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900B1 -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900B1
KR100503900B1 KR10-2001-0048572A KR20010048572A KR100503900B1 KR 100503900 B1 KR100503900 B1 KR 100503900B1 KR 20010048572 A KR20010048572 A KR 20010048572A KR 100503900 B1 KR100503900 B1 KR 10050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program
learner
terminal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4542A (ko
Inventor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에듀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에듀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에듀넷
Priority to KR10-2001-0048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9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900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분량의 학습을 완수하기 전에는 단말기 사용을 학습에만 허용하고 그 외의 용도에는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원격 학습에 의한 학습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실행을 요청받으면,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에 의해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인증 결과에 따라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허용되는 않는 사용자이면,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및 학습 프로그램을 완료하면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결합되어 있는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이 원격 학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 및 시스템{Remote-learning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terminals}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정된 분량의 학습을 완수하기 전에는 단말기 사용을 상기 학습에만 허용하고 그 외의 용도에는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함으로써 원격 학습에 의한 학습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학습 방법으로는 일정한 장소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그 외에도 방송 학습, 학습지에 의한 학습 방법 등이 있었다. 이중에서도 특히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대면하여 학습하는 대면 학습이 가장 전형적이며, 상기 대면 학습은 학습 효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시간과 공간에 의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대면 학습은 학교 교육 또는 학원 교육 등의 교실에서 강사와 다수의 수강자간에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과 수강생과 일대일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방문 교육 등이 있다.
학교 교육 및 학원 교육은 다수의 수강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용 인원의 한계와 학습 효율성 하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수준별 눈높이 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방문 교육은 강사의 자격 여부와 짧은 교육 시간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방송 매체인 TV, 라디오 등을 이용한 방송 교육은 쌍방향 교류 및 질의 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어 깊이 있는 교육이 어렵다는 문제점과 불특정 다수에게 교육을 진행함으로 인해 수강생의 전반적인 여건 등을 고려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존재한다. 더욱이 전술한 모든 종래 방식의 교육은 대부분 다시 수강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은 원격 교육 방식에 의해 일부분 해결될 수 있다. 원격 교육이란 크게 방송 매체를 통해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방송 교육 및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웹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교육 방법 등이 존재한다. 특히 웹 방식에 의한 인터넷 교육은 이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최첨단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제안되어졌다. 특히 상기 인터넷에 의한 원격 교육 방식은 최근 네트워크의 발달에 따라 크게 활성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컨텐츠와 학습 방식 등이 난무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이 없고, 수강생의 자율적인 학습 참여에 의하여만 학습이 가능하므로, 학습의 효율을 높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단말기를 통한 학습 방식은 수강생을 쉽게 게임 등의 다른 프로그램으로 유혹하기 쉽고, 대부분의 원격 교육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므로 교육 중에도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는 웹 서핑에 쉽사리 유도되어 다양하고 질좋은 컨텐츠에도 불구하고 학습에 집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실적으로 기존의 초, 중, 고등학교의 학습자들의 대부분이 학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학교에 다니는 점을 감안하면, 상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원격 교육 시스템이 학교 또는 학원 교육과 별도로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원격 교육에 의한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한함에도, 그 외 이용자에 대하여는 자유로운 단말기 사용을 보장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학교 및 학원 교육과 연계하여 보조적으로 원격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진도 및 반복 학습을 통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학교 및 학원에서 교육을 수행하는 주체, 즉 교사 및 강사가 원격 교육에서 복수의 학습자를 관리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에 의한 원격 교육과 학교 또는 학원에서 수행하는 대면 한습을 연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 등록된 학원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양질의 교육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에 등록된 강사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교육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학교 교육 방식에 본 발명을 도입함으로써, 사교육의 폐단을 없애고 학교 교육의 충실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상응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와 결합되어 있는 단말기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이 원격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프로그램 실행을 요청받으면,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허용되는 않는 사용자이면,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완료하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 프로그램이 완수된 경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함으로써 단말기의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은 단말기가 부팅되면, 제일 먼저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학습 수행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스 종료창의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이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종료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은, 브라우저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실행을 요청받으면,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실행 요청을 받은 프로그램의 파일명과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파일명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수행 바람직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요청받은 프로그램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학습 프로그램을 완수하도록 지정된 사용자에게는 미리 지정된 학습 프로그램의 완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학습 프로그램을 완수하도록 지정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허용되는 않는 사용자이면, 상기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 문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학습 문제에 의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 