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163A -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163A
KR20020090163A KR1020020029051A KR20020029051A KR20020090163A KR 20020090163 A KR20020090163 A KR 20020090163A KR 1020020029051 A KR1020020029051 A KR 1020020029051A KR 20020029051 A KR20020029051 A KR 20020029051A KR 20020090163 A KR20020090163 A KR 2002009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book
developer
teaching material
cod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1620B1 (ko
Inventor
호야시따시게루
이케가미야스유키
스미가즈히로
Original Assignee
사가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가대학교 filed Critical 사가대학교
Publication of KR2002009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교재이용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교재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고 상기 교재를 상기 입력된 코드와 함께 교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하는 등록부, 개발자나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코드를 수신하는 코드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의하여 상기 수신된코드에 대응하는 교재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고 상기 개발자나 이용자에게 상기 교재를 송신하는 교재송신부를 갖는다.

Description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EDUCATIONAL MATERIAL}
본 발명은 교재 (educational materials)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재를 조사 (searching), 배포 (distributing) 및 이용 (utilizing)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교재를 이용, 다운로드 또는 재이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요금을 수금 (collect)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술의 최근 발전에 따라, 교재 즉, 다양한 종류의 교육 응용 소프트웨어들, 예컨대 교육용 문서, 화상, 음성 및 CD 등의 매체를 이용하는 교육 응용 (educational applications), 협의의 "교재"인 교육용 문서, 화상, 음성 및 CD 등의 교육용 자료를 출력하는 교육용 도구 및 상기 응용에 통합될 수 있는 교육용 도구 및 모듈/데이터를 이용하는 교육 응용 등과 같은 것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교육응용 소프트웨어는 오로지 제한된 사람들에 의해서만 재이용되어 왔고, 일반적으로는 재이용되지 않았다. 예를 들면, 교육응용을 개발한 개발자 (developer)는 개발자 자신이 새로운 것을 개발하기 위해 그 응용을 재이용하거나, 교육응용을 개발한 소프트웨어 하우스의 프로그래머들 (software house's programmers)은 자신들이 그 응용을 재이용한다. 그러므로 교육응용 소프트웨어는 효율적으로 재이용될 수 없었고, 교육응용을 재이용하는 것은 불편하다. 희망하는 교육응용을 획득/열람 (attain/access)하기 위해서, 이용자는 응용의 내용, 즉, 타겟 이용자 (target user), 특징 (feature), 교육 수준, 과목 (subject (course)) 및 희망응용의 지시방법에 근거하여 어느 것이 적절한 것인지를 결정할 선택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교육응용에 관련한 상기 언급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적절한 데이터베이스나 검사시스템 (searching system)은 없다.
게다가, 다수의 개발자나 프로그래머들이 교육 데이터베이스를 성장시키고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은 없다. 또한, 새로운 교육응용은 불특정 다수인(general public)에 의해 개발되어 온 기존의 교육응용을 재이용함으로써 개발될 수가 없었다. 다시 말하면, 교육응용은 효율적으로 재이용되어 오지 않았던 것이다.
더욱이,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육응용에 대한 평가를 각각의 개발자에게 피드백하거나, 그 평가를 자유롭게 열람하는 시스템은 없다. 또한, 개발자들이 그 평가를 참조하여 새로운 교육응용을 개발할 수 있는 시스템은 없다.
