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8394A -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8394A
KR20020088394A KR1020020027401A KR20020027401A KR20020088394A KR 20020088394 A KR20020088394 A KR 20020088394A KR 1020020027401 A KR1020020027401 A KR 1020020027401A KR 20020027401 A KR20020027401 A KR 20020027401A KR 20020088394 A KR20020088394 A KR 20020088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diffusion
diffusion film
light source
film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5628B1 (ko
Inventor
마사키다다히로
아라카와후미히로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8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8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 G02B6/0046Tapered light guide, e.g. wedge-shaped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6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the element or component having a specified physical dimen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필름을 구비한 면광원장치에 이용되는 보호확산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층과, 이 투명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된 수지층 및, 이 수지층의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 200%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A PROTECTIVE DIFFUSION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보호확산필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확산필름의 매엽(枚葉) 가공시의 버어(burr) 발생을 억제하고, 타발 적절성이 우수하면서 매엽 취급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보호확산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면광원장치가 많이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도 5에 의하면, 보호확산필름(110)을 이용한 면광원장치의 일례를 들고 있다. 도 5는 엣지형 평면광원인 면광원장치(120)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135)의 단면도이다. 면광원장치(120)는 광원(121), 도광판(122), 반사필름(124), 광확산필름(125), 렌즈필름(140), 보호확산필름(110)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광판(122)은 면투광수단으로, 측단부에 광원(121)을 구비하고, 광원(121)으로부터의 광을 확산시켜 출광방향으로 향하기 위한 도트패턴(123)을 출광면(122a)과 대향하는 비출광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반사필름(124)은 도광판(122)의 비출광면측에 설치되어 불필요한 광선을 차단함과 더불어 소정의 방향으로 광선을 반사하여 되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도광판(122)의 출광면(122a)측에는 광을 확산하여 도트패턴(123)을 은폐하기 위한 광확산필름(125; 확산판)을 사이에 두고서 렌즈필름(140)이 그 프리즘면(140a)을 출광면측으로 하여 배치되어 있다.
종래, 광확산필름(125; 확산판)은 광확산 작용을 구비하기 때문에, 투명수지 기재중에 유기 또는 무기 비드(bead)를 광확산제로서 분산 혼입 시킨 것, 또는 투명수지 기재상에 유기 또는 무기 비드를 확산제로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잉크를 도공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렌즈필름(140)의 출광면측에는 렌즈필름(140)의 프리즘(140a)과 액정표시소자(133)가 직접 접촉하여 수송시의 진동등에 의해 서로 대미지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확산필름(110)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확산필름(110)은 렌즈필름(140)의 프리즘(140a)의 선이나,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등을 은폐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광확산작용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래 보호확산필름(110)은 투명수지기재중에 유기 또는 무기 비드를 광확산제로서 분산 혼입한 것, 또는 투명수지기재상에 유기 또는 무기 비드를 확산제로서 함유하는 잉크를 도공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면광원장치(120)의 출광측에는 하부 기판(132)과 상부 기판(131)에 끼워진 액정층(130)으로 이루어진 투과형 액정표시소자(133)가 설치되어 있고, 면광원장치(120)는 액정표시소자(133)를 이면(裏面)으로부터 조광(照光)한다.
