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9372A -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 Google Patents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9372A
KR20020079372A KR1020020007937A KR20020007937A KR20020079372A KR 20020079372 A KR20020079372 A KR 20020079372A KR 1020020007937 A KR1020020007937 A KR 1020020007937A KR 20020007937 A KR20020007937 A KR 20020007937A KR 20020079372 A KR20020079372 A KR 20020079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engine
passage
chamb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7020B1 (ko
Inventor
혼다쇼헤이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9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9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9/00Lubrication mean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7/00
    • F01M9/10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 F01M9/102Lubrication of valve gear or auxiliaries of camshaft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엔진본체에 지지되는 지지축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작동밸브캠을 구비하는 작동밸브장치와 크랭크샤프트와의 사이에, 작동밸브캠과 일체의 피동바퀴를 구비하는 시간조절 전동수단이 설치되며, 작동밸브실에 윤활용의 오일이 공급되는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 상기 엔진본체(41)의 상부 및 상기 지지축(130)의 일단간에는 상단부를 작동밸브실(116)내의 저부에서 위쪽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하단을 폐쇄한 오일도입통로(142)가 설치되며,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오일도입통로(142)에 일단을 연통시키는 오일통로(143)를 상기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바퀴(131)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평탄면(130a)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통로(143)의 타단이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해서 상기 수용통로(128)에 연통된다. 이에 의해 비말 윤활방식을 채용하면서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LUBRICATION STRUCTRUE IN FOUR-CYCLE OHC ENGINE}
본 발명은 엔진본체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지지축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밸브캠(cam)을 가지고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에 연동, 연결되는 작동밸브장치가, 상기 엔진본체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 및 엔진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밸브실에 수용되며, 상기 작동밸브캠과 일체로 형성된 피동바퀴를 구비하여 크랭크샤프트 및 작동밸브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시간조절(調時) 전동수단이, 상부를 상기 작동밸브실로 통과시켜서 엔진본체에 설치되는 수용통로에 수용되며, 작동밸브실에는 윤활용의 오일이 공급되는 4사이클 OHC엔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 사이의 윤활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4사이클의 OHC엔진은,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177416호 공보 등에 이미 알려져 있으며,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를 윤활함에 관해서는 엔진본체 및 지지축에 주발(鑄拔; 부어 쏟음) 또는 천공가공(穿孔加工)에 의해 설치된 오일통로에 오일펌프에서 오일을 압송하는 강제 윤활방식, 아울러 작동밸브실내에 비산, 충만하고 있는 오일을 엔진본체의 벽에 형성한 홈 등에서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에 유도하도록 한 비말(飛沫) 윤활방식의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있다.
그런데 엔진의 출력을 높이기 위해 고회전화를 도모한 경우에는 작동밸브캠 및 피동축의 고회전화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기 위해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 지지축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보다 많은 오일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강제 윤활방식을 채용하면 오일펌프의 토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대처가능하지만, 오일통로 형성을 위해 엔진본체 및 지지축에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공공수가 증가하고 더욱이 오일펌프의 용량증대 등으로 코스트의 증대를 피할 수 없다.
한편, 상기 비말 윤활방식을 채용하면, 부품점수를 작게 함과 동시에 가공공수를 작게 해서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지만,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의 고회전화에 의한 발열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공급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코스트인 비말윤활방식을 채용하면서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엔진본체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지지축 및 이 지지축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밸브캠(cam)을 가지고 흡기밸브 및 배기밸브에 연동, 연결되는 작동밸브장치가 상기 엔진본체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 및 엔진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밸브실에 수용되며, 상기 작동밸브캠과 일체로 형성된 피동바퀴를 가지고 크랭크샤프트 및 작동밸브장치 사이에 설치되는 시간조절 전동수단이 상부를 상기 작동밸브실에 통과시켜서 엔진본체에 설치되는 수용통로에 수용되며, 작동밸브실에는 윤활용의 오일이 공급되는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 상기 엔진본체의 상부 및 상기 지지축의 일단 사이에는 상단부를 작동밸브실내의 저부에서 위쪽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하단을 폐쇄한 오일도입통로가 설치되며, 지지축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오일도입통로에 일단을 연통시키는 오일통로를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평탄면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통로의 타단이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하여 상기 수용통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동밸브실내에 비산, 충만하고 있는 오일은 작동밸브실내를 강하하고 자연낙하에 의해서 오일도입통로로 도입되도록 한 비말 윤활방식을 채용한 결과, 지지축의 하부 외면과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통로의 일단에 오일도입통로로부터 오일이 도입되도록 하고, 더욱이오일통로의 타단으로부터 수용통로측으로 오일을 유통시켜서 엔진본체의 하부로 복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오일통로는 지지축의 하부 외면에 평탄면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지지축에 실시되는 가공을 용이하게 가공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오일도입통로 및 오일통로의 유통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하여 작동밸브캠 및 피동바퀴와 지지축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고회전화에 의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도 1은 휴대용 엔진 발전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 단면도,
도 6은 도 3과 동일방향에서 본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6의 8-8선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10은 도 6의 화살표 10에서 본 확대도,
도 11은 도 6의 11-11선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12-12선 확대단면도,
도 13은 도 7의 13-13선 확대단면도,
도 14는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에 있는 엔진본체의 자세를 90도씩 변화시킨 경우의 도 11에 대응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엔진본체44 : 크랭크샤프트
110 : 흡기밸브111 : 배기밸브
113 : 작동밸브장치115 : 헤드 커버
116 : 작동밸브실126 : 작동밸브캠
127 : 시간조절 전동수단128 : 수용통로
130 : 지지축130a : 평탄면
131 : 피동 타이밍 풀리142 : 오일도입통로
143 : 오일통로E :엔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의 도면에 따른 이하에 상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도 1∼도 4에 있어서, 휴대용 엔진 작업기인 휴대용 엔진 발전기의 외곽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11)는 좌 사이드 커버(12), 우 사이드 커버(13), 프론트 커버(14), 리어 커버(15) 및 언더 커버(under cover; 16)를 서로 결합해서 구성된다. 좌 및 우 사이드 커버(12, 13)의 상부에는 엔진 발전기를 들어 나르기 위한 기어링(gearing) 핸들(17)이 설치되며, 이 기어링 핸들(17)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의 보강용 리브(17a…)가 형성된다.
