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1070A -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1070A
KR20020091070A KR1020027008411A KR20027008411A KR20020091070A KR 20020091070 A KR20020091070 A KR 20020091070A KR 1020027008411 A KR1020027008411 A KR 1020027008411A KR 20027008411 A KR20027008411 A KR 20027008411A KR 20020091070 A KR20020091070 A KR 2002009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exchanger
cop
vin
v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5810B1 (ko
Inventor
시게하루 타이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9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02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 C09K5/0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 C09K5/041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5/044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 C09K5/045Materials undergoing a change of physical state when used the change of state being from liquid to vapour or vice versa for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systems comprising halogenated compounds containing only fluorine as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10Components
    • C09K2205/12Hydrocarbons
    • C09K2205/122Halogenat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05/00Aspects relating to compounds used in compression type refrigeration systems
    • C09K2205/24Only one single fluoro component pres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12Inflammable refrige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01Geometry problems, e.g. for reducing siz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9/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 F25B9/0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 F25B9/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in which the refrigerant is air or other gas of low boiling point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the refrigerant containing more than on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냉매로서 지구온난화계수(GWP)가 작은 R32를 사용하여, 종래 이상의 성적계수(COP)를 얻으면서, 종래보다 열교환기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지구온난화대응 에너지 절약형 냉동장치를 제공한다. 냉매회로에 압축기(23)와,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22)와, 팽창수단(26)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 열교환기(2)와를 구비한다. 제1 열교환기(22)의 내용적(Vout)과 제2 열교환기(2)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이, 0.7

Description

냉동장치 {REFRIGERATING DEVICE}
냉매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나 공기조화기의 지구환경에 관한 과제로서는, (1) 오존층의 보호, (2) 에너지 절약, (3) 지구 온난화 대응(CO2등 배출억제), (4) 자원의 재이용(리사이클)이 있다. 이 지구환경과제중, 특히 오존층 보호의 관점으로부터, R22(HFC22)는, 오존파괴계수 ODP(Ozon Depletion Potential)가 높아서, 좋은 냉매라고는 말할 수 없다. 그래서, 오존파괴계수가 높은 R22에 대신하는 대체 냉매로서 R410A(중량비로 HFC32:HFC125 = 50:50의 조성을 가진다), R407C(중량비로 HFC32:HFC125:HFC134a=23:25:52의 조성을 가진다), R32(HFC32) 등이 후보로서 거론되고 있다. 그리고, R410A나 R407C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 중에는, R22와 동등의 성적계수COP(Coefficient of Performance)가 얻어지는 것이 이미 제품화되어 있다.
그러나, R410A나 R407C를 사용한 경우는, 에너지 절약의 관점으로부터 R22를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열교환기의 사이즈를 크게 하여야 한다. 특히, R410A를 사용한 것에서는, 응축기에서의 과냉각도(서브쿨(deg))를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그 경향이 강하다. 이때문에, 종래는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열교환기의 내용적(Vout)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열교환기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을 m>1.5이상으로 설정하고 있다. 이 결과,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불리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공기조화기와 같이, 냉매를 냉동사이클과는 역방향으로 순환시켜서 히트펌프 사이클도 실행하는 경우는,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의 냉매충전량이 크게 다른 상태가 되기 때문에, 냉매회로에 큰 사이즈의 수액기(리시버)나 기액분리기(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하여야만 한다. 이때문에,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더욱 불리하게 된다.
그래서, R410A나 R407C의 대신에, R32(HFC32)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R32는, 지구온난화계수GWP가 R22 또는 R410A 또는 R407C의 약 1/3이며, 지구온난화방지에 대하여 극히 유효하다. 그런데, COP에 대해서는, R407C나 R410A의 COP가 R22의 그것과 대략 동등한 것에 대하여 R32의 COP는 R22보다도 큰 값이 얻어지지않았다. 즉, R32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에서는, R32의 특성으로부터는 이론상은 높은 COP가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이것까지 R22의 COP를 실제로 크게 넘는 것은 얻어지고 있지않았다. 또한, R22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압력이 높아지거나, 토출온도가 높아지는 등의 현상이 있다. 그것에 더하여, R32는 미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안전성의 컨센서스가 얻어지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이때문에 산업계에서는, 대체 냉매로서의 R32를 실제의 제품에 채용하는 일은 없었다.