종래의 보호확산필름(110)은 매엽타발 가공 후에, 면광원장치(백라이트)에 장착되는 것이지만, 이 타발 적절성이 나쁜 경우에는 제품의 단면에 버어가 발생하여, 그 이물이 면광원장치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자는 이번에 수지층의 인장파단점신장도를 특정의 범위내의 값으로 하는 것에 의해, 매엽 가공시의 버어 발생을 억제하고, 타발 적절성이 우수하면서 매엽 취급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고품질인 보호확산필름이 얻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발명은 그 결과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제조시에 있어서 취급성과,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개선한 보호확산필름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보호확산필름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2는 Pc1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보호확산층(13A)을 형성하는 공정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보호확산필름(10)을 이용한 면광원장치(20)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 (35)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보호확산필름(110)을 이용한 면광원장치(120)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135)의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렌즈필름을 구비한 면광원장치에 이용되는 보호확산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이 보호확산의 필름은,
투명기재층과,
이 투명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된 수지층 및,
이 수지층의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확산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그 방법은,
수지층의 凹凸형상과 반대의 凹凸형상을 갖춘 실린더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에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 凹凸형상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발명의 구체적 설명]
본 발명의 태양
본 발명의 태양은 부호를 붙인 구성요소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하면, 렌즈필름(40)을 구비한 면광원장치(20)에 이용되는 보호확산필름(10)에 있어서,
투명기재층(11)과,
이 투명기재층의 적어도 한쪽의 면상에 설치되고, 표면이 미세한 凹凸형상을 갖춘 수지층(13A,13B)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보호확산필름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미세한 凹凸형상을 갖춘 수지의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태양에 의한 보호확산필름(10)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미세한 凹凸형상을 갖춘 수지층(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호확산층으로 칭함)의 인장탄성율이 20Mpa 이상 1000Mpa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및 제2태양에 의한 보호확산필름(10)에 있어서,
상기 표면이 미세한 凹凸형상을 갖춘 수지층은, 전리방사선경화형(電離放射線硬化型)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태양에 의한 보호확산필름(10)을 제조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凹凸형상에 대응한 형태의 형상을 갖춘 실린더판(88)을 이용해서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에 형상을 부여하는 형상부여공정과,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에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는 경화공정을 구비한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5태양에 의하면,
광원(21)과,
상기 광원의 광을 투광면(22a)으로부터 소정 방향으로 면투광하는 면투광수단(22),
상기 투광면상에 설치된 렌즈필름(40) 및,
이 렌즈필름의 출광면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태양에 의한 보호확산필름을 구비한 면광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태양에 의하면,
광원(21)과,
이 광원의 광을 투광면(22a)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면투광하는 면투광수단(22),
상기 투광면상에 설치된 렌즈필름(40),
이 렌즈필름의 출광면측에 설치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태양에 의한 보호확산필름(10) 및,
이 보호확산필름의 출광면측에 배치된,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33)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35)가 제공된다.
보호확산필름
본 발명에 의한 보호확산필름은,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태양의 것을 들 수 있다. 도 1을 이용해서 설명하면, 보호확산필름(10)은 기재필름(11)과, 그 양면에 설치된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지층의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내에 있다.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인 것에 의해 타발 가공시에 있어서 타발 날이 필름을 자르는 경우에 수지가 적절한 정도로 신장되기 때문에, 제품의 단부부분(단부로부터 30∼50㎛ 내측)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실밥형상의버어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0% 이하인 것에 의해 수지가 잘려지는 것 없이 수염 형상의 버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수지층의 인장탄성율이 20Mpa 이상 1000Mpa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장탄성율이 20Mpa 이상인 것에 의해 수지 표면이 적절한 정도의 경도를 갖추기 때문에, 매엽의 필름끼리를 겹친 경우의 취급성이 양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겹쳐진 매엽품으로부터 최상부의 1매를 취하는 경우에도 2매 이상 겹쳐 취해지는 것은 없게 된다. 인장탄성율이 1000Mpa 이하인 것에 의해 수지표면의 경도가 적절한 것으로 되어, 보호확산층의 제품단부부분에서의 벌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 투명기재층
투명기재층[기재필름(11)]은 구체적으로는 셀룰로우즈트리아세테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벤젠,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아세탈,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연신(延伸) 또는 미연신 필름을 들 수 있다. 투명기재층의 두께는 필름이 갖는 강성에도 의존하지만, 50∼200㎛의 것이 가공성등의 취급면에서 바람직하다.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을 설치하는 투명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은 코로나방전처리드등의 용이한 접착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적층하는 수지층과의 접착을 강고하게 안정화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b) 수지층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은 표면에 미세한 凹凸형상을 갖춘 것으로, 접촉하는 부재를 보호하면서 적당한 확산성을 갖추는 것에 의해 은폐성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층은 상기 투명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수지층은 상기 투명기재층의 양면에 설치되어도 되고, 이 경우 각 수지층은 동일한 조성성분에 의해 형성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의 표면 거칠기는 그 지수 Rz(+점 평균 거칠기)가 각각 1∼6㎛의 범위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로 하는 것에 의해, 은폐성과 광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보호확산층(13A,13B)(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Rz는 1.6㎛이다.
