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930A - 차량 안테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안테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930A
KR20020079930A KR1020027011470A KR20027011470A KR20020079930A KR 20020079930 A KR20020079930 A KR 20020079930A KR 1020027011470 A KR1020027011470 A KR 1020027011470A KR 20027011470 A KR20027011470 A KR 20027011470A KR 20020079930 A KR20020079930 A KR 2002007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ross
section
vehicle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8664B1 (ko
Inventor
밀리츠우베
슈미트크리스티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01Q1/12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through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7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of the vehicle, e.g. on roof, hood, tru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10)에 차량 안테나(5)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고정과정동안 차체(10)로부터 차량 안테나(5)가 빠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장치(1)는 돌출부들(15, 20; 25, 26, 30, 31; 35, 40)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차량 안테나(5)의 반대편에 놓인 차체(10)의 측면 상에 장치(1)를 배치하기 위해 차체(10)의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한다.

Description

차량 안테나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a vehicle antenna}
차체에 차량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들은 스터드 볼트(stud bolt)의 형태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스터드 볼트는 차체의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차량 안테나를 향한 차체의 측면 상에 상기 개구의 횡단면보다 더 돌출되는 횡단면을 가지는 하나의 홀딩 플레이트(holding plate)를 포함하며, 차량 안테나와 반대편에 놓인 차체의 측면 상에 고정 너트를 이용하여 차체에 스터드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선을 포함한다.
차체에 차량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스터드 볼트가 차체의 개구를 통해 삽입되면, 상기 스터드 볼트 또는 상기 스터드 볼트와 연결된 차량 안테나는 차체 외부에서 고정되어야 하며, 반면 동시에 차체 내부에는 차량 안테나로부터 스터드 볼트를 지나 뻗어있는 안테나 케이블이 휘어지고, 고정 너트(fixing nut)가 조립되어야 한다. 차체 외부에서 상기의 스터드 볼트 내지 차량 안테나를 고정하지 않으면, 상기의 스터드 볼트와 연결되는 차량 안테나는 고정과정 동안 넘어질 수 있거나 혹은 차체의 개구로부터 미끄러져 빠질 수 있으며, 고정과정을 실패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기술한 고정과정 동안 각각의 차량 타입에 따라 경우에 따라서는 두 사람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한 사람은 차량 안테나와 더불어 스터드 볼트를 붙잡고 있는 동안 다른 한 사람은 상기 스터드 볼트를 차체에 나사 결합한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 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체에 차량 안테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한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장치의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제 2 실시예에 따는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한 종단면도.
도 4는 휘어진 스프링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클램프.
도 5는 삽입된 스프링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클램프.
도 6은 차체의 개구 내에 삽입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영도.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차량 안테나와 반대편에 놓인 차체의 측면 상에 장치를 배치하기 위한 차체의 한 개구를 후방에서 죄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체에 상기 장치의 일시적 고정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일시적 고정은 상기 장치와 연결되는 차량 안테나가 상기 개구 내부에 삽입시 고정되고, 그로 인해 더 이상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차체에 차량 안테나의 고정과정 동안 단지 한 사람만이 필요하며, 띠라서 상기 고정과정 자체는 특별한 기술을 요하지 않는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특징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이 가능하다.
기술된 일시적 고정을 위해 특히 간단하면서도 기계적으로 적은 공정 비용이 드는 해결방법은, 장치가 개구의 맞은 편에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돌출부들에 의해 상기 개구 내에 삽입 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들이 개구 내에 삽입된 후에 장치를 비틈으로써 상기 개구를 후방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들이 배치될 때, 이루어진다. 이러한 해결방법에서 상기 돌출부들은 일체형으로 상기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단 한가지 제조과정에서, 예컨대 주조 기술 또는 사출성형 기술을 통해 장치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개구의 그에 상응하는 n-각형 횡단면과 일치하는, 장치에 대한 n-각형 횡단면을 이용함으로써, 장치 내지 이 장치와 고정되는 차량 안테나가 조립 시 그리고 고정 너트를 조일 시에 개구 내에서 비틀어지는 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정과정이 고정너트를 비틀어 푸는 것에 근거하여 장치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악화되고, 지연되거나 혹은 심지어 저지되는 점은 방지될 수 있다.