이 발명은 냉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22(화학식 CHC1F2)에 대신하는 대체 냉매로서 R32(화학식 CH2F2) 또는 R32를 적어도 70중량%를 함유하는 혼합냉매를 사용하는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에 따라서 R32를 사용하여 0.71.5의 범위내로 한 경우와, R22 또는 R410A를 사용하여 1.52.6으로 설정한 경우와의 사이에서, 실외열교환기의 내용적(Vout)과 실내열교환기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과 이론 COP와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라서 R32를 사용하여 0.71.5의 범위내로 한 경우와, R22또는 R410A를 사용하여 1.52.6으로 설정한 경우와의 사이에서, 냉동능력과 실내열교환기 용적 비율과의 관계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도 3B는, 각각 이 발명에 따라서 R32를 사용하여 0.71.5의 범위내로 한 경우와, R22 또는 R410A를 사용하여 1.52.6으로 설정한 경우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냉방운전시에 실외열교환기에서의 과냉각도(서브쿨)를 변화시킨 때의, R32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 R22 또는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를 동일 냉방능력으로 비교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도 5B는, 냉방능력이 5.0kW이며 냉매로서 R32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를, 냉매량(냉매회로에 대한 전충전량)을 변화시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A는 냉방운전시, 도 5B는 난방운전시의 결과이다.
도 6은, 이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는, 냉방능력이 2.8kW이며, R32 냉매 및 R410A 냉매의 냉매량(냉매회로에 대한 전충전량)에 대한 COP를 R410A 피크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7A는 냉방운전시, 도 7B는 난방운전시의 결과이다.
도 8A, 도 8B는, 냉방능력이 2.5kW이며, R32 냉매의 냉매량(냉매회로에 대한 전충전량)에 대한 COP를 R410A 피크 기준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8A는 냉방운전시, 도 8B는 난방운전시의 결과이다.
도 9는 R32와 R125의 혼합냉매에서의 R32의 함유량과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래서, 이 발명의 목적은, 냉매로서 지구온난화계수GWP가 작은 R32를 사용하여 종래 이상의 성적계수COP를 얻으면서, 종래보다 열교환기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는 지구온난화 대응 에너지 절약형 냉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은, 냉동장치의 COP가 냉매량(냉매회로에 대한 전충전량)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경향은, R32와 R410A 등의 다른 냉매와의 사이에서, 냉매의 종류에 의하여 크게 서로 다르다고 하는, 본 발명자에 의한 발견에 의거하여 창출되었다. 즉,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R410A를 사용한 경우는, 도시의 범위에서는 냉매량이 많아짐에 따라서 COP가 서서히 높아지며 포화하는 바와 같은 경향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R32를 사용한 경우는, 냉매량의 변화에 대하여 COP가 피크를 나타내고 냉매량이 그 피크를 부여하는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COP가 급격하게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종래에, R32를 사용한 경우에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COP가 얻어지지 않았던 이유는, 냉매량이 비교적 많은 범위(도 5A의 예에서는 1200g∼1300g)에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R32를 사용하여 냉매량을 변화시킨 경우의 COP의 피크값이, R410A를 최적의 냉매량(도 5A의 예에서는 1300g)에서 사용한 경우의 COP보다도 다소 높다고 하는 사실이다. 이것에 의하여, R32를 사용하면서 R22를 사용한 경우의 종래의 COP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COP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열교환기의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냉동장치는, 냉매회로에 냉매로서 R32를 순환시켜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로서, 상기 냉매회로에 압축기와,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와, 팽창수단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 열교환기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의 내용적(Vout)과 제2 열교환기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 /Vin)가,
0.71.5
의 범위내에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동장치에서는,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며 더욱이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의 내용적(Vout)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 열교환기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이 0.71.5의 범위내에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의 내용적, 따라서 제1 열교환기의 사이즈가 종래에 비하여 특히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작아진다. 따라서,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더욱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R22를 사용한 경우의 종래 레벨의 COP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COP가 얻어진다. 또한, 공기조화기와 같이 냉매를 냉동사이클과는 역방향으로 순환시켜서 히트펌프사이클도 실행하는 경우이더라도, R32를 사용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의 냉매 충전량이, 종래(R22나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접근한다. 