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6039A -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6039A
KR20020096039A KR1020027000312A KR20027000312A KR20020096039A KR 20020096039 A KR20020096039 A KR 20020096039A KR 1020027000312 A KR1020027000312 A KR 1020027000312A KR 20027000312 A KR20027000312 A KR 20027000312A KR 20020096039 A KR20020096039 A KR 20020096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mposition
cosmetic
layers
top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클로드 르졸리프
이사벨 보몽
사미라 카르쿠비
사벵 포르테르
Original Assignee
부르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908952A external-priority patent/FR2795928B1/fr
Application filed by 부르주아 filed Critical 부르주아
Publication of KR20020096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0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7/00Sachet pad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소 도포용 조성물에 대해 투과성인 상층 (6), 국소 도포용 조성물에 대해 불투과성인 하층 (2), 및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1개 이상의 캡슐 (5)를 포함하며, 상기 두 층이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되고 그의 주변부에서 밀착되어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용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용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Article for Applying a Top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국소 도포용 조성물, 특히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용품, 및 이러한 용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은 국소 도포를 목적으로 한다. 즉, 피부 및 점막에 적용될 조성물을 말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튜브 또는 병의 형태로 충전되어 시판된다. 사용자는 소량의 조성물을 취한 후 이를 피부 또는 점막의 원하는 부위에 손가락으로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국소 도포용 조성물과 접촉할 때 그의 손이 더러워지며, 어떤 경우에는 또한 불쾌한 접촉감을 느낀다. 이러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하여,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함침된 텍스타일 매체를 피부에 직접 적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들 텍스타일 매체는 국소 부여용 조성물과 사용자의 손 사이의 접촉을 단지 부분적으로만 방지한다.
또한, 사용자는 특히 피부 위생 분야에서 일회용이며, 운반이 용이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리한 제품을 더욱 추구하고 있다.
미용 제품을 분말, 고상 겔 및 바 형태로 발포체의 하나 이상의 블록을 포함하는 발포체 분체에 삽입하고 밀착하여 접합하는 것이 유럽 특허 제0 764 409호에 이미 제안되었다. 용액 또는 에멀젼을 발포체 블록에 함침시켜 미용 제품을 활성화시키고, 이를 피부에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 유형은 단지 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제품에만 적합하다. 이들 제품은 미용 제품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액체로 발포체를 미리 함침시켜야 하기 때문에 특히 진정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기 간단한 제품과는 관계가 없다. 이외에, 미용 제품이 일단 활성화되면 미용 제품은 발포체의 모든 공극으로부터 흘러나온다. 이 때문에, 사용자의 손은 불가피하게 활성화된 미용 제품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한 단점을 제거하고, 동시에 사용하기 간단하며, 운반하기 용이하고, 일회용이며, 사용자 손가락과 조성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미용 또는 제약 용도의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충전하고 적용하기 위한 용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대해 투과성인 상층, 및 도포 조성물에 대해 불투과성이며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하층을 포함하며,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1개 이상의 캡슐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도록 상기 두 층을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하고 상기 두 층의 주변부를 밀착시켜 두 층을 함께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용품을 포함한다.
상기한 이점 이외에, 본 발명의 용품은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선택된 투여량을 전달할 수 있고,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공기와 단절되도록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보유함으로써 조성물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품의 다른 이점은 하기 상세한 설명 및 한장의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국소 도포용 제약 또는 미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여러 캡슐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용품의 부분 절단 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용품은 또한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상층을 포함한다.
상승 또는 하층에 대해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는 텍스타일 재료는 피부와 접촉하였을 때 부드럽고 유쾌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재료로부터 일반적으로 선택된다. 물론, 비마찰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텍스타일 재료는 제직물 또는 바람직하게는 부직물일 수 있다.