광을 확산하는 레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물체의 휘도와 그를 산란매질을 통해 본 경우의 휘도와의 비로서 나타내는 헤이즈값이 이용된다. 보호확산필름(10)의 헤이즈값은 15∼5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4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에 있는 것에 의해 보호확산필름의 은폐성과 휘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보호확산필름(10)(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헤이즈값은 30이다.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의 Pc(산) 카운트수는 2∼15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내에 있는 것에 의해 은폐성과 광학특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Pc(산) 카운트수는 Pc1방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Pc1방식을 도 2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Pc1방식은 카운트레벨(CL)을 설정하고,거칠기곡선(F)의 중심선(C)에 평행한 2개의 상측 피크카운트레벨(U) 및 하측 피크카운트레벨(D)을 설치한다. 하측 피크카운트레벨(D)과 거칠기곡선(F)이 교차하는 2점간에 있어서, 상측 피크카운트레벨(U)과 거칠기곡선(F)이 교차하는 점이 1장소 이상 존재할때를 1산(山)으로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를 기준 길이(L)의 범위내에 있어서 수행하여, 산의 카운트수에 의해 표면 거칠기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4산이 있는 것으로, Pc1 방식에 의한 Pc(산) 카운트수는 4로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보호확산층(13A,13B)(본 발명의 실시태양)의 경우, 측정조건을 하기 표 1과 같이 하여 측정한 때의 Pc(산)의 카운트수는 8이다.
표 1
측정조건(Pc1 방식)
-----------------------
종배율: 2000배
횡배율: 50배
측정기준길이: 0.8mm
위상특성: 노말형
이송속도: 0.1mm/초
카운트레벨: ±0.1㎛
------------------------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은 다가알콜등의 다관능화합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나타낸다]등의올리고마 또는 프레폴리머 및 반응성의 희석제를 비교적 다량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희석제의 구체예로서는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틸렌, 비닐톨루엔, N-비닐필로리돈 등의 단관능 모노마 및 다관능 모노마, 예컨대 트리메티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그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트롤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그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의하면,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들 수 있고, 상기한 모노마 또는 올리고마를 그 조성물로서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자외선경화형 수지로서 사용할 때는 광중합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아세트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히라벤조일페노넨조니이트, α-아미록심에스테르, 티옥산톤류나, 광증감제로서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n-부틸호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는, 하기 식:
RmSi (OR') n
(상기 식중,
R 및 R'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m+n = 4이며,
m 및 n은 각각 정수이다)
으로 표시되는 반응성 유기 규소화합물을 혼합하여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테트라-iso-프로폭시실란, 테트라-n-프로폭시실란, 테트라-n-부톡시실란, 테트라-sec-부톡시실란, 테트라-tert-부톡시실란, 테트라펜타에트록시실란, 테트라펜타-iso-프로폭시실란, 테트라펜타-n-프로폭시실란, 테트라펜타-n-부톡시실란, 테트라펜타-sec-부톡시실란, 테트라펜타-tert-부톡시실란, 메틸트리메트록시실란, 메틸트리에트록시실란, 메틸트리프로폭시실란, 메틸트리프톡시실란, 디메틸디메톡시실란, 디메틸디에톡시실란, 디메틸에톡시실란, 디메틸메트록시실란, 디메틸프로폭시실란, 디메틸부톡시실란, 메틸디메트록시실란, 메틸디에트록시실란, 헥실트리메트록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은 열가소성수지를 이용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컨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수지; 폴리에틸렌텔레브탈레이트, 폴리브틸렌텔레브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브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의 폴리하이드로카본; 6,6나이론, 6나이론 등의 폴리아미드; 에틸렌ㆍ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염화비닐, 아세틸셀룰로우즈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들 수 있다.
