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4951A -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4951A
KR20020094951A KR1020027014654A KR20027014654A KR20020094951A KR 20020094951 A KR20020094951 A KR 20020094951A KR 1020027014654 A KR1020027014654 A KR 1020027014654A KR 20027014654 A KR20027014654 A KR 20027014654A KR 20020094951 A KR20020094951 A KR 20020094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agement data
management
edit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가타기요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4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49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장치(10)이고, 오디오데이터와 이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서 독출된 관리데이터를 외부의 편집장치에출력하는 동시에 외부의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관리데이터를 입력하는 외부인터페이스부(70)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데이터를 이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에 고쳐쓰는 제어부(60)를 갖춘다. 대용량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정보의 편집에 외부의 편집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편집에 요하는 순간이 경감된다.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Audio dat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nd recorder}
음악데이터의 양태의 하나로서, CD(콤팩트디스크) 등에 기록된 음악데이터를 하드디스크와 같은 데이터의 추기나 고쳐쓰기가 용이한 대용량 기록장치에 녹음하는 것이 언급되고 있다. 기록장치로서 하드디스크를 갖춘 녹음장치는 차량 적재 오디오시스템에 응용 할 수 있다. 차량적재 오디오시스템은 사용할 때에 주행중에 CD 등의 기록매체의 교환이 곤란한 등의 제한이 있지만, 하드디스크를 차량적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하고, 음악데이터를 녹음하여 관리함으로써, 기록매체의 교환의 순간을 삭제할 수 있다.
이들 하드디스크 등의 대 용량기록매체에 녹음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의해 재생할 수 있다.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서 관리되고 있는 음악데이터에 관한 곡명 등의 정보는 당해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음악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의거해서 소망의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행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2b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표시부 근방의 일부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 1a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의 프론트패널(100)의 표시부 부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01)에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기록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정보리스트(102)로서 표시된다. 또 현재 선택되어 있는 상태의 데이터파일의 표시정보는 반전한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파일리스트(2), 곡명(2)이라는 정보를 가진 음악데이터의 파일의 리스트가 선택되어 있다. 사용자는 죠그롤러(103)를 화살표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임의의 음악데이터의 리스트를 선택하고, 당해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이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CD나 튜너에서, 내장된 하드디스크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 기록된 음악데이터에 대해서 곡명 등의 정보를 부가할 수 있다. 부가된 정보도, 하드디스크에 기록된다. 여기서 그 부가정보를 기입할 때의 문자열정보의 편집방법에 대해서 도 1b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의 프론트패널(100)에 있어서,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양자(樣子)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01)에는 현재 부가하고자 하고 있는 정보가 편집 가능한 상태에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죠그롤러(103)를 도 1a, 도 1b중 화살표의 방향 또는 그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임의의 문자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 죠그롤러(103)를 압압함으로써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01)에 표시된 문자열을 편집하고, 음악데이터에 부가하는 곡명 등의 부가정보를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부가정보는 하드디스크에 음악데이터파일과 동시에 기록할 수 있고, 리스트(102)로서 디스플레이(101)에 표시된다.
그런데 통상의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표시장치는 차량탑재 시스템이라는 기기의 작용상태에서 큰 사이즈의 표시화면을 갖추고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오디오시스템에서는 음성의 재생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은 부가적인 기능에 불과하고, 큰 사이즈의 표시화면을 갖고 있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곡명이나 녹음일자와 같은 음악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화면상에 표시하는 경우 표시화면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표시장치에, 곡명 외에 녹음한 일자 등, 곡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음악데이터에 부가된 곡명 등의 정보를 당해 시스템에 탑재된 표시장치에 표시시키고 있었다. 이 정보의 편집은 당해 표시장치에 표시된 정보를 인식하면서 행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 기록된 음악데이터의 파일의 수가많게 되면 유사한 파일명(음악데이터에 부가된 곡명등)도 증가하기 위해 재생하여 듣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탐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수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식별하기 쉽도록 곡명이나 곡순등을 변경하고자 하는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편집작업을 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표시장치는 표시화면의 사이즈가 작게 표시될 수 있는 정보량이 적기 때문에 이 표시화면상에서 편집 등의 편집작업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되어 있는 표시장치의 표시화면이 대단히 작고, 표시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록장치에 음악데이터를 파일로서 구조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파일시스템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는 어느 디렉토리에 어느 음악데이터의 데이터테이블을 보존하고 있는 가라는 것을 표시화면에 표시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곡명이나 곡순등을 변경하여 편집작업을 행하는데 있어서, 도 1a, 도 1b에 나타내는 죠그롤러(103)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하나씩 편집하지 않으면 안 되었기 때문에 조작에 다대한 순간을 요하고 있다.
