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7153A -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7153A
KR20020097153A KR1020027008715A KR20027008715A KR20020097153A KR 20020097153 A KR20020097153 A KR 20020097153A KR 1020027008715 A KR1020027008715 A KR 1020027008715A KR 20027008715 A KR20027008715 A KR 20027008715A KR 20020097153 A KR20020097153 A KR 20020097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print cartridge
cartridge
prin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442B1 (ko
Inventor
클라인다니엘에스
산타남람
야마모토준지
첸치멩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컴퍼니(델라웨어주법인)
Publication of KR2002009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mmon Mechanism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 내의 캐리지로부터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평방향으로 탑재하고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프린트카트리지와,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의 측벽에 배치된 기다란 지지 립과, 캐리지 본체와,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캐리지상에 장착된 슈트와,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안내하기 위한 슈트의 측벽상의 대체로 수평 레일을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서, 이 장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수평방향의 전방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립을 캐리지상의 가이드 레일과 결합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가이드 레일에 의해 캐리지상의 기준점 위로 활주시키고, 그리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한다. 본 장치는, 캐리지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프린트 캐리지를 회전시키고,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풀고, 그리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의 외부로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킴으로써,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로부터 분리한다.

Description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망상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사용하는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은, 1988년 9월 13일자 베이커(Baker) 등에게 발행된 발명의 명칭 "잉크 저장 및 공급 능력이 향상된 열 잉크젯 펜 본체의 구성"의 미국 특허 제 4,771,295 호에 개시되어 있다.
프린터 내의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를 보유하고 정렬하며 또 이들 프린트 카트리지를 인쇄 구역을 통해 스캐닝 하는 캐리지의 일반적인 구조 및 동작은 공지되어 있다. 이 기술 분야에서 발행된 특허의 예는,
1988년 7월 5일자 타(Ta) 등에게 발행된 발명의 명칭 "프린트헤드 카트리지 및 캐리지 조립체"의 미국 특허 제 4,755,836 호;
1989년 10월 3일자 라스무센(Rasmussen) 등에게 발행된 발명의 명칭 "프린트헤드 캐리지 정렬 기구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의 미국 특허 제 4,872,026 호;
1990년 3월 6일자 핀커펠(Pinkerpell)에게 발행된 발명의 명칭 "프린트헤드-캐리지 정렬 및 전기 접속 고정 기구"의 미국 특허 제 4,907,018 호;
1995년 2월 21일자 로즈(Rhoads)에게 발행된 발명의 명칭 "잉크젯 프린트 캐리지용 스프링 카트리지 클램프"의 미국 특허 제 5,392,063 호가 있다.
종래의 프린트 카트리지는 수직으로 또는 가파른 비스듬한 활모양 동작으로 탑재되고 또 빼내도록 설계되었다. 그러한 캐리지는, 프린터에 대한 수직방향의 접근이 제공되는 한 만족스러운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프린터의 상부에 아무것도 영구적으로 쌓아놓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종래의 상부 탑재형(top-loading) 잉크젯 프린터의 설계는 프린터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는 추세에 있으므로, 각각의 새로운 프린터의 설계에 있어서는 제품의 윤곽이 점점 더 커진다.
부가하여, 최종 사용자는 오락 센터에 쌓거나 또는 거실에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프린터를 원화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은 평탄한 상부 및 하부 벽을 갖는 프린트로서, 모든 제어 및 상태 표시기가 전방 벽에 있는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이며, 그것의 크기는 종래의 스테레오 증폭기 또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와 거의 동일하다. 다시 말해서, 이것은 전체의 높이가 4인치(10.16㎝)미만인 수평방향으로 탑재 가능한 잉크젯 프린터이다.
그러한 요건은 수많은 설계상의 도전을 초래하였다. 첫째, 현재의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거의 전체의 현존하는 기준 구조체는 수직 설치용으로 또는 거의 수직 설치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지금까지는 전방 또는 수평 탑재방식은, 현존하는 기준 구조체가 사용되는 경우 프린트 카트리지가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위치설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았다. 둘째, 프론트 로딩식 프린터상에서, 카트리지의 설치중에 사용자에게 이용가능한 가시 영역은 극히 제한되어 있다. 사용자는 카트리지 중 적은 부분과 탑재 과정 중 적은 부분만을 볼 수 있다. 셋째, 캐리지에 대한 물리적 접근은 보다 제한된다. 넷째, 다수의 프린트 캐리지가 사용되는 경우, 그들은 서로 가깝게 배치되어야 하므로, 그들의 파지면 중 많은 부분을 프린터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빼내는데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많은 상이한 캐리지의 구조가 존재하지만, 전방 탑재식이고, 적층 가능하며, 높이가 낮은 잉크젯 프린터를 설계하는 데는 많은 도전이 있다.
발명의 요약
포괄적인 용어로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와, 프린트 카트리지의 측벽에 배치된 기다란 지지 립(lip)과, 캐리지 본체와,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캐리지에 장착된 슈트와,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안내하기 위한 슈트의 측벽상의 대체로 수평의 레일을 포함한다.