결과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미치지 못하면 상기 테스트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 문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학습 문제에 의한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분석 결과를 상기 단말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테스트 결과는 미리 지정된 기준을 통과하면 상기 테스트 결과를 상기 단말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함으로써, 이후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사용이 허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 및 학습자 단말기와 결합되어 있는 학원 단말기에 서 원격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학습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학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학습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학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 학원 정보, 학습자 정보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원격 교육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정보는 학습 문제 또는 강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원 정보는 학원명, 학원 주소, 학원 전화 번호, 학원에 소속된 강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자 정보는 상기 학습자의 성적, 학습자 이름, 학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에 결합되어 있는 서버에서, 원격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 결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학습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습 정보 요청 신호에 상응하는 학습 정보를 상기 서버에 결합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학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원격 학습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주기적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은, 브라우저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학습 정보는 학습 문제 또는 강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에 결합되어 있는 서버에서 원격 학습에 부수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 학습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인증 요청을 수신받는 단계, 상기 서버에 결합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증 결과에 상응하는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에 전송되는 웹페이지는 상기 인증 결과에 상응하는 메뉴를 포함함으로써, 원격 학습 방법에 부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증 결과에서 식별되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는, 전체 관리자, 문제 입력자, 학원 관리자, 강사, 학부모, 학습자 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전체 관리자인 경우는, 학원 정보 변경 메뉴, 학습 정보 승인 메뉴, 공지 사항 관리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문제 입력자인 경우는,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학원 관리자인 경우는, 강사를 지정할 수 있는 메뉴, 테스트 방식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강사인 경우는, 학생 명부를 열람할 수 있는 메뉴, 학생 성적을 열람할 수 있는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학부모인 경우는, 상기 학부모에 상응하는 학습자의 성적을 열람할 수 있는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는, 상기 학생에 상응하는 성적을 열람할 수 있는 메뉴를 포함한 웹페이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 및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오프라인 상의 학교 또는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학습의 장점을 유지한 채,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학습에 의하여 상기 대면 학습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클라이언트 (190)및 서버(100)로 구성된다. 서버는 서버 통신 모듈(105), 사용자 인증 모듈(110), 학습 내용 관리 모듈(115), 학습 결과 관리 모듈(120), 학습자 관리 모듈(125), 학원 관리 모듈(130), 메시지 관리 모듈(135) 및 데이터베이스(170)로 구성된다.
서버 통신 모듈(105)은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모듈의 통신 모듈과 통신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기존의 브라우저와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모듈(110)은 상기 서버에 접속한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 내용 관리 모듈(115)은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문제 및 기타 채점 기준, 기준 점수, 진도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 결과 관리 모듈(120)은 상기 학습 여부에 대한 결과 및 학습자에 대한 성적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자 관리 모듈(125)은 서버에 등록된 학습자의 성적, 학습 참여도, 취약한 과목 등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원 관리 모듈(130)은 서버에 등록된 학원에 대한 정보, 상기 학원에서 수강하는 학습자에 대한 정보, 학원 관리자에 대한 정보 등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관리 모듈(135)은 학원, 학습자, 학부모, 학원 관리자, 강사간에 메시지를 교환, 저장, 발송 및 수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170)는 학원 데이터베이스, 강사 데이터베이스, 학습자 데이터베이스, 학부모 데이터베이스, 문제 데이터베이스 등으로 구성된다.(도 10a 및 도 10f 참조)
복수의 클라이언트(195)는 학습자 클라이언트와(175) 학원 클라이언트(180)로 대별되며, 학습자 클라이언트(175)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학습에 의해 교육을 받는 학습자에게 서버에서 제공받은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도 2참조)
그리고 학원 클라이언트(180)는 프랜차이즈 등의 계약을 통해 서버와 연계된 클라이언트로써, 상기 학습자에게 오프라인상의 대면 학습을 통해 교육을 제공함과 동시에 네트워크 등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상기 대면 학습을 보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도 3참조)
학습자는 오프라인 상에서 학교 및 학원에서 대면 학습을 받고, 상기 대면 학습을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교육을 통해 보충받을 수 있다.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는 오프라인상의 강의 진도에 맞추어 학습이 진행되며, 상기 온라인 상에서도 오프라인 상의 교사 또는 강사 등의 동일한 교육 주체가 상기 학습자를 관리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의 개략적 기능도이다.
학습자 클라이언트란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설치되는 모듈로서, 기존의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학습 자료 등을 다운로드받고 단말기를 제어하며, 기타 부수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기능은 하기에 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은 단말기 감시 모듈(200), 단말기 제어 모듈(205), 사용자 인증 모듈(210), 학습 관리 모듈(215), 브라우저 제어 모듈(220), 클라이언트 통신 모듈(225) 등으로 구성된다.
단말기 감시 모듈(200)은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하면서, 게임 또는 인터넷 접속 등의 미리 지정한 프로그램의 실행 여부를 감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기 제어 모듈(205)은 상기 미리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은 경우, 상기 미리 지정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차단하고, 서버에 접속하여 원격 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모듈(210)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시 사용자를 식별하여 사용자가 부모님 등 상기 학습자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 관리 모듈(215)은 상기 학습자가 서버에 접속시 서버에서 미리 정해진 일정에 따른 학습 자료를 다운받고, 진도에 따른 테스트를 실행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에 따라 보충 학습을 수행할지, 또는 단말기 사용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우저 제어 모듈(220)은 기존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웹 브라우저를 실행 및 접속 여부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네트워크에 의한 원격 학습은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수행되나, 그밖에 의 부수적인 관리 기능, 예를 들면 성적 확인, 학습자 관리 등의 기능은 서버를 통해 수행된다.