본 발명은 대용량의 음악장치에 있어서의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오디오데이터 관리시스템과 녹음장치 및 녹음정보관리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의 프론트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프론트패널에 부가정보를 편집하는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녹음재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TOC정보의 편집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c는 TOC정보의 편집에 의해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TOC정보의 버젼정보의 관리장치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불편함을 방지하는 수단을 강구한 TOC정보의 버젼정보의 관리장치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시스템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록장치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정보의 편집에 필요한 순간을 경감하는데 있다.
상술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은 전자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장치이고, 전자화된 오디오데이터와 이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의 고쳐쓰기 가능한 기록매체와, 이 기록매체에서 독출된 관리데이터를 외부의 편집장치에 출력하는 동시에, 외부의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관리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기록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데이터를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에 고쳐쓰기 관리데이터 고쳐쓰기수단을 갖춘다.
본 발명의 오디오재생장치에 이용되는 기록매체는 자기적 수단에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이 가능하고, 오디오재생장치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기록매체,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안가로 용이하게 큰 기억용량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기록매체는 오디오 데이터와 관리데이터를 분할하고, 별도의 파일로서 격납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관리데이터만을 용이하게 취출하여 외부의 편집장치로 인도할 수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편집장치에 의해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제거기록매체에 대하여 관리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하는 데이터 읽고쓰기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스틱과 같은 휴대성에 우수한 제거기록매체를 개입시켜서 관리데이터를 편집장치에 건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오디오 재생장치는 외부의 편집장치에 의하지 않고, 기록매체에 격납된 관리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수단을 갖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편집수단은 입력수단이 제거기록매체에 대하여 읽고 쓰기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관리데이터의 편집을 제한한다. 즉, 메모리스틱등의 제거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만 이 편집수단에 의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외부의 편집장치에 의해 관리데이터를 편집중에 오디오재생장치에 있어서도 관리데이터를 편집하여 버리고, 어느 쪽의 관리데이터에 따라서 관리하여야 하는가를 판단할 수 없게 되도록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정보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즉, 이 정보처리장치는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격납된 제 1기록매체와,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수단과, 착탈가능한 제 2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 갖춘다. 관리수단은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가 격납된 제 2기록매체에서 입력수단에 입력된 관리데이터에 의거해서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이용되고 있는 제 1기록매체는 콘텐츠데이터와 동시에 이 콘텐츠데이터에 대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고, 이 제 2기록매체는 이 제 1기록매체에서 독출된 관리데이터를 편집하여 작성된 관리데이터를 격납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본 발명은 전자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오디오데이터 관리방법으로서, 데이터의 고쳐쓰기가 가능한 기록장치에 대하여 오디오 데이터와 이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와 격납하는 스텝과, 이 기록매체에서 이 관리데이터를 독출하여 외부의 편지장치에 출력하는 스텝과, 이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 관리데이터를 편집하는 스텝과, 이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관리데이터를 입력하는 스텝과, 이 기록장치에 격납되어있는 이 관리데이터를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에 의거해서 고쳐쓰는 스텝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 관리데이터를 고쳐쓰는 스텝은 이 기록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데이터의 갱신일시와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의 갱신일시를 비교하고, 이들의 관리데이터의 항목 등에 갱신일시의 새로운 편의 데이터를 모집해서 새로운 관리데이터를 작성하는 스텝과, 이 기록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관리데이터를 작성된 새로운 관리데이터에 고쳐쓰는 스텝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외부의 편집장치에 의해 관리데이터를 편집중에 오디오재생장치에 있어서도 관리데이터를 편집한 경우, 쌍편의 변종결과를 관리데이터의 항목단위 즉, 오디오데이터등에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본 발명은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와 당해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기록매체에서 콘텐츠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데이터 관리방법에 있어서, 이 기록매체에서 이 관리데이터를 독출하여 외부의 편집장치에 출력하고, 이 편집장치에 있어서 이 관리데이터를 편집하고, 이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관리데이터를 입력하고, 이 기록매체에 격납된 관리데이터에 대해서, 입력된 편집후의 관리데이터를 이용해서 이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있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의 형태의 설명에서 한층 명확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녹음재생장치(1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갖춘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녹음재생장치(10)는 녹음용의 대용량기록장치로서 하드디스크를 탑재한 오디오시스템이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어레이(20)와, CD독취부(30)와, 튜너부(40)와, 제어부(50)와, 녹음재생부(60)와, 외부인터페이스부(70)와, 출력부(80)를 갖춘다.