따라서, 냉매회로에 큰 사이즈의 수액기(리시버)나 기액분리기(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지며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냉매로서,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의 원리는, R32 단일 냉매만이 아니라,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에도 확장하여 적용되며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이 발명의 냉동장치를 도시의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이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공기조화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공기조화기는, 실외유닛(20)과 실내유닛(1)과를 냉매배관(41),(42)으로 접속하여 냉매회로를 구성하며, 그 냉매회로에 냉매로서 R32를 순환시키도록 한 것이다. 실내유닛(1)에는 제2 열교환기로서의 실내열교환기(2)가 수용되어 있다. 한편, 실외유닛(20)에는, 냉매(R32)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23)와, 냉매유로를 절환하기 위한 4방향 절환밸브(25)와, 제1 열교환기로서의 실외열교환기(22)와, 전동팽창밸브(26)와, 환류한 냉매의 기액분리를 행하는 어큐뮬레이터(24)와,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의 냉매량 조정용 리시버(29)와, 이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60)가 수용되어 있다.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방운전시에는, 4방향 절환밸브(25)의 절환설정에 의하여, 도 6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23)에 의하여 토출된 냉매를 배관(31), 4방향 절환밸브(25), 배관(33)을 통하여,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실외열교환기(22)로 보낸다. 이 실외열교환기(22)에서 응축된 냉매를, 배관(36), 유로를 닫아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동팽창밸브(26), 쓰로틀 밸브(27), 배관(42)을 통하여,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실내열교환기(2)로 보낸다. 더욱이 이 실내열교환기(2)에서 기화된 냉매를 배관(41), 니들밸브(28), 배관(34), 4방향 절환밸브(25), 배관(32), 리시버(29), 배관(37), 어큐뮬레이터(24), 배관(35)을 통하여 압축기(23)로 되보낸다. 한편, 히트펌프 사이클을 실행하는 난방운전시에는, 4방향 절환밸브(25)를 절환하여, 도 6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23)에 의하여 토출된 냉매를 배관(31), 4방향 절환밸브(25), 배관(34), 니들밸브(28), 배관(41)를 통하여,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실내열교환기(22)로 보낸다. 실내열교환기(2)에서 응축된 냉매를 배관(42), 쓰로틀 밸브(27), 완전열림 상태의 전동팽창밸브(26), 배관(36),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실외열교환기(22)로 보낸다. 더욱이, 이 실외열교환기(22)에서 기화된 냉매를 배관(33), 4방향 절환밸브(25), 배관(32), 리시버(29), 배관(37), 어큐뮬레이터(24), 배관(35)을 통하여 압축기(23)로 되보낸다.
한편, 실내유닛(1)에는, 실내분위기온도(Troom)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1)와, 실내열교환기온도(Tin)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외유닛(20)에는, 실외분위기온도(Tatm)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3)와, 실외열교환기온도(Tout)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4)와, 압축기 토출온도(Tdis)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5)와, 압축기 흡입온도(Tsuc)를 검출하는 온도센서(56)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60)는 이들 온도센서의 출력이나 유저의 설정에 의거하여 냉매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발명에 따라서,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고, 또한 실외열교환기(22)의 내용적(Vout)과 실내열교환기(2)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을 0.71.5의 범위내로 설정한다. 한편, 열교환기의 내용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는, 열교환기의 방열핀을 관통하고 있는 전열관(그 내부를 냉매가 통과한다)의 내경을 변화시키면 좋다. 이와 같이 한 경우, 실외열교환기(22)의 내용적, 따라서 실외열교환기(22)의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특히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게다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하고 0.71.5의 범위내로 한 경우, R22 또는 R410A를 사용하고 1.52.6으로 설정한 경우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COP가 얻어진다. 상세하게는, 도 3A,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 R22 또는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COP와를, 냉방능력2.5kW, 2.8kW, 5.0kW에서 각각 비교하면 m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COP가 커지는 경향은 양자 모두 같지만, 전자에 있어서 m=0.912, 0.954, 1.335 때의 이론 COP가, 후자에 있어서 m=1.676, 1.763, 2.269 때의 이론 COP와 같게 된다. 다만, 도 3A, 도 3B에서는, R32를 사용한 경우의 냉매회로에 대한 냉매충전량은,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냉매회로에 대한 냉매충전량의 70중량%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론 COP를 사용하여 비교하고 있는 이유는, 압축기 효율을 동등하게 하여 평가하기 때문이다(이 명세서에서는, 특히 단정하지 않는 한, 단순히 COP라고 할 때는 실제 기계에서의 COP를 의미하고 있다.). 한편, 냉동능력(kW)의 측정법은 일본 공업규격(JIC)C9612의 규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R32를 사용한 경우에 m을 0.71.5의 범위내로 작게 설정하여도, R22 또는 R410A를 사용하여 설정한 경우의 동등 또는 그 이상의 COP가 얻어지는 이유는, R32가 R22, R410A 또는 R407C에 비하여 열용량이 크고 저압력손실인 특성을 가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한 경우는, R410A등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과냉각도를 작게 설정하여도 COP가 그다지 저하하지 않는 것이다.