클라이언트 통신 모듈(225)은 기존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학습자 클라이언트가 독자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버와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클라이언트 모듈의 개략적 기능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증 모듈(300), 학습 내용 관리 모듈(305), 학습자 관리 모듈(310), 학원 관리 모듈(310), 클라이언트 통신 모듈(320) 등으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증 모듈(300)은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접속한 사용자에게 미리 정해진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학원 클라이언트에 의한 접속자는 문제 입력자, 학원 관리자 및 강사이다.
문제 입력자는 강사에 의해 구성된 문제를 입력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학원 관리자는 학급별로 강사를 지정하고, 학습자 명부를 관리하며 테스트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상에서 실시한 성적을 입력하거나 보강자 명단을 열람할 수 있다.
강사는 학급별 명부를 열람하거나 학급 및 학습자별 성적을 열람할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교육 수행시에 제공되는 문제들을 제공 및 추출할 수 있다.
학습 내용 관리 모듈(305)에서는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학습 내용을 관리할 수 있다.
학습자 관리 모듈(310)에서는 상기 학습자의 성적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학원 관리 모듈(310)은 상기 학습자 및 강사의 학급을 배정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통신 모듈(225)은 기존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지 않고, 학습자 클라이언트가 독자적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버와 통신 수단을 제공한다.
상술한 별도로 제공되는 학습자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기존의 브라우저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에서 제공된 메뉴를 통해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클라이언트에서의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00에서 사용자는 단말기 사용을 위해 단말기를 부팅한다. 단말기가 부팅된 후, 단계 405에서 감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상기 감시 프로그램은 부팅시에 상기 감시 프로그램만을 실행시키고 나머지 프로그램의 실행을 차단한다.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차단 방식은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 리스트를 주기적으로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은 후,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명 리스트와 일치하는 실행 파일의 실행을 차단하는 방식을 취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미리 지정된 특정 파일의 실행을 허용하고 다른 모든 프로그램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워드 등의 프로그램은 허용하고 그 외는 모두 차단한다. 상기의 방법에 의할 때,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다운받은 프로그램 리스트는 허용하는 리스트만 다운로드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프로그램 차단 방식은 실행이 부정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다운로드받는 것이다. 예를 들면, 게임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 리스트를 다운로드받고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방법에 의할 때 이미 알려진 중독성이 높은 몇몇 유명 게임에 대한 차단이 목적이므로 모든 게임명을 차단할 필요성은 없다.
단계 410에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프로세스 종료창에서 숨긴다. 사용자가 프로세스 종료 명령에 의해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임의로 종료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종료창에서 감시 프로그램을 숨긴다. 예를 들어 윈도우 사용자라면 Ctrl-Alt-Del키를 눌러 임의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세스 종료창에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은 기존의 프로그램 언어에서 제공되는 함수의 조합으로 실현가능하며, 통상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단계 415에서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감시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감시 프로그램을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파일명에 의하여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실행을 식별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의 파일명은 서버에서 일정 간격으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 프로그램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감시 프로그램은 단계 420에서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을 차단하고, 이 후 사용자 인증 과정 및 학습 관리 프로그램 등의 실행을 통하여 원격 학습을 강제로 수행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 사용을 차단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윈도우인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이 화면 전체를 점유하도록, 즉 최대 크기가 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조건이 되는 키보드 및 마우스의 조작을 차단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면, Alt+Tab 키, 윈도우 키, Ctrl+Alt+del 키 등의 입력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윈도우 이용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사용을 차단한 후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경유하며, 사용자 인증 과정은 도 5a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말기 사용은 차단된 후, 단계 500에서는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도 5b와 같은 로그인 창과 같은 팝업(Pop-Up)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로그인 창은 게임 등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510에서 상기 로그인 창의 아이디 입력창과 패스워드 입력창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단계 515에서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 과정이 수행되며,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의 인증 과정은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로그온이나, 데스크 로그온이 아닌 웹 서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520에서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미등록 사용자인 경우에는 단계 510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재입력받는다.
상기 판단 결과 학습자 아이디인 경우에는 단계 520에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원격 학습을 수행한다. (도 5c 참조)
상기 판단 결과 학습자 이외인 경우, 예를 들면 학부모 아이디인 경우에는 단계 530에서 단말기 사용 차단을 해제하고,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가한다. 그러나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 530의 과정을 경유한 후, 자동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5d 참조) 학부모는 상기의 과정을 경유하여, 학습자의 성적 등을 서버에서 열람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과정에서 로그인창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단말기 사용은 차단된 후, 도 5b와 같은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도 5b와 같은 로그인 창과 같은 팝업(Pop-Up)창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로그인 창은 게임 등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로그인 창의 아이디 입력창(536)과 패스워드 입력창(539)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 과정이 수행되며,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의 인증 과정은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로그온이나, 데스크 로그온이 아닌 웹 서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로그인 창에는 광고창(533)이 포함되며, 학원 로고 또는 홍보 등의 광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과정에서 접속자가 학습자라고 판단되면, 도 5c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접속자가 학습자 이외인 경우에는 도 5d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가 로그인한 경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학습자 아이디로 로그인한 경우 광고 창(551), 제한 시간 창(553), 객관식 답안창(555), 주관식 답안창(557), 답안 제출 버튼(559), 시작창(565) 및 문제 표시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
시작창(565)의 확인 버튼이 눌러지면, 문제 표시 화면에 문제나 나타남과 동시에 제한 시간창(553)에 제한 시간이 표시된다.
