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759A -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 - Google Patents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759A
KR20020091759A KR1020020010405A KR20020010405A KR20020091759A KR 20020091759 A KR20020091759 A KR 20020091759A KR 1020020010405 A KR1020020010405 A KR 1020020010405A KR 20020010405 A KR20020010405 A KR 20020010405A KR 20020091759 A KR20020091759 A KR 2002009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impeller
airflow
pressure surface
trail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0912B1 (ko
Inventor
모리시타겐이치
스즈키소조
기다다쿠미
Original Assignee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시타 레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04D29/384Blades characterised by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40/00Components
    • F05D2240/20Rotors
    • F05D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05D2240/304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related to the trailing edge of a rotor bla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Abstract

블레이드(8)의 압력면(5)측에 오목부(기류 방향 변환 수단)(8b)를 그리고 블레이드(8)의 후연부에 볼록부(8a)(기류 부착 수단)를 설치한다. 임펠러(9)를 통과하는 기류는 오목부(8b)에 의해 축방향의 기류로 변환되어, 볼록부(8a)의 부근을 흐른다. 이 축방향의 기류는 부압면측의 기류의 박리를 억제하도록 작용하고, 부압면측의 기류와 압력면측의 기류의 합류시의 흐트러짐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임펠러의 송풍 성능 열화와,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IMPELLER, BLOWER AND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 공기 조화기, OA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축류 송풍기는 냉장고, 공기 조화기, OA 기기 등에 장착되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축류 송풍기로는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4443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축류 송풍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5는 종래의 축류식 임펠러로서, 도 22는 임펠러의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x-x 선 단면도, 도 24는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도 25는 도 24의 y-y 선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임펠러(1)는 모터(2)에 장착된 허브(3)와, 허브(3)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4)를 갖는다. 블레이드(4)는 압력면(5)측으로 굴절된 돌출부(6)를 외주연에 갖는다. 블레이드(4)는 전연부(4a)가 후연부(4b)보다 도면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고, 임펠러(1)가 화살표(4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회전하면, 공기는 도 23의 화살표(41)로 도시하는 축방향으로 송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임펠러에 대해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모터(2)에 의해 임펠러(1)를 소정의 회전수로 회전시키면, 공기가 임펠러(1)내에 유입하고, 임펠러(4)의 작용으로 정압과 동압이 부가되어 임펠러(1) 밖으로 배출되어, 송풍 작용이 실행된다. 블레이드(4)의 압력면(5)측에 돌출부(6)를 설치함으로써 압력면(5)으로부터 부압면(7)으로의 유출을 먼저 돌출 개시부에서 증속시키고, 축심측으로부터 블레이드 외주로 블레이드의 압력면을 따라 흐르는 주류에 포함되는 변동류 성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소음 발생 요인을 저감시킨다. 즉, 압력면에서 부압면으로 유출되게 함으로써 외주단에서의 압력 변동(압력면과 부압면의 압력차)을 저감하여 소음 증가를 억제한다.