동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수평방향으로 전방으로 평행 이동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립을 캐리지상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가이드 레일에 의해 캐리지상의 기준점 위로 활주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탑재한다. 본 장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로부터 분리시키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의 외부로 평행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로부터 빼낸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대체로 잉크젯 프린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내부의 부품 및 하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각각 2000년 1월 5일자로 동시에 출원된 하기의 동시 계류중인 실용 특허 출원과 관련이 있다. 그러한 출원의 각각은, 산타남 램(Santhanam Ram) 등이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용 통기장치"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2263-1)와, 산타남 램 등이 "낮은 형상의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2259-1)와, 야마모토 준지(Yamamoto Junji) 등이 "캐리지로부터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평방향으로 탑재 및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2264-1)와, 벡커 리챠드 에이(Becker Richard A.) 등이 "보편적 본체 구조를 갖는 잉크젯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기술"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2320-1)과, 산타남 램 등이 "소형 요소 잉크젯 카트리지를 대형 요소 카트리지용의 사이즈로 된 캐리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하는 기술"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2260-1)과, 오스무스 엠(Osmus M) 등이 "2롤러 2모터 용지 반송 시스템을 갖는 프린터"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001157-1)와, 레옹 엔지켕(Leong Ng Keng)이 "높이가 낮은 잉크젯 서비스 스테이션"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제 10001167-1)와, 셰퍼드 매트(Shepherd Matt) 등이 "잉크젯 프린터 카트리지를 추진하는 신규한 방법"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제 10001164-1)와, 산타남 램 등이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001462-1)와, 산타남 램 등이 "키로 고정된 프린트헤드에 대한 다수의 비트 행렬 형태"의 명칭으로 출원한 일련 번호 제 _ 호(변리사 사건 번호 10991277-1)이며, 상기 특허 출원의 전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한 잉크젯 프린터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잉크젯 프린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우측면도,
도 4는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배면도,
도 5는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좌측면도,
도 7은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배면도,
도 8은 도 2의 프린트 카트리지의 평면도,
도 9는 도 1의 잉크젯 프린터의 캐리지 및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의 부분 절단 사시도,
도 10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의, 도 9의 캐리지의 10-10 선을 따라 절단한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캐리지의 래치 스프링의 사시도,
도 12 및 13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의, 도 9의 캐리지의 정면도,
도 14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의, 도 9의 캐리지의 배면도,
도 15 내지 도 21은 도 9의 10-10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 측면도로서, 캐리지로부터 도 2의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평방향으로 탑재하고 빼내는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면에 설명의 목적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론트 로딩 방식의 적층 가능한 낮은 높이의 잉크젯 프린터로 구체화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간단하고 저렴한 해결책의 자명한 동작을 제공하며, 제작시에 프린트 카트리지로부터 기준점 구조체를 용이하게 지레비로 설정한다.
프린터
도 1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114)는 대체로 프론트 로딩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부분적으로 절단된 잉크젯 프린터를 나타낸다. 프린터는 케이스 부분(115) 및섀시상에 장착된 직류 구동 모터(116)를 포함한다. 모터(116)의 샤프트상에는 풀리(117)가 장착되어 있고, 이 풀리는 구동 모터의 방향이 역전됨에 따라 벨트(118)를 전 후방으로 구동시킨다. 구동 벨트(118)는 횡방향의 전후 좌우로 스캐닝하는 캐리지(119)에 부착되어 있다. 이 캐리지(119)는 나란히 부착된 2개의 열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11, 11')를 수용하고 있다. 프린트 카트리지(11)는 흑색 잉크를 수용하고, 프린트 카트리지(11')는 심홍색, 황색, 및 청록색 잉크를 수용한 3개의 잉크 챔버를 구비한다. 캐리지의 수평방향 스캐닝 동작은 슬라이드 로드(121)에 의해 안내된다. 캐리지(119)의 후방에는 인코더(encoder)(도시 안됨)가 배치되며, 이 인코더는 프린터 내의 전기 회로에 의해 캐리지(119)를 그것의 스캐닝 경로를 따라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코더 스트립(122)을 판독한다. 프린터(114)가 한 장의 매체를 인쇄한 후에, 매체는 핸들(123)이 장착된 출력 트레이 내로 방출된다.
프린트 카트리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1)은 프린터용의 낮은 윤곽의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를 포괄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낮은 윤곽의 카트리지(11)는 프린터(114)를 종래의 것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고 협소하게 하는 가능하게 하면서도, 카트리지(11)내의 비교적 높은 잉크 수용 용량을 유지한다. 카트리지(11) 및 프린터(114)는 카트리지(11)의 수평방향 탑재를 허용하기에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서, 카트리지(11)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프린터(114)의 상부에 전자부품 및 기타 물품을 쌓아 올려두는 것이 허용된다. 인쇄 시스템을 적층 가능하고 낮게 제조하는 것에 의해서, 그러한 인쇄 시스템을 불가피한 적층성 및 공간 제약을 갖는 가정용 인쇄 기구 등의 새로운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제작용으로 실제로 계획된 실시예에서, 프린트 카트리지의 높이는 약 47㎜이고, 프린터의 높이는 4인치(10.16㎝) 미만이며, 카트리지는 적어도 17 ㎤(17cc)의 잉크를 수용한다.
프린트 카트리지는 전방 벽(24), 좌측 벽(25), 우측 벽(26), 및 후방 벽(27)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를 포함한다. 낮은 윤곽의 본체(12)는 벽에 의해 규정되는 3개의 직교 축을 갖는다. 이 직교 축은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주축 또는 연장 축(깊이)을 포함한다. 이러한 긴 치수는 카트리지가 다량의 잉크를 저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인쇄 시스템의 높이(카트리지의 높이에 의해 영향을 받음) 또는 시스템의 폭(좌측 벽과 우측벽 사이의 간격에 의해 영향을 받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카트리지(11)는 도 2에서 참조번호(28)로 포괄적으로 표시된 사용자 또는 후방 부분을 갖는다. 이러한 사용자 부분(28)은 사용자가 카트리지(11)를 인쇄 시스템내에 설치하는 동안 잡거나 쥐도록 의도된 후방 벽(27)을 포함한다. 사용자 부분은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사용자에게 친숙한 인간공학적 형상[파지 형상부(35) 등]을 포함한다.
