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488A -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488A
KR20020090488A KR1020010029348A KR20010029348A KR20020090488A KR 20020090488 A KR20020090488 A KR 20020090488A KR 1020010029348 A KR1020010029348 A KR 1020010029348A KR 20010029348 A KR20010029348 A KR 20010029348A KR 20020090488 A KR20020090488 A KR 20020090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rminal device
mobile phone
phone terminal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7392B1 (ko
Inventor
이용진
조병덕
박정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39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가 별도로 분리되어 각각이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독립적으로 통화를 수행함으로써 음성 입/출력 장치의 이동성을 제고시키고 하울링 현상을 제거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V0ICE INPUT/OUTPUT APPARATUS USING BLUE TOOTH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음성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발전해 나감에 따라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의 급속한 발전은 개개인들 각각이 이동통신을 위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 일 예로 셀룰러 폰(cellular phone)과 같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을 보편화시키고 있으며 이런 개개인들의 휴대 전화 단말 장치 사용은 점점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그런데, 이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운전중 사용할 경우에는 그 작동을 위한 일련의 동작들이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직접 동작시키기 않고서도 전화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음성 입출력 장치, 일 예로 핸즈프리(hand's free)와 같은 음성 입출력 장치가 개발되었다. 이런 음성 입출력 장치는 현재 그 구현 형태가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분리된다.
첫 번째는, 유선을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이다. 상기 유선을 이용한 음성입출력 장치의 경우는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유선으로 연결하여, 즉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에 일종의 잭(jack)을 구비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에 구비된 잭을 상기 휴대 전화 단말장치에 삽입하는 형태로 음성 입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이다. 그런데 이렇게 유선을 이용하여 음성 입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는 유선 연결로 인한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있다. 즉,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에는 유선 연결로 인해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의 이동성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의 행동 반경 제한 등과 같은 사용자의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무선을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이다. 상기 무선을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의 경우는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즉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 각각에 적외선(IrDA) 인터페이스 혹은 블루투스(Blue Tooth) 인터페이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연결하는 경우이다. 그런데 이렇게 무선을 이용하여 음성 입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신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 내에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와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가 동시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스피커로 입력되는 음성이 마이크로 입력되어 반향, 즉 하울링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발생하는 하울링 현상은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를 통한 통화서비스 품질의 저하를 발생하며, 또한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 내에 상기스피커와 마이크가 동시에 구비됨으로 인해 상기 마이크의 이동성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가 하나의 장치에 같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마이크 이용에 따른 행동 반경 역시 상기 스피커와 동장소에 위치하여야만 한다는 이동성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 출력과 음성 입력이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및 음성 입력을 수행하여 이동성을 제고시키는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 단말장치와 음성 출력 및 음성 입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하울링을 제거하는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력 및 출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음성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발신 및 착신 요구를 위한 키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상기 휴대 전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대해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통화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여 음성 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의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한 후 호수신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통화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 출력을 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수신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발신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출력 장치는 음성 출력과 음성 입력을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음성 출력을 위한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입력을 위한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블루투스(Blue Tooth)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한다. 그래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신을 독립적으로 하도록 한다.