도 2는, 도 3A, 도 3B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R32를 사용한 경우와 R22 또는 R410A를 사용한 경우와를, 냉방능력 2.5kW, 2.8kW, 5.0kW에서 각각 비교한 때의 실내열교환기 용적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실내열교환기용적 비율이란,
실내열교환기의 내용적/(실내열교환기의 내용적 + 실외열교환기의 내용적)로 정의된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하고 0.71.5의 범위내로 한 경우는, 실내열교환기용적 비율은 39%∼54%로 됨에 대하여, R22 또는 R410A를 사용하여 1.52.6으로 설정한 경우는, 실내열교환기용적 비율은 30%∼38%로 된다.
도 5A, 도 5B는, 각각 냉매로서 R410A와 R32와를 사용하고, 냉방능력이 5.0kW의 경우에서의 냉방시와 난방시의 냉매량(g)과 COP의 관계를 나타낸다.
R32를 사용한 경우, 도 5A, 도 5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의 냉매충전량이, 종래에(R22나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접근한다. 상세하게는, R32를 사용한 경우의 COP의 피크를 부여하는 최적의 냉매량은, 냉방운전 때 960g, 난방운전 때 840g으로 구해진다. 한편,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최적인 냉매량은, 냉방운전 때 1300g, 난방운전 때 1100g으로 구해진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한 경우는,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냉방시에서의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과 난방시에서의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과의 비율이 1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냉매회로에 있어서 리시버(29)를 생략하기도 하고, 어큐뮬레이터(24)를 소형화하기도 할 수 있으며,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도 7A, 도 7B는, 각각 냉매로서 R410A와 R32와를 사용하며, 냉방능력이 2.8kW의 경우에서의 냉방시와 난방시의 냉매량(g)과 시스템 COP(%)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7A,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방능력 2.8kW의 경우도 5.0kW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R32는 COP가 크고, 또한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이,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접근한다. 상세하게는R32를 사용한 경우의 COP의 피크를 부여하는 최적인 냉매량은, 냉방운전 때 1100g, 난방운전 때 1000g으로 구해진다. 한편, R410A를 사용한 경우의 최적인 냉매량은, 냉방운전 때 1340g, 난방운전 때 1180g으로 구해진다. 이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R32를 사용한 경우는,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냉방시에서의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과 난방시에서의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과의 비율이 1에 가깝게 된다.
더욱이, 도 8A, 도 8B는, 각각 냉매로서 R410A와 R32와를 사용하며, 냉방능력이 2.5kW의 경우에서의 냉방시와 난방시의 냉매량(g)과 시스템 COP(%)의 관계를 나타낸다. 냉방능력 2.5kW의 경우도, 2.8kW나 5.0kW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냉방시와 난방시와의 사이에서 냉매회로에 대한 최적인 냉매충전량이, R410A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접근하는 것(도시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냉방능력 2.5kW 혹은 2.8kW의 경우도, 5.0kW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냉매회로에 있어서 리시버(29)를 생략하기도 하고, 어큐뮬레이터(24)를 소형화하기도 할 수 있으며, 원가면이나 제품사이즈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한편, 이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당연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발명은,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여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당연하지만, 이 발명의 원리는, R32 단일 냉매뿐만 아니라,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에도 확장하여 적용되며,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다. R32 이외의 냉매로서는, 불소계 냉매이어도 좋고, 자연냉매이어도 좋다.자연냉매에는, 프로판, 부탄, CO2, 암모니아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혼합냉매로서는, 예를 들어 R32를 70∼90중량% 함유하고, 나머지의 성분이 CO2인 것과 같은 것이 예거 된다. 또한, 오래된 타입의 냉동장치에 대체냉매로서 R32를 충전하는, 소위 리트로피트나 R22기의 서비스 시 등에는, 혼합냉매로서 R32를 70∼90중량% 함유하고, 나머지의 성분이 R22인 것과 같은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혼합냉매로서 R32와 R125의 혼합물이 고려될 수 있다. R32와 R125의 혼합냉매에서는, R32가 70중량%까지의 영역은 액체의 조성과 발생증기의 조성과가 같은 공비역으로 되며, 그것 이상에서는 비공비역으로 된다. 그리고, R32의 함유량이 증대됨에 따라서 R32의 특성이 명확하게 나타나며, 비공비역에서는 R32의 특성이 보다 현저하게 나타난다.