그러나, 임펠러(1)를 냉장고내와 같이 풍속 저항이 높은 조건하에서 사용한 경우, 블레이드(4)의 압력면(5)측을 통과하는 기류는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성분이 강한 기류(A)로 된다. 이 반경 방향 성분이 강한 기류는 블레이드(4)의 압력면(5)측에 설치한 돌출부(6)에 의해 차단되고 축방향으로 변환되어,블레이드(4)의 후연부로부터 배출된다. 그 때문에 압력면(5)측의 후연부로부터의 축방향의 배출 기류 속도가 증가한다. 또한, 풍로 저항이 높은 조건하에서는 블레이드(4)의 흡입측의 선단부에 큰 순환 소용돌이(도시하지 않음)가 발생하기 때문에, 임펠러(1)에 흡입되는 기류가 뒤섞이는 동시에, 부압면(7)에 따른 기류는 박리를 생성한다. 즉, 블레이드(4)의 후연부에 있어서 압력면(5)측과 부압면(7)측의 기류가 합류할 때에 속도차가 크고 기류의 흐트러짐이 크다. 따라서, 임펠러(1)의 송풍 성능이 열화하여 발생하는 난류음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임펠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임펠러는 모터에 장착된 허브와, 허브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다.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흡입된 기류를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과,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박리류를 부착시키는 기류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환된 기류가 기류 부착 수단 근방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풍로 저항이 높은 경우,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가 임펠러를 통과한다. 이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 기류로 변환되고, 압력면측으로부터 송풍되는 축방향의 기류 속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축방향 기류는 기류 부착 수단 근방을 흐르고, 부압면측의 기류의 박리를 억제하여, 부압면측의 기류와 압력면측의 기류가 합류할 때에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임펠러는 송풍 성능의 열화 및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3의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다른 작용을 나타내는 도 3의 b-b 선으로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예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3의 c-c 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3의 d-d 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송풍기와, 종래예의 임펠러의 정압-풍량(P-Q) 특성의 비교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른 임펠러의 요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른 임펠러의 요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다른 임펠러의 요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치수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볼록부(8a)의 중심 위치(DM)와 운전 동작점의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볼록부(8a)의 밑변의 길이(DT)와 운전 동작점의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의 볼록부(8a)의 높이(H)와 운전 동작점의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송풍기의 정면도,
도 18은 도 17의 e-e 선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송풍기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 18의 f-f 선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블레이드가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냉동냉장고의 측면 종단면도,
도 22는 종래예의 임펠러의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x-x 선 단면도,
도 24는 종래예의 임펠러의 작용을 나타내는 요부 정면도,
도 25는 도 24의 y-y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터3 : 허브
5 : 압력면8 : 블레이드
8a : 볼록부8b : 오목부
9 : 임펠러10 : 제 1 마우스 링
11 : 제 2 마우스 링12 : 외벽
13 : 개구부14 : 선회류 순환 공간
15a, 15b : 기둥16, 16a : 송풍기
101 : 저장실105 : 기계실
150 : 냉동냉장고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임펠러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복수의 블레이드(8)가 허브(3)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다. 볼록부(기류 부착 수단)(8a)는 블레이드(8)의 후연부에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기류 방향 변환 수단)(8b)는 블레이드(8)의 압력면(5)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오목부(8b)의 일단이 블레이드(8)의 후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임펠러의 도 1의 화살표(30)로 나타내는 좌회전에 의해 공기는 도 2의 화살표(31)로 나타내는 축방향으로 송풍된다. 임펠러(9)가 냉장고의 격실과 같이 풍로 저항이 높은 조건하에 설치된 경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B)가 오목부(8b)에 의해 차단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변환된다. 그 때문에 압력면(5)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축방향의 기류 속도가 증가한다.
도 6은 부압면(7)측에서 박리하는 기류(C)를 나타낸다. 도 7은 부압면(7)측에서 부착되는 기류(D)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의 후연부에 볼록부(8a)를 설치하여 부분적으로 블레이드 현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기류(D)는 블레이드(8)의 후연부 부근에서 부착하고, 기류의 박리는 억제된다. 이에 의해 부압면(7)측으로부터 송풍되는 기류(D)와 압력면(5)측으로부터 배출되는 기류(E)의 합류시에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고, 임펠러(9)의 송풍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여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임펠러와 종래의 임펠러의 정압-풍량(P-Q) 특성의 비교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임펠러는 종래의 임펠러에 비해, 고 정압 조건에서의 풍량 저하를 방지한다. 