돌출부들이 투 레그식(two-legged)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상기 돌출부의 레그들은 개구 내에 장치의 삽입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돌출부들은 장치의 제 1 횡단면보다 더 돌출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돌출부들은 개구 내부에 삽입시, 개구의 제한벽에 의해 가압되어 개구를 통과하며, 차량 안테나의 반대편에 놓인 개구의 측면 상에 상기 개구를 후방에서 고정하도록 되튀어 오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의 일시적 고정이 또한 회전운동에 의해 다시금 풀리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차체에 장치의 개선된 일시적 고정을 일으키는 스냅 또는 삽입 연결이 실현된다.
스프링 엘러먼트들이 장치의 제 1 횡단면의 영역 내에서 상기 장치를 둘러싸는 하나의 클램프(clamp)에 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스프링 엘리먼트들은 단 한가지 작업과정, 예컨대 사출성형과정 또는 주조과정을 통해 상기 클램프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장치가 차량 안테나로 향한 차체의 측면 상에 개구의 횡단면보다 더 돌출되는 횡단면을 갖는 홀딩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플레이트와 차체 사이에 탄성 재료가 삽입되는 것이 또한 장점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의 탄성 재료에의해 돌출부들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차체와 장치의 포지티브한 결합은 넌 포지티브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에 차체(10)에 차량 안테나(5)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가 (1)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1)는 바람직하게 스터드 볼트로서 형성된다. 스터드 볼트(1)는 차체의 한 개구(45)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스터드 볼트(10)는 홀딩 플레이트(7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홀딩 플레이트 상에 차량 안테나(5)의 하나의 안테나 로드(120)(antenna rod)를 포함하는 안테나 베이스(115)(antenna base)가 조립된다. 차량 안테나(5)와 홀딩 플레이트(75)는 차체(10) 외부에 위치해 있다. 홀딩 플레이트(75)의 횡단면(80)은 개구(45)의 횡단면(55)보다 크기 때문에, 스터드 볼트(1)는 차체 상에 홀딩 플레이트(75)가 지지될 때까지 차체에 의해 형성된 차량의 내부 공간 내로 미끄러져 들어가거나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 볼트(1)는 제 1 돌출부(15)와 제 2 돌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차체(10)의 내부에서, 그로 인해 차량 안테나(5)에 반대편에 놓인 차체(10)의 측면 상에서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며, 그럼으로써 스터드 볼트(1)는 차체(10)로부터 빠져 나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 1 돌출부(15) 및 제 2 돌출부(20)를 통해 차체(10)와 스터드 볼트(1)의 포지티브한 결합을 일으킨다. 상기 포지티브한 결합은, 홀딩 플레이트(75)와 차체(10) 사이에 탄성 재료(85)가 배치되면서 넌 포지티브하게 지지될 수다. 이때 상기 재료는 예컨대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돌출부들(15,20)의 영역의 스터드 볼트(1)는 수나사(external thread)를 포함하며, 상기 수나사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고정 너트의 암나사와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고정 너트는 스터드 볼트(1) 상의 돌출부들(15, 20) 영역 내에서 차체(10)와 차량 안테나(5)의 최종적인 고정을 위해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고정너트는 토크 렌치를 이용하여 의도하는 바대로 조임으로써 완전히 조여질 수 있다.
도 2 에는 차량 안테나(5)의 반대편에 놓인 스터드 볼트(1)의 하부측에서 본조감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홀딩 플레이트(75)의 횡단면(80)은 대략 원형이며, 도 6에 따른 개구(45)의 횡단면(55)보다 크며, 그로 인해 상기의 홀딩 플레이트(75)는 차체(10)의 외부에서, 상기 차체 상에 혹은 탄성 재료(85)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1)는 본 실시예에서 또한 대략 정방형으로 설계되어 있는 제 1 횡단면(50)을 포함하며, 모서리 부분은 라운딩 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상기 스터드 볼트(1)의 제 1 횡단면(50)은 개구(45)의 영역 내에 위치한다. 상기 영역의 하부에서, 즉 이미 차체(10) 내부에서, 그리고 돌출부들(15, 20)의 영역의 상기 스터드 볼트(1)는 본 실시예에서 대략 6각형의 제 2 횡단면(60)을 포함한다. 제 2 횡단면(60)은 도 2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서로 마주보는 두 모서리가 절단된 정방형을 나타낸다. 상기의 정방형은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횡단면(50)에 대략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며, 제 1 횡단면(50)에 대해서는 동심에 배치되어, 제 1 횡단면에 반하여 비틀어져 있으며, 따라서 제 2 횡단면의 절단되지 않은 모서리들은 돌출부들(15, 20)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들은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한다. 제 2 횡단면(60)의 절단되지 않은 모서리들이 라운딩 되면,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들(15, 20)이 축소된다. 따라서 라운딩 반경을 보다 크게 선택할 수록, 돌출부들(15, 20)은 보다 작아지는데, 즉 돌출부들(15, 20)이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되는 영역이 보다 작아지는 것이다.