게다가,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를 재이용하는 사람들로부터 요금을 적절히 수금하거나 그 요금을 개발자들에게 송금하는 시스템은 없다. 또한,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를 이용하고,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를 재이용하여 개발한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람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교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재이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작동케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묘사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알고리듬을 도시하는 흐름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컴퓨터 시스템11: 프로세서
12: RAM13:ROM
14: 외부 인터페이스15: 보조기억장치 제어부
16: 시스템 버스17: 보조기억장치
18: 네트워크19: 원격단말기
20: 지역단말기21: 교재이용 시스템
22: 교재등록수단23: 코드수신수단
24: 교재송신수단25: 평가등록수단
26: 평가송신수단27: 교재 데이터베이스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재이용시스템은,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상기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교재의 데이터형식(data format)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대상 (intended users)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target class code), 및 상기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교재를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함께 교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수단;
원격단말기나 지역단말기를 이용하는 개발자나 이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코드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교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원격단말기나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교재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와 관련하여 교재 및 정보 즉, 코드를 효율적으로 공유하고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교재가 등록된 경우, 교재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는 등록자로 하여금 소정의 표준화된 입력형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표준화될 수 있다. 더욱이, 희망된 교재는 상기 코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간단하고 쉽게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교재이용시스템은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그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등록수단;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에 대한 열람을 위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요청의 수신 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실시예에 의하면, 개발자의 요청이 있을 시, 상기 교재는 제 3자에 의해 평가될 수 있고 그 평가는 이용자나 개발자에게 공개된다. 이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재이용을 위한 어느 정도의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하도록 해 준다. 다시 말해서, 개발자는 가이드라인으로서의 상기 평가를 근거로 하여 새로운 응용을 개발시킬 수 있다. 더구나, 이는 교재평가를 제 3자에게 요청하여 그 평가를 공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교재이용 시스템은,
각 개발자의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저장하는 인증데이터베이스;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개발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결제ID 수신수단; 및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개발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교재송신수단은 그 관련교재를 상기 개발자가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송신하고,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개발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된 교재를 재이용하는 개발자들에게 적절히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해 주고,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게 해 준다. 본 시스템의 공급자는 수금된 요금으로부터 시스템 운영비와 같은 수수료를 공제하여 이익을 낼 수 있다. 더욱이, 다운로드되고 재이용되는 교재의 개발자는 수금된 요금의 일부를 송금받아 이익을 함께 향유할 수 있다. 요금액은, 예를 들어, 교재의 품질 등에 근거하여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교재이용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저장하는 인증데이터베이스;
상기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이용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결제ID 수신수단; 및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수단을 구비하는데, 상기 교재송신수단은 그 관련교재를 상기 이용자가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송신하고,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이용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관련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하나 이상의 교재를 재이용하는 이용자에게 적절히 요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 방법에서, 불특정 다수인에 의해 개발된 교재는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본 시스템의 공급자는 수금된 요금으로부터 시스템 운영비와 같은 수수료를 공제하여 이익을 낼 수 있다. 더욱이, 다운로드 되고 재이용되는 교재의 개발자는 수금된 요금의 일부를 송금받아 이익을 함께 향유할 수 있다. 각 교재의 요금액은 교재의 품질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런 관계로, 개발자들을 우대하여 교재를 더 발전시키기 위해, 개발자들로부터 수금된 요금은 일반 이용자들의 요금보다 싸게 책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교재이용시스템은,
상기 교재의 송신 전에,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워터마크를 교재에 내장시키는 디지털 워터마킹수단;
상기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제 1교재로부터 디지털워터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워터마크가 하나 이상의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 재이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추출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서 재이용된 경우, 상기 제 1교재를 개발한 상기 개발자에게, 상기 추출된 개발자코드에 따라서, 각각의 재이용된 교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재이용된 교재를 개발한 한명 이상의 개발자에게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된 하나 이상의 교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제1 교재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를 따르면, 기존교재가 새로이 개발된 제 1교재에 통합되는 경우처럼 기존의 교재가 재이용될 때( 즉, 다운로드 될 때), 본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기존의 교재를 재이용하는 개발자에게 적절히 과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공급자는 수금된 요금으로부터 시스템 운영비와 같은 수수료를 공제하여 이익을 낼 수 있다. 더욱이, 다운로드 되고 재이용되는 교재의 개발자는 수금된 요금의 일부를 송금받아 이익 향유에 참여할 수 있다. 각 교재의 요금액은 교재의 질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워터마킹기술의 모든 타입은 본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제기술로서 상기 개발자ID를 포함하는 어떤 형태의 ID을 조사하여 요금을 수금하는 방법은 이용될 수 있는데, 그 개발자ID는 교재의 프로그램모듈의 예약 영역 (reserved area)과 같은 분야에 첨가되고, 상기 모듈은 본 시스템에 의해 공급된다는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 본 시스템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ID는 암호화될 수 있다.
