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703A -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 Google Patents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703A
KR20020093703A KR1020020068617A KR20020068617A KR20020093703A KR 20020093703 A KR20020093703 A KR 20020093703A KR 1020020068617 A KR1020020068617 A KR 1020020068617A KR 20020068617 A KR20020068617 A KR 20020068617A KR 20020093703 A KR20020093703 A KR 20020093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ragrance
parts
soybean oil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진
이종오
Original Assignee
이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진 filed Critical 이성진
Priority to KR102002006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3703A/ko
Publication of KR20020093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70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6Printing inks based on fatty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7Fragrance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옵셋인쇄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공해 잉크인 콩기름 잉크에 천연향료를 가미하여 인쇄작업시 발생하는 인쇄잉크 특유의 독한 냄새를 없애고 인쇄작업을 완료한 인쇄물에서는 일정기간 천연향이 지속되어 사용자에게 육체적, 심리적 건강에 유용한 아로마테라피 엣센셜오일이 가미된 콩기름잉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각과 후각에 작용되는 감성인쇄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 향기발산 감성인쇄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콩기름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테르 0.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및 향료 1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달성할수 있다.

Description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 향기발산 감성인쇄물{omitted}
본 발명은 옵셋인쇄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저공해 잉크인 콩기름 잉크에 천연향료를 가미하여 인쇄작업시 발생하는 인쇄잉크 특유의 독한 냄새를 없애고 인쇄작업을 완료한 인쇄물에서는 일정기간 천연향이 지속되어 사용자에게 육체적, 심리적 건강에 유용한 아로마테라피 엣센셜오일이 가미된 콩기름잉크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시각과 후각에 작용되는 감성인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향기잉크제조에 있어서는 향료의 특성인 휘발성을 억제 및 조절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캡슐화나 다공물질을 이용함 함침기법등을 사용하였으나 이를 이용한 향기 구현방법에는 인쇄후 또한번의 향료물질이 함유된 투명인쇄를 하는등의 후처리 작업으로 인하여 시간과 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가 없으며 그 효과또한 높지 않기때문에 범용화에 많은 무리를 가지고 있어왔다. 아울러 높은 향료잉크의 가격과 후처리에 따른 제작비의 상승또한 대중화를 가로막는 높은 장벽임에 틀림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향료를 이용한 인쇄방법의 효능과 장점을 가지면서도 종래와 같은 추가작업이나 비용상승요인은 매우 적은 새로운 개념으로서 기존의 향료인쇄와 같은 미약한 향으로 장기지속되는 방식이 아닌 초기의 강렬한 향기를 필요기간 동안만으로 짧게 줄임으로서 더욱 합리적이고 우수한 제품성을 지닌 향기인쇄법의 대중화를 이루는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향료를 가미한 콩기름 잉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콩기름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테르 0.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및 향료 1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달성할수 있다.
이때 에테르는 콩기름 잉크 자체가 가진 포집(Fixitive)효능을 보충 및 조절하는 효과를 기대할수 있어 각 향료마다 다른 휘산성의 강도에 따라 향의 지속기간을 일정하게 조절할수 있다.
이때 에테르는 휘발성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di(propylene glycol) methylehter)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향료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게 되는데 엣센셜오일(천연향료) 1중량부 미만을 첨가할 경우 향기의 방출량이 미약하여 사용자가 느끼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10중량부 이상을 첨가할 경우는 향기의 강도와 지속성이 조금더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으나 인쇄품질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사용가능한 향료는 수용성 향료를 제외한 모든종류의 지용성 향료를 사용할수 있으며 향료마다 다른 향의 강도에 따라 첨가율과 에테르의 첨가율로 목적한 강도와 지속성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천연향기잉크 즉석 제조과정>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향기잉크는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하기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옵셋인쇄용 콩기름 잉크인 Super Kleen90 흑색(SK-8 원흑 Black)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와 천연 엣센셜오일(향료)을 하기한 표에 나타낸 비율로 변화시키면서 첨가 혼합하여 향기잉크를 제조한 다음 하기한 방법으로 향지속성, 향기의 강도를 측정하여 표에 나타내었다.
- 향 지속성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콩기름 잉크를 이용한 인쇄물을 상온상의 실내에 펼쳐둔 상태로 인쇄한 날로부터 성인남녀 5명에게 매일 향기를 맏도록 하고 이때 향기가 나지 않는다고 답한 사람이 7인 이상이 될 때까지 걸린 일수로 향기의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 향기의 강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콩기름 잉크를 이용한 인쇄물을 상온상의 실내에 펼쳐둔 상태로 인쇄한 날로부터 성인남녀 5명에게 3일 경과후 향기의 강도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하여 각각의 인원수를 측정하였다.
상기 [표1]의 실시예 1을 살펴보면 에테르의 첨가량을 0.1중량부를 첨가하였을때는 향의 지속성과 강도에서 15중량부를 첨가하였을때와 매우 큰 차이가 남을 알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하였을때 에테르의 첨가량 0.1중량부와 0.3중량부간에 향 지속성과 강도에서 큰 차이가 나게됨을 알수 있으며 에테르 15중량부와 5중량부간에서는 향 지속성과 향기의 강도에서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을 보면 엣센셜오일 1중량부 미만을 첨가한 경우들과 11중량부 이상을 첨가한 경우를 비교해 보면 그 차이가 매우 큼을 알수 있지만 그에 반해 실시예 2의 10중량부를 첨가했을 때와 비교해서는 첨가량만큼의 큰 강도와 지속도의변화가 없음또한 관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청구한 범위내에서 청구한 경우가 향지속성 및 향기의 강도가 우수하다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향료를 첨가한 콩기름잉크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의 단점들인 높은 가격과 작업시간 및 작업능률저하를 해소하고 간편하게 목적하는 작업물을 원하는대로 만들 수 있어 일정기간 지속되는 향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로하는 메시지와 효능을 전달하게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기술을 적용한 향기잉크와 이를 이용한 향기인쇄물은 다양하게 선택할수 있는 수백종의 향료를 이용하여 즉석에서 간단하게 원하는 향기를 지닌 인쇄물의 제조가 가능하여 소비자와 제조자의 의도에 따라 원하는 인쇄결과물과 향기를 표현함으로서 인쇄물의 성격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과 후각을 동시에 자극하는 감성인쇄를 구현하게 된다. 그럼으로서 인쇄결과물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시각적 메시지에 동반되는 후각적 메시지를 통하여 매우 효과적인 연상작용을 일으켜 인쇄물의 시각적 효과를 배가시켜주게 되는것이다.