기류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 블레이드(8)의 후연부 전체를 연장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는 임펠러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여, 모터로의 부하도 증가하기 때문에 입력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블레이드의 후연부의 일부에 볼록부(8a)를 설치하면 임펠러의 중량 증가와 모터로의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기류의 박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부압면(7)측은 평탄하지만,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압력면(5)측에 설치한 오목부(8b)에 맞춰서 부압면(7)측에 볼록부(8d)를 설치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블레이드(8)의 후연부에 설치한 볼록부(8a)의 형상은 대략 원호 형상이지만,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삼각형상, 정점이 원호상인 삼각형상, 2개의 원호로 형성되는 피크형상으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는 볼록부(8a)의 치수를 나타내고, 도 13은 볼록부(8a) 중심의위치(DM)와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낸다. DM이 0.5DZ 부근으로부터 0.9DZ 사이에서 오목부(8b)에 의해 변환되는 축방향의 기류 속도는 크고, 또한 볼록부(8a)의 부근에 부착되는 기류(D)의 속도도 크기 때문에 큰 효과를 얻는다. 여기서 DZ는 허브(3)의 외주단과 블레이드(8)의 외주단 사이의 거리이다. 도 14는 볼록부(8a)의 밑변의 길이(DT)와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낸다. DT가 0.1DZ 부근으로부터 0.9DZ 부근의 범위에 있는 경우 큰 효과를 얻는다. 도 15는 볼록부(8a)의 높이(H)와 정압(P)의 관계를 나타낸다. H가 0.2DZ 부근으로부터 DZ 부근의 범위에 있는 경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DM이 0.7DZ 부근으로부터 0.8DZ 부근에서, DT가 0.4DZ 부근으로부터 0.8DZ 부근의 범위에서, H가 0.1 부근으로부터 0.35 부근일 때, 가장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DM이 다른 범위일 때, DT와 H를 적절히 고려하여 설계하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임펠러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에 있어서, 오목부(8b)의 일단이 볼록부(8a)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임펠러(9)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F)가 압력면(5)측에 설치된 오목부(8b)에 의해 차단되고 축방향 기류로 변환되어 압력면(5)측으로부터 배출된다. 블레이드(8)의 후연부에 볼록부(8a)를 설치하고, 부분적으로 블레이드 현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부압면(7)측의 기류(D)의 박리를 억제하여, 부압면(7)측으로부터 송풍되는 기류와 상기 축방향 기류를 동일한 위치에합류시킴으로써 합류시에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임펠러(9)의 송풍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여,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송풍기(16)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 있어서, 송풍기(16)의 외벽(12)은 블레이드(8)의 흡입측과 배출측을 구획하는 2개의 판형상의 마우스 링, 즉 제 1 마우스 링(10)과 제 2 마우스 링(11)의 외주연을 둘러싸고 있다. 제 1 마우스 링(10)과 제 2 마우스 링(11) 사이의 선회류 순환 공간(14)은 블레이드(8)에 대향하는 개구부(13)를 갖는다. 선회류 순환 공간(14)내에 설치된 복수의 기둥(15a, 15b)은 제 1 마우스 링(10)과 제 2 마우스 링(11)의 개구연으로부터 블레이드(8)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송풍기(16)가 냉장고의 격실내와 같이 풍로 저항이 높은 조건으로 설치된 경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를 통과하는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G)의 일부가 개구부(13)를 거쳐 선회류 순환 공간(14)내에 유입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의 기둥(15a)으로부터 기둥(15b)까지 좌회전함에 따라, 기둥(15a)의 좌측으로 기류(H)가, 기둥(15a)과 기둥(15b)의 중간 부근에 기류(I)가, 그리고 기둥(15b)의 우측으로 기류(J)가 각각 블레이드(8)의 압력면(5)측으로부터 선회류 순환 공간(14)내로 유입된다. 유입된 기류(H, I, J)는 블레이드(8)의 회전에 의해 블레이드(8)의 원주 방향으로 흐르는 선회류로 되어 선회류 순환 공간(14)내를 흐른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8)는 회전을 계속하여 기둥(15b)을 통과하지만, 기류(H, I, J)는 기둥(15b)에서 저지되고, 흐름의 방향을 전환하여 부압면(7)측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기류(H, I, J)가 선회류 순환 공간(14)내에서 블레이드(8)의 부압면(7)측의 저압 부분으로 배출됨으로써 부압면(7)측을 따라 흐르는 기류를 증속하기 때문에, 압력면(5)으로부터의 배출 기류와의 합류시에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임펠러의 송풍 성능의 열화를 억제하여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냉동냉장고(150)를 도시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에 있어서, 냉동냉장고(150)는 저장실(101)을 구비한다. 송풍기(16)에 의해 저장실 공기 흡입구(102)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풍로를 통과하고 증발기(103)에서 열교환되어 저장실 공기 배출구(104)로부터 배출되며, 저장실(101)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한다. 송풍기(16)는 냉장고내의 저장실(101)로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내에 이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105)은 압축기(106), 증발 접시(107), 응축기(108)로 구성된다. 송풍기(16a)에 의해 기계실 공기 흡입구(109)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풍로를 통과하고 응축기(108)에서 열교환되어 기계실 공기 배출구(110)로부터 배출된다. 송풍기(16a)는 냉장고의 기계실(105)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내에 이용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냉동냉장고(150)와 같은 통로 저항이 높은 조건하에 있어서, 송풍기(16, 16a)의 송풍 성능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103)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열교환의 효율이 양호하게 되어, 냉동냉장고(150)로서의 냉각 능력이 향상한다. 또한, 응축기(108)와 압축기(106)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압축기(106)를 냉각할 수 있는 동시에 응축기(108)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되어, 냉동냉장고(150)의 응축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로 저항이 높은 경우,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가 임펠러를 통과한다. 이 반경 방향 속도 성분의 큰 기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 기류로 변환되고, 압력면측으로부터 송풍되는 축방향의 기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 축방향 기류는 기류 부착 수단 근방을 흐르고, 부압면측의 기류의 박리를 억제하여, 부압면측의 기류와 압력면측의 기류가 합류할 때에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하도록 작용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임펠러는 송풍 성능의 열화 및 송풍 소음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임펠러에 있어서,