쉽게 설명하여, 본 발명의 그러한 면은 시스템 즉, 장치로 주로 기술되어 왔으나, 본 발명은 시스템,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storage media)에 대응하는 방법으로서 실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르면, 교재이용방법은,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상기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교재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대상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및 상기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교재를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함께 교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개발자나 이용자가 원격단말기나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교재를 상기 원격단말기나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교재이용방법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 상기 방법은,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그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에 대한 열람을 위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수신 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읽어진 데이터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교재이용방법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방법은,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각 개발자의 암호와 함께 인증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개발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개발자를 인증하고,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가 교재를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그 교재를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를 수신한 상기 개발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관련교재를 개발한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교재이용방법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방법은,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각 이용자의 암호와 함께 인증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이용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촉구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관련교재를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그 교재를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이용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교재를 개발한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교재이용방법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의 또 더 다른 실시예에 있어, 상기 방법은,
상기 교재의 송신 전에,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워터마크를 상기 교재에 내장시키는 단계;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된 하나 이상의 교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교재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된 경우, 상기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제 1교재로부터 디지털워터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워터마크가 상기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 재이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서 재이용된 경우, 상기 제 1교재를 개발한 상기 개발자에게, 상기 추출된 개발자코드에 따라서, 재이용된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교재를 개발한 한 명 이상의 개발자에게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교재 응용 프로그램을 파일타입(즉, 확장자)의 관점에서 정의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해 추천된 표준에 부합하는 교재나 교재의 기초 소재 (raw materials for education)를 타 교육용 데이터나 파일로부터 쉽게 식별하는 것을 가능케 해 준다. 세계 각지의 교재를 이용 또는 재이용하기 위해서, 본 시스템은 외국에 있는 수많은 교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계번역시스템 (machine translation system)에 연동시키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지역에 응하여 가장 최신의 자료(즉, 교재)를 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쉽게 업데이트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LAN, WAN 및 인터넷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개발자와 이용자에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시스템은 적절한 보안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여타의 것 중, ID와 암호와 같은 결제정보 및 교재평가는 철저히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결제ID나 암호가 송신될 때, 결제ID나 암호가 SSL 기술로 부호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성된다. 이 경우, 서버들이 한 지역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결제에 대해, 예를 들면, 각 이용자는 부여된 ID에 의해 필요에 따라 식별될 수 있으므로, 본 시스템에 의해 부과된 요금은 각 이용자의 이용빈도에 따라 다르다. 본 시스템은 교재를 이용 또는 재이용하는 사람마다 요금을 수금한 다음, 그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를 공제한다. 공제 잔액은 이용되거나 재이용된 교재를 개발한 개발자에게 환원된다. 물론, 이용에 대한 수수료를 받지 않는 경우, 요금의 총액은 개발자에게 모두 환원될 수 있다. 결제규칙은 각 교재나 각 개발자마다 개별적으로 미리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본 시스템은 본 시스템에서 등록될 교재와 교재코드가 소정의 표준이나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교재는 요청에 근거하여 자동이나 수동으로 평가된다. 교재가 그 표준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시스템은 등록자에게 그 이유 또는 필요한 경우 개선방안을 알려준다. 그 표준이나 기준은 교육적 시설이나 정부기관에 의해 규정된 교육표준 예컨대 "공식 지도 가이드라인" (official teaching guideline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의 시스템관리자 (system administrator)는 교재의 평가를 제 3자에게 필요에 따라 위임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 따른 시스템은 이용자가 본 시스템에 의해 준비된 평가방법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허용한다. 이용자들에 의해 우수한 교재가 쉽게 선택되도록, 교재의 평가는 등급이 매겨지고 공개된다 (rated and disclosed). 또한, 이용자의 편의상, 이용빈도, 최신성(new arrivals), 사양에 벗어난 문제성 교재(off-specification materials) 등과 같은 정보는 공개될 수 있다. 갱신될 통계데이터를 교재가 포함하는 경우, 시스템은 교재에서 기존의 것을 최신의 데이터로 자동 교체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교재가 지역이나 계절에 맞춰 자동으로 적응(adapt)되도록 허용한다. 본 시스템은 등록될 교재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다. 교재가 표준이나 기준에 부합하는 경우, 부합하는 교재는 본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채택 될 수 있다. 교재가 사양(specification)에 적합하지 않으면, 본 시스템은 교재채택을 자동으로 거절하고, 이를 통보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여러 언어로 번역될 수 있는 기계번역시스템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그 번역시스템을 접속하여 비록 교재가 오로지 하나의 언어로 작성된 경우일지라도, 교재는 다른 언어로 자동적으로 번역되어 전 세계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에 따른 시스템에서, 시스템은 타 등록된 교재로부터 이용자가 답을 하도록 요구하는 교재(예컨대 연습장이나 시험문제)도출해 낼 수 있다. 본 시스템은 교재의 이용자에 의해 제출된 시험문제를 자동으로 채점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PDA, 휴대용 컴퓨터 등에 의한 이동통신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이용자에 의해 요청된 교재를 자동으로 조사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기존의 교재로부터 이용자의 요청에 적합한 신교재를 만들 수 있다.