좌 사이드 커버(12)에는 점화 플러그 교환용 리드(12a)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우 사이드 커버(13)에는 메인터넌스(maintenance)용 리드(13a)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론트 커버(14)에는 제어패널(18)이 설치되며, 엔진 E 및 이 엔진 E으로 구동되는 발전기 G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19)가 제어패널(18)의 내면측에 설치되며, 또한 제어 유니트(19)의 배후에는 발전기 G의 출력 주파수를 제어하는 인버터 유니트(20)가 설치된다. 또 프론트 커버(14)에는 제어패널(18)의 위쪽에 위치하는 냉각풍 도입구(14a)와 제어패널(18)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냉각풍 도입구(14b)가 설치됨과 함께, 냉각풍 도입구(14b)에 이어지는 가이드부(14c)가 설치된다. 리어 커버(15)에는 엔진 E으로부터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가스 배출구(15a)와 냉각풍을 케이스(11)로부터 배출하는 냉각풍 배출구(15b…)가 설치된다. 또한 언더 커버(16)에는 엔진 발전기를 설치할 때에 지면이나 바닥면에 맞닿는 4개의 고무제의 지지다리(21, 21…)가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11)의 앞부분내에는 FRP제의 좌 및 우 보강 프레임(26, 27)이 설치된다. 좌 사이드 커버(12)의 내면에 따라 위쪽으로 일어서는 동시에 상부에서는 좌우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해서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좌 보강 프레임(26)의 하단부는 볼트(28)에 의해 언더 커버(16)에 체결된다. 또 우 사이드 커버(13)의 내면에 따라 위쪽으로 일어서는 동시에 상부에서는 좌우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해서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우 보강 프레임(27)의 하단부는 볼트(29)에 의해 언더 커버(16)에 체결된다. 좌우 양쪽 보강 프레임(26, 27)의 상단에는 서로 맞닿도록 해서 위쪽으로 꺾어 구부러지는 부착부(26a, 27a)가 일체로 설치된다. 양 부착부(26a, 27a)를 서로 맞닿게 한 좌우 양쪽 보강 프레임(26, 27)은 전체로서 문형(門型)을 하고 있으며, 기어링 핸들(17)의 앞부분에서 좌우 사이드 커버(12, 13)에 끼워져 있는 양 부착부(26a, 27a)가 볼트(30a) 및 너트(30b)에 의해 좌우 사이드 커버(12, 13)에 함께 체결된다.
좌우 사이드 커버(12, 13) 및 프론트 커버(14)의 상부가 합쳐지는 부분에는 고무제의 밀봉부재(31)가 장착된다. 또 인버터 유니트(20)의 위쪽으로서 엔진 E 앞쪽 옆쪽에는 연료탱크(32)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연료탱크(32)는 상부에 구비하는 급유구(32a)가 밀봉부재(31)를 관통해서 케이스(11)의 위쪽으로 돌출되며, 급유구(32a)는 착탈가능한 캡(cap; 33)으로 폐쇄된다.
이 연료탱크(32)의 좌우 양 측면에는 돌기(32b, 32c)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돌기(32b, 32c)가 좌우 보강 프레임(26, 27)에 설치되어 있는 연료탱크 지지부(26b, 27b)에 느슨하게 결합함으로써 연료탱크(32)가 진동하지 않도록 해서 두 좌우 보강 프레임(26, 27)에 위치결정 지지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4사이클의 단기통(單汽筒) OHC엔진인 엔진 E의 엔진본체(41)는, 오일(42)을 저장하는 크랭크실(43)을 형성하는 동시에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거의 수평한 축선을 갖는 크랭크샤프트(44)를 지지하는 크랭크케이스(45)와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축선이 거의 연직으로 되는 실린더 보어(46)를 갖는 실린더 배럴(47)과 실린더 보어(46)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피스톤(48)의 머리부의 사이에 연소실(49)을 구획하는 실린더 헤드(50)를 구비한다.
크랭크케이스(45)는 크랭크샤프트(44)의 축선과 비스듬히 교차하는 분할면(51)에서 서로 분할가능한 제1 및 제2케이스 절반부(52, 53)가 복수의 볼트(54…)로 서로 체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제1케이스 절반부(52)와 상기 실린더 배럴(47) 및 실린더 헤드(50)는 주조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엔진블록(55)을구성한다.