게이트어레이(20)는 CD독취부(30)나 튜너부(40)나 녹음재생부(60)등의 각 모듈간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각각의 모듈에 대해서 명령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논리회로를 갖추고 있다. 게이트어레이(20)에 내장되어 있는 DMA제어기(도 2에서 DMA라 표기한다.)(21)는 녹음재생부(60)에 대한 데이터전송을 직접 제어한다.
CD독취부(30)는 음악데이터가 디지털 녹음된 CD(31)를 장착하고, 광픽업에 의해 음악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 CD독취부(30)로서는 공지의 CD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이 CD독취부(30)는 디지털음악데이터의 정보원에서 재생이 가능한 것이라면, DVD(Digital Versatile Disk)-오디오플레이어나 MD플레이어 등이라도 대체가 가능하다. 이 경우 음악데이터의 기록매체도 DVD나 MD(Mini Disk)를 이용한다. 또 녹음재생장치(10)의 외부에 케이블 등에서 접속된 디지털재생기기라도 대체가 가능하다.
튜너부(40)는 튜너(41)와 A/D(Analog to Digital)컨버터(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튜너(41)는 AM파나 FM파등의 전파를 대역 제한하여 수신하는 수신장치이다. A/D컨버터(42)는 아날로그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춘다. 튜너(41)에서 수신된 아날로그데이터는 A/D컨버터(42)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다. CD독취부(30)에 의해 독출된 음악데이터나 A/D컨버터(42)에 의해 디지털데이터로 변환된 오디오데이터는 게이트어레이(20)로 보낸다.
제어부(50)는 게이트어레이(20)를 포함한 녹음재생장치(10)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제어부이고, CPU(51)는 중앙처리장치이고, RAM(52)은 CPU(51)에서 직접 읽고 쓰기가 가능한 메모리이다. RAM(52)에는 녹음재생장치(10)의 펌웨어등을 읽어들여서 유지하여 놓을 수 있다. CPU(51)는 RAM(52)에 유지되어 있는 펌웨어를 읽어들이고, 해석하여 실행한다. 또 CPU(5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도시하지 않는 조작장치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녹음재생장치(10)의 각 기능을 동작시킨다.
녹음재생부(60)는 메모리(61)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62)에 의해 구성된다. 또 녹음재생부(60)는 CD독취부(30) 혹은 튜너부(40)에서 게이트어레이(20)를 통해서 이송되어 온 오디오데이터를 대용량 기록장치인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한다. 메모리(61)는 게이트어레이(20)에서 보내져 온 오디오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메모리영역이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는 메모리(61)에 유지된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한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는 게이트어레이(20)를 거쳐서 출력부(80)에 보내고, 재생할 수 있다.
CD독취부(30)에 있어서, 독출되고, 또는 튜너부(40)에서 출력된 오디오데이터는 게이트어레이(20)를 거쳐서 메모리(61)로 보내고, 일시적으로 유지된 후 게이트어레이(20)에 내장된 DMA제어기(21)에 의해 순차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로 이송되어 기록된다. 이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로의 데이터의 기록방식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디지털데이터로서 이송되어 온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기록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오디오데이터를 기록할 때 콘텐츠인 곡데이터와 동시에 당해 곡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인 TOC(Table Of Contents)정보를 분리해서 기록한다. TOC정보는 콘텐츠인 곡의 곡명이나 곡순, 녹음일자나 녹음시간, 콘텐츠 자체인 곡데이터가 기록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상의 섹터의 단가 등의 부가정보이고, 후에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곡데이터에서독립한 TOC정보를 기록하여 놓음으로써 후에 TOC정보만을 취출하여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TOC정보를 편집하여도 곡데이터는 이 TOC정보와 관련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편집된 TOC정보에 기록된 곡명을 선택함으로써 소망의 곡데이터를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서 재생할 수 있다.