교재이용시스템은 불특정 다수인이 교재를 제공하도록 하고, 등록된 교재를 다듬는 데도 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은 또한 교재가 자유로이 거래되고 이용되는 소위 "핵심센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시스템에 의하여, 신교재는 다운로드 된 교재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고, 교재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는 정보기술을 이용하는 교재를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평가표준이나 평가수준이 정해지고 나면, 교재는 평가요청에 의해 평가되고, 이용자들은 공개된 평가를 참조하여 희망하는 교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이용 시스템 및 교재이용 시스템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교재 이외에도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이용, 배포, 개발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교재를 소프트웨어 게임으로 치환하여 보면, 소프트웨어게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은,
게임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나타내는 검색어코드, 게임의 이용대상자를 나타내는 연령군 코드 (age group code), 예컨대 RPG, 사격게임 등과 같이 상기 게임의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카테고리코드, 상기 게임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게임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및 상기 게임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 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게임을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함께 게임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수단;
개발자나 이용자가 원격단말기나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코드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게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원격단말기나 상기 지역단말기로 게임을 송신하는 게임송신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배포, 이용, 평가 및 결제에 응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잇점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을 예시하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그 시스템이 다수의 개발자들로 하여금 교재를 제공하도록 하고, 제3자 즉, 이용자들이 그 교재를 이용하도록 해 주는 것이다. 또한, 본 시스템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교재를 평가하고, 그 평가를 이용자들에게 공개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시스템은 교재의 개발자에게 이익을 환원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작동케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 (10)은 프로세서(11), RAM (12), ROM (13), 외부 인터페이스 (14), 보조기억장치 제어부 (auxiliary storage controller) (15) 및 시스템 버스 (16)를 구비한다. 컴퓨터 시스템 (10)의 각 구성요소는 시스템 버스 (16)를 통해 상호 결합된다. 컴퓨터 시스템 (10)은 보조기억장치 제어부 (15)를 통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보조기억장치 (17)에 접속된다. 교재, 각각의 교재에 관련된 코드, 및 인증용 데이터 (authentication data)는 보조기억장치 (17) 또는 ROM (13)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을 실현하는 프로그램도 또한 보조기억장치 (17) 또는 ROM (13)에 저장된다. 작동 전에,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I/O 장치에 의한 지시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은 RAM (12)으로 로드 된다. 컴퓨터 시스템 (10)은 외부 인터페이스 (14)를 통해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18)로 접속되고, 외부 인터페이스 (14)를 통하고 네트워크 (18)를 통해 원격단말기 (remote terminal) (19)로 더 접속된다. 컴퓨터 시스템 (10)은 외부 인터페이스 (14)를 통해 지역단말기 (local terminal) (20)로 접속된다. 그러한 원격 혹은 지역 단말기 (19, 20)는 이용자들에 의해 교재를 조사, 이용 (즉, 다운로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개발자들에 의해 교재를 등록, 조사, 및 이용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묘사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 (21)은 교재등록수단 (22), 코드수신수단 (23), 교재송신수단 (24), 교재평가 등록수단 (25) 및 평가송신수단 (26)을 구비한다. 각각의 수단은 RAM (12)으로 로드 된 본 발명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된다.