텍스타일 재료는 또한 적합한 매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개별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섬유는 목적하는 부드럽고 유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제직 또는 부직 텍스타일 재료로서,
●견, 또는 면 또는 목재 펄프와 같은 천연 셀룰로오스와 같은 천연물,
●비스코스 또는 고인성 비스코스와 같은 재생 셀룰로오스를 포함한 인공물,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한 폴리올레핀, 비닐 폴리아세테이트와 같이 아세트산으로부터 유도된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합성물,
●상기한 물질 2종 이상의 혼합물, 특히 비스코스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기재 혼합물 기재 재료를 포함한다.
이들 제직 또는 부직 재료를 포함하는 섬유 또는 상기 개별 섬유는 고상, 중공, 다공, 다중 적층물일 수 있거나, 또는 폴리에스테르/비스코스 또는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은 이성분 섬유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층 및 상층의 텍스타일 재료가 열가용성 또는 열가소성인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한 특정 재료, 특히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올레핀은 이러한 특성을 보유한다. 또한, 이들은 두 층 사이의 밀착을 하기에 기재되는 절차에 따라 공업적 규모로 명백하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한다.
하층 및 상층은 상기한 것들과 같은 1종 이상의 텍스타일 재료로 전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층 및 하층 중 하나 이상이 2개 이상의 하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질 수 있다. 이러한 다층 구조는 여러 이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하층은 접촉시 유쾌한 느낌을 부여하는 투과성 텍스타일 재료의 외부 하위층 및 국소 도포용 조성물에 대해 불투과성인 내부 하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불투과성 하위층은 중합체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의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층 및 상층 각각은 서로 대면하는 내부 하위층이 하기에 기재되는 방법과 같은 방법에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한 바와 같은 열가소성 또는 열가용성 재료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와 접촉하는 외부 하위층은 접촉시 유쾌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부여하는 재료 중에서 선택되나 양호한 밀착을 보장하기에 적절한 특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들 다층 구조는 대향면을 아교 처리하거나 또는 캘린더링하는 것과 같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적어도 하층이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텍스타일 재료가 사용자의 본 발명의 용품의 보유를 개선시켜, 피부로의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올바른 적용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이는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주의깊게 그리고 정확하게 퍼져야 하는 얼굴, 특히 얼굴 주름살에 있는 경우 보다 특히 중요하다.
또한, 접촉시 유쾌한 텍스타일 재료는 미용 또는 제약 제품을 매우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만족스럽다.
본 발명의 의미에 따라,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재료의 공극을 통과할 수 있을 때 이 재료를 국소 도포용 조성물에 대해 투과성이라 한다.
사용되는 제직 또는 부직 텍스타일 재료는 기본 중량 (ISO 표준 9073-1)이 20 내지 250 g/m2,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80 g/m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품은 국소 도포용 조성물 함유 캡슐을 단지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각각이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작은 크기의 여러 캡슐을 사용할 것이다. 이들 작은 크기의 캡슐은 일반적으로 평균 직경이 0.5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mm이다. 이들 캡슐의 외피는 친수성 콜로이드, 예를 들면 알부민, 알기네이트, 카세인, 펙틴, 전분, 젤라틴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예를 들면 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랙,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다당류, 폴리비닐 유도체,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스티렌을 포함할 수 있다. 젤라틴은 캡슐 외피의 바람직한 일 성분이다.
젤라틴은 명백하게 돼지, 소, 양 또는 생선 젤라틴일 수 있다.
캡슐 내용물 비율, 즉 각 캡슐 내에 함유된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중량 대 캡슐의 전체 중량의 비는 80 내지 99%이다. 캡슐에 함유된 조성물의 방출의 관점에서, 캡슐은 본 발명의 용품을 단순히 구부림으로써 그리고 손으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파괴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이점에 따라, 상기 층을 통해 캡슐을 파괴할 때 사용자는 유쾌하게 느낄 것이다.
본 발명의 용품 중의 캡슐의 양은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목적하는 투여량 및 캡슐 내용물 비율에 따라 선택된다. 국소 도포용 조성물의 투여량은 상기 조성물의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좌우된다.