도 6 에는 차체(10)에 대한 스터드 볼트(1)의 고정이 포지티브한 결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개구(45)의 횡단면(55) 또한 대략 정방형이라는 점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횡단면(50)은 개구(45)의 횡단면(55) 보다 작아야 한다. 그러나 제 1 횡단면(50)의 대각선(d)은 개구(45)의 횡단면(55)의 측면 길이(D)보다 길어야 한다. 제 2 횡단면(60)은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횡단면(50)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에, 제 1 횡단면(50) 뿐 아니라 제 2 횡단면(60)은 상기 개구(45)를 통해 그에 상응하는 위치 결정시, 탄성 재료(85) 내지 차체(10)에 접하여 홀딩 플레이트(75)가 정지할 때까지, 차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제 1 횡단면(50)과 제 2 횡단면(60)은 오직 상호간 비틀림이 사전 설정된 각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두 횡단면 모두 개구(45)를 통해 차체(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때 사전 지정된 각도값은 d/D의 비율에 달려있다. D의 경우 예컨대 15mm 의 값을 그리고 제 1 횡단면(50)의 측면 길이의 경우에는 14.8mm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제 2 횡단면(60)에 반하여 제 1 횡단면(50)을 비트는 경우, 회전각도는 20°에서 30°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45) 내에 삽입된 스터드 볼트(1)에서 고정너트는 도 6에 따는 도면 부호(110)에 의해 도시된 회전방향으로 돌출부들(15, 20) 영역의 스터드 볼트(1) 상에 나사 결합되면, 스터드 볼트는 대개 회전방향(110)으로 고정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함께 회전된다. 상기 돌출부들(15, 20)의 영역 내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10)는 완전히 차체(10) 내부에 배치되며, 그와 반대로 제 1 횡단면(50)을 포함하는 스터드 볼트(10)의 영역은 개구(45)의 영역 내에 존재한다. 그러므로 제 1 횡단면(50)의 영역 내에서는 개구(45)와 함께 회전방향(110)으로 스터드 볼트(1)가 비틀어지며, 그에 반하여 상기 스터드 볼트(1)는 제 2 횡단면(60)의 영역의, 즉 돌출부들(15, 20)의 영역의 스터드 볼트 자체의 회전방향으로 개구(45)에 의해 차단될 수 없다. 따라서 스터드 볼트(1)가 제 1 횡단면(50)의 영역 내에서 개구(45)와 함께 비틀어짐으로써, 상기 스터드 볼트(1)가 고정너트의 회전운동 시에 함께 회전하며, 그로 인해 고정과정이 지연되거나 완전히 저지되는 것이 방지되는 비틀림 방지(protection against torsion)가 제공된다. 그 외에도 차량 안테나(5)는 스터드 볼트(10)가 비틀어질 시에 차량 안테나 자신의 최종적인 피팅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스터드 볼트(1)는 제 2 횡단면(60)의 영역 내에서 개구(45)와 함께 비틀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회전운동(110) 시에 제 2 횡단면(60)의 절단되지 않은 모서리들이 도 1 에 따라 도시된 유형 및 방식으로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차체(10)로부터 스터드 볼트(1)가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럼으로써 야기된 차체(10)와 스터드 볼트(1)의 포지티브한 결합은 기술된 방식으로 탄성 재료(85)에 의해 넌 포지티브하게 지지된다. 기술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10)는 4각형으로 구현되며, 상기 스터드 볼트의 제 1 횡단면(50)은 대략 정방형으로, 그리고 제 2 횡단면(60)은 대략 6각형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제 2 횡단면(60)에 있어서 두 모서리의 기술된 절단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볼트의 기능에 요구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볼트(1)는 또한 n-각 형태의 제 1 횡단면(50)과 , 상기 제 1 횡단면으로부터 기술된 방식으로, 예컨대 두 모서리들을 절단함으로써 유도된 제 2 횡단면(60)을 포함하여 실현된다. 최종적으로 제 2 횡단면(60)이 기술된 각도영역 내에서 제 1 횡단면(50)에 반하여 비틀리고, 회전방향(110)으로 비틀어질 때는 기술된 방식으로 스터드 볼트(1)와 차체(10) 사이의 포지티브한 결합을 형성하는 2개 혹은 그 이상의 돌출부들이 제공되는 식으로 제 2 횡단면(60)이 제 1 횡단면(50)으로부터 나온다면, 제 1 횡단면(50)은 원형을 제외한 각각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고정너트를 통해 최종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예컨대 7Nm의 토크가 사용된다. 그러면 손으로 안테나를 반대로 돌리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다. 