그러면, 먼저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11)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메모리(113)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입력부(115)는 입력을 위한 각종 기능키들, 즉 페어링(Pairing) 키, 통화요구키, 확인키, 재선택키등을 구비하고 입력되는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15)는 일 예로 메뉴(MENU)키, 볼륨업(Volume Up)키, 볼륨 다운(Volume Down)키, 토크(TALK) 키 등과 같은 각종키들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기능키들은 상기 구비되어 있는 키들을 조합하여 설정한 키이다. 즉, 상기 페어링 키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페어링 동작 시작을 위한 키인데 상기 메뉴키와 상기 토크키를 조합하여(MENU+TALK) 입력하는 것이고, 이와 마찬가지로 나머지 기능키들 역시 상기 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을 조합하여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출력부(117)는 듀얼(dual) LED를 구비하여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상태 등을 나타내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19)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Blue Tooth Interface)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19)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가 초기화시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 연결 수행하고, 또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해 SCO(Synchronus Connection-Oriented,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 연결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페어링이라 함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는 상호장치간 공통링크키(Common Link Key) 생성과정으로서,상기 음성 출력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장치간 공통 링크를 위한 일종의 인증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19)와 상기 제어부(111)간은 피지컬 링크(Physical Link), 즉 UART,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피지컬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C)(123)는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119)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로 변환한 후 증폭기(Amp)(125)로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125)는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23)에서 출력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증폭률로 증폭한 후 스피커(Speaker)(127)로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127)는 상기 증폭기(125)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충전회로부(129)는 하기에서 설명할 음성 수신 장치의 충전을 수행하며, 상기 음성 수신 장치는 상기 음성 송신 장치의 적소에 부착가능하도록 하며, 전원부(121)는 상기 음성 송신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211)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메모리(213)는 상기 제어부(211)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15)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무선 근거리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15)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가 초기화시 상기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 연결 수행하고, 또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해 SCO(Synchronus Connection-Oriented,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 연결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페어링이라 함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는 상호장치간 공통링크키(Common Link Key) 생성과정으로서, 상기 음성 입력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장치간 공통 링크를 위한 일종의 인증과정이다. 그리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15)와 상기 제어부(211)간은 피지컬 링크(Physical Link), 즉 UART,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의 피지컬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마이크(MIC)(219)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신호를 증폭기(Amp)(221)로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221)는 상기 마이크(219)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증폭율로 증폭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Analog to Digital Converter)(223)로 출력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23)는 상기 증폭기(221)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후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통신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충전지(225)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구비되며,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충전회로부(129)에서 충전된다. 그리고 전원부(217)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어부(31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312)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및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따라 발생하는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입력부(313)는 다수의 다이얼링 디지트 키와, 메뉴(MENU)키 및 송출(SEND)키 등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311)로 전달한다. 마이크(31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후 그 변환된 전기신호를 코덱(CODEC)(317)으로 출력한다. 상기 코덱(317)은 상기 마이크(315)에서 출력한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코딩방식으로 인코딩(encoding)한 후 음성처리부(319)로 출력한다. 상기 음성 처리부(319)는 상기 코덱(317)에서 출력한 인코딩된 신호를 입력하여 음성 코딩 방식, 일 예로 PCM 방식으로 코딩한 후 변조부(321)를 통해 무선 변조한 후 듀플렉서(Duplexer)(323)로 출력한다. 상기 듀플렉서(323)는 상기 변조부(321)로부터 전달받은 무선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며,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부(327)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부(321) 및 복조부(327)의 무선 변복조를 위한 주파수 합성은 주파수 합성부(325)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복조부(327)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복조한 후 그 복조된 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부(319)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처리부(319)는 상기 무선복조된 신호를 다시 PCM 방식으로 복조한 후 상기 코덱(317)으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코덱(317)은 상기 음성처리부(319)에서 출력된 신호를 설정되어 있는 디코딩방식으로 디코딩(decoding)한 후 스피커(33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피커(333)는 상기 코덱(317)에서 출력한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하여 사용자가 청취하도록 한다.
그리고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331)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통화를 수행할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즉,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가 초기화시 상기 제어부(3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ACL 연결을 수행하고, 음성 통신을 위해서 SCO 링크 연결을 수행하며, 상기 음성 처리부(319)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SCO 링크를 통해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SCO 링크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음성 처리부(319)로 출력하여 상대방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원부(335)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화 수행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면(Power On)(411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페어링(Pairing)을 수행한다(413단계). 여기서, 상기 페어링이라 함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는 상호장치간 공통링크키(Common Link Key) 생성과정으로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공통 링크를 위한 일종의 인증과정이다. 이렇게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페어링이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페어링을 수행한다(415단계). 마찬가지로, 상기 페어링이라 함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 정의되어 있는 상호장치간 공통링크키(Common Link Key) 생성과정으로서,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공통 링크를 위한 일종의 인증과정이다.