이들 캡슐 자체의 제조 방법은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691,090호, 동 제5,051,304호 또는 동 제4,752,496호를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문헌들은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인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은 코아서베이션(coacervation)하여, 또는 코아서베이션 제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코아서베이션 제제로서 유기 및(또는) 무기 염,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암모늄 염, 유기 또는 무기 음이온의 염, 예를 들면 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및 포르메이트를 함유하는 전해질 수용액을 언급할 수 있다.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는 특히 가장 적합한 코아서베이션 제제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수득된 캡슐은 이들이 형성된 반응 매질로부터 추출되는 시점에서 명백하게 부서질 수 있다. 이들의 취성을 감소시키고 이들의 가용성을 낮추기 위하여, 글루타르알데히드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가교제를 반응 매질에 첨가할 수 있다.
국소 도포용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상, 페이스트상, 반-페이스트상(semi-pasty) 또는 겔 형태이다. 이는 미용 조성물, 특히 화장품, 피부 보호 제품 또는 피부 위생 또는 세정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은 명백하게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위생 또는 세정 제품은 화장품 제거제를 포함할 수 있다. 국소 도포용 조성물은 또한 제약품, 특히 피부용 또는 안구용 제약품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도포용 조성물은 또한, 정유, 하이드로-알콜류 용액 또는 에멀젼의 형태의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국소 도포용 조성물은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며, 활성 주성분 및(또는) 통상적인 부형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품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5 mm 내지 20 mm 사이이다. 이는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또는 원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용품의 직경 또는 최장 측면 길이는 전형적으로 1 cm 내지 10 cm 사이이다. 상기 상층 및 하층 각각의 두께는 0.5 mm 내지 4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 mm 사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품을 도시하며, 이는 천연 셀룰로오스 부직물의 외부 하위층 (3) 및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는 내부 하위층 (4)을 포함하는 불투과성 하층 (2), 이 하층 위에 놓여진,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 (5), 및 폴리에스테르의 내부 하위층 (7) 및 폴리에스테르 30 중량% 및 비스코스 70 중량% 혼합물 기재 비스코스의 외부 하위층 (8)을 포함하는 부직 텍스타일의 투과성 상층 (6)을 포함한다. 상층 및 하층은 밀착부 (9)에 의해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결합되어 있다. 사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용품을 손가락으로 구부리고 눌러 캡슐을 파괴함으로써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활성화시켜 이것이 투과성 상층을 통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국소 도포용 조성물은 사용자의 손 또는 손가락과 접촉하지 않고도, 상층을 구성하는 텍스타일 재료를 통해 피부에 유리하게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서, 상기 정의된 용품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에 따라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캡슐(들)을 상기 용품을 구성하는 상층 또는 하층의 내면 위에 넣는다. 그 다음, 나머지 층을 캡슐(들)을 넣은 층과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시키고, 상기 두 층을 이들의 주변부를 따라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서로 밀착시킨다.
밀착은 열, 초음파, 아교, 고주파 또는 기계적 압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밀착을 열, 초음파, 또는 고주파로 수행하는 경우, 하층 및 상층의 적어도 주변부는 열가용성 또는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용품은 상기 용품을 1개 이상 함유할 수 있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성 외면 및 플라스틱 내면을 포함하는 이중층 재료로 포장하거나, 플라스틱 재료의 외피로 포장할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캡슐화된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을 함유하는 용품
a) 하기의 조성을 갖는 무수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을 제조했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19.5 g
에틸-2-헥실 팔미테이트 11 g
케토스테아릴 옥타노에이트19.5 g
수소화 코코넛 오일 5 g
페녹시에탄올1.45 g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1 g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0.2 g
EDTA 분말0.05 g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벤토나이트 0.3 g
실리카 5 g
운모 4 g
미분 활석 20 무스 (moos) 2 g
나일론 12 6 g
안료 25 g
b)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의 캡슐화
600 ml 비커에서 돼지 젤라틴 5 g을 물 130 g 중에 용해하여 팽창시키고, 이 혼합물을 220 rpm으로 교반시키면서 55 ℃ (수조를 사용한 전체 작업동안 이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시킴)로 가열했다. 평균 직경이 1000 ㎛인 캡슐이 얻어지도록 상기와 같이 계속 교반했다. 그 다음, 55 ℃로 예열된 무수 메이크업 화운데이션 25ml를 첨가하고 2 분 동안 에멀젼화했다. 그 다음, 55 ℃로 예열된 증류수 90 ml 중에 용해된 0.5%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를 20 ml 첨가했다.