피스톤(48)은 커넥팅 로드(56)를 거쳐서 크랭크샤프트(44)의 크랭크핀(44a)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커넥팅 로드(56)의 큰 단부에는 크랭크실(43)안의 오일(42)을 비산시키는 오일디퍼(oil dipper; 58)가 일체로 형성된다.
크랭크샤프트(44)의 일단은 제1케이스 절반부(52)와의 사이에 볼베어링(59) 및 환상의 밀봉부재(60)를 개재시켜서 크랭크케이스(45)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며, 크랭크케이스(45) 외부에서 크랭크샤프트(44)의 일단에는 냉각팬(61)을 일체로 구비한 플라이휠(62)이 고착된다.
또 크랭크샤프트(44)의 다른 단부는 제2케이스 절반부(53)에 볼베어링(63)을 거쳐서 지지되며, 크랭크샤프트(44)의 다른 단부 및 제2케이스 절반부(53) 사이에는 환상의 밀봉부재(64)가 끼워진다.
발전기 G는 크랭크케이스(4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크랭크샤프트(44)의 일단의 한쪽에 지지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아우더 로터형의 것이며, 코일(65)을 구비하여 크랭크케이스(45)의 전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66)와 플라이휠(62) 및 이 플라이휠(62)의 내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영구자석(67)으로 구성되는 로터(68)를 구비한다.
실린더(50)에는 연소실(49)에 통할 수 있는 흡기포트(70) 및 배기포트(71)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클리너(72) 및 기화기(73)를 포함하는 흡기계(시스템)(74)가 흡기포트(70)에 이어지도록 해서 실린더 헤드(50)에 지지된다. 이 흡기계(74)는 실린더 헤드(50)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있으며, 실린더 헤드(50)의 좌측에는배기포트(71)에 접속되는 배기관(75)과, 배기관(75)의 하류 끝에 접속되는 배기머플러(76)를 포함하는 배기계(시스템)(77)가 배치된다. 그래서 배기머플러(76)가 구비하는 배기구(76a)는 리어 커버(15)의 배기가스 배출구(15a)로 향하여 배치된다.
연료탱크(32)는 연료취출구(32d)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이 연료취출구(32d)로부터의 연료를 이 연료취출구(32d)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기화기(73)에 급송하기 위한 연료펌프(78)가 우 보강 프레임(27)의 상부 내면에 지지된다. 또 우 보강 프레임(27)의 하부 외면에는 연료코크(79)와 스타트 스위치(80)가 지지되고 있으며, 연료코크(79)는 연료도관(81)을 거쳐서 연료탱크(32)의 연료취출구(32d)에 접속되는 동시에, 연료도관(82)을 거쳐서 연료펌프(78)의 흡입구(78a)에 접속되어 있으며, 연료코크(79)를 개폐하는 조작노브(79a)는 우 사이드 커버(13)를 관통해서 외부로 노출한다.
연료펌프(78)는 엔진본체(41)의 크랭크실(43)안에서 생기는 압력맥동에 따라서 펌핑(pumping) 작동하는 다이어프램식의 것이며, 연료펌프(78)의 토출구(78b)는 연료도관(83)을 거쳐서 흡기계(74)의 기화기(73)에 접속되며, 크랭크실(43)안에서 생기는 압력맥동은 압력도관(84)을 거쳐서 연료펌프(78)에 전달된다.
엔진 E는 합성 수지제의 좌우 보호판(shroud) 절반부(86, 87)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는 보호판(85)으로 덮어져 있으며, 좌 보호판 절반부(86)는 볼트(88, 88)로 엔진본체(41)의 크랭크케이스(45) 및 실린더 배럴(47)의 좌측면에 체결되며, 우 보호판 절반부(87)는 볼트(89, 89)로 상기 크랭크케이스(45) 및 실린더 배럴(47)의 우측면에 체결된다.
보호판(85)은 그 전면 및 후면을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보호판(85)의 후면 개구부에 배기머플러(76)가 배치되며, 또 보호판(85)의 전면 개구부에는 발전기 G 및 냉각팬(61)을 덮는 알루미늄 주조제의 팬 커버(90)가 끼워 맞춰진다. 이 팬 커버(90)의 상부는 엔진본체(41)의 실린더 헤드(50)에 볼트(91)로 체결되며, 팬 커버(90)의 하부는 볼트(92, 92)로 엔진본체(41)의 크랭크케이스(45)에 체결된다.
팬 커버(90)의 중앙 개구부에는 복수의 볼트(93…)에 의해 리코일(recoil) 스타터(94)의 리코일 스타터 커버(95)가 고정된다. 이 리코일 스타터(94)는 리코일 스타터 커버(95)와 리코일 스타터 커버(95)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릴(96)과 이 릴(96)에 일단측이 감겨 부착됨과 동시에 타단측이 우 보강 프레임(27) 및 우 사이드 커버(13)를 관통하는 케이블(97)과 케이블(97)의 타단에 설치되는 조작노브(98)와 냉각팬(61)과 일체의 피동부재(61a)에 걸어 맞출 수 있게 해서 릴(96)에 설치되는 구동부재(99)를 구비한다.