카트리지(11)는 전방 벽(24)을 구비한 전기 접속부 또는 전방 부분(30)(도 2, 5, 및 7 참조)을 포함하며, 이 전기 접속부는 카트리지(11)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인쇄 시스템으로부터의 전기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회로(33) 위에 배치된 다수의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이들 접점은, 사용자가 예컨대 지문으로 회로(33)상의 접점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가능한 한 사용자 부분(28)으로부터 멀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의 연장 축이 이러한 특성을 향상시킨다.
카트리지(11)는 후방 벽(27)과 전방 벽(24) 사이에 접속 관계로 위치한 상부 벽(31)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벽(31)은 뚜껑이다. 이 상부 벽(31)은 측벽, 전방 벽, 및 후방 벽의 옆과,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를 각각 접합한다. 상부 벽상에는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래치 형상부(50)가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는 다양한 색상, 즉 청록색, 심홍색, 및 황색의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3개의 잉크 챔버를 수용하고 있다. 잉크 챔버는 망상 폴리우레탄 발포체로 충전되어 있다. 이 발포체는 프린트 헤드(15)(도 7 참조)에서 잉크의 배압을 유지하도록 압축되어 있다. 각 챔버의 바닥에는, 입자가 노즐을 막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종래의 구성의 스탠드 파이프 및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카트리지(11)의 제 2 실시예는 흑색 잉크를 저장하는 단일의 챔버를 수용한다.
또한,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는 이 본체에 초음파 용접된 노우즈 부분(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노우즈 부분은 잉크 챔버 중 하나의 스탠드 파이프에 각각 접속된 3개의 채널을 포함한다. 이 채널은 챔버로부터의 잉크를 프린트 헤드(15)상의 3열의 노즐(16)(도 7 참조) 중 하나로 이송한다. 도 3 및 6에서, 노우즈 부분(14)상에는 X축 기준점(18) 및 Z축 기준점(20)이 각각 위치한다. 이들기준점은 지지 점이고, 제작시에 프린트 카트리지로부터 용이하게 지레 비로 설정된다. Y축 기준점(19)(도 2)은 프린트 카트리지의 전방 벽(24)이고, 이것은 정지점이다. X 및 Z 기준점은 캐리지(119)(도 9)상의 대응 기준점(152, 154)(도 12 및 13)과 정합하고,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캐리지 내의 프린트 카트리지(11)를 정렬한다.
도 2, 3, 및 6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22)는 프린트 카트리지(11)를 프린트로부터 제거할 때 파지 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2개의 융기부(rib)를 나타낸다. 각 융기부는,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의 측벽(25, 26)과 후방 벽(27) 사이의 공통 가장자리를 따라서 측벽(25, 26) 중 하나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도 2, 3, 4, 5, 및 6을 참조하면, 참조번호(29)는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의 2개의 측벽(25, 26) 및 후방 벽(27)상에 배치된 기다란 지지 립(lip)을 나타낸다. 이 립은 하기에 상세히 설명하는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와 리드(31)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측벽(25, 26)상에 배치된 립(29)의 일 부분(도 4 및 5 참조)은, 프린터에 탑재하고 그로부터 빼내는 동안 프린트 카트리지를 지지하고 안내한다. 립의 이 부분은 프린터의 캐리지(119)상의 한 쌍의 대응하는 가이드 레일(140)(도 10, 12, 및 13) 또는 탑재 램프(ramp)(119)에 결합한다.
또한,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상에 통상의 구조의 가요 회로(flex circuit)(33)가 배치되어 있다(도 2 및 5 참조). 이 가요 회로는 프린터와 프린트 헤드(15)(도 7) 사이의 전기적 상호접속을 제공하며, 인쇄하는 동안 적절한 발사 저항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35)는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뚜껑(31)과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의 측벽(25, 26) 사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다수의 파지 홈을 나타낸다. 일단 프린트 카트리지가 캐리지로부터 제거되면, 이 파지 홈은 프린터로부터 인쇄 카트리지를 제거하는 것에서 프린트 카트리지(11)상의 파지 표면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또한, 파지 홈은 관련된 프린트 카트리지가 캐리지로부터 해제되었다는 임의의 인접한 프린트 카트리지에 대한 시각적 표시로서의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31)은 평탄한 외측면을 갖는 뚜껑을 포괄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이 뚜껑의 외측면의 평면은 지지 립(29)에 평행하다. 이 뚜껑(31)은 측벽(25, 26), 전방 벽(24), 및 후방 벽(27)의 가장자리를 따라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에 초음파 용접되어 있다. 뚜껑은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 내부의 잉크 저장용기 챔버 안의 잉크를 밀봉한다. 또한, 뚜껑은 대기압의 공기를 잉크 저장용기 챔버의 각각에 유입시키는 3개의 통기구(40)(도 2 및 도 8)를 포함한다.