1 N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반응 매질의 pH를 조절하여 pH를 4-5로 저하시켰다. 현미경을 사용하여 코아세르베이션이 일어났음을 확인했다. 가열을 중단하고, 상기 매질을 교반 하에 약 1 시간 30 분 동안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얼음을 사용하여 약 15 ℃의 온도로 계속 냉각시킨 다음, 1.5% 글루타르알데히드 10 ml를 첨가하고 교반 하에 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기간은 가교 시간에 해당하며, 이때 캡슐이 고형화된다.
매우 미세한 실리카를 스페츌라 1회 분량으로 첨가하여 캡슐들 사이의 점착을 방지했다. 상기 매질을 기울여 따라낸 다음, 여과하고 증류수로 헹궈냈다. 상기 캡슐을 0.5% 방부제를 함유하는 물 중에 보관했다.
c) 캡슐화된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을 함유하는 용품의 제조
상기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캡슐 4 g을 폴리에스테르 부직물의 내부 하위층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 30 중량% 및 비스코스 섬유 70 중량% 함유하는 혼합물 기재 부직물의 외부 층을 포함하는 투과성 층의 내부 하위층 위에 넣었다. 그 다음, 이렇게 캡슐을 넣은 층 위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포함하는 내부 하위층 및 천연 셀룰로오스 부직물의 외부 하위층을 포함하는 불투과성 층을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시켰다.
그 다음, 초음파를 사용하여 상기 두 층의 주변부 사이를 밀착시켰다. 이로써, 간단히 구부리고 누름으로써 캡슐이 활성화되어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이 투과성층을 통해 이동하여 피부와 접촉하게 되는, 본 발명의 용품이 얻어졌다.
실시예 2 내지 4는 다양한 미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용품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이들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용품들과 비교할 때, 국소 도포용 조성물 그 자체의 특성에서만 차이가 있었으며, 이 조성물은 실시예 2 내지 4에 각각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 캡슐화된 국소 메이크업 화운데이션을 함유하는 용품
하기의 조성을 갖는 전형적인 색조의 베이스를 제조했다.
PEG-8-밀랍 8%
액상 파라핀 10%
프로필렌 글리콜 디페르라고네이트 (PGDP) 8%
세틸 알콜 1.5%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2%
스테아르산 2%
안료 분쇄물 6%
물전체를 100%가 되게 하는 양 (%)
실시예 3: 캡슐화된 수중유 에멀젼 제제를 함유하는 용품
하기의 조성을 갖는 수중유 에멀젼을 제조했다.
액상 파라핀 25%
스테아릴 알콜 (2OE) 3.4%
스테아릴 알콜 (21OE) 1.6%
트리에탄올아민 0.25%
카르보폴 (Carbopol) ETD 2020 (Goodrich Corp. 제품) 0.25%
(아크릴성 중합체)
페녹시-2-에탄올 0.4%
프로필렌 글리콜 4%
물 전체를 100%가 되게 하는 양 (%)
실시예 4: 유중수 에멀젼 제제를 함유하는 용픔
하기의 조성을 갖는 유중수 에멀젼을 제조했다.