리코일 스타터 커버(95)에는 냉각풍 도입구(95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리코일 스타터 커버(95)의 하단 및 보호판(85)의 하부간에도 냉각풍 도입구(100)가 형성된다.
조작노브(98)로 케이블(97)을 견인해서 릴(96)을 회전시키면, 도시치 않은 캠 기구로 작동한 구동부재(99)가 피동부재(61a)에 걸어 맞춰져서 냉각팬(61)을 회전시켜, 냉각팬(61)에 플라이휠(62)을 거쳐서 이어지는 크랭크샤프트(44)를 크랭킹해서 엔진 E의 시동을 끊는다. 또 조작노브(98)를 해방하면, 구동부재(99)가 피동부재(61a)로부터 이탈하고, 릴(96)은 도시치 않은 복귀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케이블(97)을 권취(卷取)하면서 원위치로 복귀한다.
엔진본체(41)에 있어서, 크랭크케이스(45)의 뒤 하부에는 부착 브래킷(101)이 고정되며, 이 부착 브래킷(101)은 케이스(11)의 언더 커버(16)의 후부 윗면에 설치된 부착 리브(16a)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 팬 커버(90)의 하부에는 부착 브래킷(9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 브래킷(90a)은 케이스(11)의 언더 커버(16)의 앞부분 윗면에 설치된 부착 리브(16b)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도 8을 참조한다.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크랭크샤프트(44)의 아래쪽이 되는 위치에서, 크랭크케이스(45)의 제2케이스 절반부(53)에는 속도조절용 원심 조속기(調速機(governor); 102)가 부착된다. 이 원심 조속기(102)는 제2케이스 절반부(53)의 내면에 고정된 지지축(103)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회전판(104)과 지지축(103)에 미끄럼이 자유롭게 끼워 맞춰지는 통형의 슬라이더(105)와, 이 슬라이더(105)를 끼어서 회전판(104)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진자식(振子式) 원심중추(106…)로 구성되며, 각 원심중추(106…)에는 그들의 원심중추(106…)가 원심력에 의해 회전판(104)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요동할 때에 상기 슬라이더(105)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시키는 작동 팔(106a)이 각각 설치된다.
회전판(104)의 외주에는 피동기어(107) 및 오일비산날개(10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피동기어(107)는 크랭크샤프트(44)에 고정되는 구동기어(109)에 기어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103)은 상기 회전판(104)의 외주의 상기 오일비산날개(108)를 크랭크실(43)안의 오일(42) 가운데에 침지(浸漬)하는 위치에서 제2케이스 절반부(53)에 설치된다.
이러한 속도조절용 원심 조속기(102)에서는 크랭크샤프트(44)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104)이 회전함에 대응하여, 슬라이더(105)가 지지축(103)의 축방향 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고, 그 슬라이더(105)의 슬라이딩 동작이 도시치 않은 링크를 거쳐서 기화기(38)의 트로틀 밸브(미도시)에 전달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로 제어된다.
실린더 헤드(50)에는 흡기포트(70)의 연소실(49)에의 연통(連通)ㆍ차단을 제어하는 흡기밸브(110)와 연소실(49)의 배기포트(71)에의 연통ㆍ차단을 제어하는 배기밸브(111)가 개폐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연소실(49)로 향하는 점화 플러그(112)가 부착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한다. 상기 흡기밸브(110) 및 배기밸브(111)는 작동밸브장치 (113)로 개폐 구동되는 것이며, 작동밸브장치(113)는 실린더 헤드(50)와 이 실린더 헤드(50)에 복수의 볼트(114…)로 체결되는 헤드 커버(115)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밸브실(116)에 수납된다.
헤드 커버(115)는 보호판(85) 및 팬 커버(9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부(117)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한다. 헤드 커버(115)의 앞부분에는 실린더 헤드(50)의 앞부분과의 사이에 도풍로(導風路; 118)를 형성하는 도풍판(119)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점화 플러그(112)를 실린더 헤드(50)에 착탈하기 위한 가이드부재(120)가 도풍판(119)에 장착되며, 이 가이드부재(120)의 상단 개구는 착탈이 자유로운 캡(121)으로 폐쇄된다. 또 팬 커버(90)의 상부에는 점화플러그(112)에 근접해서 점화 코일(122)이 부착된다.
헤드 커버(115)에는 판상의 지지부(115a)가 돌출, 설치 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115a)는 좌우 사이드 커버(12, 13)에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작동밸브실(116)에 수납되는 작동밸브장치(113)는 흡기밸브(110) 및 배기밸브(111)에 각각 연동, 연결되는 동시에 헤드 커버(115)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흡기측 및 배기측 로커암(124, 125)과 그들 로커암(124, 125)을 미끄럽게 접촉시키도록 해서 실린더 헤드(50)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작동밸브캠(126)을 구비한다.