이 뚜껑(31) 위에는 후방 벽(27)과 뚜껑 사이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위치에 버튼형 구조체(42)(도 2 및 도 8)가 배치되어 있다. 인쇄 카트리지(11)의 평면도(도 8)에서, 이 구조체는 타원 형상을 갖는다. 배면도(도 4)에서, 이 구조체는 원형 형상의 외측 개구를 갖는다. 측면도(도 3 및 6)에서, 이 구조체는 현의 형상을 갖는다. 이 구조체의 중앙은 뚜껑(31)의 외측 표면과 수평이고, 다수의 홈(44)을 포함한다. 이 홈은 사용자의 파지 표면의 역할을 한다. 이 구조체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하방으로 눌러 프린터의 캐리지로부터 카트리지를 빼내기 위한 장소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이러한 특유한 형상을 갖는다. 그러한 하방 운동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가 캐리지(119)(도 9)상의 래치 스프링(148)(도 11)으로부터 해제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참조번호(48)은, 뚜껑(31)의 상부면상에 배치되고 또 뚜껑(31)과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12)의 전방벽(24) 사이의 가장자리로부터 멀리 이동해 있는 섬(island)을 나타낸다. 이 섬(48)은 프린터 캐리지 내부의 프린트 카트리지(11)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5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3 및 6을 참조하면, 래치(50)는 뚜껑(31) 위에 배치되지만 전방 벽(24) 위에는 배치되지 않으므로, 새로운 공구를 필요로 함이 없이 현존의 실비로 프린트 카트리지를 조립할 수 있다. 도 2, 3 및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는 래치 램프(51) 및 래치 벽(52)으로 형성된 3각형 단면을 갖는다. 래치 램프(51)는 3가지 기능을 갖는다. 즉, 프린트 카트리지(11)를 프린터에 설치할 때 사용자가 가해야 하는 설치 또는 잠그는 힘을 점차 증가시키고, 설치하는 동안 래치 스프링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며, 그리고 프린트 카트리지가 캐리지에 정확히 안착될 때까지 프린트 카트리지(11)를 프린터의 외부로 연속적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은 프린트 카트리지의 "부정확한 잠금"을 방지한다. 래치 벽(52)은 뚜껑(31)의 오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프린트 카트리지가 프린터의 캐리지에 정확하게 안착될 때 래치 스프링에 결합하는 표면이다.
섬(48)(도 8 참조)은 래치 벽(52)의 후방에 배치된 래치 벽(54)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래치 벽은 프린터의 사용 수명중에 일정한 잠그는 힘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바와 같이 래치 스프링(148)(도 11)을 뚜껑의 외측면의 아래로 이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뚜껑(31) 내의 완화 구역이다. 또한, 섬(48)은 프린트 카트리지(11)를 프린터에 결합시키는 래치(50)의 양측에 배치된 2세트의 키(56)를 구비한다.
전술한 프린트 카트리지는 3개의 잉크 저장용기 및 3개의 통기구(40)를 포함하지만(도 2 및 8), 하나 이상의 통기구를 갖는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린트 카트리지용으로 계획된 프린터(114)(도 1)에서, 흑색 잉크만을 수용한 하나의 저장용기를 구비한 하나의 프린트 카트리지(11)가 3원색을 수용한 3개의 저장용기를 구비한 제 2 프린트 카트리지(11')에 인접하게 설치될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뚜껑(31)을 필요로 하지 않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를 밀봉하는 적절한 통기구를 갖는 상부 벽만을 필요로 할 것이다.
캐리지
도 9에서 "X"축은 도 1의 슬라이드 로드(121)의 종축과 평행하다. "Y" 축은 후방으로 또 도 1의 프린터(114)의 내부를 향하며, 인쇄 구역을 통과하는 종이의 경로에 대해 역방향이다. "Z" 축은 수직 상향을 향하고 있다.
이제 특히 도 9 및 도 14를 참조하면, 캐리지(119)는 구조체를 지지하는 캐리지 베이스(26)를 구비한다. 이 캐리지 베이스는 그것의 말단에 배치된 2개의 "C" 자형 아치 지지부(128)를 구비한다. 이들 아치 지지부는 지지면을 제공하며 도 1의 슬라이드 로드(121)에 결합한다.
도 9, 12, 및 13을 참조하면, 캐리지(119)는 2개의 슈트(131)를 구비한다. 이 슈트의 각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120)를 수용하고 유지하며 정렬한다. 2개의 슈트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작동하므로, 간결함을 위해 좌측 슈트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슈트(131)는 좌측 측벽(133), 우측 측벽(134), 및 후방 또는 말단 벽(135)을 구비한다. 슈트의 후방 벽(135)상에는 오목한 접촉 패드(1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촉 패드는 탄성중합체 지지체를 구비하며 프린트 카트리지(11)상의 가요 회로(33)(도 2)상의 대응 접점에 대해 가압되는 전기 접점을 수용하고 있다. 이런 방법으로, 프린터(114)는 프린트 카트리지와 전기 접촉을 형성하며, 인쇄하는 동안 발사 저항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열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 및 캐리지용의 오목한 접촉 패드는 1987년 11월 10일자로 하몬(1Harmon)에게 "가요성 상호접속 회로용의 대략 선형 스프링 접속 구조체"의 명칭으로 발행된 미국 특허 제 4,706,09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0, 12, 및 13의 오목한 접촉 패드(137)는 캐리지 베이스(126)상에 배치된 6개의 핀(142, 43)에 의해 각 슈트(131)의 후방 벽(135)에 대해 적소에 유지되어 있다. 핀(142)은 오목한 접촉 패드를 캐리지(119)에 좌우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배치한다. 나머지 5개의 핀은 접촉 패드가 중앙 핀(14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촉 패드에 임의의 응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 12, 및 13을 참조하면, 슈트(131)의 각 측벽(133, 134)상에는 가이드 레일(14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레일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프린터(114)에설치하고 또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안내 형상을 갖는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각 가이드 레일은 대체로 수평의 만곡된 활모양이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 "Y" 방향으로 약간 위로 경사져 있다. 가이드 레일(140)은 프린트 카트리지(11)(도 2)의 측벽(25, 26)상에 배치된 립(1ip)(29)(도 2 및 3)의 바닥에 결합한다.
