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3385A -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3385A
KR20020093385A KR1020010032120A KR20010032120A KR20020093385A KR 20020093385 A KR20020093385 A KR 20020093385A KR 1020010032120 A KR1020010032120 A KR 1020010032120A KR 20010032120 A KR20010032120 A KR 20010032120A KR 20020093385 A KR20020093385 A KR 20020093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mounting bracket
wire
latch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2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0818B1 (ko
Inventor
이광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2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0818B1/ko
Publication of KR2002009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0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는 장기간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돌기부분의 마모를 발생시켜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리어 시트쿠션에 설치된 록킹 장치의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의 래치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리벳 고정하여 와이어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켜 상기 록킹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Latch stucture of locking device of rear seat-cusion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는 장기간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돌기부분의 마모를 발생시켜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리어 시트쿠션에 설치된 록킹 장치의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어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의 래치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리벳 고정하여 와이어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켜 상기 록킹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플로어(floor)에는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반면,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시트로부터 이탈되어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프론트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 및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도어의 내측 패널에는 프론트 시트에 앉아 있는 탑승자가 한쪽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어 시트의 경우에는 시트백의 중앙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설치된 접이식 아암레스트가 장착되어 있어, 승객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한편, 리어 시트의 저부에는 차체 플로어와 상기 리어 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록킹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바, 종래의 리어 시트쿠션의 록킹 장치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시트쿠션의 횡방향으로 한쌍의 결합체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양측의 구성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동일한 구조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리어 시트쿠션의 전방에 설치되어 플로어에 고정되는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의 후방에 설치되어 리어 시트쿠션의 패드에 고정되는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 그리고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에 대향되게 축 연결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와이어(230)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의 일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의 일측에 형성되며, 단면이 U자 형상인 스토퍼(221)가 록킹되어 리어 시트쿠션의 전방 이동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1)가 결합된 상기 사각홀(212)의 전방에 유격으로 인한스토퍼(22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이탈 방지부재(240)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이탈 방지부재(240)는 사각홀(21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 록킹부(24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221)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의 타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판부재(251)가 형성되고, 그 판부재(251)에는 상기 리어시트쿠션의 상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와이어(230)에 고정되는 래치(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230)에는 상기 래치(25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굴곡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의 록킹 장치에 형성된 래치(250)와 와이어(230)의 결합은 장기간 빈번한 사용으로 인해 돌기부분에서 마모가 발생되어 그 결합력이 저하되므로 리어 시트쿠션에 설치된 록킹장치의 내구성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상기 리어 시트쿠션의 록킹 장치에 형성된 래치를 U자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하여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리벳 고정하고, 와이어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켜 상기 록킹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가 리어 시트에 장착된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장착도
도 4는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시트쿠션20 : 결합체
21 :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a : 브라켓
21b : 사각홀22 :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
22a : 스토퍼22b : 브라켓
23 : 와이어24 : 이탈 방지부재
24a : 회전축24b : 록킹부
25 : 래치25a : 리벳
26 : 보강부재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230)를 축으로 하여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동일한 형태로써,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에 대향되게 축 연결되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230)로 구성되어 있되, 플로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일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11)이 형성되며, 타측은 전방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토퍼(221)가 록킹되는 사각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상기 사각홀(212)의 전방에 유격으로 인한 스토퍼(2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각홀(21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하면에 록킹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고무 재질의 이탈 방지부재(240)와;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U자형 형상의 스토퍼(221)가 형성되고, 타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22)이 형성된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과;
상기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의 외측면에는 와이어(230)를 고정할 수있도록 결합되는 래치(250)로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에 있어서, 래치(25)는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U자형의 판스프링으로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에 리벳(25a) 고정되어 와이어(23)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결합체(20)를 잇는 와이어(2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그 결합체(20)의 사이에 보강부재(26)가 융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가 리어 시트에 장착된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장착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리어 시트쿠션을 나타낸다.