작동밸브장치(113)의 작동밸브캠(126) 및 크랭크샤프트(44) 사이에는 크랭크샤프트(44)의 회전동력을 1/2로 감속해서 상기 작동밸브캠(126)에 전달하는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이 설치되며, 이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은 작동밸브실(116) 및 크랭크실(43) 사이를 이어서 엔진본체(41)의 실린더 배럴(47) 및 실린더 헤드(50)에 설치된 수용통로(128)에 수용된다.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은 크랭크샤프트(44)에 고정되는 구동 타이밍 풀리(129)와, 실린더 헤드(50)로 고정적으로 지지된 지지축(130)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피동바퀴로서의 피동 타이밍 풀리(131)와, 구동 타이밍 풀리(129)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에 감겨 걸리는 무단(無斷) 형상의 타이밍 벨트(132)를 구비하며, 피동 타이밍 풀리(131)는 작동밸브장치(113)의 작동밸브캠(126)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런데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은 그 타이밍 벨트(132)에 오일을 부착, 동반시켜서 크랭크실(43)안의 오일(42)을 작동밸브실(116)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며, 크랭크케이스(45)의 제2케이스 절반부(53)에는 원심 조속기(102)의 오일비산날개(108)에서 뿜어 올라온 오일(42)을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의 하부측에 안내하기 위해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의 아래쪽에서 원심 조속기(102)의 옆쪽을 덮도록 만곡(彎曲)한 가이드벽(133)과, 이 가이드벽(133)에 충돌해서 비산한 오일을 타이밍 벨트(123)측에 안내하도록 해서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의 하부에서 타이밍 벨트(123)에 대응하는 가이드벽(134)이 설치된다.
그래서 타이밍 벨트(132)에 부착된 오일은 타이밍 벨트(132)의 피동 타이밍 풀리(131)에의 감음부(卷掛部)에 있어서 관성력 및 원심력이 작용함으로써 타이밍 벨트(132)로부터 작동밸브실(116)내로 비산하게 되는데,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상부를 덮도록 해서 원호 형상으로 걸어 고정되는 만곡 커버부(115b)가 헤드 커버(115)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만곡 커버부(115b)에는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회전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둔 복수, 예를 들면, 한 쌍의 오일비산리브(136, 137)가 타이밍 벨트(132)에 근접하는 쪽에 돌출해서 일체로 설치된다.
그런데 작동밸브장치(113)의 흡기측 및 배기측 로커암(124, 125)은 작동밸브캠(126)의 회전축선을 통하는 연직선(138)의 양측에 등 간격을 둔 위치에서 작동밸브캠(126)의 하부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것인데, 작동밸브캠(126)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연직평면(도 8의 지면과 평행한 평면)에의 투영도상에서는 작동밸브캠(126)에의 양쪽 로커암(rocker arm; 124, 125)의 미끄럼 접촉부를 통하는 한 쌍의 연직선(139, 140)의 양 바깥쪽에 한 쌍의 상기 오일비산리브(136, 137)가 배치된다. 더욱이 양 오일비산리브(136, 137)는 상기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회전방향(13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만곡 커버부(115b)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 헤드(50)의 상부에는 안쪽의 축지지부(50a)와 바깥쪽의 축지지부(50b)가 상호간에 수용통로(128)를 끼게 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일체인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지지축(130)의 일단부가 안쪽의 축지지부(50a)에 지지되며, 또 지지축(130)의 타단부가 바깥쪽의 축지지부(50b)에 지지되며, 축지지부(50b) 및 지지축(130) 사이에는 환상의 밀봉부재(141)가 끼워진다.
또한 지지축(130)의 타단은 실린더 헤드(50)의 외측면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으며, 헤드 커버(115)에 설치된 결합판부(115c)가 지지축(130)의 실린더 헤드(50)로부터의 이탈 및 지지축(130)의 축선 주변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하여 지지축(130)의 타단에 걸어 맞춰진다.
안쪽의 축지지부(50a)와 지지축(130)의 일단과의 사이에는 상단부를 작동밸브실(116)내의 저부에서 위쪽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하단을 폐쇄한 오일도입통로 (142)가 설치된다. 또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에는 이 지지축(13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바깥쪽의 축지지부(50b)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는 평탄면(130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평탄면(130a)과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와의 사이에는 상기 오일도입통로(142)에 일단을 연통시키게 하는 오일통로(143)가 형성되며, 이 오일통로(143)의 타단은 바깥쪽의 축지지부(50b) 및 피동 타이밍풀리(131) 사이에서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되며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을 수용한 수용통로(128)에 연통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엔진본체(41)에 있어서 엔진블록(55)에는 실린더 보어(46)의 둘레방향을 따라 흡기계(74)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거의 180도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1브리더(breather)실(144)과, 제1브리더실(144)을 크랭크실(43)내로 통과시키는 제1연통로(145)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에 관해서 제1브리더실(144)과 거의 반대측에서 흡기계(74)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2브리더실(146)과, 제2브리더실(146)을 크랭크실(43)내로 통과시키는 제2연통로(147)와 제1 및 제2브리더실(144, 146)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통로(148)가 설치되며, 제2브리더실(146)은 흡기계(74)에 있어서 에어클리너(72)에 고무호스 등의 가스도관(149)을 거쳐서 접속된다.