출력부(80)는 D/A(Digital to Analog)컨버터(81)와 램프(82)와 스피커(83)에 의해 구성된다. D/A컨버터(81)는 게이트어레이(20)에서 이송되어 온 디지털데이터를 아날로그데이터로 변환한다. 앰프(82)는 D/A컨버터(81)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데이터를 증감하여 스피커(83)로 보낸다. 스피커(83)는 증감된 아날로그데이터를 수취하고, 음성으로서 출력한다.
외부인터페이스부(70)는 메모리스틱모듈(71)과 메모리스틱슬롯(72)과 메모리스틱(73)에 의해 구성된다. 메모리스틱모듈(71)은 게이트어레이(20)와 메모리스틱슬롯(72)을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 메모리스틱모듈(71)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를 게이트어레이(20)를 통해서 메모리스틱슬롯(72)으로 이송한다. 또 반대로 메모리스틱슬롯(72)에서 이송되어 온 TOC정보를 게이트어레이(20)를 통해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로 이송한다. 메모리스틱슬롯(72)은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인 메모리스틱(73)을 삽입하고, 당해 메모리스틱(73)에 대하여 기입이나 독출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TOC정보를 뽑아내기 위한 기록매체로서 메모리스틱(73)을 이용하였지만, 이것은 예시에 지니지 않는다. 데이터를 읽고 쓰기할 수 있는 매체와 당해 매체를 게이트어레이(20)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을 갖추고 있으면 기록매체를 사용하여도 관계없다. 예를 들면 메모리스틱(73), 메모리스틱슬롯(72) 및 메모리스틱모듈(71)에 대신해서 스마트미디어나 플로피디스크 등의 제거미디어와 그 드라이브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그와 같은 기록매체를 이용하지 않고, 케이블 등으로 컴퓨터장치에 직접접속하고, TOC정보를 독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된 디지털데이터(TOC정보 및 곡데이터) 중, TOC정보만을 취출함으로써 외부의 편집장치에 의한 편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녹음재생장치(10)는 외부편집장치에 의하지 않고 TOC정보를 편집하는 종래와 동일의 편집기능 및 그 조작계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곡데이터의 추가나 삭제에 반해서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또는 종래와 동일의 수동작에 의해 TOC정보를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3을 이용해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서 취출된 TOC정보의 편집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TOC정보를 편집하는 외부편집장치로서, 범용적인 퍼스널컴퓨터(90)를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퍼스널컴퓨터(90)로서는 디스크탑형의 컴퓨터나 노트북형의 컴퓨터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녹음재생장치(10)가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인 겨우, 차내에서 TOC정보의 편집작업을 행하는 용도가 있는 경우에는 노트북형의 컴퓨터와 같은 휴대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녹음재생장치(10)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는 TOC정보(63)와 곡데이터(64)가 별도의 파일로서 기록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들의 기록된 데이터중 TOC정보(63)를 취출하여 메모리스틱(73)에 기입한다.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63)는 도 2에 나타낸 게이트어레이(20), 메모리스틱모듈(71)을 거쳐서 메모리스틱슬롯(72)으로 이송된다. 이 메모리슬롯(72)에서 메모리스틱(73)으로의 TOC정보(63)의 기입이 행하여진다.
TOC정보(63)가 기입된 메모리스틱(73)은 편집장치인 퍼스널컴퓨터(90)에 의해 읽어들인다. 이 퍼스널컴퓨터(90)에는 메모리스틱(73)에서 TOC정보(63)를 읽어들이기 위한 독취장치로서, 도시하지 않는 메모리스틱슬롯을 갖추고 있다.