상기 리어 시트쿠션(10)의 횡방향으로 한쌍의 결합체(20)가 형성되는데, 그 양측의 구성은 동일한 구조로 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이와 같은 동일한 구조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리어 시트쿠션(10)의 전방에 설치되어 플로어(30)에 고정되는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과,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의 후방에 설치되어 리어 시트쿠션(10)의 패드에 고정되는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 그리고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에 대향되게 축 연결되고,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와이어(23)로 구성된다.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의 일측은 와이어(23)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1a)이 형성되는 한편, 타측면에는 단면이 U자형 형상이며,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의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22a)가 록킹되어 리어 시트쿠션(10)의 전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사각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a)가 결합된 상기 사각홀(21b)의 전방에 유격으로 인한 스토퍼(22a)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이탈 방지부재(24)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이탈 방지부재(24)는 사각홀(21b)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4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면에 록킹부(24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22a)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의 타측은 와이어(23)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2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 외측면에는 상기 와이어(23)에 결합될 수 있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된 래치(25)가 형성되며, 상기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에 리벳(25a)으로 고정되어 있는바, 상기 래치(25)는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U자형의 부재로써, 상기 리어 시트쿠션(10)의 상방 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와이어(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결합체(20)를 잇는 와이어(2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그 결합체(20)의 사이에 보강부재(26)가 융착 고정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는 상기 리어 시트쿠션의 록킹 장치에 형성된 래치를 U자 형상의 판스프링으로 하여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에 리벳 고정하고, 와이어에 끼움 결합시킴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켜 리어 시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와이어(230)를 축으로 하여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동일한 형태로써,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에 대향되게 축 연결되며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상기 와이어(230)로 구성되어 있되, 플로어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일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11)이 형성되며, 타측은 전방이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스토퍼(221)가 록킹되는 사각홀(212)이 형성되어 있는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과;
    상기 사각홀(212)의 전방에 유격으로 인한 스토퍼(22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각홀(212)의 일측에 형성된 회전축(24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그 하면에 록킹부(242)가 형성되어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고무 재질의 이탈 방지부재(240)와;
    상기 플로어 마운팅 브라켓(2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일측은 상기 U자형 형상의 스토퍼(221)가 형성되고, 타측은 와이어(230)가 삽입되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고리형상의 브라켓(222)이 형성된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과;
    상기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0)의 외측면에는 와이어(2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래치(250)로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에 있어서, 래치(25)는 안쪽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U자형의 판스프링으로 시트쿠션 마운팅 브라켓(22)에 리벳(25a) 고정되어 와이어(23)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20)를 잇는 와이어(23)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그 결합체(20)의 사이에 보강부재(26)가 융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KR10-2001-0032120A 2001-06-08 2001-06-08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KR100410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20A KR100410818B1 (ko) 2001-06-08 2001-06-08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2120A KR100410818B1 (ko) 2001-06-08 2001-06-08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3385A true KR20020093385A (ko) 2002-12-16
KR100410818B1 KR100410818B1 (ko) 2003-12-12

Family

ID=2770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120A KR100410818B1 (ko) 2001-06-08 2001-06-08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08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843Y1 (ko) * 1995-11-09 1998-07-01 한승준 자동차용 리어 시트 쿠션 록킹 기구
KR100205888B1 (ko) * 1995-12-23 1999-07-01 정몽규 리어 시트 쿠션 록킹장치
KR100422713B1 (ko) * 2000-12-19 2004-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0818B1 (ko) 200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CA2136117C (en) Inertia hinge for seatback and armrest
US8783780B2 (en) Vehicle seat
JP5498966B2 (ja) 車両座席
CN106994918B (zh) 交通工具座椅
WO2016038718A1 (ja) 自動車用シート
US20200298738A1 (en) Conveyance seat
US20200282887A1 (en)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KR10041081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쿠션 록킹 장치의 래치구조
JP5545057B2 (ja) 車両用シート
US20040026969A1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CN112874398B (zh) 乘坐物用座椅及乘坐物
KR100889436B1 (ko) 차량시트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JPH11165659A (ja) キャブにおけるシートベルト取付構造
US20230131755A1 (en) Vehicle seat
JP2012025238A (ja) 乗物用シート
JP363661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緩衝構造
KR100288300B1 (ko) 자동차용 회전시트의 변형 방지구조
JP2010173431A (ja) 乗物用シート
JP508598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保護構造
KR100716516B1 (ko) 차량의 폴딩 시트쿠션용 세트브래킷장치
KR20020047662A (ko) 관성력을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의 듀얼 리클라이너 록킹구조
JP3736759B2 (ja) 3人掛けリヤシートのセンタ乗員着座部の構造
KR100461113B1 (ko) 차량용 시트의 헤드 레스트 장치
JP2023050069A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