또한, 도 12 및 13에 도시된 슈트(131) 내의 가이드 레일(140)은 많은 기능을 한다. 첫째, 레일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최초로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표적으로서 작용한다. 이 레일은 프린트 카트리지(11)를 캐리지(119)(도 1) 내에 설치하는 것을 돕는다. 도 1의 캐리지는 사용자가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도록 도시되어 있다. 둘째, 일단 프린트 카트리지가 가이드 레일상에 안착되고 사용자가 프린트 카트리지를 전방으로 밀어 넣으면, 레일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제 1 및 제 2 캐리지 기준점(datums)(152, 154)(도 12, 13, 14) 위로 안내한다. 셋째, 사용자가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로부터 풀 때, 가이드 레일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카트리지의 회전을 제한하여 프린터의 외부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각 슈트(131)의 우측벽(134)에는 캔틸레버 스프링(14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146)은 수평의 주축을 갖는다. 캔틸레버 스프링은, 이하 상세히 설명하는 캐리지상의 제 1 기준점(152)(도 13 및 14)에 대해서 프린트 카트리지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 "X" 방향으로 수평으로 편향시키거나 또는 가압한다.
도 9 내지 13에서, 참조 번호(148)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축을 따라 도 1의 잉크젯 프린터(114)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수평 탭을 갖는 래치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스프링은 프린터의 높이를 낮게 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배향된다. 래치 스프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카트리지의 뚜껑(31) 내로 성형된 래치(50)(도 2)에 결합된다. 각 슈트(31)마다 래치 스프링이 존재하며, 이러한 래치 스프링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의 판금 부품으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이 부품은 캐리지(119)의 중앙 측벽상에 배치된 구속 핑거(150)에 부착된다. 이 구속 핑거는 "L"자 형상을 가지며, 하나의 슈트에 프린트 카트리지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기계적 변형이 옆쪽의 슈트내의 프린트 카트리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면, 슈트(131)의 하부에서 좌측벽(133)의 내측에 제 1 기준점(152)이 배치되어 있다. 프린트 캐리지상의 대응하는 기준점(18, 20)은 슈트(131)의 우측벽(134)내의 캔틸레버 스프링(146)에 의해 슈트 내의 제 1 기준점(152)에 대해 가압된다. 슈트(131)의 하부에서 우측벽(134)의 내측에는 제 1 기준점(152)과 정반대 방향의 캐리지(119)의 제 2 기준점(152)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기준점(154)(도 12 및14)은 도 3에 도시된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대응 기준점(18, 20)에 결합한다. 오목한 접촉 패드(137) 위의 슈트(131)의 후방 벽(135)에 단일의 제 3 기준점(5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제 3 기준점은 "X" 축을 중심으로 하는 프린트 캐리지의 회전을 공지의 지점으로 지정한다.
전반적인 논의--캐리지 및 프린트 카트리지의 접촉면
도면들, 특히 도 15 내지 21을 참조하면, 프린트 카트리지(11)는 주로 수평방향 동작에 의해 캐리지(11)를 인쇄 시스템의 수용 포켓 또는 슈트 내로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접촉면 형상부를 갖는 낮은 윤곽의 본체를 구비한다.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의 낮은 윤곽의 형상부는 설치 방향(158)과 본질적으로 정렬된(또는 도 9의 y 축을 따라) 주축을 갖는 본체를 의미한다. 이것은,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의 전체 높이(도 9의 y 축을 따라)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 캐리지(119) 및 프린터(114)의 전체 높이를 감소시킨다. 특히, 프린트 카트리지의 높이는 약 47㎜ 미만으로 유지된다. 또한, 낮은 윤곽의 형상은 캐리지(119)의 폭(도 9의 x 축을 따라)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고, 그에 따라 전체의 프린터(114)의 폭을 감소시킨다.
기계적 접촉면 형상부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도 15의 참조 번호(158)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슈트 또는 수용 포켓(131)내에 설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프린터(114)의 "적재성"을 가능하게 한다. 즉, 보조 전자장치 등의 다른 장치를 프린터(114)의 상부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것에 의해, 인쇄 시스템(114)을 종래의 프린터 또는 인쇄시스템에 비해서 더 많은 소비자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기계적 형상부는 래치(50), 기준점(18, 20), 립(29) 및/또는 수용 슈트(131)의 개응 형상부에 결합하는 다른 형상부를 포함한다. 기계적 접촉면 형상부의 보다 세부 설명은 "수평방향 탑재" 및 "제거"라는 명칭의 난에서 하기에 설명할 것이다.
수평방향 탑재
도 15을 참조하면, 프린트 카트리지(11)를 캐리지(119)에 탑재하기 위해서, 최종 사용자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동작 화살표(15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를 향해 수평방향의 전방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캐리지의 시계가 프린터의 하우징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도 12 및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140)이 최종 사용자의 표적으로서 작용한다.
프린트 카트리지(11)(도 16)는 그의 측벽(25, 26)의 각각에 립(29)을 구비한다. 이들 립의 아래쪽이 접촉점(160)(도 16)에서 가이드 레일(140)에 일차로 접촉한다. 최종 사용자가 각 측면상의 립을 슈트(131)의 가이드 레일상에 배치한 다음, 가이드 레일은 카트리지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한다. 이 지점에서는 캐리지(119)의 수직 벽과 카트리지(11)의 수직 벽 사이의 접촉이 존재하지 않는다. 최종 사용자는 카트리지를 동작 화살표(159)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전방으로 계속 평행 이동시킨다.
도 9에 도시된 프린트 카트리지(11)를 참조하면, "X" 축을 중심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의 플러스 또는 우회전은, 물체의 동작을 설명하는 통상의 해상 및 항공 관례에 따라 "피칭 업(pitching up)"으로 규정한다. 마찬가지로, "X"축을 중심으로 하는 프린트 카트리지의 마이너스 또는 좌회전은 "피칭 다운(pitching down)"으로 규정한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각 가이드 레일(140)은 대체로 수평의 만곡된 활모양이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스 "Y" 방향으로 약간 위쪽으로 경사져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최종 사용자가 가이드 레일의 형상 및 프린트 카트리지(11)를 동작 화살표(16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추가로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면, 프린트 카트리지(11)는 동작 화살표(164)로 표시한 바와 같이 피치 업되고, 그리고 동작 화살표(163)로 표시한 바와 같이 수직 상향으로 평행 이동하게 된다. 프린트 카트리지(11)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방으로 활주함에 따라, 동작 화살표(162, 163, 164)로 표시된 이들 3개의 동작에 의해, 프린터 카트리지(11)상의 기준점(18, 20)이 캐리지(119)의 하부의 제 1 및 제 2 기준점(152, 154) 위로 인도된다.
