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800A -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800A
KR20020096800A KR1020010042433A KR20010042433A KR20020096800A KR 20020096800 A KR20020096800 A KR 20020096800A KR 1020010042433 A KR1020010042433 A KR 1020010042433A KR 20010042433 A KR20010042433 A KR 20010042433A KR 20020096800 A KR20020096800 A KR 20020096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evaluation
onlin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메카
Publication of KR20020096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00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학습 평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는 회원 가입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한 후,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별 학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A SYSTEM FOR EVALUATING MEMBERS' WORK IN ON-LINE EDUCATION USING INTERNET AND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ED THEREON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 학습자에 대한 자동학습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관한 것이다.
종래의 학교 교육 시스템에서는 학교마다, 교사마다 해당 교과목에 해당하는 교재물과 교안을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왔는데, 이러한 종래의 학습 교육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과, 학생들이 학습자료를 이용함에 있어서 주어진 자료를 그대로 보고 듣는 형태로써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에의 참여욕구와 교육자의 다양한 학습 자료 제공욕구를 실현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왔다.
한편, 근래에 들어 널리 퍼지기 시작한 인터넷은 컴퓨터 통신 기술의 발전과 컴퓨터 보급의 증가와 더불어 초고속통신망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일반 가정에서도 인터넷을 일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등 그 이용 추세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오프라인상 현실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온라인 사업화가 활성화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온라인상에 학습시스템을 구축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오프라인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왔으나, 현재까지 구현되고 있는 대부분의 학습시스템은 여전히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에 구현된 학습 자료를 단순히 다운로드받아 학습하는 방법을 채택하도록 하고 있어, 오프라인상 교육과 비교하여 학습 효과가 뛰어나지 못한 것이 현실이었으며, 또한 학습자의 학습결과에 대한 아무런 후속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각 학습자에 맞는 학습 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학교 교육과 관련된 오프라인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창작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 오프라인상 학교 교육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 달성을 위한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학습 평가 시스템 과 이를 이용한 방법 그리고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한 후,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별 학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 학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자동 평가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평가 정상 분포도 및 학습자의 학점 분포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학습 평가 시스템과 자동 학습 평가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다운로드 및 온라인 학습을 위한 상기 시스템과의 정보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자 단말장치;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온라인 학습자로부터 요구된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학습한 학습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자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학습자료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학습자의 분야별 학습결과 데이터 DB에 저장시키는 학습관리 모듈; 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학습평가 관리모듈; 및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에서 산출되는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 분포도를 생성하고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하는 학습평가 통계응용 모듈;을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을 구현하며, (a)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회원 가입된 온라인 학습자로부터 요구되는 다양한 학습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제공된 학습자료를 통한 학습자별 학습결과 정보를 학습관리 모듈내 분야별 학습결과 데이터 DB내에 저장시키는 단계; (c)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로부터 학습자별 학습결과 정보를 읽어들여 각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분포도를 생성시키고,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자동학습 평가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의해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학습 평가 방법은 컴퓨터 구동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현할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이러한 사업 진행 절차와 기술적으로 동일성 영역에 포섭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각종의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라 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시스템에서 자동 학습 평가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터 시스템에서 서버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기록매체다. 이러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Rom,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는 보호받아야 할 것으로 파악하여 하기 특허청구범위에서 별도로 권리청구하고 있음을 주지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장치(100,102)는, 인터넷(104)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되어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학습 자료에 대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장치로써, 각 회원 가입자는 상기 단말장치(100,102)를 통해 상기 사업자 서버(108)에 접속한 후, 학습하고자 하는 학습자료를 실시간으로 다운로드받아 교수자와의 양방향 일대일 교육을 통해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온라인 학습 사업자 웹서버(108)는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인터넷(104)상에 구현되는 서버로써, 온라인 학습 자료의 제공 및 학습 평가를 위한 학습관리 모듈(114), 학습평가 관리모듈(118), 학습평가 통계응용 모듈(122)을 구비하여 운영한다. 