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185A -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185A
KR20020096185A KR1020010034470A KR20010034470A KR20020096185A KR 20020096185 A KR20020096185 A KR 20020096185A KR 1020010034470 A KR1020010034470 A KR 1020010034470A KR 20010034470 A KR20010034470 A KR 20010034470A KR 20020096185 A KR20020096185 A KR 2002009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rd
trunk
actuat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6185A/ko
Publication of KR2002009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18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07C2009/0097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ca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Abstract

본 발명은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가 적절한 ID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서 도어의 개폐 버튼이나 트렁크 리드 개구 버튼을 누르는 단순 조작으로 도어의 개폐나 트렁크를 개구시킬 수 있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ID 카드와, 도어를 개폐시켜 주는 도어 액츄에이터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트렁크 액츄에이터와, 상기 ID 카드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함께 도어의 개폐 신호나 트렁크 리드의 개구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나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제어해 주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Door locking system for an automobile using the ID card}
본 발명은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당한 ID 카드인지와 이를 소지한 운전자가 도어를 개폐할 것인가에 따라 도어가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의 도난 방지 및 도어를 쉽게 록킹/언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 트랜스미터(일명,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어의 록킹/언록킹을 실시하는 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트랜스미터는 운전자가 선택한 버튼, 예를 들면 언록킹 버튼이나 록킹 버튼 또는 트렁크 리드 개구 버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한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작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어느 하나의 버튼을 누르게 되면, TX에서 차량의 리시버로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상기 리시버는 수신된 신호가 적절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도어의 개폐나 트렁크를 개구시켜 주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트랜스미터를 이용하는 방법은 도어의 록킹/언록킹시키거나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기 위해서 항상 트랜스미터를 꺼내고, 이 트랜스미터 상에형성된 선택 버튼을 눌러야만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운전자가 적절한 ID 카드를 가지고 있으면서 도어의 개폐 버튼이나 트렁크 리드 개구 버튼을 누르는 단순 조작으로 도어의 개폐나 트렁크를 개구시킬 수 있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를 이용한 도어의 언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를 이용한 도어의 록킹 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를 이용한 트렁크 리드의 오픈 상태를 보여주는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ID 카드 20 : 도어 액츄에이터
30 : 트렁크 액츄에이터 40 : 제어기
41 : 입력부 42 : 안테나 구동부
43 : CPU 44 : 제어부
45 : 도어 록 버튼 46 : 커패시터 센서
47 : 트렁크 리드 스위치 48 : 카드 감시용 안테나
49 : 트렁크 감시용 안테나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암호화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ID 카드와, 도어를 개폐시켜 주는 도어 액츄에이터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트렁크 액츄에이터와, 상기 ID 카드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함께 도어의 개폐 신호나 트렁크 리드의 개구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나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제어해 주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구비된 도어 록 버튼과 커패시터 센서 그리고 트렁크 리드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는 입력부와, 도어와 트렁크 리드에 각각 설치된 안테나로부터 ID 카드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와 구동부에 입력된 신호를 통해 도어 액츄에이터와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CPU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록 버튼이 "ON" 상태에 있고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ID 카드의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도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장착된 커패시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ID 카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언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트렁크 리드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고 트렁크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ID 카드의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 센서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 자기장의 변화로 도어의 개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록킹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도어를 개폐시켜 주는 통상의 액츄에이터를, 200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통상의 액츄에이터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적법한 ID 카드를 소지한 운전자로부터 송신된 신호와 도어의 개폐나 트렁크 리드의 개구 등을 위한 운전자의 단순 조작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ID카드(10)와, 미도시된 도어와 트렁크 리드를 각각 개구시켜 주는 도어 액츄에이터(20) 및 트렁크 액츄에이터(30)와, 이들 2개의 액츄에이터(20,30)를 제어해 주기 위한 제어기(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ID 카드(10)는 통상 버스 카드나 전철용 패스 카드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하며, 미리 차량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입력시킨 다음 그에 상응하는 신호음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액츄에이터(20,30)는 종래의 트랜스미터를 통해 도어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는데 사용되던 것을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제어기(40)는 운전자가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려고 하는지 그리고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려고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입력부(41)와, 이러한 판단이 적법한 사용자로부터 조작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안테나 구동부(42)와, 상기 입력부(41)와 안테나 구동부(42)로부터 출력신호를 받아 상기 2개의 액츄에이터(20,3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주는 CPU(43) 및 제어부(4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41)에는 운전자의 의도에 의해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어의 아웃 사이드 핸들 내부에 장착된 도어 록 버튼(45) 및 커패시터 센서(46)와 트렁크 리드의 개구 의지를 판단하기 위한 트렁크 리드 스위치(47)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게 된다. 즉, 상기 도어 록 버튼(45)은 차량이 언록킹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하차 후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록킹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상기 커패시터 센서(46)는 이와 반대로 언록킹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트렁크 리드 스위치(47)는 운전자가 이 스위치를 누름에 따라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 센서(47)는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일정한 자력을 갖는 자장을 형성시켜 놓은 것으로,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운전자의 손이 끼워져서 자계의 세기가 변함에 따라 이를 언록킹 신호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안테나 구동부(42)는 운전자가 소지한 ID 카드(1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것으로, 각 도어에 구성되는 아웃사이드 핸들 부근에 장착되는 카드 감시용 안테나(48)와 트렁크 리드 부근에 설치된 트렁크 감시용 안테나(49)로부터 수신된 입력신호를 받게 된다. 이때의 수신된 신호는 운전자가 도어 근방에 있는지 아니면 트렁크 리드 근방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도어를 개폐하고자 하는것인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고자 하는 것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각 안테나(48,49)는 ID 카드(10)가 일정 거리,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7 ∼ 1 m 이내에 있을 때에만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게 하여 도어나 트렁크 리드에 어느 정도 이상 가까이 접근하였을 때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PU(43)는 상술한 입력부(41)와 안테나 구동부(4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통해 운전자가 도어를 개폐할 것인지 아니면 트렁크 리드를 개구할 것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판단 후에는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44)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4)는 이렇게 전달된 신호에 따라 도어 액츄에이터(20)나 트렁크 액츄에이터(30)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 CPU(43)는 도어의 언록킹 조작시, 첨부도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패시티 센서(46)를 통해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핸들과의 접촉이 있었는지를 판단하고, 접촉이 있으면 ID 카드(10)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카드 감시용 안테나(48)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운전자의 아웃사이드 핸들과의 접촉과 ID 카드(10)의 수신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이 바뀌더라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2가지 경우를 모두 만족하는 경우 운전자가 도어를 언록킹 시키려는 것으로 판단하여 CPU(43)를 제어부(44)에 출력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44)는 도어 액츄에이터(20)를 언록킹시켜 주는 방향으로 동작하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CPU(43)는 도어의 록킹 조작시, 첨부도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록 버튼(45)이 눌려졌는지 그리고 카드 감시용 안테나(48)에서 ID 카드(10)로부터 수신 신호를 받았는지를 판단하여, 이들 2가지를 모두 만족하면 록킹 신호를 제어부(44)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4)는 이 출력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20)를 상술한 방향과 반대로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CPU(43)는 트렁크 리드의 개구를 위해, 첨부도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렁크 리드 스위치(47)가 "ON" 되었는지 그리고 트렁크 감시용 안테나(49)에서 ID 카드(10)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수신받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만일, 이들 2가지를 모두 만족하게 되면 CPU(43)는 운전자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44)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44)는 이 신호를 받아 트렁크 액츄에이터(30)를 동작시켜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적법한 정보가 입력되어 이에 대한 신호를 발신시켜 주는 ID 카드와 운전자의 조작을 감지하여 이를 실현시켜 주기 위한 제어기로 구성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종래의 트랜스미터와 같이 여러개의 버튼 중에서 도어의 개폐 선택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도어의 개폐는 물론, 트렁크 리드의 개구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2) 카드 형태로 된 ID 카드를 소지하는 것만으로 도어의 록킹/언록킹을 할 수 있게 되어 휴대가 편리하다.