프린트 카트리지의 상부 벽(31)상의 래치(50)가 참조 번호(166)로 도시된 접촉점에서 캐리지(119)상의 래치 스프링(148)에 접촉할 때까지, 도 17에 도시된 프린트 카트리지(11)의 동작은 계속된다. 래치 스프링은 프린트 카트리지를 동작 화살표(16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수직 하방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그 다음, 프린트 카트리지(11)상의 기준점(18, 20)이 캐리지(119)상의 제 1 및 제 2 기준점(152, 154)에 접촉한다. 이 지점에서, 기준점은 아직 안착되지 않으며, 단지 접촉하기만 한다. 그 다음, 프린트 카트리지(11)는, 기준점 사이의 접촉과 또 래치(50)와 래치 스프링(148)의 형상에 의해, 동작 화살표(167)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요동한다.
프린트 카트리지(11)상의 기준점(18, 20) 및 캐리지(119)상의 기준점(152, 154)이 정위치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그리고 래치 스프링(148)이 래치(50)상에 안착될 때까지, 도 18에 도시된 프린트 카트리지의 동작이 계속된다. 프린트 카트리지의 추가의 하향 요동은, 슈트(131)의 후방 벽(135)과, 오목한 접촉 패드(137) 후방의 탄성중합체와, 제 3 기준점(156)(도 12)에 의해 억제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카트리지(11)는 이 지점에서 캐리지(119)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러한 잠금 또는 결합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래치 스프링(148)이 프린트 카트리지를 프린트의 외부로 계속 가압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 형상부는 쌍으로 되어 있고 부정확한 잠금을 방지한다.
분리
도 20을 참조하면, 캐리지(119)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11)를 분리하기 위해서, 최종 사용자는 프린트 카트리지의 후방에서 상부 벽 또는 뚜껑(31)에 하향의 힘을 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카트리지는 캐리지(119)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이러한 하향의 힘은 뚜껑 위의 버튼형 형상부(42)상에 가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하향의 힘은 동작 화살표(171)로 표시된 하향 운동을 야기시키며, 그리고 프린트 카트리지(11)상의 기준점(18, 20)이 캐리지(119)상의 제 1 및 제 2 고정점(152, 154)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프린트 카트리지는 동작 화살표(17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위로 요동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50)가 래치 스프링(148)으로부터 분리될 때까지, 동작 화살표(171)로 표시된 하향 운동 및 동작 화살표(172)로 표시된 상향 요동 운동은 계속된다. 가이드 레일(140)은 프린트 캐리지(11)상의 립(29)에 결합하고 상향 요동 운동을 제한하여, 프린트 카트리지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거나 프린터의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한다.
도 9, 19, 및 20의 비교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할 때, 분리된 프린트 카트리지의 상측 후방 모서리(174)가 인접한 고정된 프린트 카트리지의 후방 벽(27)을 지나 돌출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분리된 카트리지는 고정된 프린트 카트리지에 비해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부는 최종 사용자에게 분리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고, 또한 최종 사용자에 대해 파지면을 제공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프린트 카트리지(119)를 분리하지만 캐리지(119) 내에 여전히 남아있게 한 후에, 최종 사용자는 파지면(174)을 쥐고 프린트 카트리지를 동작 화살표(176)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의 외부로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설명하고 도시한 특정 형태 또는 부품의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3)

  1.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a) 제 1 및 제 2 측벽,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와,
    b) 평탄한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부착되는 상부 벽과,
    c)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제 1 측벽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벽의 평탄한 외측면에 대해 평행한 기다란 지지 립과,
    d) 캐리지 본체와,
    e) 프린트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해 캐리지 본체상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측벽과 단부 벽을 갖는 슈트와,
    f)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지지 립에 결합하고 또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를 상기 캐리지 내로 안내하기 위한 슈트의 제 1 측벽상의 대체로 수평 레일을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레일은 활모양인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레일은 상측으로 약간 경사진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의 제 2 측벽에 배치된 기다란 제 2 지지 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 립 또한 상기 상부 벽의 평탄한 외측면에 대해 평행하고, 그리고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제 2 지지 립에 결합되고 또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안내하기 위한 상기 슈트의 제 2 측벽상의 대체로 수평의 제 2 레일을 더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캐리지의 상부 벽에 배치된 래치와, 상기 캐리지에 장착된 캔틸레버 래치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캔틸레버 래치 스프링은,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가 캐리지 내에 완전히 수용될 때 래치가 래치 스프링에 의해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대체로 수평의 탭을 구비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은 평탄한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 벽의 외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래치 벽에 이르는 래치 램프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장치.
  7.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로 수평방향의 전방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 및 상기 캐리지의 양자는 서로 정렬하기 위한 대응 기준점을 갖는, 이동 단계와,
    b)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상의 립을 캐리지상의 가이드 레일에 결합시키는 단계와,
    c)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를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캐리지상의 기준점 위로 활주 시키는 단계와,
    d)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잠그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의 평행이동 단계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를 위로 요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방향의 평행이동 단계는 래치 스프링에 의해 프린트 카트리지를 아래로 요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프린트 카트리지를 아래로 요동시키는 단계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위로 요동시키는 상기 단계 후에 수행되는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 방법.
