단면에 상응하는 내단면을 가진 제2 브라켓(32)과 수직으로 연결되고,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31)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32)에는 두 개 이상의 고정홀(321)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12)은 하부가 상기 제2 브라켓(32)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홀(321)에 상응하는 제2 장착홀(113)에 의하여 볼트로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이 역시 도 6에 나타낸 제1 프레임(11)과 동일한 역할과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의 형상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 브라켓(71)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브라켓(7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된 장착홀(72)에 의하여 상기 수평받침대(3)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3 브라켓(71)이 장착된 상면에서는 내단면이 상기 난간부(4)의 수직부재(41)의 외단면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삽입돌출부(73)가 형성되는 난간 연결구(7)에 의하여 상기 난간부(4)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교각(100)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는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3)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1)와;
상기 인접한 걸이대(1)의 제2 프레임(12)의 양측에 결합하여 교각(100)의 측면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31)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3)와;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41)와 인접한 수직부재(4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42)로 구성되는 난간부(4)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조는 교각의 상부면의 상태가 연결프레임을 설치하기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실시 예와 같이 연결프레임을 교각의 측면을 밀착 감싸도록 하면서 걸이대를 연결 고정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앵커에 의하여 교각을 천공하는 작업이 없이 단순한 조립만으로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이 설치하도록 하여 교각의 내구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를 조립하되 그 길이나 구성품의 수를 용이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자재의 과도한 소비를 방지하고, 부피의 증가에 따른 설계상의 문제점을 개선하며, 서로 다른 크 기와 형상의 교각에도 용이하게 구비된 부품을 결합하여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교각(100)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며 길이방향으로 장공(111)이 형성되는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1)은 상기 제2 프레임(12)의 상부 끝단에 일측 끝단이 수직으로 접합하되, 접합부의 상면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내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돌출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3)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1)와;
    상기 걸이대(1)의 제1 프레임(11)의 장공(111)과 상응하는 장공(21)이 형성되어 볼트(22)에 의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연결프레임(2)을 결합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레임(11)과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의 장공(111, 21)과 결합되도록 하는 걸이대 연결구(5)와;
    상기 제2 프레임(12)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31)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3)와;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41)와 인접한 수직부재(4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42)로 구성되는 난간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연결구(5)는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두 개의 양측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대 연결구(5)는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I'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0)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연결프레임(2)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프레임(6)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6)의 양측 끝단에는 장공(61)이 형성되어 두개의 연결프레임(2)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21)에 의하여 수직으로 양측 연결프레임(2)을 연결가능하도록 'T'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보강프레임 연결구(62)에 의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62)는 상기 보강프레임(6)이 연결되는 타측이 돌출되어 제1 프레임(11)의 끝단과 결합되도록 '+'자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 연결구(6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은 판 형상을 가진 프레임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자켓.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교각(100)의 상면의 모서리에 인접하여 연결프레임(2)이 직각으로 만나는 곳은 두 개의 연결프레임(2)이 결합되도록 'L'자의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프레임 연결구(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의 형상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ㄷ'자 형상의 제3 브라켓(71)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브라켓(7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된 장착홀(72)에 의하여 상기 수평받침대(3)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3 브라켓(71)이 장착된 상면에서는 내단면이 상기 난간부(4)의 수직부재(41)의 외단면에 상응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삽입돌출부(73)가 형성되는 난간 연결구(7)에 의하여 상기 난간부(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14. 교각(100)의 상면에 하부가 걸쳐지는 제1 프레임(11)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수직으로 연결되어 교각(1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2 프레임(12)과, 상기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의 연결부에 돌출 형성되는 제1 보강리브(13)로 구성되는 다수의 걸이대(1)와;
    상기 인접한 걸이대(1)의 제2 프레임(12)의 양측에 결합하여 교각(100)의 측면에 밀착 고정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프레임(2)과;
    상기 제2 프레임(12)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하되 결합부 하 단에는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보강리브(31)가 형성되는 수평받침대(3)와;
    상기 수평받침대(3)의 끝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재(41)와 인접한 수직부재(4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부재(42)로 구성되는 난간부(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20050133873A 2005-12-29 2005-12-29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059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873A KR100595021B1 (ko) 2005-12-29 2005-12-29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3873A KR100595021B1 (ko) 2005-12-29 2005-12-29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021B1 true KR100595021B1 (ko) 2006-06-30