다음, 본 시스템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교재등록수단 (22)은 교재를 업로드 (upload)하고자 희망하는 개발자들이 교재의 특징을 나타내는 검색어코드 (keyword code), 교재의 교육수준을 나타내는 교육수준코드 (education level code),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subject code),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educational method code),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language code), 교재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data format code), 교재의 교육대상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target class code), 및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 (developer code)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촉구하고, 상기 교재와 함께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저장부 (17)에 마련된 교재데이터베이스 (27)에 저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모든 코드를 입력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교재데이터베이스 (27) 내에 저장되도록, 교재는 네트워크 (18)를 통해 이용자의 원격단말기 (19)로부터 본 시스템으로 업로드 된다. 대신, 교재는 자기테이프나 플렉시블 디스크와 같은 탈착가능한 저장매체로부터 데이터베이스 (27)로 직접 로드될 수 있다.
교재의 목적이 아동을 위한 아동발달 즉, 지적 훈련 인 경우, "아동발달"을 검색어로 입력한다. 또한, 코드는 다수의 레벨로 표준화된다. 예를 들면, 코드는 3개의 교육수준 즉, 상, 중, 하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정의된 형식 (defined format)에 의거하여 상기 코드들을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화면인터페이스를 개발자의 지역 혹은 원격 단말기로 제공하고, 그런 다음 화면 이미지는 상기 단말기에 표시된다. 개발자는 I/O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들을 적절히 입력한다.
다음, 코드수신수단 (23)은 원격 단말기 (19)나 지역 단말기 (20)를 이용하여, 교재를 이용하고자 원하는 개발자나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희망된 코드를 네트워크 (18)를 통해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교육수준이 높고 아동을 대상으로 개발된 교재를 얻기를 희망하는 이용자의 경우, 이용자는 교육수준코드영역에서 "고(High)"와 "아동"을 화면 상에서 각각 선택해야 한다. 그러면, 코드수신수단 (23)은 네트워크 (18)를 통해 코드를 수신한다.
다음, 교재송신수단 (24)은 수신된 코드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교재를 읽어내고, 읽어낸 그 데이터를 개발자나 이용자의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로 네트워크 (18)를 통해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른 방안으로, 상기 교재송신수단 (24)은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교재의명칭과 개요를 포함하는 교재의 리스트를 개발자나 이용자의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로 네트워크 (18)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교재평가 등록수단 (25)은 상기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를 이용하여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입력한 평가의견 (evaluation comment) 및/또는 평가코드를 네트워크 (18)를 통해 수신하고, 교재데이터베이스 (27)에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저장 즉, 등록하는 기능을 갖는다.
평가송신수단 (26)은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로부터 송신된 상기 저장된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에의 열람요청을 네트워크 (18)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27)로부터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읽어내고, 읽어낸 그 데이터를 네트워크 (18)를 통해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 결제수단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미리 부여된 결제ID는 각각의 이용자들에 의해 인증데이터베이스 (authentication database) (비도시) 내에 암호와 함께 저장된다. 결제ID 수신수단 (비도시)은 개발자가 원격 또는 지역 단말기 (19, 20)를 이용하여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입력하도록 하고,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네트워크를 통해 그들 (결제ID와 암호)을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인증수단 (비도시)은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결제ID와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개발자를 인증하고, 이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교재송신수단 (비도시)은 상기 개발자가 교재를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개발자의 원격 또는지역 단말기 (19, 20)로 교재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결제수단 (비도시)은 상기 교재를 수신한 상기 개발자에게 소정의 요금을 부과하는 기능을 갖는다. 각각의 교재에 대해 요금이 책정되어 있다. 송금수단 (비도시)은 송신된 교재를 개발한 개발자에게 소정의 수수료를 공제한 금액을 송금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제, 본 시스템이 개발자의 계좌번호 및 송금액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개발자의 은행계좌 (banking account)를 갖는 뱅킹시스템 (banking system)으로 송신하고 나면, 그 뱅킹시스템은 송금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송금이 일어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재를 이용하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실시하는 프로그램의 알고리듬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교재등록을 원하는 개발자로 하여금 코드데이터 (code data)를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요청을 송신한다. 상기 코드데이터는 등록될 상기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subject code),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교재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교재의 교육대상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및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포함한다.