광고창(533)에는 학원 로고 또는 홍보 등의 광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학습자는 문제를 푼 후, 객관식 답안창(555) 및 주관식 답안창(557)에 답을 표시 또는 기재한 후, 답안 제출 버튼(559)을 클릭하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이외의 자가 로그인한 경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도 5b에서 인증 과정을 수행한 후, 접속자가 학습자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의 사용 차단을 해제한다. 일반 가정에 설치된 단말기는 가족 모두가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상기와 같은 경우 학습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한할 뿐, 학습자 이외의 자는 자유로운 단말기 사용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사용 차단을 해제한 후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의 브라우저 제어 모듈을 통하여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상기 서버에 접속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자가 학부모인 경우에는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자녀인 학습자의 성적 및 강사 또는 학원에서 학부모에게 전달하는 메시지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브라우저 제어 모듈은 웹 브라우저를 실행시키고 기본 페이지를 학원 홈페이지로 설정해 주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d를 참조하면, 학부모가 로그인 한 경우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은 메뉴창(570), 광고창(571), 위치 표시창(573) 및 내용창(575)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뉴창(570)은 크게 메시지 관리 및 성적 열람 등의 주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메시지 관리 메뉴는 받은 메시지, 보낸 메시지 및 새 메시지 작성 등의 부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성적 열람 메뉴는 학급 성적 열람 및 자녀 성적 열람 등의 부메뉴를 제공한다.
광고창(571)에는 학원 로고 또는 홍보 등의 광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고, 위치 표시창(573)에는 현재 사용자가 접속한 메뉴의 위치를 표시한다.
내용창(575)에는 메뉴창에서 선택한 메뉴에 상응하는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클라이언트의 전체적인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말기 사용은 차단된 후, 단계 600에서는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인증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단계 610에서 로그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도 5b참조). 상기 로그인 창은 게임 등 미리 지정된 프로그램이 실행되거나, 인터넷에 접속을 시도하거나,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디스플레이된다.
단계 610에서 상기 로그인 창의 아이디 입력창과 패스워드 입력창에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입력받는다. 단계 615에서 상기 아이디와 패스워드에 의해 인증 과정이 수행되며,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의 인증 과정은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로그온이나, 데스크 로그온이 아닌 웹 서버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계 620에서 사용자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미등록 사용자인 경우에는 단계 610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재입력받는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자가 학습자 이외인 경우, 예를 들면 학부모 아이디인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차단을 해제하고, 단계 640에서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가한다. 그러나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단계 645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단계 650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학부모는 상기의 과정을 경유하여, 학습자의 성적 등을 서버에서 열람할 수 있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접속자가 학습자 아이디인 경우에는 단계 625에서 상기 학습자에 상응하는 학습 분량을 상기 학습자가 학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지정된 분량을 이미 학습하였으면 단계 640에서 단말기 사용 차단을 해제한다.
단계 630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은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의해 지정된 분량을 학습했으면, 단계 635에서 단말기 사용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 승인 여부를 판단해서, 사용 승인이 불허되면, 단계 630에서 다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 승인 판단 결과 사용 승인이 허여되면, 단계 640에서 단말기 사용 차단을 해제한다.
단계 635에서 단말기 사용 승인이 불허되어, 다시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같은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학습 정도가 저장된 로그파일을 분석하여 상기 학습자에 상응하는 학습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단계 630에서의 학습 관리 프로그램은 오프라인상의 학교 또는 학원에서 대면 학습에 의한 교육받은 내용의 복습 위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학습한 내용을 테스트하고,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교육 내용을 요약하여 원격 교육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틀린 문제를 분석하여, 틀린 문제에 상응하는 학습 내용만을 추출하여 원격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학습 관리 기능은 도 6b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640에서 인증 결과 상기 접속자가 학습자 이외인 경우, 예를 들면 학부모 아이디인 경우 또는 학습자가 미리 지정된 학습 분량을 완수한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 차단을 해제하고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허가한다.
단계 645에서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단계 650상기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웹 서버에 접속한 후, 학부모는 상기의 과정을 경유하여, 학습자의 성적 등을 서버에서 열람할 수 있고, 학습자는 각 문제에 대한 전체 응시자의 중 정답률, 성적 열람, 현재 접속자 목록 등을 열람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학습자가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지정된 분량의 학습 과정을 이행하여야만 한다. 사용자가 단말기를 켠 후, 상기 학습 관리 프로그램 이외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학습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테스트를 통과하거나, 상기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하면 일정 분량의 복습 강의를 수강하여야만 단말기의 사용이 허용된다.
인증 절차를 경유한 후, 상기 접속자가 학습자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된다. 학습 관리 프로그램이 수행되면, 단계 655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은 웹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자에 상응하는 학습 문제를 다운로드한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받는 학습 문제는 상기 학습자가 수강하는 학원 또는 학교의 강사 또는 교사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출제될 수 있다.