Claims (3)

  1. 지용성 천연향료가 가미된 콩기름 인쇄잉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콩기름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테르 0.3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지용성 향료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가 가미된 콩기름잉크의 제조방법
  2. 콩기름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에테르 0.3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지용성 향료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인쇄물에 발현되는 향의 강도와 지속력을 조절하는 방법
  3. 기존의 범용 콩기름 잉크의 물성을 이용하여 지용성 향료와 에테르를 첨가하여 현장에서 즉시 의도하는 향기인쇄물을 제조하는 감성인쇄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68617A 2002-11-06 2002-11-06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KR200200937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17A KR20020093703A (ko) 2002-11-06 2002-11-06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617A KR20020093703A (ko) 2002-11-06 2002-11-06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703A true KR20020093703A (ko) 2002-12-16

Family

ID=2772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617A KR20020093703A (ko) 2002-11-06 2002-11-06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3703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346A (ja) * 1994-10-07 1996-04-30 Yuki Soken:Kk 天然染料を用いたインク
KR100254387B1 (ko) * 1997-03-22 2000-05-01 남원호 천연분말향료를 주원료로한 방향성 옵셋인쇄방법
KR20000024571A (ko) * 2000-02-21 2000-05-06 이정한 향료가 함유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KR20000024437A (ko) * 2000-02-14 2000-05-06 이성진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이 가미된 페인트의 제조방법
KR20010075899A (ko) * 2000-01-21 2001-08-11 김충경 필기구용 향잉크
KR20020031750A (ko) * 2000-10-24 2002-05-03 구영곤, 조규오 천연 허브오일을 함유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9346A (ja) * 1994-10-07 1996-04-30 Yuki Soken:Kk 天然染料を用いたインク
KR100254387B1 (ko) * 1997-03-22 2000-05-01 남원호 천연분말향료를 주원료로한 방향성 옵셋인쇄방법
KR20010075899A (ko) * 2000-01-21 2001-08-11 김충경 필기구용 향잉크
KR20000024437A (ko) * 2000-02-14 2000-05-06 이성진 아로마테라피 에센셜 오일이 가미된 페인트의 제조방법
KR20000024571A (ko) * 2000-02-21 2000-05-06 이정한 향료가 함유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KR20020031750A (ko) * 2000-10-24 2002-05-03 구영곤, 조규오 천연 허브오일을 함유하는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9816A (ja) 香料添加された組成物
KR20030011865A (ko) 최초의 향기가 변질되지 않는 개선된 지속성 향 전달 시스템
JP2008001700A (ja) 潮解性物質を含むフレグランス含有組成物
CA2016968C (en) Air freshener composition
US6706098B2 (en) Fragrant ink-jet ink
CN113150864B (zh) 一种天然清新的花果味香精及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6123757A (en) Fragrant ink for ink-jet printers
CN110229717A (zh) 日化用玫瑰香精
CN105087162A (zh) 一种水性油墨用桂花香精及其制备方法
CN102871097A (zh) 一种牛肉油状香精的制备方法
CN102871098A (zh) 一种调配型牛肉油状香精及其制备方法
CN1223637C (zh) 香水喷墨墨水
EP0104602A2 (de) Riechstoffkompositionen mit einem Gehalt an Äthern
JP7458639B2 (ja) スタンプ台用、朱肉用又は浸透印用香料組成物
KR20020093703A (ko) 천연향료를 가미한 콩기름잉크의 제조법과 이를 이용한향기발산 감성인쇄물
CN112745984A (zh) 持久留香型香精
CA2587666A1 (en) Optically active muscone composition and fragrances or cosmetics containing the same
CN108251210A (zh) 香精及其制备方法、应用
JP5095110B2 (ja) 嗜好性向上剤及び嗜好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2005225761A (ja) ヘアカラーリング方法
BR0017091A (pt) Uso de um composto, composição perfumante ou produto perfumado, composição aromatizante ou produto aromatizado, e, processo para conferir, aperfeiçoar, aumentar ou modificar as propriedades aromatizantes do tipo mandarina ou tangerina de uma composição aromatizante ou de um produto aromatizado
DE2423363A1 (de) Verfahren zur veraenderung der organoleptischen eigenschaften von verbrauchbaren materialien
JP5769383B2 (ja) 籐の木片を揮散部材として揮散される揮散液
JP2002514681A (ja) 香料組成物
JP5403875B2 (ja) 香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