단계 K1에서, 개발자의 단말기가 상기 요청을 수신하고 나면, 코드 입력을 촉구하는 화면이 그 단말기에 표시된다. 그 개발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재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코드를 적절히 입력하고, 교재를 자신이 입력한 코드와 함께네트워크를 통해 본 시스템에 송신한다.
단계 S2에서, 본 시스템은 상기 개발자가 송신해준 상기 교재와 하나 이상의 코드를 수신하여 그 교재와 코드를 교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계 S3에서, 본 시스템은 이용자나 개발자가 하나 이상의 원하는 코드를 이용자나 개발자의 단말기로 입력하도록 촉구하는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K2에서, 개발자나 이용자는 이용자나 개발자에 의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원하는 코드를 본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한다.
단계 S4에서, 본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개발자나 이용자로부터 코드를 수신한다.
단계 S5에서, 본 시스템은 상기 코드에 일치하여 상기 코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교재를 교재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낸다.
단계 6에서, 본 시스템은 읽어낸 데이터, 즉, 그 하나 이상의 교재를 네트워크를 통해 이용자나 개발자의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이용시스템 및 교재 이용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교재를 제외한 다양한 스프트웨어의 이용, 배포 및 개발을 위한 시스템에도 널리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실시예 및 도면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으며, 첨부된 부과범위에서 그러한 모든 수정은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상기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교재의 데이터형식(data format)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대상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및 상기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교재를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함께 교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등록수단;
    원격단말기나 지역단말기를 이용하는 개발자나 이용자가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코드수신수단;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교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원격단말기나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교재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그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평가등록수단;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에 대한 열람을 위한, 요청을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요청의 수신 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 상기 시스템은
    각 개발자의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저장하는 인증데이터베이스;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개발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결제ID 수신수단; 및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개발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교재송신수단은 그 관련교재를 상기 개발자가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송신하고,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개발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시스템.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 상기 시스템은
    각 이용자의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저장하는 인증데이터베이스;
    상기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이용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결제ID 수신수단; 및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교재송신수단은 그 관련교재를 상기 이용자가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송신하고,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이용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관련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시스템.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 상기 시스템은
    상기 교재의 송신 전에,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워터마크를 교재에 내장시키는 디지털 워터마킹수단;
    상기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제 1교재로부터 디지털워터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워터마크가 하나 이상의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 재이용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추출수단;
    상기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서 재이용된 경우, 상기 제 1교재를 개발한 상기 개발자에게, 상기 추출된 개발자코드에 따라서, 각각의 재이용된 교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결제수단;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재이용된 교재를 개발한 한명 이상의 개발자에게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송금하는 송금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된 하나 이상의 교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제1 교재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시스템.
  6. 교재의 과목을 나타내는 과목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방법을 나타내는 교육방법코드, 상기 교재에서 이용된 언어를 나타내는 언어코드, 상기 교재의 데이터형식을 나타내는 데이터형식코드, 상기 교재의 교육대상을 나타내는 교육대상 코드, 및 상기 교재의 개발자를 나타내는 개발자코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상기 교재를 상기 입력된 적어도 하나의 코드와 함께 교재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개발자나 이용자가 원격단말기나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원하는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코드에 따라서 상기 수신된 코드에 대응하는 교재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원격단말기나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평가의견 및/또는 평가코드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그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나 상기 이용자가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에 대한 열람을 위한, 요청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의 수신 시, 상기 평가의견 및/또는 상기 평가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내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 상기 방법은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각 개발자의 암호와 함께 인증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개발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개발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개발자가 그것을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그 관련교재를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개발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이용방법.
  9.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부여된 결제ID를 각 이용자의 암호와 함께 인증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교재를 송신하기 전에, 이용자에게 미리 부여된 자기 자신의 결제ID를 암호와 함께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를 이용하여 입력하도록 촉구하여 그 입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결제ID와 상기 암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인증에 근거하여 상기 교재의 송신가능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관련교재를 수신하도록 인가된 경우에만 그 관련교재를 상기 원격단말기 또는 상기 지역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교재가 송신된 상기 이용자에게 각 교재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 및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상기 송신된 관련교재의 개발자에게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방법.
