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369A - 전기 납땜 인두 - Google Patents

전기 납땜 인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369A
KR20020090369A KR1020010028359A KR20010028359A KR20020090369A KR 20020090369 A KR20020090369 A KR 20020090369A KR 1020010028359 A KR1020010028359 A KR 1020010028359A KR 20010028359 A KR20010028359 A KR 20010028359A KR 20020090369 A KR20020090369 A KR 2002009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oldering
soldering means
main body
hea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8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369A/ko
Publication of KR2002009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36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3Soldering irons; Bits electrically heated
    • B23K3/0338Constructional features of electric soldering ir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2Soldering irons; Bits
    • B23K3/025Bits or t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납땜 작업에 사용되는 전기 납땜 인두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전기 납땜 인두는 솔더링 수단이 일측 단부에 돌출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솔더링 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솔더링 수단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덮개가 상기 회전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폐한다. 이에 따라, 납땜 작업시 덮개를 분실할 우려가 없고, 작업이 종료된 후 고열의 솔더링 수단에 의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납땜 인두{Electric Soldering Iron}
본 발명은 전기 납땜 인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자 부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납땜 작업하거나 분리 작업을 수행하는 전기 납땜 인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전자 회로는 콘덴서, 저항, 다이오드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을 적절히 구성하여 설계된다. 상기 전자 회로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회로에 적합하게 설계된 인쇄 회로 기판(Print Circuit Board : PCB)에 상기 전자 부품들을 납땜하여 완성한다.
상기 납땜은 땜납을 녹여 금속을 접합시키므로 접합할 금속보다 용융 온도가 낮은 것이 사용된다. 상기 땜납의 대부분은 합금으로 되어 있으나 단일 금속도 쓰인다. 상기 땜납은 모재보다 용융점이 낮아야 하고 표면 장력이 적어 모재 표면에 잘 퍼지며 유동성이 좋아서 빈틈이 잘 메워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 밖에도 사용목적에 따라 강인성, 내식성, 내마멸성, 전기 전도도, 색채 조화 등이 요구된다. 상기 납땜에는 연납과 경납의 두가지 계통이 있다.
피접합물질은 저융점의 금속부터 3,000 ℃ 이상의 융점을 가진 금속, 비금속, 또는 반도체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땜납은 융점이 50∼1,400 ℃ 정도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납땜은 땜납의 융점이 450 ℃ 이하일 때 이를 연납땜(Soldering)이라 하고, 450 ℃ 이상일 때 경납땜(Brazing)이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융점이 427 ℃(800 ℉)를 한계로 한다. 또한, 납땜할 때에는 납땜할 부분을 화학적으로 깨끗이 하고, 산화를 방지하고,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용제(Flux)를 사용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상기 땜납을 납땜하는 도구로서 전기 납땜 인두(Electric Soldering Iron)가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 인두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 부재, 상기 발열 부재를 내장하는 본체, 상기 발열 부재 내부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발열 부재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인두 팁 및 인두 팁을 보호하는 덮개를 구비한다.
상기 부재들을 포함하는 전기 납땜 인두의 일 예는 실베스터(Sylvester et al.)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086,465호와 한국 실용 신안 공개 제89-17304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납땜 인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원통형의 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납땜 작업을 할 경우 손잡이 역할을 하고, 상기 전기 납땜 인두를 구성하는 부재들을 내장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 단부에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20)가 상기 본체(10)의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발열 부재(20)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10)의 일측 단부에 대향하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발열 부재(20)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3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와 인접하지 않는 상기 발열 부재(2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발열 부재(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인두 팁(40)이 구비된다. 상기 인두 팁(40)은 상기 발열 부재(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인두 팁(40)을 교체할 경우를 위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기 납땜 인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인두 팁(40)을 보호하기 위해 덮개(50)를 씌워 보관한다.
납땜 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납땜 부위에 상기 땜납과 상기 인두 팁을 동시에 대고 상기 인두 팁으로 상기 땜납을 녹여 용융 상태의 땜납이 납땜부에서 응고토록 하고, 부품의 분리를 위해 납땜을 제거할 경우에는 상기 인두 팁으로 납땜된 부위를 가열하여 납을 녹인 상태에서 별도의 흡입기를 이용하여 용융 상태의 땜납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전기 납때 인두의 경우 취급상 상기 덮개가 분실되기 쉬운 단점이 있고, 또한 상기 전기 납땜 인두를 사용하여 납땜할 경우, 상기 인두 팁의 덮개를 제거하고 사용해야 하므로 장시간 사용할 경우 분실의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납땜 인두의 인두 팁의 덮개가 본체와 연결되어 납땜 작업을 하는 경우, 상기 덮개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전기 납땜 인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 납땜 인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납땜 인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덮개와 제2 덮개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 본체 20, 110 : 발열 부재
30, 120 : 전선 40, 130 : 인두 팁
50 : 덮개 140a : 제1 덮개
140b : 제2 덮개 150a : 제1 회전축
150b : 제2 회전축 180 : 커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발명은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솔더링 수단, 상기 솔더링 수단이 일측 단부에 돌출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솔더링 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솔더링 수단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솔더링 수단을 개폐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를 제공한다.