퍼스널컴퓨터(90)에는 녹음재생장치(10)에 의해 메모리스틱(73)에 뽑아낸 TOC정보(63)를 읽어들여서 해석하고, 표시부(91a)에 표시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갖춘 편집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편집프로그램은 사용자가 표시부(91a)에 표시된 TOC정보(63)에 의거해서 키보드 등을 이용해서 행하는 편집조작을 받아들이고, TOC정보(63)의 편집을 행한다. 표시부(91a)의 표시화면은 TOC정보(63)를 일람표시하는데에 충분한 크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녹음재생장치(10)에 탑재된 표시부보다도 많은 TOC정보(63)의 리스트를 일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TOC정보(63)의 전체 구성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편집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퍼스널컴퓨터(90)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부(91a)에 표시되는 TOC정보(63)의 편집용 화면의 일예로서 표시화면(91b)을 표시한다. 표시화면(91b)에는 곡의 채널 등으로 분리된 팝이나 클래식이라는 디렉토리 중에 곡명, 녹음시간, 녹음일자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편집장치인 퍼스널컴퓨터(90)는 이 표시화면(91b)에 표시된 정보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 입력장치에 의해 표시화면(91b)에 표시된 TOC정보(63)에 대하여 조작을 행함으로써 채널의 디렉토리를 삭제한다던지, 새로운 디렉토리를 작성한다던지 할 수 있다. 또 녹음일자 등의 정보에 의거해서 곡명을 임의로 변경하고, 다른 곡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알기 쉬운 이름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퍼스널컴퓨터(90)의 편집프로그램에는 편집된 TOC정보(63)를 메모리스틱(73)에 기입기능이 갖추어져 있다. 표시화면(91b)에 있어서, 편집된 TOC정보(63)는 이 기입기능에 의해 재차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된다. 편집된 TOC정보(63)가 기입된 메모리스틱(73)은 녹음재생장치(10)의 메모리스틱슬롯(72)으로 차입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90)에서 기입된 TOC정보(63)가 독출되고, 게이트어레이(20)를 거쳐서 퍼스널컴퓨터드라이브(62)로 이송된다.
다음에 TOC정보(63)의 버젼정보의 관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녹음재생장치(10)의 퍼스널컴퓨터드라이브(62)에 격납된 TOC정보(63)는 메모리스틱(73)을 매개하여 외부편집장치인 퍼스널컴퓨터(90)에서 편집할 수 있지만, 일편에서 녹음재생장치(10)의 조작계를 이용하여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메모리스틱(73)을 메모리스틱슬롯(72)에 삽입한때에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와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를 비교해서 정합을 취할 필요가 있다. TOC정보(63)는 원칙으로서 갱신일시의 새로운 것(후에 갱신된 것)을 우선한다.
도 5는 TOC정보(63)의 버젼정보의 관리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에 있어서, 먼저 녹음재생장치(10)의 메모리스틱슬롯(72)에 메모리스틱(73)이 삽입되면(스텝(401)), 당해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비교된다(스텝(402)). 양자의 TOC정보(63)가 동일한 내용이라면, 처리를 종료한다(스텝(403)).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다른 경우, 다음에 2개의 TOC정보의 갱신일시가 비교된다 (스텝(403, 404)). 그리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의 편이 갱신일시가 새로운 경우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메모리스틱(73)에 카피되어서 덮어쓰기 된다(스텝(405, 406)).
이것에 대하여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의 편이 갱신일시가 새로운 경우는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덮어쓰기 된다(스텝(407, 408)).
그런데 퍼스널컴퓨터(90)에서 TOC정보(63)를 편집하고 있는 사이에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곡데이터의 추가 또는 삭제가 행하여지고,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도 TOC정보(63)가 편집된 경우, 상술과 같이 단순히 갱신일시의 새로운 것을우선하면,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를 예시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녹음재생장치(10)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있어서의 TOC정보(63)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예를 들면 2001년 1월 29일 현재의 TOC정보(63)에는 AAA, BBB, CCC의 3개의 곡데이터의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TOC정보(63)를 메모리스틱(73)에 뽑아내는 것으로 한다. 메모리스틱(73)에 TOC정보(63)를 뽑아낸후 녹음재생장치(10)에서 2001년 1월 30일에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TOC정보(63)의 리스트중 AAA를 삭제한 것으로 한다.
도 4b는 도 4a에서 메모리스틱(73)에 뽑아진 TOC정보(63)가 퍼스널 컴퓨터(90)에서 편집되는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2001년 1월 29일에 뽑아낸 TOC정보(63)에는 AAA, BBB, CCC의 3개의 리스트가 기술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90)에 이 TOC정보(63)의 리스트를 읽어들이고, 2001년 1월 30일에 CCC를 삭제하여 메모리스틱(73)에 뽑아내는 것으로 한다.