학습 문제가 다운로드되면, 단계 660에서 학습 진단 테스트가 수행된다. 본 발에 의한 학습 진단 테스트 화면은 광고창, 제한 시간 창, 객관식 답안창, 주관식 답안창, 답안 제출 버튼, 시작창 및 문제 표시 화면 등으로 구성된다(도 5b 참조). 단계 663에서 상기 테스트 결과를 분석한다.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학습자가 취약한 부분 및 복습이 필요한 부분들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665에서 상기 테스트 결과, 기준 조건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조건을 상기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성적에 따라 학급을 편성하고, 상기 편성된 학급에 일정한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각 학습자에 수준에 따라, 상기 학습자에 상응하는 기준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기준 조건을 통과하면, 단계 669에서 학습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에 기록하여 이후, 다시 단말기 사용시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한다.
상기 테스트 결과 기준 조건을 통과하지 못하면, 단계 667에서 복습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복습 과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테스트에 상응하는 학습 과정을 요약한 방식으로 일률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테스트의 성적 결과에 따라 학습 과정에 요약 정도에 차별을 두어 복습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50점의 점수를 획득한 학습자에게는 30분의 복습 과정이 진행된다면, 60점의 점수를 획득한 사용자에게는 25분의 복습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단계 663의 테스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학습자에 상응하는 복습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학습자의 틀린 문제를 분석하여 상기 문제에 상응하는 학습 과정만을 추출하여 복습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복습 과정은 음성 강의와 텍스트에 의해 진행될 수도 있고, 동영상 강의에 의해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복습 과정을 수행하고, 단계 660에서 다시 테스트를 수행할 경우에는 서버에 문제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시 다른 문제를 추출하여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테스트에서 틀린 문제만을 추출하여 상기 테스트를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따를 경우, 재테스트의 기준 조건은 처음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처음 기준 조건이 80점이라면, 틀린 문제만을 엄선하여 재테스트를 수행한 경우는 기준 조건을 90점으로 상향 조정하거나, 기준 조건을 70점으로 하향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을 테스트를 통과할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되며, 상기 테스트를 통과하면 단계 669에 상기 학습 결과가 기록되고 이후, 다시 단말기 사용시 단말기의 자유로운 사용을 보장한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복습 과정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이다.
도 6c를 참조하면, 복습 과정에서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은 광고창(670), 메뉴창(671) 및 강의창(673) 등으로 구성된다.
광고창(670)에는 학원 로고 또는 홍보 등의 광고 문구가 표시될 수 있다. 메뉴창(671)은 '풀어본 문제', '틀린 문제', '스크랩 문제' 등의 메뉴로 구성된다. '풀어본 문제' 메뉴는 '전체 보기', '과목별 보기', '문제 풀기' 등의 부메뉴로 구성된다. 그리고 '틀린 문제' 메뉴는 '전체 보기', '과목별 보기', '문제 풀기' 등의 부메뉴로 구성된다. 또한 '스크랩 문제' 메뉴는 '전체 보기', '과목별 보기', '문제 풀기' 등의 부메뉴로 구성된다.
강의창(673)에서는 상기 테스트에 상응하는 복습 강의가 진행된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복습 강의는 틀린 문제를 해설 강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틀린 문제에 상응하는 범위에 대한 기본 내용을 강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물론 강의는 동영상에 의해 진행되거나, 음성 강의와 텍스트에 의해 진행될 수 있으며,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트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클라이언트의 전체적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학교 또는 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대면 학습의 장점, 즉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대면하여 학습하는 대면 학습의 학습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유지하면서, 대면 학습의 단점을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교육을 통한 학습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즉 대면 학습은 다수의 학습자가 학께 학습을 수행하기 때문에 수용 인원의 한계와 학습 효율성 하락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수준별 눈높이 학습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존재한다. 상기 단점을 학원과 프랜차이즈 등의 계약을 통하여 학원 상호간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질 높은 학습을 유지할 수 있으며, 서버를 통하여 상기 학습자와 강사 상호간에도 온라인을 통하여 개인별 취약 부분에 대한 학습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학원 클라이언트에는 학원 클라이언트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학원 클라이언트 모듈은 사용자 인증 모듈, 학습 내용 관리 모듈, 학생 관리 모듈, 학원 관리 모듈 및 클라이언트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도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학원 클라이언트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은, 기존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메뉴에 의해 수행될 후 있다. 이하, 후자에서 설명한 방식에 의한 학원 클라이언트이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700에서 학원 클라이언트는 브라우저를 실행하고 단계 705에서 서버에 접속한다. 