죔 토크(tightening torque)가 낮은 경우, 반대로 돌려지는 것에 대한 고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포지티브한 결합에 의해 보장된다. 고정너트에 예컨대 포지티브한 결합식 엘리먼트(positive-engaged element)가 제공되며, 상기 엘리먼트는 나사를 조임시, 제 1 횡단면(50)의 영역의 개구(45)와 자유 영역의 스터드 볼트(1) 사이에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볼트(1)의 제 2 실시예는 도 3, 도 4 및 도 5에 의해 도시된다. 상기 도면에는 도 1, 도 2 및 도 6에서와 동일한 엘리먼트들이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따른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도 3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경우에는, 차체(10) 내부의 개구(45)의 영역 내에, 그리고 그 하부에 스터드 볼트(1)용으로 서로 마주보고 변위되는 2개의 횡단면들은 제공되어 있지 않다. 오히려 도 3에 따른 제 3 돌출부(25)와 제 4 돌출부(30)가 제공되고, 상기 돌출부들은 각각 투 레그식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구현되며,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레그들(90, 95)은 개구(45) 내에 스터드 볼트(1)를 삽입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돌출부들은 개구(45)의 영역 내에 있어서 스터드 볼트(1)의 제 1 횡단면(50)보다 더 돌출되어, 그로 인해 돌출부들은 개구(45) 내에 삽입될 시에 이 개구(45)의 제한벽(65)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개구(45)를 통과하고, 상기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차량 안테나(5)의 반대편에 놓인 상기 개구(45)의 측면 상에 되튀어 오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45)의 영역 내 스터드 볼트(1)와 제한벽(65)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25, 30)를 압축할 시에, 개구(45) 내부로 스터드 볼트(1)의 삽입이 차단되지 않으면서, 스프링 이동거리에 대한 공간이 충분하게 제공되는 것이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차체(10) 상에 홀딩 엘리먼트(75)의 지지는 이미 제 1 실시예를 위해 기술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85)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따른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25, 30)이 하나의 클램프(70)에 의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25, 30) 뿐 아니라 상기의 클램프(70)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70)는 스터드 볼트(1)의 제 1 횡단면(50) 영역 내에서 상기 스터드 볼트(1)를 둘러싸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는 링 디스크(ring disk)로서 형성될 수 있므여, 상기 클램프의 개구는 제 1 횡단면(50)의 형태에 상응하여 매칭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70)는 직접 홀딩 플레이트(75)의 하부에서 이 홀딩 플레이(75)에 접촉할 수 있으며, 개구(45) 내에 스터드 볼트(1)를 삽입한 후에 스프링 엘리먼트들(25, 30)이 차체(10)의 내부의 하부 방향으로 미끄러져 떨어질 수 있는 점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45)의 지름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스프링 엘리먼트들(25, 30)은 대략 직각으로 클램프(70)로부터 차체(10) 내부 방향의 아래쪽으로 휘어지며, 그럼으로써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은, 기술된 바와 같이 압축된 후,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이 도 3 에 도면 부호 (95)로 표시된 자신의 레그들과 더불어 차체(10)의 내부에서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재료(85)에 의해 넌 포지티브하게 지지되는 차체(10)와 스터드 볼트(1)의 포지티브한 결합을 제공할 때까지, 개구(45)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탄성 재료(85)에 의해 제 1 실시예에서 뿐 아니라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도스터드 볼트(1)가 개구(45) 내에 삽입될 시에 홀딩 플레이트(75) 뿐 아니라 돌출부들(15, 20, 25, 30)이 차체(10)와 관련한 자신들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기 차체에 밀착되는 것이 보장된다. 따라서 상기의 포지티브한 결합과 마찰 결합을 위한 상기 두 실시예에서 개구(45)로부터 스터드 볼트(1)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돌출부들(15, 20, 25, 30)를 필요로 한다.