도 4c는 퍼스널 컴퓨터(90)에서 메모리스틱(73)을 통해서 녹음재생장치(10)에 도시하지 않는 TOC정보를 되돌리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녹음재생장치(10)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63)는 2001년 1월 30일에 AAA가 삭제되고, BBB, CCC의 리스트가 남아 있는 상태이다. 또 퍼스널 컴퓨터(90)에서 편집되고,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는 2001년 1월 30일에 CCC가 삭제되고, AAA, BBB의 리스트가 남아있는상태이다.
이 경우 동일에 갱신되어 있어서도, 갱신시간을 판단하는 것으로 어떤 갱신이 새로운 것을 특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어떤 TOC정보를 우선하여도 불편함이 생긴다. 즉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된 TOC정보(63)를 우선하면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있어서 삭제된 곡데이터 AAA에 대해서 TOC정보(63)의 항목이 부활한다. 또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된 TOC정보(63)를 우선하면, 퍼스널컴퓨터(90)에 있어서의 편집에 의해 삭제된 항목 AAA이 부활한다. 그래서 이와 같은 불편함을 회피하는 연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방책의 하나로서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메모리스틱슬롯(72)에 메모리스틱(73)이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만 녹음재생장치(10)의 조작계를 이용한 TOC정보(63)의 고쳐쓰기 가능하도록 하드웨어상의 제약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된 TOC정보(63)를 퍼스널컴퓨터(90)에서 편집하고 있는 사이에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를 고쳐써 버리는 사태 그 것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는 다른 방책으로서 TOC정보(63)를 편집한 때에 갱신이력을 취해 놓고, TOC정보(63)의 항목마다 갱신일시의 새로운 것을 조합시켜서 새로운 TOC정보(63)를 작성하는 방책이 있다.
도 6은 이 방책에 의해 TOC정보(63)의 버젼의 관리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에 있어서, 먼저 녹음재생장치(10)의 메모리스틱슬롯(72)에 메모리스틱(73)이 삽입되면(스텝(501)),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녹음재생장치(10)의 RAM(52)의 임시영역(작업영역)에 카피된다(스텝(502)). 그리고, 임시영역에 카피된 TOC정보(73)에 있어서의 항목마다 갱신일시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기록되어 있는 TOC정보(63)의 항목마다 갱신일시가 비교된다(스텝(503)). 다음에 이들의 TOC정보(63)의 내용이 비교된다(스텝(504)). 여기서는 TOC정보(63)의 각 항목에 있어서의 갱신일시의 이동(異同)도 판단된다. 그리고 임시영역에 카피된 TOC정보(63)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동일 내용인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임시영역에 카피된 TOC정보(63)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되어 있는 TOC정보(63)가 다른 경우, 스텝(503)에 있어서의 TOC정보(63)의 항목마다 갱신일시의 비교결과에 의거해서 갱신일시의 새로운 항목 끼리를 조합시키고, 전체의 항목에서 최신의 갱신결과를 반영시킨 새로운 TOC정보(63)가 작성된다(스텝(505)). 작성된 TOC정보(63)가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와 메모리스틱(73)의 양편에 카피되어서 기입된다(스텝(506)). 이 결과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에 격납된 TOC정보(63)와 메모리스틱(73)에 기입된 TOC정보(63)의 쌍편이 최신의 내용에 갱신된다.