이때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회원 가입한 학습자로부터의 학습자료 요구에 따라 상기 학습관리 모듈(114)을 제어하여 미리 구비된 다양한 학습용 브라우저(110)를 제공하며, 상기 회원 가입자의 학습 수행에 따른 학습결과를 분석 및 평가하여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에 구비된 학습평가 통계 DB(120)에 저장시킨 후, 학습평가 통계응용 모듈(122)을 제어하여 상기 학습평가 통계 DB(120)에 저장된 학습평가 결과 데이터에 근거한 학습자별 학점을 부여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109)는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에 의해 참조되며, 상기 시스템에 회원으로 등록된 학습자들의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회원정보 DB 등,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각종 DB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내 각 모듈에서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학습관리 모듈(114)은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에서 상기 시스템에 회원 가입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자료 콘텐츠(Contents)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로부터 제공되는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정보 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학습자의 분야별 학습결과 데이터 DB(116)에 저장시킨다. 이때 학습결과 데이터 DB(116)에는 학습자의 온라인 강의 출석여부 및 로그아웃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강의 수강 관리 DB와, 학과별 시험시행에 따른 학습자별 시험 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테스트관리 DB와, 과제물 제출에 따른 학습자별 과제물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물 관리 DB와,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토론실에 대한 학습자별 토론 참여시간 및 발표 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토론관리 DB 등이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결과 데이터 DB의 설명에 있어서는 자동 학습 평가를 위해 강의 출석여부, 과제물, 토론참여, 시험 등과 같은 4가지 항목의 DB를 구비하는 것을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116)는 보다 정밀한 학습결과 데이터의 산출을 위해 보다 다양한 항목의 DB를 추가로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다음으로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은 상기 학습관리 모듈(114)내 학습결과 데이터 DB(116)에 저장된 각 학습자의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평가 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즉,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은 상기 학습관리 모듈(114)의 학습결과 데이터 DB(116)에 저장된 학습자별 과제물 제출 내용정보, 토론 참여시간 및 발표 내용 정보, 시험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 온라인 강의 출석시간 정보 등을 근거로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한 후, 이를 학습평가 통계 DB(120)에 저장하여 후술될 학습평가 통계 응용모듈(122)에 의해 참조되도록 한다. 그러면 학습평가 통계응용모듈(122)은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에서 산출되는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 분포도를 생성하고,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한다. 따라서 학습자별 온라인 학습 수행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의 서버 제어부(204)는 인터넷(104)상 다수의 학습자 단말장치(100,102)와의 통신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 및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학습관리 모듈(114), 학습평가 관리모듈(118), 학습평가 통계응용모듈(122)을 통해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 회원 가입한 학습자들의 학습결과에 따른 평가정보가 자동 산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의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버 제어부(204)는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에 구비되는 이메일(e-mail) 서비스를 위한 메일서버(200)와, 외부로부터의 해킹을 방지하기 위한 방화벽 서버(106)의 동작을 제어한다. 롬(ROM:Read Only Memory)(206)은 상기 서버 제어부(204)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운영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상기 운영 프로그램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램(RAM:Random Access Memory)(208)은 상기 서버 제어부(204)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네트웍 인터페이스부(202)는 상기 온라인 시스템에 접속하는 다수의 학습자 단말장치(100,102)간에 인터넷(104)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학습 평가 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항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각종 학습 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하고자 하는 학습자는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다음, PC 등과 같이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장치(100,102)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의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상기 도 3의 (S300)단계에서 상기 학습자의 접속을 인식하고 시스템 접속을 위한 회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Password)의 입력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하여 자신의 회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시키게 되며, 이때 만일 아직 상기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지 않은 학습자는 상기 시스템의 웹페이지 화면에 구비된 회원 가입 신청메뉴를 선택하여 회원 가입 순서에 따라 차례로 요구되는 회원 정보를 입력시켜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02)단계에서 상기 학습자로부터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고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109)내 회원정보 DB를 참조하여 상기 학습자가 등록된 회원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상기 학습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가 등록된 회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로 판정되는 경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04)단계에서 (S306)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회원 정보 DB를 검색하여 상기 인증된 학습자의 회원정보 및 온라인 학습 구현을 위한 학습자료 화면을 상기 학습자 단말장치(100,102)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학습자는 상기 다양한 콘텐츠로 구성된 학습자료 화면에서 학습하기를 원하는 학습자료를 선택하게 되는데, 그러면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08)단계에서 상기 학습자가 선택 입력한 학습자료를 인식하여, (S310)단계로 진행해서 학습관리 모듈(114)을 제어하여 상기 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용 브라우저(110) 화면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상기 학습용 웹브라우저 화면(110)에서 학습을 수행하게 되며, 또한 상기 시스템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토론실에의 참여 및 과제물 제출 그리고 시험 등에 참여하여 다양한 온라인 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12)단계에서 상기 회원 가입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받아들여 저장하고 있다가 회원 가입자가 학습을 종료하는 경우 (S314)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S316)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회원 가입자의 학습 수행 결과 정보를 학습관리 모듈(114)내 학습관리 DB(116)에 기록 저장시킨다. 