    모터에 장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흡입된 기류를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과,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박리류를 부착시키는 기류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환된 기류가 기류 부착 수단 근방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을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기류 부착 수단을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볼록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이 블레이드의 후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일단이 상기 볼록부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펠러.
  4. 송풍기에 있어서,
    모터에 장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흡입된 기류를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과,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박리류를 부착시키는 기류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환된 기류가 기류 부착 수단 근방으로 흐르는 것이 특징인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를 둘러싸는 오리피스의 구성을 흡입측과 배출측을 구획하는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과, 상기 제 1,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벽과,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 사이에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대향한 개구부를 갖는 선회류 순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개구연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을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기류 부착 수단을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볼록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이 블레이드의 후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의 오목부의 일단이 볼록부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7. 냉동냉장고에 있어서,
    모터에 장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흡입된 기류를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과,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박리류를 부착시키는 기류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환된 기류가 기류 부착 수단 근방으로 흐르는 것이 특징인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를 둘러싸는 오리피스의 구성을 흡입측과 배출측을 구획하는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과, 상기 제 1,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벽과,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 사이에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대향한 개구부를 갖는 선회류 순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개구연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송풍기를 냉장고내의 저장실로 냉각 공기를 공급하는 풍로내에 이용하는
    냉동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을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기류 부착 수단을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볼록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이 블레이드의 후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의 오목부의 일단이 볼록부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고.
  10. 냉동냉장고에 있어서,
    모터에 장착되는 허브와, 상기 허브의 주위에 설치된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블레이드에 흡입된 기류를 축방향으로 변환하는 기류 방향 변환 수단과,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박리류를 부착시키는 기류 부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기류 방향 변환 수단에 의해 축방향으로 변환된 기류가 기류 부착 수단 근방으로 흐르는 것이 특징인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의 외주를 둘러싸는 오리피스의 구성을 흡입측과 배출측을 구획하는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과, 상기 제 1,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벽과,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 사이에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대향한 개구부를 갖는 선회류 순환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판형상의 마우스 링의 개구연으로부터 상기 임펠러의 대략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복수의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송풍기를 냉장고의 기계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풍로내에 이용하는
    냉동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을 블레이드의 압력면측에 설치된 오목부로 구성하고, 상기 기류 부착 수단을 블레이드의 후연부에 설치된 볼록부로서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의 일단이 블레이드의 후연부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블레이드에 설치된 기류 방향 변환 수단의 오목부의 일단이 볼록부의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냉장고.