도 9는, R125와의 혼합냉매에서의 R32의 함유량과 에너지 효율의 관계를 나타낸다. R32의 함유량이 70중량%이상에서는 에너지 효율의 상승이 뚜렷하고, R32가 약 80중량%를 넘으면, R22의 에너지 효율을 능가한다. 즉, R32의 함유량이 70중량% 이상에서, 높은 COP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R32 단일 냉매 및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는, 도 1 및 도 5A,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R22등의 냉매에 비하여 COP가 대략 동등 혹은 그것이상이다. 또한, R32의 지구온난화계수(GW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R22등의 그것과 비교하면 약 1/3로 극히 낮다. 이때문에, R32의 경우 COP의 역수와 GWP를 함유하는 수식으로 표현되는 총등가온난화영향(TEWI)은, R22나R410A의 TEWI보다도 낮아져서(저하율 10∼20%), 우수한 지구온난화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R32 냉매 및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는, 오존층의 파괴를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지구온난화계수(GWP)나 총등가온난화영향(TEWI)이 작고 성적계수(COP)가 큰 것으로부터, 지구온난화대응의 에너지 절약형 냉매이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동장치는, 냉매로서 R32를 사용하여서, 지구온난화대응의 에너지 절약형으로 하고, 더욱이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의 내용적(Vout)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열교환기의 내용적(Vin)과의 비m(=Vout/Vin)이 0.71.5의 범위내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종래 레벨의 COP와 동등 또는 그것이상의 COP를 얻으면서, 제1 열교환기의 사이즈를 종래에 비하여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동장치는, 상기 냉매로서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2)

  1. 냉매회로에 냉매로서 R32를 순환시켜서 냉동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동장치로서,
    상기 냉매회로에 압축기(23)와, 응축기로서 작용하는 제1 열교환기(22)와, 팽창수단(26)과, 증발기로서 작용하는 제2 열교환기(2)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22)의 내용적(Vout)과 제2 열교환기(2)의 내용적(Vin)과의 비m이,
    0.71.5
    의 범위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로서,
    R32를 적어도 70중량% 함유하는 혼합냉매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장치.