단계 710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미리 정해진 권한에 따라 작업 내용이 결정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인증된 아이디가 학원 관리자 아이디라면 학급 관리, 학생 명부 관리, 테스트 방식 설정, 보강자 명단 열람 등의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강사 아이디라면 학생 명부 열람, 학생 성적 열람, 보강자 명단 열람, 문제 관리, 메시지 관리 등의 메뉴를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단계 715에서 서버에 접속한 학원 클라이언트가 작업 내용을 선택한다. 서버에서 학원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메뉴는 크게 학습 내용 관리, 학원 관리, 학생 관리 등이다. 물론 상기 기능을 클라이언트 모듈로써 직접 제공할 수 있음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작업 내용을 '학습 내용 관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720에서 학습자 클라이언트에서 수행되는 학습 내용에 대한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학습 내용 관리' 메뉴에서 문제 제공, 기준 점수 설정 등의 학습 내용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 내용을 '학원 관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725에서 학원 클라이언트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학원 관리' 메뉴에서 학생 및 강사의 학급 배정, 학생 명부 관리, 오프라인 시험 성적 입력 등의 학원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작업 내용을 '학생 관리'를 선택한 경우에는 단계 730에서 학생, 즉 학습자의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학생 관리' 메뉴에서 학습자 출결 상황 체크, 성적 관리, 개별 지도 등의 학생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접속시 접속자별로 부여되는 권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클라이언트는 크게 학습자 클라이언트 및 학원 클라이언트로 대별된다.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로 인증되는 사용자는 학생 등의 학습자, 학부모 등이다. 그리고 상기 학원 클라이언트로 인증되는 사용자는 학원 관리자, 강사, 문제 입력자 등이다. 그리고 서버 전체를 관리하는 전체 관리자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중 전체 관리자(800), 학원 관리자(805), 강사(810), 문제 입력자(820) 등의 주요 권한을 나타내었다. 전체 관리자(800)는 서버로 학원을 등록 및 삭제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강사에 제공되는 문제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을 등록, 삭제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관리자(800)는 문제 승인, 비밀 번호 변경, 공지 사항 관리, 메시지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권한 이 부여된다.
학원 관리자(805)는 서버에 등록된 학원에 상응하여 각 학원을 관리하는 권한을 보여 받는다. 상기 학원 관리자(805)는 강사 지정, 학생 배정, 학급별 성적 열람 등의 학급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학생 명부에서 학생의 입력, 수정, 삭제, 학생 성적 열람 등의 기능과 과목 순서, 재시험 횟수, 기준 점수 등의 테스트 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학원 전체에 대한 보강자 명단을 열람하고, 오프라인 시험 성적을 입력하며, 메시지를 관리할 수 있다.
강사(810)는 상기 강사가 속한 학급에 대한 학생 명부 열람, 학생 성적 열람, 학급 성적 열람, 보강자 명단 열람, 문제 관리, 메시지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문제 입력자(820)는 강사에 의하여 선정된 문제 등을 입력,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메뉴 구성도이다.
단계 900에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단계 905에서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907에서 인증 결과에 따라 미지 정해진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부여된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전체 관리자인 경우에는 학원의 등록, 수정 및 삭제, 과목별 및 단원별로 제공된 문제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의 입력, 수정, 삭제 등의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또한 등록 대기 문제의 등록 승인, 전체 관리자의 패스워드 변경, 메시지 발송 및 읽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문제 입력자인 경우에는 등록 대기 중인 문제를 상기 서버에 입력하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문제 입력자에 의해 입력된 문제는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로 전송되어 학습자가 테스트시에 상기 입력된 문제를 풀게 된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학원 관리자인 경우에는 학급별 강사 지정. 학생 명부 관리, 테스트 방식 설정, 메시지 발송 및 읽음 여부 확인, 오프라인 시험 성적 입력, 학습자용 클라이언트의 스킨 변경, 보강자 명단 열람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강사인 경우에는 학급별 명부 열람, 학급별 성적 열람, 학생별 성적 열람, 보강자 명단 열람, 문제 관리, 문제 검색, 메시지 발송 및 읽음 여부 확인 등의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문제 관리는 입력된 문제 은행으로부터 문제를 선별하여 시험지를 만드는 기능을 지칭하며,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할 때, 향후 6회분까지만 시험지를 만들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문제 은행은 여러 등록된 학원간에 정보 교환을 통하여 문제의 질 및 양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서로 다른 학원에 소속된 강사간의 정보 교환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학습 방식 등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학부모인 경우에는 자녀가 소속된 학급의 학급 평균을 열람할 수 있고, 자녀의 성적을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과목별 학급 석차, 전체 학급 석차, 메시지 발송 및 읽음 여부 확인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상기 인증 결과, 사용자가 학생인 경우에는 문제 풀기, 풀어본 문제 보기, 틀린 문제 보기, 각 문제에 대한 전체 응시자의 정답률, 내 성적 보기, 현재 접속자 목록 보기, 메시지 발송 및 읽음 여부 확인 등을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권한에 따른 메뉴가 제공된다.