카프릴릭 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19.5%
폴리프로폭실 스테아릴 알콜 7.5%
PEG-30 디폴리히드록시스테아레이트 4%
액상 파라핀 5%
파르솔 (Parsol) MCS (Givaudan 제품) 1%
(2-에틸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옥시넥스 (Oxynex) LM (Merck 제품) (산화방지제) 0.2%
페녹시에탄올 1%
NaCl 1%
물 전체를 100%가 되게 하는 양 (%)

Claims (18)

  1. (i)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대해 투과성인 상층, 및
    (ii)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에 대해 불투과성이며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하는 하층을 포함하며,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1개 이상의 캡슐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도록 상기 두 층을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하고 상기 두 층의 주변부를 밀착시켜 두 층을 함께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 도포용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한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층이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층 및 상층 각각이 부직 텍스타일 재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층이 텍스타일 재료의 외부 하위층 및 내부 불투과성 하위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내부 불투과성 하위층이 중합체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외부 하위층이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액상, 페이스트상, 반-페이스트상(semi-pasty) 또는 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미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국소 도포용 조성물이 제약 조성물, 특히 피부용 또는 안구용 제약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0. 제8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이 화장품, 피부 보호 제품, 또는 피부 위생 또는 세정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화장품이 메이크업 화운데이션 (makeup found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2. 제10항에 있어서, 피부 위생 또는 세정 제품이 화장품 제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평균 직경이 0.5 내지 5 mm인 2개 이상의 캡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이 친수성 콜로이드로 이루어진 외피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캡슐의 외피가 젤라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품.
  16. 국소 도포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1개 이상의 캡슐을 상층과 하층 중 하나의 내면에 둔 후, 다른 층을 가장자리 대 가장자리로 중첩시키고 두 층의 주변부를 함께 밀착시키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품의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열, 초음파, 아교, 고주파 또는 기계적 압착으로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피부에 국소 미용 제제를 도포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품의 용도.
KR1020027000312A 1999-07-09 2000-07-06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200960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8952 1999-07-09
FR9908952A FR2795928B1 (fr) 1999-07-09 1999-07-09 Article pour l'application d'une composition top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50246400A 2000-02-11 2000-02-11
US09/502,464 2000-02-11
PCT/FR2000/001953 WO2001003538A1 (fr) 1999-07-09 2000-07-06 Article pour l'application d'une composition top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039A true KR20020096039A (ko) 2002-12-28

Family

ID=2623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312A KR20020096039A (ko) 1999-07-09 2000-07-06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199956A1 (ko)
JP (1) JP2003520063A (ko)
KR (1) KR20020096039A (ko)
AU (1) AU6294800A (ko)
WO (1) WO200100353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47B1 (ko) * 2012-03-08 2015-07-24 미샤 테레쉬크 캡슐화된 액체의 반경질 오목 애플리케이터
WO2016148495A1 (ko) * 2015-03-17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WO2018169225A1 (ko) * 2017-03-13 2018-09-20 (주)아모레퍼시픽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10485322B2 (en) 2015-03-17 2019-11-26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comprising impermeable lay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303890A (pt) 2002-09-26 2004-09-08 Oreal Composição de esmalte de unhas, proceso cosmético de maquilagem ou de cuidado não-teraupêutico das unhas, uso de uma composição de esmalte de unhas e produto cosmético
AU2003301500A1 (en) 2002-12-12 2004-07-09 L'oreal Composition comprising a dispersion of particles of a grafted ethylene polymer and a gelling agent
WO2005020940A1 (de) * 2003-08-27 2005-03-10 Beiersdorf Ag Kapsel deren kapselhülle bei topischer anwendung nicht mehr gesondert warhnembar ist
DE10357639A1 (de) * 2003-08-27 2005-03-24 Beiersdorf Ag Kosmetische und/oder dermatologische Kapsel
WO2005020949A1 (de) * 2003-08-27 2005-03-10 Beiersdorf Ag Kosmetische kugelförmige zubereitungen zur topischen anwendung
FR2879456B1 (fr) 2004-12-20 2007-05-04 Oreal Composition solaire comprenant au moins un filtre uv lipophile et au moins une hydroxyalkyluree
FR2879445B1 (fr) 2004-12-20 2007-02-23 Oreal Produit autobronzant a deux composants, dispositifs multicompartiments, procede de coloration de la peau.