이어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18)단계에서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을 제어하여 상기 학습결과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수행한 후, (S320)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평가결과 정보를 학습평가 통계 DB(120)에 저장시킨다. 그리고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108)는 (S322)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학습평가 통계응용모듈(122)을 제어하여 상기 통계 DB(120)의 평가결과 데이터를 근거로 학습결과에 따른 학습자별 학점 부여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학습평가 통계응용모듈(122)은 먼저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118)에서 산출되는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도 4의 (a)에서와 같은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 분포도를 생성시킨 후, 상기 도 4의 (b)에서와 같이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한 후,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별 학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학습자료를 통해 학습을 수행한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 및 평가한 후,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근거로 학습자별 학점을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 개인별 학업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맞춤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 가능하며, 상기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자료의 다운로드 및 온라인 학습을 위한 상기 시스템과의 정보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학습자 단말장치;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온라인 학습자로부터 요구된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여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학습한 학습결과 정보를 수집하는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에서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학습자료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학습자료를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정보데이터를 수신받아 각 학습자의 분야별 학습결과 데이터 DB에 저장시키는 학습관리 모듈;
    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에 저장된 각 학습자의 학습결과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평가 정보를 산출하는 학습평가 관리모듈; 및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에서 산출되는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 분포도를 생성하고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하는 학습평가 통계응용 모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는,
    학습자의 온라인 강의 수강 출석여부 및 로그아웃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강의수강 관리 DB;
    시험시행에 따른 학습자별 시험 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테스트관리 DB;
    과제물 제출에 따른 학습자별 과제물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물 관리 DB; 및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토론실에 대한 학습자별 토론 참가시간 및 발표 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토론관리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은, 상기 토론관리 DB내 저장된 학습자별 토론 참여시간 및 발표 내용 정보를 근거로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은, 상기 과제물 관리 DB내 저장된 학습자별 과제물제출 내용 정보를 근거로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은, 상기 테스트 관리 DB내 저장된 학습자별 시험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근거로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평가 관리모듈은, 상기 강의 수강 관리 DB내 저장된 학습자별 온라인 강의 출석 시간 정보를 근거로 각 학습자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시스템.
  7. 회원 가입자 단말장치, 온라인 학습 사업자 서버, 학습관리 모듈, 학습평가 관리모듈, 학습평가 통계응용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학습 평가 방법에 있어서,
    (a)인터넷을 통해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회원 가입된 온라인 학습자로부터 요구되는 다양한 학습 요구에 응답하여 해당 학습자료를 제공하는 단계;
    (b)상기 제공된 학습자료를 통한 학습자별 학습결과 정보를 학습관리 모듈내 분야별 학습결과 데이터 DB내에 저장시키는 단계;
    (c)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로부터 학습자별 학습결과 정보를 읽어들여 각 학습자의 온라인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학습자별 학습평가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의 학습평가 정상분포도를 생성시키고, 분포비율에 따라 학습자별로 학점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학습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결과 데이터 DB는, 학습자의 온라인 강의 수강 출석여부 및 로그아웃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강의수강 관리 DB;
    시험시행에 따른 학습자별 시험 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테스트관리 DB;
    과제물 제출에 따른 학습자별 과제물 평가 정보를 저장하는 과제물 관리 DB; 및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개최되는 다양한 토론실에 대한 학습자별 토론 참가시간 및 발표 내용 정보를 저장하는 토론관리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학습 평가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상기 학습자의 토론 참여시간 및 토론시 발표내용 정보를 근거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c2)상기 학습자가 제출한 과제물 내용 정보를 근거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c3)상기 학습자에 대한 시험 점수 및 소요시간 정보를 근거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c4)상기 학습자의 온라인 강의 출석 시간을 근거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학습 결과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학습 평가 방법.