도 10a 및 도 10h는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처리되는 데이터의 항목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 10a는 학원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10b는 강사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10c는 학생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10d는 학부모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10e는 도 10f는 문제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고 도 10g는 메시지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의 종류에 상응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통합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통합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한다하더라도 상기 데이터는 분리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의 종류 및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의 종류는 학원 데이터, 강사 데이터, 학생 데이터, 학부모 데이터, 학급 성적 데이터, 문제 데이터, 메시지 데이터 등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학원 데이터는 학원 관리자 아이디, 학원 관리 자 패스워드, 학원명, 주소, 전화 번호, 관리 담당자 등의 필드로 구성되며, 주로 학원 및 학원 관리자에 관한 정보가 상기 학원 데이터에서 관리된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강사 데이터는 강사 아이디, 강사 패스워드, 강사 이름, 주민 등록 번호, 우편 번호, 주소, 전화 번호, 휴대 전화 번호, 강사 약력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강사 데이터는 주로 강사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학생 데이터는 학생 아이디, 학생 패스워드, 학생 이름, 주민 등록 번호, 우편 번호, 주소, 전화 번호, 학교명, 학년, 학급, 학원 등록 일 시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상기 학생 데이터는 주로 학생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다. 상기 학생 데이터에 학생 성적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성적은 데이터의 크기 및 처리량이 많으므로 별도의 데이터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부모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d를 참조하면, 학부모 데이터는 부모 아이디, 부모 패스워드, 부모 이름, 자녀 아이디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할 때, 상기 자녀 아이디는 자녀의 수만큼 추가가 가능하다.
도 10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e를 참조하면, 문제 데이터는 학년 구분, 과목 구분, 단원 구분, 문제 및 보기, 정답, 해설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도 10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급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f를 참조하면, 메시지 데이터는 발신 아이디, 수신 아이디, 메시지 내용, 발신 시간, 수신 시간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이 외에도 학생 성적 데이터 및 학급 데이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학급 성적 데이터는 상기 등록된 학생의 성적이 모두 관리되며, 상기 저장된 성적은 과목별, 학년별, 테스트별로 조회가 가능함은 당연하다. 학급 데이터는 학급을 기준으로 강사와 학생을 포함하여, 한 학급에 편성된 학생과 강사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 및 시스템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원격 교육에 의한 학습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의 단말기 사용을 제한함에도, 그 외 이용자에 대하여는 자유로운 단말기 사용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학교 및 학원 교육과 연계하여 보조적으로 원격 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진도 및 반복 학습을 통하여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등록된 학원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양질의 교육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버에 등록된 강사간 정보 교환을 통하여 더욱 향상된 교육 정보를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학교 및 학원에서 교육을 수행하는 주체, 즉 교사 및 강사가 원격 교육에서 복수의 학습자를 관리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학교 교육 방식에 본 발명을 도입함으로써, 사교육의 폐단을 없애고 학교 교육의 충실화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에 의한 원격 교육과 학교 또는 학원에서 수행하는 대면 학습을 연계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클라이언트 모듈의 개략적 기능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클라이언트 모듈의 개략적 기능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클라이언트에서의 단말기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그인 과정에서 로그인창이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가 로그인한 경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학습자 이외의 자가 로그인한 경우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자 클라이언트의 전체적인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 관리 프로그램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복습 과정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클라이언트의 전체적 기능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 접속시 접속자별로 부여되는 권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에서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메뉴 구성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원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강사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부모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문제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학급 데이터의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버
105 : 서버 통신 모듈
110 : 사용자 인증 모듈
115 : 학습 내용 관리 모듈
120 : 학습 결과 관리 모듈
125 : 학습자 관리 모듈
130 : 학원 관리 모듈
135 : 메시지 관리 모듈
170 : 데이터베이스
175 : 학습자 클라이언트
180 : 학원 클라이언트

Claims (29)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에 결합된 학습자 단말기에서 원격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에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학원 단말기로부터 학습 문제, 강의 정보 및 기준 점수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 학원 정보 및 학습자 정보 중 적어도 학습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미리 상기 서버에 저장된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 및 학습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모듈을 추출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클라이언트 모듈을 설치한 후, 미리 지정된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학습자 단말기가 부팅되면,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하여 종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종료창의 리스트에서 상기 단말기 감시 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단계;
    (d) 소정의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실행 요청을 받은 상기 프로그램의 파일명과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비교하여 실행 명령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사용 제한 프로그램이 아니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미리 지정된 사용 제한 프로그램이면,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을 차단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e) 인증 결과,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허용되는 사용자이면,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허용되지 아니하는 사용자이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학습 분량의 학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학습 여부 판단 결과, 상기 학습 분량이 학습되었으면,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학습 분량이 학습되지 아니하면, 상기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
    (g) 상기 학습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상기 단말기의 화면 전체를 점유하도록 최대 크기로 설정하고, Alt+Tab 키, 윈도우 키 및 Ctrl+Alt+del 키를 포함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키보드 및 마우스의 조작을 차단하는 단계;