도 12를 참조한다. 흡기계(74)가 배치되는 쪽과는 반대쪽에서의 엔진블록(55)에 있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요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요부(150)를 덮는 커버(151)가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1케이스 절반부(52)와 커버(151) 사이에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크랭크실(43)내의 오일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제1브리더실(144)이 형성되며, 상기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제1브리더실(144)의 하부로 통하는 제1연통로(145)가 크랭크실(43)쪽으로의 개구단을 2개로 나누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구멍을 뚫어 설치된다.
연락통로(148)는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에 직교하는 평면내에 배치되도록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설치되는 것이며, 이 연락통로(148)의 일단은 제1브리더실(144)로 통하도록 해서 상기 요부(150)내로 개구한다.
상기 요부(150)내의 거의 중앙부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보스(boss; 152)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151)는 상기 보스(152)에 나사결합하는 볼트(153)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체결된다. 또 요부(150)내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커버(151)에 맞닿는 복수의 미로형성벽(154…)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미로형성벽(154…)에 의해 제1연통로(145) 및 연락통로(148) 사이를 연결하는 미로가 제1브리더실(144)안에 형성된다. 그래서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크랭크실(43)로부터 제1연통로(145)를 경유해서 제1브리더실(144)내에 도입된 브리더 가스는 제1브리더실(144)내의 상기 미로를 유통해서 연락통로(148)에 이르게 되며, 상기 미로에서의 브리더 가스의 유통방향 변화에 의해 브리더 가스로부터 동반 오일이 분리된다. 즉 제1브리더실(144)이 기체, 액체 분리기구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로의 연락통로(148)측의 부분에서 연락통로(148)의 개구단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미로형성벽(154)에는 브리더 가스의 유통을 대폭으로 억제하도록 유통면적을 좁힌 복귀구멍(155…)이 분리한 오일을 제1연통로(145)측에 복귀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13을 참조한다. 엔진블록(55)에 있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 는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에 관하여 제1브리더실(144)과 거의 반대측의 상기 흡기계(74)의 근방에 위치하는 요부(15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요부(156)를 덮는 커버(157)가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 체결된다. 이에 의해 제1케이스 절반부(52) 및 커버(157) 사이에,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크랭크실(43)안의 오일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제2브리더실(146)이 형성되며, 연락통로(148)의 타단은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제2브리더실(146)의 상부로 통하도록 해서 요부(156)로 개구한다.
상기 요부(156)내의 거의 중앙부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보스(158)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커버(157)는 상기 보스(158)에 나사 결합하는 볼트(159)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체결된다. 또 요부(156)내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는 제2브리더실(146)로부터 연락통로(148)측으로의 브리더 가스의 유통을 저지하는 리드밸브(160)가 상기 연락통로(148)의 타단의 개구단을 가로막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의 제2브리더실(146)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연락통로(148)의 옆쪽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커버(157)에 설치된 투과구멍(162)에 기밀하게 끼워 맞춰지는 가스도관(149)의 일단을 수용하는 돌출부(161)가 가스도관(149)의 일단 개구부 전체를 막지 않도록 하여 돌출, 설치된다.
또 상기 요부(156)내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의 외측면에는 커버(157)에 맞닿는 미로형성벽(163, 164)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의 미로형성벽(163)에 의해 연락통로(148) 및 가스도관(149) 사이를 연결하는 미로가 제2브리더실(146)내에 형성되며, 다른쪽의 미로형성벽(164)에 의해 제2연통로(147) 및 가스도관(149) 사이를 연결하는 미로가 제2브리더실(146)내에 형성되며, 이들 미로에 의해 제2브리더실(146)도 기체, 액체 분리기구를 구비하게 구성된다.
또 미로형성벽(163, 164)보다도 아래쪽에서 제2브리더실(146)로 통하도록 해서 커버(157)에 압력도관(84)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으며, 이 압력도관(84)의 타단은 연료펌프(78)에 접속된다. 또한 제2브리더실(146)내에서 미로형성벽(163, 164)보다도 아래쪽의 부분에는 상기 리드밸브(160)를 우회하도록 해서 연락통로(148)로부터 분기된 분기로(165)가 개구하고 있으며, 미로형성벽(163, 164)의 하부간에는 제2브리더실(146)내에 있어서 미로형성벽(163,164) 상하간에 개재하는 좁은 구멍(166)이 형성된다.
제2연통로(147)는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제2브리더실(146)의 하부로 통하는 것으로, 제2브리더실(146)을 통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직접 구멍을 뚫어 설치되는 통로구멍(167)과, 이 통로구멍(167)에 연통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체결되는 파이프(168)로 구성된다.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제2브리더실(146)보다도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부분에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는 크랭크실(43)로 향하는 평탄한 부착자리(169)가 형성되어 있으며, 통로구멍(167)은 제2브리더실(146)과 부착자리(169) 사이를 연결하여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구멍을 뚫어 설치된다. 또 파이프(168)는 상기 부착자리(169)에 맞닿는 프렌지부(168a)를 구비하여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프렌지부(168a)가 볼트(170)로 부착자리(169)에 체결되며, 파이프(168)의 일단은 상기 통로구멍(167)의 부착자리 (169)측의 단부에 액체가 새지 않도록 끼워 맞춰진다.
그런데 발전기 G의 비사용상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하도록 해서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자세로 한 것이며, 제2연통로(147)는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로, 도 14(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본체(41)가 어떤 자세가 되더라도, 크랭크실(43)안의 오일면 L보다도 위쪽으로 제2연통로(147)의 크랭크실(43)내로의 개구단이 위치하게 형성된다.