FR2881343B1 (fr) 2005-01-31 2007-04-20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solide de maquillage et/ou de soin
DE102005012248A1 (de) * 2005-03-15 2006-09-28 Scs Skin Care Systems Gmbh Erzeugnis zur gerichteten Freisetzung von Aktivstoffen
US7614812B2 (en) * 2005-09-29 2009-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r with encapsulated agent
FR2902999B1 (fr) 2006-07-03 2012-09-28 Oreal Utilisation de derives c-glycoside a titre d'actif prodesquamant
FR2904524B1 (fr) * 2006-08-04 2012-05-04 Georgia Pacific France Article de nettoyage et/ou de soin de la peau et procede de fabrication dudit article
FR2917615B1 (fr) 2007-06-21 2009-10-02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ux polyesters.
FR2918561B1 (fr) 2007-07-09 2009-10-09 Oreal Utilisation pour la coloration de la peau de l'acide dehydroascorbique ou des derives polymeres ; procedes de soin et/ou de maquillage.
FR2939033B1 (fr) 2008-12-02 2012-08-3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de maquillage et/ou de soin des matieres keratiniques, et procede de maquillage
FR2940612B1 (fr) 2008-12-30 2011-05-06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l'acide ascorbiqu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11B1 (fr) 2008-12-30 2012-01-13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et d'adenosine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13B1 (fr) 2008-12-30 2012-09-21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des filtres solaire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15B1 (fr) 2008-12-30 2011-12-30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des agents antioxydant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09B1 (fr) 2008-12-30 2011-05-06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et d'agents desquamant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FR2940610B1 (fr) 2008-12-30 2011-05-06 Oreal Association de monosaccharides avec des derives c-glycosides et son utilisation en cosmetique
US9144289B2 (en) 2009-08-08 2015-09-29 Yong Jin Kim Wrinkle-removing tape
EP2533753B1 (en) 2009-11-10 2022-07-06 Laboratory Skin Care, Inc. Sunscreen compositions comprising uniform, rigid, spherical, nanoporous calcium phosphate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2335677A1 (fr) 2009-12-17 2011-06-22 L'Oréal Composition cosmetique chargeante comprenant de l'alcool behenique a titre d'agent epaississant
FR2962905B1 (fr) 2010-07-21 2012-09-21 Oreal Composition de soin et/ou maquillage des fibres keratiniques
FR2969921B1 (fr) 2011-01-05 2013-08-09 Oreal Produit cosmetique en deux parties
FR2972110B1 (fr) 2011-03-01 2013-11-15 Oreal Procede de traitement cosmetique des rougeurs cutanees
TWI658837B (zh) 2012-04-12 2019-05-11 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具有改進的使用感覺之發泡體
JP2014129312A (ja) * 2012-12-30 2014-07-10 Shinshu Univ シート状パック基材及びシート状パック
FR3004647B1 (fr) 2013-04-19 2015-07-03 Oreal Composition contenant une emulsion, la phase huileuse comprenant un compose comprenant un elastomere de silicone et tensio-actif, une poudre d'elastomere de silicone et un poly alkyl (meth) acrylate
FR3004644B1 (fr) 2013-04-19 2015-08-07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une phase huileuse comprenant un elastomere de silicone en suspension aqueuse et un tensioactif particulier.