    (h) 상기 서버로부터 학습 문제를 수신하고, 상기 학습 문제를 포함하는 학습 진단 테스트를 실행하고, 상기 학습 진단 테스트 결과를 분석한 후, 상기 테스트 결과가 상기 기준 점수 미만이면, 상기 테스트 분석 결과에 상응하는 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가 미리 지정된 기준 이상이며,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하는 단계; 및
    (i) 상기 서버에서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대응하는 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학습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에 상응하는 학원 단말기를 추출하고, 상기 학원 단말기로 상기 학습 결과를 전송하며, 상기 학습 결과가 미리 지정된 학습 목표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학습 목표에 해당하지 아니하면 상기 학습자를 보강 학습자 명단에 삽입한 후, 상기 보강 학습자 명단을 상기 학원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에 학습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의 파일명을 주기적으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서버에서 접속하는 사용자는 전체 관리자, 문제 입력자, 학원 관리자, 강사, 학부모, 학습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학습 수행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프로그램은,
    브라우저 프로그램, 게임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학습 수행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원 정보는 학원명, 학원 주소, 학원 전화 번호, 학원에 소속된 강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정보는 상기 학습자의 성적, 학습자 이름, 학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학습 수행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KR10-2001-0048572A 2001-08-11 2001-08-11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KR10050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72A KR100503900B1 (ko) 2001-08-11 2001-08-11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572A KR100503900B1 (ko) 2001-08-11 2001-08-11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757U Division KR200280134Y1 (ko) 2002-02-18 2002-02-18 단말기 사용을 제어하는 원격 학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42A KR20030014542A (ko) 2003-02-19
KR100503900B1 true KR100503900B1 (ko) 2005-07-26

Family

ID=27718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572A KR100503900B1 (ko) 2001-08-11 2001-08-11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9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169A (ko) * 2002-05-17 2003-11-21 한상옥 온라인 원격 제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26048A (ko) * 2002-09-17 2004-03-27 이병식 교육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KR100811829B1 (ko) * 2003-12-12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0811830B1 (ko) * 2004-09-30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인터넷 접속 절차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관리 방법 및인터넷 학습 관리 시스템
KR101012460B1 (ko) * 2008-08-01 2011-02-08 주식회사대교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실행방법
KR100904274B1 (ko) * 2008-08-26 2009-06-25 민현기 교사가 학생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을 제한하는 학생 지도 시스템 및 학생 지도 방법
US20140026128A1 (en) * 2012-01-09 2014-01-23 Openpeak Inc. Education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for Same
KR101453385B1 (ko) * 2013-09-17 2014-10-22 허연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157A (ja) * 1997-03-31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KR20000012713A (ko) * 1999-12-20 2000-03-06 이문자 컴퓨터 상 음란, 폭력물 등 유해 정보의 차단 방법 및 장치
KR20000058701A (ko) * 2000-06-26 2000-10-05 김동회 웹 사이트 접속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어댑터 카드
KR20010025209A (ko) * 2000-10-20 2001-04-06 고진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해 정보 차단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35378A (ko) * 2000-10-23 2001-05-07 임효준 컴퓨터 부팅시 프로그램 강제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10044537A (ko) * 2000-10-26 2001-06-05 이왕식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4579A (ko) * 2001-03-08 2001-06-05 김현길 인터넷을 이용한 자녀 컴퓨터 사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5157A (ja) * 1997-03-31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データ処理装置
KR20000012713A (ko) * 1999-12-20 2000-03-06 이문자 컴퓨터 상 음란, 폭력물 등 유해 정보의 차단 방법 및 장치
KR20000058701A (ko) * 2000-06-26 2000-10-05 김동회 웹 사이트 접속을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컴퓨터 어댑터 카드
KR20010025209A (ko) * 2000-10-20 2001-04-06 고진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해 정보 차단 서비스 사업 방법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KR20010035378A (ko) * 2000-10-23 2001-05-07 임효준 컴퓨터 부팅시 프로그램 강제 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10044537A (ko) * 2000-10-26 2001-06-05 이왕식 컴퓨터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방법 및 시스템
KR20010044579A (ko) * 2001-03-08 2001-06-05 김현길 인터넷을 이용한 자녀 컴퓨터 사용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42A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3200B1 (en) Evaluation and rectification system
US9053500B2 (en) Internet-based edu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with multi-language capability
US7003576B2 (en) Managed access to information over data networks
US20100178645A1 (en) Participant response system with question authoring/editing facility
US20090094540A1 (en) Methods and systems that monitor learning progress
CN109637233B (zh) 一种智能教学的方法及系统
CN101777273A (zh) 一种多方互动式学教系统
US20120129141A1 (en) e-Learning System
CA2632907A1 (en) Computer-aided method and system for guided teaching and learning
WO2019046177A1 (en) MEASURABLE PROGRESSION LEARNING SYSTEM BASED ON EVALUATION
CN110597610B (zh) 在线教学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WO2008057603A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CN110311893A (zh) 一种基于安卓微信平台的互动学习方法及系统
Economides et al. MOOC affordances model
Nash et al. Moodle 3 E-Learning Course Development: Create highly engaging and interactive e-learning courses with Moodle 3
CN112561750A (zh) 课程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503900B1 (ko) 단말기 사용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학습 방법및 시스템
KR20170130222A (ko) 문제를 풀고 해당 문제의 해설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체계적인 구축 방법
KR101887409B1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KR200198382Y1 (ko) 영어교육 및 시험을 위한 클라이언트 시스템
KR20030005684A (ko) 소프트 웨어의 원격 교육및 실습 시스템
KR101903910B1 (ko) 학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80134Y1 (ko) 단말기 사용을 제어하는 원격 학습장치
TWI780856B (zh) 滲透測試數位學習系統
KR20030053415A (ko)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별 선택 학습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학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