  10. 제 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교재의 송신 전에,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적어도 상기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 디지털워터마크를 교재에 내장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제 1교재로부터 디지털워터마크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디지털워터마크가 하나 이상의 개발자코드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 재이용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교재가 상기 제 1교재에서 재이용된 경우, 상기 제 1교재를 개발한 상기 개발자에게, 상기 추출된 개발자코드에 따라서, 각각의 재이용된 교재에 대해 개별적으로 설정된 소정의 요금을 청구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재이용된 교재를 개발한 한 명 이상의 개발자에게 상기 요금에서 소정의 수수료가 공제된 금액을 송금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된 하나 이상의 교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촉구 및 저장 단계는 상기 제1 교재를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하기 전에 상기 제 1교재가 워터마크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재 이용 방법.
KR10-2002-0029051A 2001-05-25 2002-05-24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481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6478 2001-05-25
JP2001156478A JP3546232B2 (ja) 2001-05-25 2001-05-25 教材利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163A true KR20020090163A (ko) 2002-11-30
KR100481620B1 KR100481620B1 (ko) 2005-04-08

Family

ID=1900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051A KR100481620B1 (ko) 2001-05-25 2002-05-24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97595A1 (ko)
EP (1) EP1265181A3 (ko)
JP (1) JP3546232B2 (ko)
KR (1) KR100481620B1 (ko)
CN (1) CN1402161A (ko)
RU (1) RU2225643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16B1 (ko) * 2011-05-20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학습컨텐츠 평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914A (ja) * 2004-02-26 2005-09-08 Masahiko Fuyuki 教育システム、教育システ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06292974A (ja) * 2005-04-08 2006-10-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教育資料作成システム
JP2006292977A (ja) * 2005-04-08 2006-10-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教育資料作成システム
US20070048723A1 (en) * 2005-08-19 2007-03-01 Caveon, Llc Securely administering computerized tests over a network
US7513775B2 (en) 2005-10-05 2009-04-07 Exam Innovations, Inc. Presenting answer options to multiple-choice questions during administration of a computerized test
US8037083B2 (en) * 2005-11-28 2011-10-11 Sap Ag Lossless format-dependent analysis and modification of multi-document e-learning resources
US20070231781A1 (en) * 2006-03-31 2007-10-04 Birgit Zimmermann Estimation of adaptation effort based on metadata similarity
JP2008108181A (ja) * 2006-10-27 2008-05-08 Nec Fielding Ltd 教育管理システム
KR100893629B1 (ko) * 2007-02-12 2009-04-20 주식회사 이지씨앤씨 전자교재 컨텐츠의 구문에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시스템 및방법, 전자교재 컨텐츠의 데이터 검색 시스템 및 방법,전자교재 컨텐츠의 사용과 제공에 관한 포인트 관리 시스템및 방법
MY163006A (en) * 2010-07-02 2017-07-31 Univ Putra Malaysia A system to administer an outcome based education
KR20130044888A (ko) * 2011-10-25 2013-05-03 주식회사 케이티 복수의 단말을 이용한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9881516B1 (en) * 2015-07-15 2018-01-30 Honorlock,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heating while administering online assessments
US10223136B2 (en) 2016-09-30 2019-03-05 Salesforce.Com, Inc. Generating content objects using a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2900A (en) * 1996-08-30 1999-04-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EP0880840A4 (en) * 1996-01-11 2002-10-23 Mrj Inc DEVICE FOR CONTROLLING ACCESS AND DISTRIBUTION OF DIGITAL PROPERTY
US5727950A (en) * 1996-05-22 1998-03-17 Netsage Corporation Agent based i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6157808A (en) * 1996-07-17 2000-12-05 Gpu, Inc. Computerized employee certification and training system
GB2337844B (en) * 1997-03-21 2001-07-11 Educational Test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essay evaluation
US5907831A (en) * 1997-04-04 1999-05-25 Lotvin; Mikhail Computer apparatus and methods supporting different categories of users
US5957699A (en) * 1997-12-22 1999-09-28 Scientific Learning Corporation Remote computer-assisted professionally supervised teaching system