KR101875423B1 (ko) * 2015-12-14 2018-08-02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멤브레인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퍼프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용 퍼프
KR101927047B1 (ko) 2017-01-20 2018-12-10 (주)아모레퍼시픽 편리한 화장이 가능한 화장도구
FR3075041B1 (fr) 2017-12-20 2019-11-15 L'oreal Dispersion aqueuse coloree de particules comprenant au moins une matiere colorante particulaire, une charge matifiante, des particules de polymere filmogene, un agent epaississant et un agent dispersant polymerique ionique
KR101947708B1 (ko) 2018-07-09 2019-02-13 (주)아모레퍼시픽 편리한 화장이 가능한 화장도구
IT202000030848A1 (it) * 2020-12-15 2022-06-15 Zobele Holding Spa Diffusore di sostanze liquide volatili munito di una membrana permeabile ai vapori e attivabile al momento dell’us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6478A (en) * 1963-05-02 1965-07-27 Armstrong Cork Co Applier
US3334374A (en) * 1964-12-28 1967-08-08 Minnesota Mining & Mfg Applicator pad
BE744162A (fr) 1969-01-16 1970-06-15 Fuji Photo Film Co Ltd Procede d'encapsulage
US4752496A (en) 1986-05-27 1988-06-21 Qmax Technology Group, Inc. Method of applying cosmetics to a substrate and article
FR2608456B1 (fr) 1986-12-18 1993-06-18 Mero Rousselot Satia Microcapsules a base de gelatine et de polysaccharides et leur procede d'obtention
US4878775A (en) * 1987-10-28 1989-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transfer device
GB8907357D0 (en) * 1989-03-31 1989-05-17 Metal Box Plc Liquid applicator
FR2739003B1 (fr) * 1995-09-21 1998-03-20 Oreal Houppette de mousse pour le soin et le traitement topique de la peau
DE19744213A1 (de) * 1997-10-07 1999-04-08 Kirner Markus Wattepad mit Flüssigkeitskamm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47B1 (ko) * 2012-03-08 2015-07-24 미샤 테레쉬크 캡슐화된 액체의 반경질 오목 애플리케이터
WO2016148495A1 (ko) * 2015-03-17 2016-09-22 (주)아모레퍼시픽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US10485322B2 (en) 2015-03-17 2019-11-26 Amorepacific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applicator comprising impermeable layer
WO2018169225A1 (ko) * 2017-03-13 2018-09-20 (주)아모레퍼시픽 바이오 셀룰로오스 피막층이 형성된 담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20063A (ja) 2003-07-02
AU6294800A (en) 2001-01-30
WO2001003538A1 (fr) 2001-01-18
EP1199956A1 (fr)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96039A (ko) 국소 도포용 조성물 적용 용품 및 그의 제조 방법
EP0904049B1 (en) Sheet pack
JP3595057B2 (ja) シート状化粧料組成物
US6261593B1 (en) Carrier patch for the delivery of agents to the skin
CN101227853B (zh) 用于递送组合物的装置
KR101496663B1 (ko) 위생 박엽지
JP2003093152A (ja) 化粧料含浸シート
JP2005289997A (ja) 肌の手入れ用製品
JP2013511509A (ja) 冷却感を与える温度変化組成物及びティッシュ製品
US20070130706A1 (en) Disposable applicator
JP2006528678A (ja) 日焼け止め組成物の移行率が高い日焼け止めワイプ
KR20070057890A (ko) 피부 냉각 조성물
EP0965332B1 (en) Blackhead removing agent, blackhead remov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blackhead removing sheet
JP4215705B2 (ja) 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状化粧料
JP2002193744A (ja) 化粧品又は医薬品活性成分の活性又は浸透を改良するための熱安定化マイクロカプセルの使用
JP3494334B2 (ja) シート状パック
JP2002325697A (ja) 防腐防黴組成物を含むウエットワイパー
JP3971125B2 (ja) 防腐防黴組成物を含むウエットワイパー
JP2019059696A (ja) シート化粧料
JP2003210509A (ja) 温熱シート
JP6444075B2 (ja) 貼付剤
KR20050033848A (ko) 피부의 상이한 영역에 대한 활성제 적용을 위한 제품
FR2795928A1 (fr) Article pour l'application d'une composition topiqu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JP2002306367A (ja) 身体清浄用シート
US6881253B2 (en) Spray binding agent for tattoo stenc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