이 경우 녹음재생장치(10)에 있어서, 곡데이터를 삭제하는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하여도, 곡데이터 자체를 실제로 삭제하는 것은 아니고, TOC정보(63)에 삭제한 것을 명시하는 정보를 추가하여 놓는다. 이것에 의해 메모리스틱(73)에 있어서 당해 곡데이터를 남기는 편집이 행하여지고 있었던 경우에 TOC정보(63)에는 항목이 존재하고 있으면서 곡데이터 자체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동작에 대해서 하드디스크드라이브(62)와 메모리스틱(73)에 있어서의 TOC정보(63)의 정합이 취해진 후에, 이러한 TOC정보(63)에 따라서 곡데이터를 실제를 삭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오디오시스템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록장치에 기록된 음성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부가정보의 편집에 외부의 편집장치를 이용함으로써 편집에 요한 순간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Claims (10)

  1. 전자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장치에 있어서,
    전자화된 상기 오디오데이터와 당해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데이터의 고쳐쓰기 가능한 기록매체와,
    상기 기록매체에서 독출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외부의 편집장치에 출력하는 동시에 외부의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입력하는 입출력수단과,
    상기 기록매체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관리데이터를 상기 입출력수단에서 입력된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에 고쳐쓰는 관리데이터 고쳐쓰기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자기적 수단에서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이 가능하고, 상기 오디오재생장치에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오디오데이터와 상기 관리데이터를 별도의 파일로서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수단은 상기 편집장치에 의해 데이터의 읽고 쓰기가 가능한 제거기록매체에 대해서 상기 관리데이터의 읽고 쓰기를 행하는 데이터 읽고 쓰기수단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격납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수단을 또한 갖추고, 상기 편집수단은 상기 입출력수단이 상기 제거기록매체에 대하여 읽고 쓰기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관리데이터의 편집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재생장치.
  6. 소정의 콘텐츠데이터가 격납된 제 1기록매체와,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수단과,
    착탈 가능한 제 2기록매체에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갖추고,
    상기 관리수단은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가 격납된 상기 제 2기록매체에서 상기 입력수단에서 입력된 당해 관리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록매체는 상기 관리데이터를 격납하고,
    상기 제 2기록매체는 상기 제 1기록매체에서 독출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편집하여 작성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격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전자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오디오데이터관리방법에 있어서,
    데이터의 고쳐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오디오데이터와 상기 오디오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관리데이터를 독출하여 외부의 편집장치에 출력하는 스텝과,
    상기 외부의 편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리데이터를 편집하는 스텝과,
    상기 외부의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관리 데이터를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에 의거해서 고쳐쓰기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데이터관리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데이터를 고쳐쓰기하는 스텝은
    상기 기록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관리데이터의 갱신일시와 상기 편집후의 관리데이터의 갱신일시를 비교하고, 당해 관리데이터의 항목마다 갱신일시의 새로운 편의 데이터를 모아서 새로운 관리데이터를 작성하는 스텝과,
    상기 기록장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관리데이터를 작성된 새로운 관리데이터에 고쳐쓰는 스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데이터 관리방법.
  10. 소정의 콘텐츠데이터와 당해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데이터를 격납하는 기록매체에서 콘텐츠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콘텐츠관리데이터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서 상기 관리데이터를 독출하여 외부의 편집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외부의 편집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관리데이터를 편집하고,
    상기 외부의 편집장치에서 편집된 상기 관리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격납된 상기 관리데이터에 대신해서, 입력된 편집후의 관리데이터를 이용해서 상기 콘텐츠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데이터 관리방법.
KR1020027014654A 2001-03-15 2002-03-15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 KR200200949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4680 2001-03-15
JP2001074680A JP4356257B2 (ja) 2001-03-15 2001-03-15 オーディオ再生装置
PCT/JP2002/002503 WO2002075740A1 (fr) 2001-03-15 2002-03-15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de donnees audio, et enregistreu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4951A true KR20020094951A (ko) 2002-12-18

Family

ID=1893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4654A KR20020094951A (ko) 2001-03-15 2002-03-15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47337B2 (ko)
JP (1) JP4356257B2 (ko)
KR (1) KR20020094951A (ko)
CN (1) CN100385557C (ko)
DE (1) DE10291109T5 (ko)
WO (1) WO20020757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094B1 (ko) * 2003-06-26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5896A (ja) * 2002-03-29 2003-10-15 Toshiba Corp 携帯型音楽再生装置
US7469306B2 (en) * 2002-06-28 2008-12-23 Nxp B.V.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first and second device that includes reference to metadata wherein third device modifies the metadata based on specific operations by first device
JP2004280875A (ja) * 2003-03-12 2004-10-07 Sharp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再生装置と、記録媒体と通信ネットワーク、及び、コンテンツ蓄積/再生制御方法
JP3835424B2 (ja) * 2003-04-04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と映像記録装置