이렇게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페어링 및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페어링이 수행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ACL(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 연결을 수행한다(417단계). 여기서, 상기 ACL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혹은 음성 입력 장치간 버스트 데이터(burst data) 전송에 사용되는 링크이다. 이렇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ACL 연결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도 ACL 연결을 수행한다(419단계). 이렇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 ACL 연결이 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음성 출력 장치간은 통화 대기 상태, 즉 유휴 상태(Idle State)에 있게 되고(421단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간 역시 유휴 상태에 있게된다(423단계). 이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호수신(Incomming Call)이 되면(425단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SCO(Synchronous Connection Link: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 연결을 수행한다(427단계). 여기서, 상기 SCO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간 혹은 음성 입력 장치간 음성 전송에 사용되는 링크이다. 이렇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간 SCO 연결되어 음성 링크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호수신에 따른 호수신 경보, 즉 링톤(Ring Tone) 등과 같은 호수신 경보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는 상기 호수신 경보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 요구를 하고(429단계) 이에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 SCO 연결을 수행한다(431단계).
이렇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간 SCO 연결에 따라 음성 링크가 형성되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한 통화상태로 천이하게 된다(433단계). 즉,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는 상대방의 음성이 출력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서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어 통화가 수행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통화 수행중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통화 종료가 감지되면(435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 종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의 음성 링크인 SCO 연결을 해제하고(437단계) 이와 동시에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의 음성 링크인 SCO 연결을 해제한다(439단계). 결국 통화가 종료되면 음성 링크인 SCO 연결은 다 해제되고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에는 데이터 링크인 ACL만 연결되어 있는 유휴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4 및 이하 하기의 설명에서도 상기 호수신 혹은 호 발신의 경우에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도 가능하지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수행되는 경우는 그 설명을 생략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한 호 수신 혹은 호 발신의 경우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출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통신이 가능할려면 페어링 과정을 거쳐 상호간에 통신 인증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전원이 인가되면(511단계) 최초에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가 Deep Sleep 상태에 있다가(513단계) 사용자의 페어링 요구키 입력을 대기한다(515단계). 여기서, 상기 페어링 요구키라 함은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키들중 특정한 한키 혹은 다수의 키들을 조합한 형태의 키, 일 예로 메뉴(MENU)키와 토크(TALK)키를 연이어 입력하는 형태의 키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페어링 요구키가 입력될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을 수행한다(517단계). 여기서,상기 페어링 수행 과정은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해 스캔 동작(Inquiry Scan Mode)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간 공통 링크 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상기 휴대 전화 단말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도 6을 참조하여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입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의 음성 출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 페어링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간에도 통신이 가능할려면 페어링 과정을 거쳐 상호간에 통신 인증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그러기 위해서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 전원이 인가되면(611단계) 최초에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가 Deep Sleep 상태에 있게 된다(613단계). 그리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을 수행한다(615단계). 여기서, 상기 페어링 수행 과정은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의 페어링을 위해 스캔 동작(Inquiry Scan Mode)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간 공통 링크 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 호수신 경우 동작 과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수신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전원이 인가되면 페어링 과정들을 거치고 다시 ACL 연결 과정을 거쳐 유휴상태에 있게된다(711단계). 이렇게 유휴 상태에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호가 수신되면(713단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음성 링크 형성을 위해 SCO 연결을 수행한다(715단계). 이렇게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간 SCO가 연결된 후 상기 연결된 SCO를 통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호 수신 경보, 일 예로 링 톤(Ring Tone)을 전송한다(717단계). 물론, 상기 도 7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도 역시 링 톤이 발생하여 사용자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통해서도 통화가 가능하고,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를 통해서도 통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성 입/출력 장치를 통해서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렇게 링 톤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의 통화 요구를 대기하고(719단계)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구가 되면(723단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상기 통화 요구에 따른 통화 요구신호를 전송한다(725단계). 여기서, 상기 통화 요구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키들중 임의의 한 키가 입력됨을 감지함으로써 감지한다.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통화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음성 링크 형성을 위한 SCO 연결을 수행한다(727단계). 이렇게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입력 장치간 SCO 연결이 되면 통화상태가 되어(729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서는 음성이 출력되고(731단계)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서는 음성이 입력된다(733단계).