도 4 에 스프링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하나의 클램프(70)에 관한 제 1 실시예가 도시된다. 상기 클램프(70)에는 4개의 스프링 엘리먼트들(25, 26, 30, 31)이 배치되며, 각각은 투 레그식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각각의 제 1 레그(90)는 대략 직각으로 상기 클램프(7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며, 제 2 자유 레그(95)는 상기의 제 1 레그(90)로부터 구부러져 있다. 개관의 용이함을 위해 도 4 에는 스프링 엘리먼트들(25, 26, 30, 31) 중에 단지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만의 레그들이 도면부호 (90, 95)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레그(95)는 클램프(70)의 반대편에 놓인 각각의 스프링 엘리먼트(25, 26, 30, 31)의 측면 상에서 각각의 제 1 레그(90)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레그는 기술된 방식으로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할 수 있다.
도 5의 따른 제 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클램프(70)에는 2개의 스프링 엘리먼트들이 배치되며, 즉 제 5 스프링 엘리먼트(35)와 제 6 스프링 엘리먼트(40)이다. 상기 두 스프링 엘리먼트들(35, 40) 또한 투 레그식으로 형성되며, 동시에 각각 하나의 제 3 레그(100)는 수직으로 상기 클램프(7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휘어져 있다. 도 5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스프링 엘리먼트들(35, 40) 각각은 추가로 제 4 레그(105)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레그는 각각의 제 3 레그(100)로부터 절단되고, 상기 클램프(70)의 반대편에 놓인 각각의 스프링 엘리먼트(35, 40)의 측면 상에서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의 제 3 레그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4 레그(105)는 제 3 레그(100)의 맞은 편에 전단되어 구부러진다.
탄성 재료(85)는 기술한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또한 부식을 회피하기 위해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개구(45)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Claims (10)

  1. 차체(10)에 차량 안테나(5)를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차량 안테나(5)의 반대편에 놓인 차체(10)의 측면 상에 장치(1)를 삽입하기 위해 차체(10)의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는 돌출부들(15, 20; 25, 26, 30, 31; 35, 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5,20)는 장치(1)가 개구(45)의 맞은 편에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돌출부들(15, 20)에 의해 개구(45) 내부로 삽입 가능하고, 돌출부들(15, 20)은 개구(45) 내부에 삽입된 후에 장치(1)를 비틈으로써 상기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가 상기 돌출부들(15, 20)의 영역 외부에서 n-각 형태로 개구(45)의 횡단면(55)과 일치하는 제 1 횡단면(50)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1)는 상기 돌출부(15, 20)의 영역의 외부에서 상기 개구(45)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장치(1)는 돌출부들(15, 20)의 영역에서 개구(45)의 횡단면(55)과 일치하는 제 2 횡단면(60)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1)는 돌출부들(15, 20)의 영역에서 상기 개구(45) 내부로 삽입 가능하며, 상기 제 2 횡단면은 상기의 제 1 횡단면(50)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사각형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장치의 제 1 횡단면(50)은 대략 정방형으로, 그리고 상기 장치의 제 2 횡단면(60)은 대략 6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들(25, 26, 30, 31; 35, 40)이 투 레그식 스프링 엘리먼트로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의 레그들(90, 95; 100, 105)은 개구(45) 내부에 장치(1)를 삽입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은 장치(1)의 제 1 횡단면(50)보다 더 돌출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스프링 엘리먼트들은 개구(45) 내부에 삽입시 개구(45)의 제한벽(65)에 의해 압축되면서 개구(45)를 통과하며, 차량 안테나(5)의 반대편에 놓인 개구(45)의 측면 상에 개구(45)를 후방에서 고정학도록 되튀어 오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들(25, 26, 30, 31; 35, 40)이 장치(1)의 제 1 횡단면(50)의 영역의 장치(1)를 둘러싸는 클램프(7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7.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는 상기 클램프(70)와 연결된 하나의 제 1 레그(90) 및 상기 제 1 레그(90)로부터 구부러져 있는 하나의 제 2 레그(9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엘리먼트는 클램프(70)와 연결되는 하나의 제 3 레그(100) 및 상기 제 3 레그(100)로부터 전단되어 구부러지는 하나의 제 4 레그(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차량 안테나(5)를 향한 차체(10)의 측면 상에 상기 개구(45)의 횡단면(55)보다 더 돌출되어 있는 횡단면(80)을 가지는 하나의 홀딩 플레이트(75)를 포함하며, 상기 홀딩 플레이트(75)와 차체(10) 사이에 탄성 재료(85)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 재료(85)가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KR1020027011470A 2000-03-03 2001-03-02 차량 안테나 고정 장치 KR100868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9978A DE10009978C2 (de) 2000-03-03 2000-03-03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Fahrzeugantenne