  11.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캐리지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프린트 카트리지를 회전시키는 단계와,
    b)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푸는 단계와,
    c) 상기 푸는 단계 후에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의 외부로 수평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카트리지는 캐리지로부터 노출됨과 아울러 그 내부에 수용되는 부분을 가지며, 상기 회전 단계는 프린트 카트리지의 노출된 부분에 하방으로 수동으로 힘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캐리지 내의 프린트 카트리지를 위로 요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캐리지상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상기 회전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캐리지로부터 프린트 카트리지를 분리하는 방법.
  15.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에 있어서,
    수평으로 삽입 가능한 낮은 윤곽의 프린트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으로 삽입 가능한 것은, 주로 수평 이동에 의해 수용 포켓 내에 완전한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적 형상부를 갖는 것으로서 규정되고, 상기 낮은 윤곽은 수평 이동에 의해 정렬되는 주요한 치수의 축을 갖는 것으로서 규정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포켓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형상부는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는 립을 포함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포켓은 캐리지 래치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린트 캐리지 본체는 상기 캐리지 래치 형상부에 결합하기 위한 대응하는 래치 형상부를 구비한 상부 벽을 포함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형상부는 상기 상부 벽의 연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형상부는 캐리지상의 기준점을 중심으로 한 프린트 캐리지의 회전과, 캐리지로부터의 프린트 캐리지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20.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에 있어서,
    카트리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낮은 윤곽의 인쇄 시스템을 가능하게 하도록 캐리지 수용 포켓 내로의 카트리지 본체의 설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주축을 갖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본체는, 인쇄 시스템 내로의 카트리지의 설치시에 카트리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전방 벽과, 상기 전방 벽의 반대쪽에 위치하고 설치하는 동안 사용자가 잡는 후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주축은 상기 전방 벽과 상기 후방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에 뻗어 있고 그리고 그 위에 배치된 래치 형상부를 구비한 상부 벽을 더 포함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과 후방 벽을 접합하고 그리고 그 위의 래치 형상부를 구비한상부 벽을 더 포함하는
    캐리지 수용 포켓 내에 삽입 가능한 프린트 카트리지.
KR1020027008715A 2000-01-05 2000-11-30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장치 및 방법 KR1007114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77,649 2000-01-05
US09/477,649 US6296345B1 (en) 2000-01-05 2000-01-05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7153A true KR20020097153A (ko) 2002-12-31
KR100711442B1 KR100711442B1 (ko) 2007-04-24

Family

ID=23896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715A KR100711442B1 (ko) 2000-01-05 2000-11-30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296345B1 (ko)
EP (2) EP1488930A3 (ko)
JP (1) JP3586449B2 (ko)
KR (1) KR100711442B1 (ko)
CN (1) CN1289300C (ko)
AR (1) AR026803A1 (ko)
AU (1) AU760980B2 (ko)
BR (1) BR0016994A (ko)
CA (1) CA2396358C (ko)
DE (1) DE60025947T2 (ko)
ES (1) ES2253277T3 (ko)
MX (1) MXPA02006689A (ko)
PL (1) PL195727B1 (ko)
RU (1) RU2243100C2 (ko)
TW (1) TW528683B (ko)
WO (1) WO200104949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5662B2 (en) * 2000-01-05 2002-08-20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 cartridge, ink-jet printer, method and apparatus
US6290346B1 (en) * 2000-01-05 2001-09-18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e bit matrix configuration for key-latched printheads
US6296345B1 (en) * 2000-01-05 2001-10-0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US6634746B2 (en) * 2000-03-02 2003-10-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6644780B2 (en) 2001-03-24 2003-11-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rriage with clamping device for reliable mounting of printheads
US6637863B2 (en) * 2001-04-09 2003-10-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latching system
US6948798B2 (en) * 2001-05-31 2005-09-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KR100406976B1 (ko) * 2002-02-25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터의 카트리지 고정장치
US6655793B2 (en) * 2002-03-26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supporting apparatus
JP2004230704A (ja) * 2003-01-30 2004-08-19 Canon Inc 液体タンク
EP2052865A1 (en) * 2003-08-08 2009-04-29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liquid container holder thereof
US20050078997A1 (en) * 2003-10-09 2005-04-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cartridge support system
US7904728B2 (en) * 2004-04-22 2011-03-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umable resource access control
US7706019B2 (en) * 2004-06-25 2010-04-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umable resource option control
US7755782B2 (en) * 2004-06-25 2010-07-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sumable resource option control
US7380904B2 (en) * 2004-07-07 2008-06-03 O'hara Steve System and method for assuring proper pen loading
CN100421953C (zh) * 2004-09-08 2008-10-01 研能科技股份有限公司 打印机构
US7438397B2 (en) * 2004-12-01 2008-10-2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purging gases from an ink reservoir
NZ562084A (en) * 2005-03-28 2009-12-24 Seiko Epson Corp Liquid cartridge, loading/unloading device of liquid cartridge, recording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4632433B2 (ja) * 2005-04-27 2011-02-16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689347B2 (ja) * 2005-05-19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590317B2 (ja) * 2005-07-04 2010-12-0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4277850B2 (ja) * 2005-11-30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リフィルユニット
US8052257B2 (en) * 2007-01-30 2011-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mbined ink family keying for an ink cartridge
US8439496B2 (en) * 2007-10-30 2013-05-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rum printer with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CN101602289B (zh) * 2008-06-13 2011-11-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墨盒固定装置