상기 도 7에서는 호가 수신될 경우를 설명하였으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 호 발신 경우 동작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 발신시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출력 장치간 통화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상기 호 발신의 경우 역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것 역시 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한 호 발신 과정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사용자로부터 통화 요구가 감지되면(811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 요구 신호를 전송한다(813단계). 여기서, 상기 통화 요구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특정한 한 키, 일 예로 토크(TALK)키가 입력됨을 감지함으로써 감지된다.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통화 요구 신호를 감지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자신의 모드를 전화 번호 선택 모드로 천이한다(815단계). 여기서, 상기 전화 번호 선택 모드라 함은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가 발신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얼 디지트(Dial Digit)를 직접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발신한적이 있던 발신 전화번호들 중에서 하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발신 전화번호로 선택하는 모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전화 번호 선택 모드에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통화 요구, 즉 발신 요구에 대한 발신 전화번호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 자신의 메모리(312)에 저장되어 있는 최근 발신 번호를 독출하여 선택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음성 링크 형성을 위해 SCO를 연결하고(817단계) 상기 연결된 SCO를 통해서 상기 선택한 발신 전화번호, 즉 최근 발신번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819단계). 여기서, 상기 최근 발신 번호에 대한 정보라 함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상기 최근 발신번호를 음성으로 생성한 정보, 일 예로 상기 최근 발신 번호가 02-111-1111일 경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최근 발신 번호 02-111-1111을 음성으로 생성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전화번호를 음성 변환하는 기술은 공지 기술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렇게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수신하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번호로 발신을 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키를 대기하게 된다(821단계). 여기서, 상기 확인키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입력부(115)에 구비되어 있는 임의의 한 키로 정할수 있으며, 일 예로 토크(TALK)키를 확인키로 설정한다. 이렇게 확인키를 감지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상기 선택한 발신 전화 번호로 발신하겠다는 확인 신호를 전송한다(823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확인 신호를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음성 입력 장치와의 음성 링크 형성을 위해 SCO 연결을수행하여(825단계)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선택된 발신 번호로 발신하여 통화 상태가 된다(827단계).
한편,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전화 번호로 발신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확인키가 아닌 재선택 키, 일 예로 볼륨업(Volume Up) 키 혹은 볼륨다운(Volume Down)키가 입력됨을 감지하면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재선택 신호를 전송한다(829단계). 여기서, 상기 확인키가 아닌 재선택키라 함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통화 요구에 따라 우선적으로 최근 발신한 전화번호를 발신 전화번호로 선택하여 통보하게 되어 있는데 이때 사용자가 상기 최근 발신 전화번호가 아닌 다른 전화번호, 일 예로 상기 최근 발신 전화번호 바로 이전의 발신 전화번호등으로 발신하고자 할 경우 전화번호 재선택을 위한 키이다. 이렇게 상기 재선택키의 선택에 따라 재선택 신호를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최근 발신 전화 번호 이전의 발신한 전화번호 정보들을 순차적으로 검색하여 상기 최근 발신 전화 번호 바로 이전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게 되고 그 검색된 전화번호를 발신할 전화번호로 재선택하여 다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한다(831단계). 물론, 상기설명에서는 상기 재선택키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최근 발신 전화번호 바로 이전의 발신 전화번호를 발신 전화번호로 선택하였지만. 사용자가 상기 재선택키를 두 번 입력하거나 혹은 다시 재선택된 발신 전화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다시 사용자가 상기 재선택키를 입력하여 상기 발신 전화번호를 또 재선택하는 것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를 내장하여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성 입력과 음성 출력이 분리·독립적으로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장치에서 음성 입력 및 음성 출력이 동시에 이루어져 발생하던 하울링 현상을 제거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이 무선 이동성을 가지게 됨으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킨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24)

  1.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입력 및 출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음성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발신 및 착신 요구를 위한 키들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 각각에 대해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통화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여 음성 신호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입/출력 시스템.