보호확산필름의 제조방법
보호확산필름의 제조방법을 도 3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기재필름(11)을 입구닙(83)을 매개로, 제조되는 수지층 표면의 凹凸형상과 반대의 凹凸형상이 형성된 실리콘판(88)으로 이송한다. 펌프(87)에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82)를 다이헤드(86)로 이송하고, 실린더판(88)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82)를 균일하게 도입한다. 기재필름(11)과 실리콘판(88)을 입구닙(83)으로 밀착(형상부여공정)한 것으로, 전리방사선조사장치[85; D펄프 자외선램프(퓨전사 제품)]에 의해 전리선을 조사하여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82)를 경화한다. 경화한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81)를 기재필름(11)과 접착시킨다(경화공정). 그리고, 출구닙(84)에서 실리더판(88)으로부터 기재필름(11)에 형성한 보호확산층(13A)을 박리하고, 보호확산필름(10)을 형성하는 도중의 형태인 필름(10-1)을 형성한다. 이 필름(10-1)에, 다시 보호확산층(13B)을 상기와 마찬가지의 공정에 의해 형성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보호확산필름(10)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면의 수지층[보호확산층(13A)]과 하면의 수지층[보호확산층(13B)]은 동일 또는 다른 凹凸형상을 갖춘 실린더판을 이용해서 각각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DPS법에 의한 롤 to 롤의 연속형성방법이므로, 종래의 제조방법에 비해 대량이면서 염가인 보호확산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
본 발명에 따른 면광원장치 및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확산필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시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확산필름(10)을 이용해서 면광원장치(20)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35)가 제조될 수 있다. 면광원장치(20)는 광원(21), 도광판(22), 반사필름(24), 광확산필름(25), 렌즈필름(40), 보호확산필름(10)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렌즈필름(40)의 출광면측에는 렌즈필름(40)의 프리즘(40a)과 액정표시소자(33)가 직접 접촉하여 수송시의 진동등에 의해 서로 대미지를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확산필름(10)이 설치되어 있다. 면광원장치(20)를 설치한 액정표시장치(35)는 보호확산필름(10)과, 앞에서 설명한 액정표시장치(135)를 구성하는 그 외의 것으로부터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내용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보호확산필름
하기 기재를 이용해서 보호확산필름(10)을 앞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투명기재필름(11):PET필름(A4300:동양방적사 제품:두께 188㎛)
수지층[보호확산층(13A,13B)]:자외선경화형 수지(EX-FL-02:다이니치세이카공업주식회사 제품)
실린더판:원통형 철제 소재상에 #250의 액체샌드를 내뿜어, 샌드브라스트처리를 수행하여, 수지층의 표면 凹凸형상에 대응한 凹凸형상을 설치하였다. 더욱이, 전해연마에 의해 마무리손질을 한 후, 보호를 위해 크롬도금을 실시한 것을 이용하였다.
면광원장치
상기에서 제조한 보호확산필름(10)과 하기의 광확산필름과 렌즈필름을 이용해서 면광원장치를 제조하였다.
광확산필름:광확산필름 D121(스디덴사 제품)
렌즈필름:BEF2(스미토모 3M사 제품)
비교예1
자외선경화형 수지를 RC19-941(다이니폰잉크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1에 따라 보호확산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자외선경화형 수지를 RC20-294(다이니폰잉크화학공업주식회사 제품)로 대체한 이외에는 실시예1에 따라 보호확산필름을 제조하였다.
평가시험
상기 평가 1∼3을 수행하여 그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1: 수지인장시험
① 시험조각 형상(1호형 시험 조각)
전 장 80mm
폭 10mm
붙잡음 도구간 거리 40mm
두 께 80∼100㎛
② 시험 조각 제작
용이한 접합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미처리의 PET필름(100㎛)상에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예에서 이용한 수지를 두께가 80∼100㎛로 되도록 도공하였다. 이 도공한 수지면에 전리방사선 조사장치[85; D밸브 자외선랩 F600형(퓨전사 제품)]에 의해 전리방사선을 조사하고, 경화시켰다. 전리방사선의 조사조건은 라인속도 10m/min, 조도설정 45%ㆍ2회 연속 조사로 제작하였다. 경화 후, PET필름(100㎛)상으로부터 수지층을 상기 ①의 형상으로 절단하여 시험조각을 제작하였다.