EP1717808A4 (en) * 2004-02-16 2010-10-06 Sony Corp PLAYING DEVICE, PLAY PROCESS, PROGRAM, RECORDING MEDIA AND DATA STRUCTURE
JP2008010021A (ja) * 2006-06-27 2008-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4784583B2 (ja) * 2007-10-09 2011-10-05 ソニー株式会社 2倍速データの出力装置及び出力方法
US20090192637A1 (en) * 2007-11-15 2009-07-30 Mtv Networks Dynamically serving altered sound content
JP2010123187A (ja) * 2008-11-19 2010-06-03 Toshiba Corp 情報編集装置及び情報編集方法
CN102209088B (zh) * 2010-03-29 2014-02-05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车载音乐的提供、获取方法和装置以及车载音乐传输系统
JP4759093B2 (ja) * 2010-10-07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蓄積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音楽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4691B2 (ja) 1990-10-23 1998-07-09 財団法人 医療情報システム開発センター ファイルシステム
JPH08315551A (ja) * 1995-05-17 1996-11-29 Toshiba Corp データ記録再生装置
EP0821359A4 (en) * 1996-02-13 1999-1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RECORDING DEVICE, DATA PLAYING DEVICE,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PLAYING METHOD
JPH10144053A (ja) * 1996-11-06 1998-05-29 Sony Corp 記録システムおよび記録方法
JPH11110955A (ja) * 1997-10-02 1999-04-23 Sony Corp 記録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519656B2 (en) * 1998-03-17 2003-02-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with a list of auxiliary information by appending a corresponding ID codes with respective auxiliary information
JP3383580B2 (ja) * 1998-05-15 2003-03-04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と情報記録再生装置と方法
JP2000200475A (ja) 1998-10-27 2000-07-18 Sony Corp 記録装置、記録方法、課金方法
KR100643871B1 (ko) * 1998-10-27 2006-11-1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 장치
US6332175B1 (en) * 1999-02-12 2001-12-1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Low power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mpressed audio data
JP2000260168A (ja) 1999-03-05 2000-09-22 Sharp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と外部情報端末装置との連携方法
US6694200B1 (en) * 1999-04-13 2004-02-17 Digital5, Inc. Hard disk based portable device
JP2001006260A (ja) 1999-06-16 2001-01-12 Sony Corp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AU5584101A (en) * 2000-04-14 2001-10-30 Realnetworks, Inc. 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usic items to music renderers
US6581075B1 (en) * 2000-12-28 2003-06-17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database synchroniz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094B1 (ko) * 2003-06-26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재생 방법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69952A (ja) 2002-09-20
US20030149497A1 (en) 2003-08-07
DE10291109T5 (de) 2004-04-22
CN1459110A (zh) 2003-11-26
CN100385557C (zh) 2008-04-30
JP4356257B2 (ja) 2009-11-04
US7747337B2 (en) 2010-06-29
WO2002075740A1 (fr) 200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1907B2 (en) Automobile audio system for collection, management and playback of audio data
US79498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storage medium
KR100331322B1 (ko) 제조업체간의 특수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부가정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 및 기록 및/또는 편집장치와 그방법
JP2002050157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EP1843349A1 (en) Reproducing apparatus, content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KR20020094951A (ko) 오디오 데이터 관리장치와 관리방법 및 기록장치
US79035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tracks into large storage device
EP1367590A2 (en) Mus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list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80198488A1 (en) Data duplicator
US20030223320A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list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ed medium
KR100871110B1 (ko) 파일 관리 방법, 그것을 위한 프로그램, 프로그램을포함하는 기록매체 및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파일관리장치
JP4230963B2 (ja) 再生装置
JP4581890B2 (ja) 電子機器、記録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6765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and an information file related to the content
JP4244011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における再生データの管理方法
JP4004932B2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30223319A1 (en) Optical disc player providing user-management function for MP3 files and method thereof
JP2001126391A (ja) 情報検索装置
JP4587014B2 (ja)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2006196048A (ja) 車載楽曲再生装置
JPWO2005096154A1 (ja) 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または再生装置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4978306B2 (ja) 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装置、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ファイル処理プログラム
JP2003068014A (ja) 記録装置及び方法
KR20050052607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미니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교체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부가하는 방법.
JP4040001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信号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