DE10009978.5 2000-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930A true KR20020079930A (ko) 2002-10-19
KR100868664B1 KR100868664B1 (ko) 2008-11-13

Family

ID=763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470A KR100868664B1 (ko) 2000-03-03 2001-03-02 차량 안테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2189B2 (ko)
EP (1) EP1269564B1 (ko)
JP (1) JP2004500771A (ko)
KR (1) KR100868664B1 (ko)
DE (2) DE10009978C2 (ko)
WO (1) WO20010656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29978A1 (en) * 2002-01-21 2003-07-23 Calearo S.r.l. Support base for an antenna and method for assembling said support base on the bodywork of a vehicle
DE20221959U1 (de) 2002-05-16 2009-11-19 Kathrein-Werke Kg Antennenanordnung
JP2004304462A (ja) * 2003-03-31 2004-10-28 Clarion Co Ltd 車載用アンテナ
DE102004045107A1 (de) * 2004-09-17 2006-03-23 Robert Bosch Gmbh Antennenhalterung
DE102005044618B4 (de) 2005-04-12 2022-06-30 Hirschmann Car Communication Gmbh Befestigung einer Dachantenne eines Fahrzeuges mit einem Klemmteil
ATE510321T1 (de) 2006-11-30 2011-06-15 Kathrein Werke K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anbauteil inbesondere in form einer kfz-antenne
US9966707B2 (en) 2006-12-01 2018-05-08 Kathrein-Werke Kg Device for fastening an attached part,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motor vehicle antenna
SE532656C2 (sv) 2008-07-17 2010-03-09 Smarteq Wireless Ab En antennenhet
IT1392760B1 (it) * 2009-01-20 2012-03-16 Calearo Antenne Spa Dispositivo di fissaggio perfezionato di un'antenna ad una superficie di supporto e metodo di montaggio di un'antenna tramite il suddetto dispositivo di fissaggio
CN102458079A (zh) * 2010-11-02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CN203180042U (zh) * 2013-01-31 2013-09-04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4733830B (zh) * 2015-03-12 2017-09-05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及其车顶天线安装座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630A (en) * 1958-06-24 1960-09-20 Ward Products Corp Antenna mounting
US2965340A (en) * 1959-11-10 1960-12-20 New Tronics Corp Automobile antenna
US3443783A (en) * 1966-12-14 1969-05-13 Illinois Tool Works Plastic fastener
US3545148A (en) * 1968-09-05 1970-12-08 Mosley Electronics Inc Antenna mounting device
US3664617A (en) * 1970-03-09 1972-05-23 Streater Ind Inc Sign mounting socket
JPS606569B2 (ja) * 1977-12-27 1985-02-19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テナ装置
US4360814A (en) * 1979-11-19 1982-11-23 Wells Donald H Antenna loading device with series connected loading coils
JPS6129505U (ja) * 1984-07-25 1986-02-22 原田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ンテナ取付け装置
US4692770A (en) * 1985-10-16 1987-09-08 Alliance Research Corporation Vehicle window mount for portable antenna
US4788550A (en) * 1986-03-12 1988-11-29 Chadima Jr George E Front hood ornament antenna
JPH0821808B2 (ja) * 1991-01-21 1996-03-04 原田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多周波共用アンテナ
FR2691841B1 (fr) * 1992-05-29 1994-07-22 Peugeot Connecteur pour antenne radio.