③ 측정방법
상기 시험 조각을 JIS K 7127(플라스틱필름 및 시트의 인장시험방법)에 준해서 수지인장물성을 속도 10mm/min, 온도 23℃, 습도 55% RH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평가2: 매엽타발 가공시험
상기 예에서 제작한 보호확산필름을 100 ×150mm 크기의 톰슨 날을 이용해서 타발 가공을 수행하고, 제품 단면의 표리(表裏)를 30배의 확대경으로 관찰하여 버어의 발생수를 관찰하였다. 측정결과치는 시험 조각 3매에 대해 수행한 평균치이다
평가3: 매엽취급성 시험
상기 예에서 제작한 보호확산필름을 A4 크기로, 20매 잘라내서 겹쳐서, 최상부의 1매를 취할 경우의 취급성을 조사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평가O : 2매 이상 중복하여 취하지 않았음
평가×: 2매 이상 중복하여 취했음
표 2
수지명 평가1 평가2 평가3
파단점신장도 탄성율
실시예1 EX-FL-02 85% 466Mpa 2개/매 O
비교예1 RC19-941 15% 215Mpa 15개/매 O
비교예2 RC20-294 11% 18Mpa 10개/매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시에 있어서 취급성과, 제품으로서의 품질을 개선한 보호확산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렌즈필름을 구비한 면광원장치에 이용되는 보호확산필름에 있어서,
    투명기재층과,
    이 투명기재층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한쪽의 면에 설치된 수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층의 인장파단점신장도가 20% 이상 200%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인장탄성율이 20Mpa 이상 1000Mpa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표면 거칠기 지수 Rz(+점 평균거칠기)가 각각 1∼6㎛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확산필름의 헤이즈값이 15∼50의 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Pc1방식에 의해 측정한, 상기 수지층의 Pc(산) 카운트수가 각각 2∼15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확산필름.
  7. 수지층의 凹凸형상과 반대의 凹凸형상을 갖춘 실린더에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도입하는 공정과,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에 전리방사선을 조사하여 상기 전리방사선경화형 수지를 경화시켜 凹凸형상을 형성시키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보호확산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8. 광원과,
    이 광원의 광을 투광면으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면투광하는 면투광수단,
    이 면투광수단의 투광면상측에 설치된 렌즈필름 및,
    이 렌즈필름의 출광면측에 설치된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보호확산필름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장치.
  9. 청구항 제8항에 기재된 면광원장치와, 투과형의 액정표시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정표시소자가 상기 보호확산필름의 출광면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0027401A 2001-05-17 2002-05-17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48207 2001-05-17
JP2001148207A JP2002341115A (ja) 2001-05-17 2001-05-17 保護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8394A true KR20020088394A (ko) 2002-11-27
KR100515628B1 KR100515628B1 (ko) 2005-09-20

Family

ID=18993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401A KR100515628B1 (ko) 2001-05-17 2002-05-17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041360B2 (ko)
JP (1) JP2002341115A (ko)
KR (1) KR100515628B1 (ko)
TW (1) TW55736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703B1 (ko) 2004-11-24 2007-01-19 (주)인사이드옵틱스 휘도 조절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2163B2 (en) 2004-07-22 2006-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 collimating and diffusing film and system for making the film
US20080273352A1 (en) * 2004-12-08 2008-11-06 Omron Corporatio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850084B1 (ko) 2006-06-07 2008-08-04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광학특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엠보 무연신 광학 필름
US8262381B2 (en) 2006-06-22 2012-09-11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astering too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cell on the mastering tools
US7807938B2 (en) * 2006-06-22 2010-10-0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astering tool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plurality of cells on the mastering tools
KR20080024299A (ko) *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0988766B1 (ko) 2007-02-13 2010-10-2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백라이트용 광학시트 어셈블리
JP2009058862A (ja) * 2007-09-03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防眩フィルム
JP5585011B2 (ja) * 2008-06-30 2014-09-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加飾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101170776B1 (ko) 2010-10-27 2012-08-03 세원정공 주식회사 다층 구조를 갖는 확산판