KR1020020010405A 2001-05-31 2002-02-27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 KR100800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64501A JP3756079B2 (ja) 2001-05-31 2001-05-31 羽根車と、送風機と、冷凍冷蔵庫
JPJP-P-2001-00164501 2001-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759A true KR20020091759A (ko) 2002-12-06
KR100800912B1 KR100800912B1 (ko) 2008-02-04

Family

ID=1900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0405A KR100800912B1 (ko) 2001-05-31 2002-02-27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56079B2 (ko)
KR (1) KR100800912B1 (ko)
CN (1) CN127804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630A (zh) * 2017-12-14 2019-07-0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装置及其叶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2151A (ko) * 2003-11-29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축류팬
JP2005264803A (ja) * 2004-03-18 2005-09-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風機と、その送風機を用いた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冷凍冷蔵庫
JP4501575B2 (ja) * 2004-07-26 2010-07-14 三菱電機株式会社 軸流送風機
JP5259919B2 (ja) * 2005-07-21 2013-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軸流ファン
MY152199A (en) * 2008-10-22 2014-08-29 Sharp Kk Propeller fan, fluid feeder and molding die
WO2014102970A1 (ja) * 2012-12-27 2014-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ペラファン、送風装置、室外機
JP6405529B2 (ja) * 2014-03-25 2018-10-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風装置
JP6277415B2 (ja) * 2014-03-25 2018-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扇風機用のプロペラファン
CN106795893B (zh) * 2015-01-20 2019-06-14 夏普株式会社 螺旋桨式风扇、流体输送装置和成形用模具
JP2016160905A (ja) * 2015-03-05 2016-09-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遠心ファン
JP6531457B2 (ja) * 2015-03-26 2019-06-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プロペラファン
CN106837832B (zh) * 2017-01-22 2019-03-22 佛山市顺德区新双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便携式电风扇
EP3754204B1 (de) * 2019-06-17 2022-03-16 Levitronix GmbH Lüfter
CN112943688B (zh) * 2019-12-11 2023-04-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叶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2750B2 (ja) * 1997-12-22 2005-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用羽根車の翼、及び送風機用羽根車
JP3861539B2 (ja) * 1999-03-03 2006-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ロペラファン
KR100421884B1 (ko) * 2001-02-1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축류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630A (zh) * 2017-12-14 2019-07-02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吹吸装置及其叶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56079B2 (ja) 2006-03-15
JP2002357197A (ja) 2002-12-13
CN1278048C (zh) 2006-10-04
KR100800912B1 (ko) 2008-02-04
CN1389651A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912B1 (ko) 임펠러, 송풍기 및 냉동냉장고
US7037077B2 (en) Radiator fan and engine cooling device using the same
US20110017427A1 (en) Blower and heatpump using the same
KR100393993B1 (ko) 축류팬
JP3775848B2 (ja) 軸流送風機
US20030044280A1 (en) Turbo fan
JP2000234600A (ja) 多翼送風機
JP2002257096A (ja) 送風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用室外機
JP2003013892A (ja) 送風機及び該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6105156A (ja) 羽根車と、送風機と、冷蔵庫
KR20030016175A (ko) 와류 팬
JP2001140798A (ja) 送風機
JP2005264803A (ja) 送風機と、その送風機を用いた熱交換ユニットおよび冷凍冷蔵庫
JP2007139214A (ja) 空調機の室外ユニット用ファンガード及び室外ユニット
WO2016121144A1 (ja) プロペラファン、送風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US11536288B2 (en) Propeller fan
JP2001304195A (ja) 送風機とそれを用いた冷凍冷蔵庫
JPWO2020110969A1 (ja) プロペラファン
JPWO2020110967A1 (ja) プロペラファン
JP4703290B2 (ja) 送風装置
JP2005121310A (ja) 空気調和装置
CN113056612B (zh) 螺旋桨式风扇
JP2001221457A (ja) 冷凍装置
WO2014167707A1 (ja) 遠心送風機
WO2020110968A1 (ja) プロペラ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