KR10-2002-7008411A 1999-12-28 2000-12-18 냉동장치 KR100445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334799 1999-12-28
JPJP-P-1999-00373347 1999-12-28
JP2000230933A JP2001248922A (ja) 1999-12-28 2000-07-31 冷凍装置
JPJP-P-2000-00230933 2000-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070A true KR20020091070A (ko) 2002-12-05
KR100445810B1 KR100445810B1 (ko) 2004-08-25

Family

ID=2658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411A KR100445810B1 (ko) 1999-12-28 2000-12-18 냉동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37236B2 (ko)
EP (1) EP1243877B1 (ko)
JP (1) JP2001248922A (ko)
KR (1) KR100445810B1 (ko)
CN (1) CN1183365C (ko)
AU (1) AU769114B2 (ko)
ES (1) ES2629557T3 (ko)
WO (1) WO2001048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2620A (zh) * 2010-12-15 2011-04-27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制冷设备
CN102455093B (zh) * 2011-08-17 2013-08-28 李先安 制冷系统能效控制方法
JP5403095B2 (ja) * 2011-12-20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JP5536817B2 (ja) * 2012-03-26 2014-07-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EP2889552A4 (en) * 2012-08-23 2016-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COOLER
GB2525791B (en) * 2013-01-31 2020-06-24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control method
JPWO2015111175A1 (ja) * 2014-01-23 2017-03-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EP3193102A4 (en) * 2014-09-12 2017-11-15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Heat exchange device
US9970689B2 (en) * 2014-09-22 2018-05-15 Liebert Corporation Cooling system having a condenser with a micro-channel cooling coil and sub-cooler having a fin-and-tube heat cooling coil
JP2016095039A (ja) * 2014-11-12 2016-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8291754A (zh) * 2016-02-12 2018-07-17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制冷循环装置
JP7029881B2 (ja) * 2016-08-24 2022-03-04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9198175A1 (ja) * 2018-04-11 2021-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6698196B2 (ja) * 2019-05-14 2020-05-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7469583B2 (ja) * 2019-06-12 2024-04-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
WO2021050464A1 (en) * 2019-09-13 2021-03-18 Carrier Corporation Vapor compression system
US20220090854A1 (en) * 2020-09-18 2022-03-24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Process for subcooling liquid stream with refrigerant ga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7574B2 (ja) * 1990-11-16 1999-10-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冷凍装置
JPH053855A (ja) 1991-06-26 1993-01-14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H07332770A (ja) 1994-06-10 1995-12-22 Hitachi Ltd 空気調和機
JPH08247576A (ja) 1995-03-14 1996-09-2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3612805B2 (ja) * 1995-07-18 2005-01-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機
JPH09151370A (ja) 1995-11-30 1997-06-10 Asahi Glass Co Ltd 混合冷媒およびこれを用いる冷却装置
JP4112645B2 (ja) * 1996-02-05 2008-07-02 出光興産株式会社 圧縮型冷凍機用潤滑油
JPH09208939A (ja) * 1996-02-07 1997-08-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ジフルオロメタン/炭化水素混合冷媒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JPH10170081A (ja) 1996-12-11 1998-06-26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JPH10195426A (ja) 1997-01-10 1998-07-28 Hitachi Ltd 冷凍装置用作動媒体及びこの媒体を用いた冷凍装置
WO1998038264A1 (fr) * 1997-02-27 1998-09-03 Daikin Industries, Ltd. Refrigerateur et milieu hydraulique
DE69824161T2 (de) 1997-03-17 2005-05-25 Daikin Industries, Ltd. Klimagerät
JPH11101517A (ja) 1997-09-29 1999-04-13 Matsushita Refrig Co Ltd 冷凍システム
JP3341644B2 (ja) * 1997-10-01 2002-1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11230626A (ja) * 1998-02-12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凍サイクル装置
US6189322B1 (en) * 1998-03-13 2001-02-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efrigerant-circulating system, and refrigerant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employing the refrigerant compressor
JP3757607B2 (ja) 1998-03-18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媒循環装置
WO2000052396A1 (fr) * 1999-03-02 2000-09-08 Daikin Industries, Ltd. Dispositif frigorifique
JP2002089978A (ja) * 2000-09-11 2002-03-27 Daikin Ind Ltd ペア型の冷凍装置およびマルチ型の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48922A (ja) 2001-09-14
CN1183365C (zh) 2005-01-05
US6637236B2 (en) 2003-10-28
EP1243877A4 (en) 2005-04-13
EP1243877B1 (en) 2017-06-07
CN1415062A (zh) 2003-04-30
ES2629557T3 (es) 2017-08-11
AU1893601A (en) 2001-07-09
US20020189280A1 (en) 2002-12-19
EP1243877A1 (en) 2002-09-25
WO2001048428A1 (en) 2001-07-05
AU769114B2 (en) 2004-01-15
KR100445810B1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810B1 (ko) 냉동장치
US7021069B2 (en) Multiple refrigerating device
KR100629971B1 (ko) 냉동장치
EP1223389B1 (en) Refrigerating device
JP5409715B2 (ja) 空気調和装置
Chaichana et al. Natural working fluids for solar-boosted heat pumps
WO2013093979A1 (ja) 空気調和装置
JP2004361036A (ja) 空気調和装置
JP2001227822A (ja) 冷凍空調装置
JP6289734B2 (ja) 空調給湯複合システム
JP2022125358A (ja) 冷凍装置
WO201714524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4232951A (ja) 冷媒封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