Claims (6)

  1. 암호화된 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ID 카드와, 도어를 개폐시켜 주는 도어 액츄에이터와,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트렁크 액츄에이터와, 상기 ID 카드로부터 발생된 신호와 함께 도어의 개폐 신호나 트렁크 리드의 개구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나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제어해 주는 제어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구비된 도어 록 버튼과 커패시터 센서 그리고 트렁크 리드 스위치로부터 입력 신호를 받는 입력부와, 도어와 트렁크 리드에 각각 설치된 안테나로부터 ID 카드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받는 안테나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와 구동부에 입력된 신호를 통해 도어 액츄에이터와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선택하여 제어하는 CPU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 록 버튼이 "ON" 상태에 있고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ID 카드의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도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록킹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장착된 커패시터 센서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ID 카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받아 도어 액츄에이터를 구동시켜 도어를 언록킹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트렁크 리드 스위치가 "ON" 상태에 있고 트렁크에 설치된 안테나를 통해 ID 카드의 신호가 수신되었을 때에 트렁크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 트렁크 리드를 개구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센서는 도어의 아웃사이드 핸들 내부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이 자기장의 변화로 도어의 개구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KR1020010034470A 2001-06-18 2001-06-18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KR20020096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70A KR20020096185A (ko) 2001-06-18 2001-06-18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470A KR20020096185A (ko) 2001-06-18 2001-06-18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185A true KR20020096185A (ko) 2002-12-31

Family

ID=2770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470A KR20020096185A (ko) 2001-06-18 2001-06-18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618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58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도어 오픈 시스템과 그 오픈,크로즈 방법 및 트렁크 오픈방법
KR100767477B1 (ko) * 2006-09-01 200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KR100774716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오픈 기능이 구비된 개인식별 차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0582A (ko) * 2002-01-10 2003-07-1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도어 오픈 시스템과 그 오픈,크로즈 방법 및 트렁크 오픈방법
KR100767477B1 (ko) * 2006-09-01 2007-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구비한 차량용 스마트키 시스템
KR100774716B1 (ko) * 2006-10-10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렁크 리오픈 기능이 구비된 개인식별 차량 시스템 및 그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200B1 (en)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US6707375B2 (en) Keyless entry apparatus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only member to be controlled closest to user
US7612649B2 (en) Smart entry system
US8451087B2 (en) Passive entry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doors
US6034617A (en) Operator intent based passive keyless vehicle control system
US20010038328A1 (en) Multifunction and multiple range RKE system and method
JP2007138565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US20010011941A1 (en) Integrated remote keyless entry and garage door opener using a universal repeater
US7474200B2 (en) Vehicle device control system, vehicle-side unit and portable device
GB2431521A (en) Multi-antenna system an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func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JPS62242076A (ja) 自動車用ドアのコントロ−ル装置
JP2005146529A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JP2014061866A (ja) 送信無線信号の出力を可変制御する車両リモコンキーと、車両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US6549117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20070018788A1 (en) Unlock control device
US6094131A (en) Keyless lock device for a car
JPWO2006115159A1 (ja) 自動車
US200901797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tivation using a transmitter switch array
KR20020096185A (ko) Id 카드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의 록킹 장치
JP4839701B2 (ja) 車両用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CN110834602A (zh) 一种汽车智能感应车门控制系统及其感应控制方法
JP2620349B2 (ja) 車輌用キーレスドアロック装置
JP2008106548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H0368991B2 (ko)
JP2006207138A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