그런데 연락통로(148)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자세로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 즉 도 14(a)로 도시한 상태에서는 오일(42)의 오일면 L은 제1연통로(145)의 일부를 거쳐서 오일(42)을 제1브리더실(144)내에 유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제1브리더실(144)로부터 연락통로(148)를 경유해서 제2브리더실(146)측에 오일(42)이 흘러버릴 가능성이 있지만,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을 경유해서 연락통로(148)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는 크랭크실(43)내의 오일(42)이 연락통로(148)내에 침입하는 것을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락통로(148)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자세로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쇄선(鎖線) L′의 위치에 오일면이 있으며, 제1브리더실(144)내에서 미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설치된 미로형성벽(154…)은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에 유입한 오일(42)이 연락통로(148)에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본체(41)의 제1케이스 절반부(52)에는 제1브리더실(144)과 제1브리더실(144)을 크랭크실(43)내로 통과시키는 제1연통로(145)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에 관해서 제1브리더실(144)과 거의 반대측에서 흡기계(74)의 근방에 배치되는 제2브리더실(146)과, 제2브리더실(146)을 크랭크실(43)내로 통하게 하는 제2연통로(147)와 제1 및 제2브리더실(144, 146)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통로(148)가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크랭크실(43)내의 오일면 L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브리더실(144, 146)의 하부로 제1 및 제2연통로(145, 147)가 통과하는 동시에 제2브리더실(146)의 상부에 연락통로(148)가 개구하는 배치로 설치되며,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 제2브리더실(146)의 상부로 통하는 가스도관(149)이 흡기계(74)의 에어클리너(7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발전기 G의 사용상태에서는 크랭크실(43)내에서 생긴 브리더 가스가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 연락통로(148), 제2브리더실(146) 및 가스도관(149)을 경유해서 흡기계(74)에 유도됨과 동시에, 제2연통로(147)로부터 제2브리더실(146) 및 가스도관(149)을 경유해서 흡기계(74)로 유도된다.
또한 제1 및 제2브리더실(144, 146)내에 각각 미로가 형성되고 있으며, 그들 미로를 유통함으로써 브리더 가스로부터 분리한 오일은 제1 및 제2연통로(145, 147)로부터 크랭크실(43)에 되돌려져, 기체, 액체 분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로 이 엔진본체(41)가 어떤 자세가 되더라도, 크랭크실(43)내의 오일면 L보다도 위쪽에 제2연통로(147)의 크랭크실(43)내로의 개구단이 위치하게 제2연통로(147)가 형성되므로, 엔진본체(41)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하도록 옆으로 넘어지게 되었을 때에, 엔진본체(41)가 어떤 자세가 되더라도 크랭크실(43)내의 오일(42)이 제2연통로(147)를 경유해서 제2브리더실(146)로 침입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을 경유해서 연락통로(148)에 이르기까지의 경로는 연락통로(148)가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의 아래쪽으로 배치되는 자세로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로 크랭크실(43)내의 오일(42)이 연락통로(148)내에 침입하는 것을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랭크실(43)내의 오일(42)이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 및 연락통로(148)를 경유해서 제2브리더실(146)에 침입할 일은 없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을 거의 수평으로 한, 옆으로 넘어지게 한 상태에서 엔진본체(41)가 어떤 자세가 되더라도, 제2브리더실(146)에 크랭크실(43)내의 오일(42)이 침입할 일은 없으며, 흡기계(74)로의 오일(42)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 E의 시동시에 배기머플러(40)로부터 백연(白煙)이 배출될 일은 없으며, 배기성상(性狀)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브리더실(144, 146)은 엔진본체(41)에 설치되는 것이며, 엔진 E 전체가 대형화하는 일은 없다.
더욱이 제2연통로(147)는 제2브리더실(146)로 통해서 엔진본체(41)의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직접 구멍을 뚫어 설치되는 통로구멍(167)과, 이 통로구멍(167)에 연통하여 제1케이스 절반부(52)에 체결되는 파이프(168)로 구성되는 것이며, 실린더 보어(46)의 축선이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엔진본체(41)를 옆으로 넘어지게 한상태에서의 엔진본체(41)의 자세에 관계없이 크랭크실(43)내의 오일면보다도 위쪽으로 개구단을 배치하도록 한 복잡한 형상의 제2연통로(147)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또 연료탱크(32)는 엔진본체(41)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휴대용 엔진작업기를 그 높이가 낮아지게 함으로써 소형화해서 이전을 용이하게 하여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연료탱크(32)의 연료출구(32a)가 기화기(73)보다도 낮게 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연료펌프(78)를 다이어프램식의 것으로 하여 엔진 E의 크랭크실(43)내에서 생기는 압력맥동을 유효하게 활용해서 연료펌프(78)를 구동할 수 있다. 게다가 연료펌프(78)에 압력맥동을 전달하기 위한 압력도관(84)이 제2브리더실(146)에 접속되므로, 크랭크실(43)내에서 생긴 압력맥동은 브리더 가스와 같이 제1연통로(145)로부터 제1브리더실(144), 연락통로(148), 제2브리더실(146)을 경유해서 압력도관(84)으로부터 연료펌프(78)에 작용하게 되어 연료펌프(78)에 오일이 침입하는 것이 대폭 방지된다.