상기 솔더링 수단은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의 일측단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는 인두 팁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상기 솔더링 수단의 일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제1 덮개와 상기 솔더링 수단의 타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덮개의 일측면이 상기 솔더링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덮개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이 설치되는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 모서리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 덮개의 일측면이 상기 솔더링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덮개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덥개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폐한다.
또한, 상기 전기 납땜 인두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제2 덮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제2 회전축의 양측단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2 덮개는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제1, 제2 덮개의 타측면과 각각 대면하는 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각각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1, 제2 덮개의 상기 솔더링 수단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생성하는 공간의 체적이 상기 솔더링 수단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솔더링 수단이 상기 덮개에 접촉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일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일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납땜 인두를 사용하여 납땜을 하는 경우, 상기 덮개가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어 본체에 고정되므로 사용 중에도 상기 덮개를 분실할 우려가 없다. 또한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는 경우에도 상기 덮개를 분실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인두 팁을 용이하게 보호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납땜 인두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막대 형상을 가지는 본체(100)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발열 부재(110)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발열 부재(110)는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타측 단부에는 전선(120)이 연결된다.상기 전선(12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기 발열 부재(110)와 연결되어 상기 발열 부재(110)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발열 부재(110)는 상기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한다.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발열 부재(110)의 일측 단부에는 인두 팁(130)이 상기 발열 부재(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전방부가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열 부재(110)는 상기 인두 팁(130)에 열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발열 부재(110) 및 인두 팁(130)의 측면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일측면에 구비하고, 상기 홈에 의해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이 내장되도록 양측방향에서 덮어서 폐쇄하는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은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에 상응하는 홈이 구비된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이 각각 상기 본체(100)의 서로 대향하는 상·하부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면에서 상기 발열 부재(110)의 중심축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에 상응하는 홈이 구비된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는 각각돌출부(1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덮개(140a) 및 제2 덮개(140b)와 면접하는 상기 본체(100)의 상·하부면에는 상기 돌출부(160)와 대응하는 홈(17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기 납땜 인두의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a)가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을 중심으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개방하여 상기 본체(100)와 면접할 때 상기 돌출부(160)가 상기 홈(17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된다.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180)가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의 양측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180)는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의 양측단부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한 두 개의 설치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덮어서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덮개(140a)는 상기 개방하는 경우와 유사한 돌출부(190)를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 면에 구비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돌출부(190)에 대응하는 홈(200)을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 면에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90)가 상기 홈(200)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고정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덮개와 제2 덮개의 개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개방한다.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구비된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이 상기 본체(100)의 상·하부면과 각각 면접한다. 이때,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돌출부(160)가 상기 본체(100)의 상·하부면에 상기 돌출부(160)와 대응하도록 구비된 홈(17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시된 화살표는 회전방향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덮어서 폐쇄하는 경우, 상기 개방하는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의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된 일측면이 면접하여 상기 홈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이 내장된다. 이때 상기 제1 덮개(140a)의 일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90)가 제2 덮개(140b)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190)에 상응하는 홈(2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제1 회전축과 제2 회전축 및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접하는 본체(100)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을 설치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하부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에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이 상기 상·하부면에 수직 방향의 양측면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은 상기 본체(100)의 상·하부면과 동일한 면에서 상기 본체(100)와 상기 발열 부재(110)가 이루는 중심축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돌출된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의 돌출된 부위에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18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180)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설치부(180a)가 각각 두 개씩 형성되고, 상기 설치부(180a)에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제1 덮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단면적의 1/2에 해당하는 단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본체부(140a′)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의 상·하부면의 넓이는 본체(100)의 상·하부면의 넓이와 같고, 측면의 넓이는 본체(100)의 측면의 넓이의 1/2이다. 