Family

ID=3718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3873A KR100595021B1 (ko) 2005-12-29 2005-12-29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502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32B1 (ko) * 2006-08-25 2007-04-13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매달기식 교량 점검대
KR101166052B1 (ko) * 2011-12-02 2012-07-19 주식회사 대호하이테크 교량 점검용 걸이식 점검대 및 그 조립방법
CN109881588A (zh) * 2019-04-10 2019-06-14 北方工业大学 桥墩调节装置及桥墩调节系统
CN110904820A (zh) * 2019-11-28 2020-03-2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分离式桥墩支座的水平约束系统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20220131866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20220140104A (ko) * 2021-04-09 2022-10-18 심윤종 걸이식 교량 점검통로 및 시공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932B1 (ko) * 2006-08-25 2007-04-13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매달기식 교량 점검대
KR101166052B1 (ko) * 2011-12-02 2012-07-19 주식회사 대호하이테크 교량 점검용 걸이식 점검대 및 그 조립방법
CN109881588A (zh) * 2019-04-10 2019-06-14 北方工业大学 桥墩调节装置及桥墩调节系统
CN109881588B (zh) * 2019-04-10 2023-11-21 北方工业大学 桥墩调节装置及桥墩调节系统
CN110904820A (zh) * 2019-11-28 2020-03-24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分离式桥墩支座的水平约束系统
KR102379541B1 (ko) 2021-03-22 2022-03-28 (주)이알코리아 매립 앵커의 위치에 따라 가변 설치되는 교량 점검시설 결속 시스템
KR20220131866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20220131867A (ko) 2021-03-22 2022-09-29 (주)이알코리아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을 통한 시공방법
KR20220140104A (ko) * 2021-04-09 2022-10-18 심윤종 걸이식 교량 점검통로 및 시공방법
KR102552931B1 (ko) 2021-04-09 2023-07-10 심윤종 걸이식 교량 점검통로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021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101275100B1 (ko) 조립식 난간
JP5746874B2 (ja) 天井構造およびブレース材と天井仕上板の固定金具
KR200441895Y1 (ko) 목재난간 조립구조
KR102168881B1 (ko) 교량 점검시설물의 보강 구조체
KR101251298B1 (ko) 폐합구조의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리본교의 시공방법
KR200409977Y1 (ko) 걸이식 교량 점검대
KR101775645B1 (ko) 교량 점검용 통로
KR102153853B1 (ko) 교량 유지 관리점검대
KR100909486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KR100595019B1 (ko) 교량점검용 고정 자켓
KR200442923Y1 (ko) 케이블 받침대
KR100719956B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KR102464479B1 (ko) 걸이식 교량 점검시설용 단일 결속수단의 사방결속브래킷
KR200419486Y1 (ko) 에어컨 실외기 설치대
KR100672103B1 (ko) 교량 점검대
CA3083974A1 (en) A pipe and a method for stay cable provided with stressing means
KR200340325Y1 (ko) 교량점검대
KR20150048993A (ko) 중공슬래브용 부력방지장치
KR200400952Y1 (ko) 교량 점검대
KR100693482B1 (ko) 조립식 교량점검대
KR20110004067U (ko) 선박용 난간 구조체
KR20060053030A (ko) 네트형 슬래브 외부 강선 보강장치 및 보강방법
JP3773652B2 (ja) 吊構造物の桁連結方法
KR100892750B1 (ko) 펜스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928

Effective date: 201212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124

Effective date: 20130726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0821

Effective date: 201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