US6385614B1 (en) * 1998-01-14 2002-05-07 Netlibrary Inc. Electronic bookshelf with multi-user features
US6029043A (en) * 1998-01-29 2000-02-22 Ho; Chi Fai Computer-aided group-learning methods and systems
US6170014B1 (en) * 1998-03-25 2001-01-02 Community Learning And Information Network Computer architecture for managing courseware in a shared use operating environment
US6398556B1 (en) * 1998-07-06 2002-06-04 Chi Fai Ho Inexpensive computer-aided learn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earners
US6155840A (en) * 1998-09-18 2000-12-05 At Hom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learning
US6102406A (en) * 1999-06-07 2000-08-15 Steven A. Miles Internet-based advertising scheme employing scavenger hunt metaphor
KR100682290B1 (ko) * 1999-09-07 2007-02-15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관리 시스템,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격납 매체
US6368110B1 (en) * 1999-10-04 2002-04-09 Epic Learning Educational homeroom for providing user specific educational tools and information
US6370355B1 (en) * 1999-10-04 2002-04-09 Epic Learning, Inc. Blended learning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KR20000050143A (ko) * 2000-01-07 2000-08-05 김주현 복제방지수단을 갖는 인터넷 전자 상거래시스템
KR20000036604A (ko) * 2000-03-23 2000-07-05 소태환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출판물 비즈니스 방법
AU7182701A (en) * 2000-07-06 2002-01-21 David Paul Felsher Information record infrastructure, system and method
US20020092019A1 (en) * 2000-09-08 2002-07-11 Dwight Marcus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on, distribution, assembly and verification of media
US20020055089A1 (en) * 2000-10-05 2002-05-09 E-Vantage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homework management solutions to a designated market
KR20010008048A (ko) * 2000-11-04 2001-02-05 김주현 디지털 콘텐츠의 워터마크 삽입방법
KR20010016129A (ko) * 2000-11-09 2001-03-05 김연호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책 대여 장치 및 방법
KR20010035031A (ko) * 2000-11-10 2001-05-07 박광준 온라인상 컨텐츠의 브로커링 장치 및 그 방법
US7856414B2 (en) * 2001-03-29 2010-12-21 Christopher Zee Assured archival and retrieval system for digital intellectual proper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816B1 (ko) * 2011-05-20 2013-01-31 한국과학기술원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을 기반으로 한 학습컨텐츠 평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225643C2 (ru) 2004-03-10
US20020197595A1 (en) 2002-12-26
EP1265181A3 (en) 2002-12-18
EP1265181A2 (en) 2002-12-11
JP2002351297A (ja) 2002-12-06
KR100481620B1 (ko) 2005-04-08
CN1402161A (zh) 2003-03-12
JP3546232B2 (ja) 2004-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1620B1 (ko) 교재 이용 시스템 및 방법
US6496822B2 (en) Methods of providing computer systems with bundled access to restricted-access databases
US7010569B2 (en) Method of information display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CN100478948C (zh) 信息处理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1099172A (zh) 使用用户的资格以便于用户执行任务
Sapio SEARCH (Scenario evaluation and analysis through repeated cross impact handling): a new method for scenario analysis with an application to the Videotel service in Italy
RU2002113637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учеб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0005008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00054822A (ko)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488089A (zh) 交互学习系统的访问控制
KR100442979B1 (ko) 가상체험 방식을 이용한 네트웍 장비의 온라인 교육방법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
JPH10269201A (ja) 辞書流通方法および辞書流通システム
US200302102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 corporate entity
CN101517512A (zh) 用于信息搜索系统中的网络广播和视频培训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器
CN113242454A (zh) 基于虚拟视图的账户管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05264562B (zh) 门户网站的利用历史记录收集系统
CN109829793A (zh) 一种基于微信扫码技术的图书荐购系统及设计方法
KR20010099491A (ko) 법률서류자동작성 및 사이버 재판을 통한 소송자동화시스템
CN117829987B (zh) 不动产信息管理方法及系统
JP2003196490A (ja) ストリームデータ登録配信システム
Kovács Telecottages in Hungary
CN116433187A (zh) 一种助人服务平台、方法及其服务器
JP2002318892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装置
JP3835602B2 (ja) 質問回答処理装置および質問回答処理方法
JP2002278943A (ja) コンテンツ供給方法、コンテンツ流通仲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