상기 본체부(140a′)의 하부면에는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측면 형상에 상응하는 홈(210)이 구비된다. 상기 발열 부재(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상기 제1 덮개(140a)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회전축(150a)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220)가 각각 부착된다. 상기 연결 부재(220)에는 상기 제1 회전축(150a)의 직경에 상응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이 상기 본체(100)를 향하도록 상기 연결 부재(2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220)의 상부면에는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개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덮개(140a)를 상기 본체(100)에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60)가 구비되고, 폐쇄하는 경우 상기에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를 고정하기 위한 돌출부(190)가 하부면에 구비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제2 덮개(140b)의 형상은 제1 덮개(140a)와 유사하며,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덮어서 폐쇄하는 경우 제1 덮개(140a)와 체결을 위한 홈(200)이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구비된 면에 구비된다. 상기 홈(200)은 상기 제1 덮개(140a)의 하부면에 구비된 돌출부(190)와 대응된다.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을 덮어서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가 면접하여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210)이 형성하는 체적은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체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의 고열이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1 덮개(140a)와 제2 덮개(140b)는 상기 본체(100)에 구비되는 제1 회전축(150a)과 제2 회전축(150b)에 각각 연결되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열 부재(110)와 인두 팁(130)을 개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납땜 인두의 인두 팁을 덮는 덮개를 전기 납땜 인두의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 중에 분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할 경우, 분실에 대한 우려를 없애고, 사용 후 전기 납땜 인두의 인두 팁을 보호하고, 고열에 의한 화상에 대한 위험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고, 물체들을 솔러딩하기 위한 솔더링 수단;
    상기 솔더링 수단이 일측 단부에 돌출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솔더링 수단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이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회전 부재; 및
    상기 회전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솔더링 수단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더링 수단은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재와 상기 발열 부재의 일측단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발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는 인두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솔더링 수단의 일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제1 덮개와 상기 솔더링 수단의 타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을 일측면에 구비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본체의 일측 단부의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덮개의 일측면이 상기 솔더링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1 덮개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회전축이 설치되는 일측 모서리에 대향하는 타측모서리에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덮개의 일측면이 상기 솔더링 수단과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덮개의 일측 단부와 연결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덥개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회전축의 양측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 회전축에 연결되는 상기 제1, 제2 회전축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개방하는 경우, 상기 제1, 제2 덮개는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에 각각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제1, 제2 덮개의 일측면과 각각 대면하는 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각각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1 덮개는 일측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덮개는 일측면에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홈에 억지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덮개가 상기 솔더링 수단을 폐쇄하였을 때, 상기 제1, 제2 덮개의 상기 솔더링 수단의 형상에 상응하는 홈이 생성하는 공간의 체적이 상기 솔더링 수단의 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솔더링 수단이 상기 덮개에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납땜 인두.
KR1020010028359A 2001-05-23 2001-05-23 전기 납땜 인두 KR200200903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359A KR20020090369A (ko) 2001-05-23 2001-05-23 전기 납땜 인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359A KR20020090369A (ko) 2001-05-23 2001-05-23 전기 납땜 인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369A true KR20020090369A (ko) 2002-12-05

Family

ID=27706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359A KR20020090369A (ko) 2001-05-23 2001-05-23 전기 납땜 인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3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9113A1 (zh) * 2012-11-21 2014-05-30 浚丰太阳能(江苏)有限公司 一种有保护套的电烙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79113A1 (zh) * 2012-11-21 2014-05-30 浚丰太阳能(江苏)有限公司 一种有保护套的电烙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102B1 (ko) 브릿지 어셈블리
JP2005026188A (ja) 電流ヒューズ及び電流ヒューズの製造方法
JP6831666B2 (ja) 半田付けシステム、半田付け製品製造方法、半田付け方法、及び半田
US3842240A (en) Solder removing apparatus
JPS6022538Y2 (ja) チツプ型ヒユ−ズ
JP7050019B2 (ja) 保護素子
KR20020090369A (ko) 전기 납땜 인두
JP2021168272A (ja) 保護素子
US7820920B2 (en) Casing and mounting device
JPH11221670A (ja) ハンダ鏝及び鏝先部材
KR101864459B1 (ko) 솔더볼 불량 방지를 위한 전기 인두
KR102125144B1 (ko) 한 손 작업이 가능한 전기납땜 인두기
JPH0646617Y2 (ja) 電気半田ごて
JP2600773Y2 (ja) 半田ゴテ装置
JP2006165503A (ja) 印刷回路基板
KR200153246Y1 (ko) 팁 교체용 인두기
JP2006040549A (ja) 温度ヒューズの取り付け構造を有する回路基板
JP2021018983A (ja) 保護素子
JP4986146B2 (ja) コイル部品の半田付け方法及び差動トランス
JPH07226139A (ja) 温度ヒューズ
JP2612233B2 (ja) ケース一体型温度ヒューズ
GB2173036A (en) Flat packages for electric microcircuits
JP4273213B2 (ja) 実装部品取り外し用治具
JPH05335764A (ja) 電子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2000299208A (ja) チップ型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