  2.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 링크를 연결하고,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페어링하도록 제어하며, 발신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통화 수행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부터 호수신을 감지에 따른 착신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통화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페어링을 위한 페어링키, 상기 발신 요구를 위한 통화요구키, 발신 전화번호 확인을 위한 확인키, 발신 전화번호 재선택을 위한 재선택키를 적어도 구비하는 입력부와,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가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음성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비동기식 비연결 링크를 연결하고, 음성 통신을 위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페어링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요구에 따라 상기 링크들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로부터 음성을 입력하는 마이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의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와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연결한 후 호수신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통화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 출력을 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통화가 종료됨을 감지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 데이터 통신을 위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 음성 통신을 위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에 최초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 생성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 요구가 감지됨에 따라 페어링을 위한 스캔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을 위한 스캔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의 착신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에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착신이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통해 착신을 알리는 링톤을 발생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통화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 출력을 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에 최초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 생성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 요구가 감지됨에 따라 페어링을 위한 스캔 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을 위한 스캔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의 발신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에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발신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발신할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한 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전송한 후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발신 전화 번호로 발신하여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 출력을 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해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에 최초 전원이 인가될 경우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상기 음성 입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 생성을 위한 페어링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 요구가 감지됨에 따라 페어링을 위한 스캔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 장치의 페어링 과정은;
    상기 최초 전원 인가시 딥슬립 상태로 존재하고, 상기 딥슬립 상태에서 페어링을 위한 스캔동작을 하여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공통 링크키를 생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 번호를 음성 변환하여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통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가 발신할 발신 전화 번호로 최근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는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 전송한 발신 전화 번호가 아닌 다른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재선택 요구가 감지될 경우 재선택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재선택 신호를 수신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최근 발신 전화 번호 직전의 발신 전화 번호를 상기 음성 출력 장치의 발신 전화 번호로 선택하여 재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의 발신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와 상기 음성 출력 장치 및 음성 입력 장치간에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 발신 요구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가 발신할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선택한 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출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 혹은 상기 비동기식 비연결형 링크를 통해 상기 선택된 발신 전화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발신 전화 번호를 전송한 후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입력 장치와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를 연결한 후 상기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상기 발신 전화 번호로 발신하여 상기 음성 출력 장치를 통해 음성출력을 하고, 상기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음성을 입력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29348A 2001-05-28 2001-05-28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377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348A KR100377392B1 (ko) 2001-05-28 2001-05-28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348A KR100377392B1 (ko) 2001-05-28 2001-05-28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488A true KR20020090488A (ko) 2002-12-05
KR100377392B1 KR100377392B1 (ko) 2003-03-26

Family

ID=27706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348A KR100377392B1 (ko) 2001-05-28 2001-05-28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3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2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방법
WO2007001109A1 (en) * 2005-06-29 2007-01-04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66B1 (ko) 2011-04-07 2013-02-28 이티에이치주식회사 다기능 유에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82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발신 방법
KR100736953B1 (ko) * 2005-01-13 2007-07-0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블루투쓰 모듈을 탑재한 외부기기 인증 방법과 그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WO2007001109A1 (en) * 2005-06-29 2007-01-04 Electronics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US8000753B2 (en) 2005-06-29 2011-08-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free and LCD display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Zigbe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7392B1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0472B2 (en) Arrangement and a method in a telephony system
EP2257035B1 (en) Automatic pairing of a telephone peripheral unit and an interface unit
JP2003514472A (ja) 音声作動型無線遠隔制御装置
US200601946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US7328043B2 (en) Telephony apparatus for PBX system
KR100377392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음성 입/출력 장치 및 방법
KR100359872B1 (ko) 음성인식 기능을 갖는 무선 핸즈프리의 제어방법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JP2001045145A (ja) 携帯電話機用ワイヤレスイヤホンマイクセット、携帯電話機本体およびその通信方法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KR20040107958A (ko) 유선전화기능을 갖는 휴대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022005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6180008A (ja) 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52725A (ko) 전화단말기의 긴급 다이얼링 방법
JP2004120126A (ja) Bluetooth音声通信装置
KR20080100656A (ko) 휴대단말기와 무선헤드셋 간의 회선자동선택 장치 및 방법
JP2963023B2 (ja) 無線通信装置
JPH09149150A (ja) 携帯電話装置
KR20030046032A (ko) 일반 전화기를 이용한 휴대전화 통화 시스템 및 이시스템에 사용되는 베이스 스테이션 셋
KR20000031183A (ko) 휴대장치를 가지는 무선가입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1197188A (ja) 携帯無線端末装置
JP2002354115A (ja) 携帯電話機
JPH066192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60007309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정용 전화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