  10. 상기 제7항 내지 제9항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 자동 학습 평가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도록 수록된 기록매체.
KR1020010042433A 2001-06-21 2001-07-13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20096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5485 2001-06-21
KR1020010035485 2001-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00A true KR20020096800A (ko) 2002-12-31

Family

ID=2771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433A KR20020096800A (ko) 2001-06-21 2001-07-13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8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89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사용기록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CN110443730A (zh) * 2019-07-09 2019-11-12 姚春艳 基于saas的研学服务系统及装置
KR20220135841A (ko) * 2021-03-31 2022-10-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학습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720A (en) * 1984-04-28 1988-07-26 Therapy Products Muller oHG Apparatus for learning by the super-learning method
KR20000024349A (ko)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271A (ko) * 2000-04-15 2000-07-05 김상수 학습자의 학습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학습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00054661A (ko) * 2000-06-16 2000-09-05 정장현 인터넷상에서 사이버캐릭터를 이용한 학습관리방법
JP2000311264A (ja) * 1999-04-27 2000-11-07 Lion Corp 勤怠管理装置、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KR20010008340A (ko) * 2000-11-24 2001-02-05 유용현 인터넷 멀티미디어 교육/학력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35388A (ko) * 2001-02-08 2001-05-07 김종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 유치원 학습 사업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9720A (en) * 1984-04-28 1988-07-26 Therapy Products Muller oHG Apparatus for learning by the super-learning method
JP2000311264A (ja) * 1999-04-27 2000-11-07 Lion Corp 勤怠管理装置、方法、及び、その記録媒体
KR20000024349A (ko) * 2000-02-09 2000-05-06 전종룡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37271A (ko) * 2000-04-15 2000-07-05 김상수 학습자의 학습충실도를 평가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이용한학습시스템 및 방법,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00054661A (ko) * 2000-06-16 2000-09-05 정장현 인터넷상에서 사이버캐릭터를 이용한 학습관리방법
KR20010008340A (ko) * 2000-11-24 2001-02-05 유용현 인터넷 멀티미디어 교육/학력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35388A (ko) * 2001-02-08 2001-05-07 김종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사이버 유치원 학습 사업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989A (ko) * 2013-12-04 2015-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사용기록 분석방법 및 분석장치
CN110443730A (zh) * 2019-07-09 2019-11-12 姚春艳 基于saas的研学服务系统及装置
KR20220135841A (ko) * 2021-03-31 2022-10-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술학습 평가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ershad et al.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enhanced with internet of things applications
US6513042B1 (en) Internet test-making method
US2005027710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learning and other information exchanges, such as for use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US20020064767A1 (en) System and method of matching teachers with students to facilitate conducting online private instruction over a global network
US20040014017A1 (en)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EEL) system
CN111242515A (zh) 一种基于教育大数据的课堂教学质量测评系统及测评方法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101557088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수업 진행 방법 및 시스템
Browne et al. Setting up and maintaining a CALL laboratory
KR100503900B1 (ko)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KR20020096800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자동 학습 평가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KR20030005684A (ko) 소프트 웨어의 원격 교육및 실습 시스템
KR20150027709A (ko) 대학교 온라인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1276317B2 (en) System for career technical education
KR20010074254A (ko)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Iqbal et al. Integration Of Goguardian with Google Classroom to Improve Interest and Results in Islamic Education at Senior High School
CN109887360A (zh) 一种基于互联网共享的化学实践教学系统及方法
KR102398068B1 (ko) 온라인 강의 제공 기관 맞춤형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20130124694A (ko) 실습형 강의를 위한 강의 보조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0933364B1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RU2716812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102158191B1 (ko) 교육 강좌 관리 방법
KR20040005790A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13048A (ko) 통신망을 이용한 경력 개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50108270A (ko) 네트워크를 연동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