JP5772430B2 (ja) * 2011-09-15 2015-09-0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N104066588B (zh) * 2012-01-27 2016-02-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头组件基准
JP6103869B2 (ja) * 2012-09-26 2017-03-2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065684B2 (ja) * 2013-03-22 2017-0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167809B2 (ja) * 2013-09-27 2017-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931854B2 (en) * 2014-01-31 2018-04-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stalling a pen in imaging devices
JP2016187877A (ja) * 2015-03-30 2016-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6187876A (ja) * 2015-03-30 2016-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カートリッジ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CN108472959B (zh) * 2015-10-30 2020-04-2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杆
US9895916B2 (en) 2016-03-08 2018-02-20 Océ Holding B.V. Print head support assembly and inkjet printer comprising such assembly
CN108698409A (zh) * 2016-03-31 2018-10-2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打印盒安装区域
USD823387S1 (en) * 2016-08-08 2018-07-17 Dover Europe Sàrl Distance measuring guide for printer
WO2019094022A1 (en) * 2017-11-10 2019-05-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ic cartridges
WO2020005282A1 (en) 2018-06-29 2020-0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k pins for carriage assemblies of printing devices
US11884062B2 (en) 2020-04-09 2024-01-3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dia cartridge
US11548302B2 (en) * 2020-10-15 2023-01-1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dia cartridge and media processing device engagement mechanism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097A (en) 1986-04-03 1987-11-10 Hewlett Packard Company Near-linear spring connect structure for flexible interconnect circuits
US4771295B1 (en) * 1986-07-01 1995-08-01 Hewlett Packard Co Thermal ink jet pen body construction having improved ink storage and feed capability
US4872026A (en) 1987-03-11 1989-10-03 Hewlett-Packard Company Ink-jet printer with printhead carriage alignment mechanism
US4755836A (en) 1987-05-05 1988-07-05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 cartridge and carriage assembly
US4907018A (en) 1988-11-21 1990-03-06 Hewlett-Packard Company Printhead-carriage alignment and electrical interconnect lock-in mechanism
US5245361A (en) * 1988-12-29 1993-09-14 Canon Kabushiki Kaisha Mountain arrangement for positioning an ink jet recording head with integral ink tank when the head is mounted to a carriage
ATE361838T1 (de) 1989-08-05 2007-06-15 Canon Kk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und tintenkassette dafür
US5189443A (en) * 1989-09-18 1993-02-23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head having stress-minimizing construction
JPH03184873A (ja) * 1989-12-15 1991-08-12 Canon Inc 記録装置
JP3222454B2 (ja) * 1990-02-02 2001-10-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カートリッジ
EP0519457B1 (en) 1991-06-19 1997-09-03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with pressure regulation means, ink jet cartridge having said tank and recording apparatus therefor
US5561450A (en) * 1992-09-30 1996-10-01 Pitney Bowes Inc. Apparatus for mounting an ink jet cartridge on a support therefor
EP0604940B1 (en) 1992-12-28 1997-05-1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cartridge and ink tank therefor
US5392063A (en) 1993-04-30 1995-02-21 Hewlett-Packard Company Spring cartridge clamp for inkjet printer carriage
JP3332590B2 (ja) * 1993-10-29 2002-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5619239A (en) * 1993-11-29 1997-04-08 Canon Kabushiki Kaisha Replaceable ink tank
US5825388A (en) * 1994-12-27 1998-10-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jetting apparatus
JPH0924619A (ja) 1995-07-12 1997-01-28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3413052B2 (ja) * 1996-04-23 2003-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制御方法
US5949459A (en) * 1997-06-04 1999-09-07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ink container
JP3493964B2 (ja) * 1997-08-28 2004-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挿入機構
EP1466741B1 (en) * 1998-05-13 2007-08-22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US6296345B1 (en) * 2000-01-05 2001-10-02 Hewlett-Packard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53277T3 (es) 2006-06-01
AR026803A1 (es) 2003-02-26
EP1257418A2 (en) 2002-11-20
WO2001049494A2 (en) 2001-07-12
BR0016994A (pt) 2002-12-31
AU2052001A (en) 2001-07-16
US20020030718A1 (en) 2002-03-14
DE60025947D1 (de) 2006-04-20
US6471334B2 (en) 2002-10-29
KR100711442B1 (ko) 2007-04-24
JP3586449B2 (ja) 2004-11-10
CA2396358A1 (en) 2001-07-12
MXPA02006689A (es) 2002-09-30
EP1488930A2 (en) 2004-12-22
EP1488930A3 (en) 2005-06-15
JP2003519028A (ja) 2003-06-17
PL356638A1 (en) 2004-06-28
CA2396358C (en) 2010-01-26
CN1289300C (zh) 2006-12-13
CN1420821A (zh) 2003-05-28
TW528683B (en) 2003-04-21
EP1257418B1 (en) 2006-02-08
US6296345B1 (en) 2001-10-02
RU2243100C2 (ru) 2004-12-27
PL195727B1 (pl) 2007-10-31
DE60025947T2 (de) 2006-09-21
AU760980B2 (en) 2003-05-29
WO2001049494A3 (en)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442B1 (ko) 프린트 카트리지를 캐리지 내에 수평방향으로 탑재하는장치 및 방법
JP4632433B2 (ja) 記録装置
US6997548B2 (en) Tank holder, liquid tank and tank attaching and detaching method
US6435662B2 (en) Ink-jet print cartridge, ink-jet printer, method and apparatus
KR100710976B1 (ko)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
KR20020065636A (ko) 잉크젯 프린트 카트리지용의 수평방향으로 탑재 가능한캐리지
US200301693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orizontally loading and unloading an ink-jet print cartridge from a carriage
EP0650847A2 (en) A recording apparatus with an ink tank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having said recording apparatus
EP1353804B1 (en) Ink-jet printer having carriage and flexible circuit movably connected, method and apparatus
JP2005343050A (ja) インク容器、ホルダー、解除部材、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