US5456442A (en) * 1993-08-12 1995-10-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ounting bracket for global positioning system antenna
JP3610147B2 (ja) * 1996-02-09 2005-01-12 原田工業株式会社 車両用棒状アンテナ取付け装置
JPH1022718A (ja) * 1996-06-28 1998-01-23 Nippon Antenna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
US5838281A (en) * 1996-09-16 1998-11-17 Blaese; Herbert R. Body panel mount antenna
DE29616944U1 (de) * 1996-09-28 1996-11-07 Sihn Jr Kg Wilhelm Befes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antenne
DE19640110C2 (de) * 1996-09-28 1998-09-24 Sihn Jr Kg Wilhelm Befestig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Fahrzeugantenne
IT238419Y1 (it) * 1997-08-13 2000-11-13 Zendar Spa Mezzo di autoposizionamento e aggancio per antenne di autoveicoli
JP3956473B2 (ja) * 1998-03-20 2007-08-08 マツダ株式会社 アンテナ取付装置
JP2000252724A (ja) * 1999-02-26 2000-09-14 Yokowo Co Ltd 車載用アンテナの取付構造
JP2001036315A (ja) * 1999-07-22 2001-02-09 Nippon Antenna Co Ltd 自動車用アンテナ
US6157350A (en) * 1999-10-07 2000-12-05 Motorola, Inc. Antenna latching mechanism
US6554232B1 (en) * 1999-11-04 2003-04-29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ube clip
JP3475160B2 (ja) * 2000-08-29 2003-12-08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アンテナユニットの取付構造
US6509878B1 (en) * 2001-04-02 2003-01-21 Radiall/Larsen Antenna Technologies, Inc. Antenna mou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09978A1 (de) 2001-09-13
EP1269564B1 (de) 2004-06-02
KR100868664B1 (ko) 2008-11-13
WO2001065634A1 (de) 2001-09-07
EP1269564A1 (de) 2003-01-02
US7422189B2 (en) 2008-09-09
JP2004500771A (ja) 2004-01-08
US20030089834A1 (en) 2003-05-15
DE50102477D1 (de) 2004-07-08
DE10009978C2 (de)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9930A (ko) 차량 안테나 고정장치
JP4276196B2 (ja) 車両用ルーフアンテナ取付け装置
US5934818A (en) Screen connector
US20050237248A1 (en) Vehicle roof antenna attachment
JPH02118213A (ja) 押込みファスナ
EP1423311A1 (de) Rastvorrichtung und mit dieser ausgestattete küchenmaschine
US3216166A (en) Fastener installation
JP3546060B2 (ja) パネル状要素の結合用プラスチックナット
US20120180210A1 (en) Sink flange and collar assembly for a food waste disposer
US5597280A (en) Locking clip with resilient barb arm
US7338241B2 (en) Fastener receptacle
US5725343A (en) Sealing fastener
JP3516773B2 (ja) 電気装置
US4071158A (en) Screw fastening device
JP2004183884A (ja) めねじ機構及びナット
JPH07193946A (ja) 埋込ボックスの取付枠固定構造
US6641097B1 (en) Device for fixing any type of object on ceiling and walls
JP3403626B2 (ja) ボルト用クランプ
JP2532270Y2 (ja) 配管固定具
KR200250961Y1 (ko) 앵커볼트용 로커
JP2606488Y2 (ja) スタッドとスタッド用クリップからなる取付装置
JPH1061647A (ja) 締め具
KR200234952Y1 (ko) 파이프 연결용 밴드
JP3445772B2 (ja) ガス栓へのフランジ板取付構造
JP4004351B2 (ja) パネル固定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