KR101469260B1 (ko) * 2011-12-15 2014-12-05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학필름 및 광확산 패턴 형성방법
JP6062922B2 (ja) * 2012-03-30 2017-01-18 株式会社きもと エッジライト型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光拡散性部材
CN106457786B (zh) * 2014-05-30 2018-10-09 日本瑞翁株式会社 复层膜和卷绕体
KR102097667B1 (ko) * 2015-12-17 2020-04-06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시트 및 백라이트 유닛
CN111381399A (zh) * 2018-12-27 2020-07-07 光耀科技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3669B2 (ja) * 1987-03-26 1996-07-03 東レ株式会社 引裂直線性のある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7276589A (ja) * 1994-02-15 1995-10-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742880B2 (ja) * 1994-08-12 1998-04-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面光源、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光拡散シート
JPH08160203A (ja) * 1994-12-07 1996-06-21 Sekisui Chem Co Ltd 液晶表示装置用の画質改善フィルム
JP3409947B2 (ja) * 1995-09-28 2003-05-2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積層方法及び積層フィルム
JPH09316411A (ja) * 1996-05-30 1997-12-09 Sekisui Chem Co Ltd グリーンシート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H10170726A (ja) * 1996-12-06 1998-06-26 Alps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H1010647A (ja) * 1996-06-26 1998-01-16 Kuraray Co Ltd レンズシート
JP3750213B2 (ja) * 1996-09-04 2006-03-01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ガラス飛散防止フィルム
JP2000344942A (ja) * 1999-06-07 2000-12-12 Daicel Chem Ind Ltd セルロース系誘導体樹脂組成物、それからなる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2001058371A (ja) * 1999-08-19 2001-03-06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クリルフィルム積層突板
EP1178479A3 (en) * 2000-08-01 2002-05-15 TDK Corporation Optical information medium
JP2002234119A (ja) * 2000-12-04 2002-08-20 Pilot Ink Co Ltd 可逆熱変色遮光性−透光性積層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703B1 (ko) 2004-11-24 2007-01-19 (주)인사이드옵틱스 휘도 조절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30372A1 (en) 2003-02-13
JP2002341115A (ja) 2002-11-27
US7041360B2 (en) 2006-05-09
KR100515628B1 (ko) 2005-09-20
TW557366B (en) 200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5626B1 (ko)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515628B1 (ko)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433663B1 (ko) 보호확산필름 및 그 제조방법과, 면광원장치 및액정표시장치
KR100865625B1 (ko) 광확산 필름,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1086551B1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확산기
US9753320B2 (en) Light diffusion sheet, an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406014B (zh) 複合光學膜
EP1703305A2 (en) Anisotropic scattering sheet
US20080291696A1 (en) Integrated Light Guid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00208165A1 (en) Light control layer of backlight, backligh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light control layer of backlight
KR20100066462A (ko) 광 확산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한 장치
TWI374315B (ko)
EP2715413A2 (en) Light control film
KR101156007B1 (ko) 광학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KR100573372B1 (ko)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재로 한 액정표시장치용 광확산필름
KR101752245B1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JP5724527B2 (ja) 導光板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82018B1 (ko) 측광식 도광판
JP3953801B2 (ja) 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737978B1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시트 및 이를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
KR100446044B1 (ko) 프리즘 보호 필름
JP2021514538A (ja) 無溶媒マイクロレプリケーション樹脂から作られたlc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03149412A (ja) 保護拡散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30046618A (ko) 백라이트 유니트용 확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55709A (ko) 액정 디스플레이 백라이트 유니트용 광확산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