이로써, 브리더 가스 및 연료펌프(78)용의 기체, 액체 분리기구를 공통화해서 엔진본체(41)에 합리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엔진본체(41)의 구조의 단순화 및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 엔진 E의 실린더 헤드(50) 및 헤드 커버(115)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밸브실(116)에는 작동밸브장치(113)가 수납된다. 그래서 이 작동밸브장치(113)에는 작동밸브장치(113)의 작동밸브캠(126)과 함께 회전하는 피동 타이밍 풀리(131) 및 이피동 타이밍 풀리(131)에 감겨 걸리는 타이밍 벨트(132)를 구비하는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을 거쳐서 크랭크샤프트(44)로부터의 동력이 전달되지만, 크랭크케이스(43)내의 오일(42)을 타이밍 벨트(132)에 동반하게 함으로써 작동밸브실(116)에 오일(42)이 공급된다.
또한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상부를 덮는 원호 형상의 만곡 커버부(115b)가 헤드 커버(115)에 설치되어 있으며,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위쪽에서 상기 만곡 커버부(115b)에는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회전방향(135)에 따라 간격을 둔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오일비산리브(136, 137)가 타이밍 벨트(132)에 근접하는 쪽에 돌출해서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밍 벨트(132)에 부착하여 작동밸브실(116)까지 반송되어 온 오일이 관성력 및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타이밍 벨트(132)로부터 이탈할 때에 그 이탈한 오일이 오일비산리브(136, 137)에 충돌해서 미세하게 부서진다. 또 오일비산리브(136, 137)가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회전방향(135)에 따라 간격을 둔 복수의 장소에서 헤드 커버(115)의 만곡 커버부(115b)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오일비산리브(136)를 거친 오일을 다음 오일비산리브(137)에 충돌시켜서 비산시키도록 하고, 오일을 복수 장소에서 확실하게 비산시켜, 작동밸브장치(113)의 각부에 오일을 확실하게 도달시킬 수 있다. 더욱이 각 오일비산리브(136, 137)는 헤드 커버(115)의 강도를 증강시키는 기능도 한다.
또 작동밸브장치(113)의 흡기측 및 배기측 로커암(124, 125)은 작동밸브캠(126)의 회전축선을 지나가는 연직선(138)의 양측에 등간격을 둔 위치에서 작동밸브캠(126)의 하부에 각각 미끄럼 접촉하는 것인데, 작동밸브캠(126)의 회전축선에 직교하는 연직평면에의 투영도상에서는 작동밸브캠(126)에의 상기 양쪽 로커암(124, 125)의 미끄럼 접촉부를 통과하는 한 쌍의 연직선(139, 140)의 양 바깥쪽에, 한 쌍의 상기 오일비산리브(136, 137)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일비산리브(136)에 충돌해서 비산한 오일이 배기측 로커암(125) 및 작동밸브캠(126)의 미끄럼 접촉부에 효과적으로 공급되며, 오일비산리브(137)에 충돌해서 비산한 오일이 흡기측 로커암(124) 및 작동밸브캠(126)의 미끄럼 접촉부에 효과적으로 공급되게 되어, 적은 개수의 오일비산리브(136, 137)로 작동밸브장치(113)의 확실한 윤활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각 오일비산리브(136,137)는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회전방향(135)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만곡 커버부(115b)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며, 오일을 오일비산리브(136, 137)에 직각으로 충돌시키도록 하여 오일을 보다 미세화해서 비산시킬 수 있다.
또 작동밸브장치(113)의 작동밸브캠(126)과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의 피동 타이밍 풀리(131)는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엔진본체(41)의 상부인 실린더 헤드(50)로 양단을 고정적으로 지지된 지지축(130)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래서 실린더 헤드(50) 및 지지축(130)의 일단간에는 상단부를 작동밸브실(116)내의 저부에서 위쪽으로 개구하는 동시에 하단을 폐쇄한 오일도입통로(142)가 설치되며,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에는 오일도입통로(142)에 일단을 연통시키는 오일통로(143)를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평탄면(130a)이 설치되며, 오일통로(143)의 타단이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되어,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을 수용하는 수용통로(128)에 연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작동밸브실(116)내에 비산, 충만하고 있는 오일은 작동밸브실(116)내를 강하하고, 자연낙하에 의해 오일도입통로(142)에 도입되도록 한 비말 윤활방식을 채용한 결과,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과,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통로(143)의 일단에 오일도입통로(142)로부터 오일이 도입되도록 하고, 더욱이 오일통로(143)의 타단으로부터 수용통로(128)측에 오일을 유통시켜서 엔진본체(41)의 하부로 돌려줄 수 있다.
더욱이 오일통로(142)는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에 평탄면(130a)이 설치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지지축(130)에 실시되는 가공을 용이하게 해서 가공비용의 증대를 억제하면서 오일도입통로(142) 및 오일통로(143)의 유통면적을 비교적 크게 설정함으로써,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 타이밍 풀리(131)와 지지축(130)과의 사이의 윤활부에 충분한 량의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고회전화에 의한 발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각종의 설계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엔진 발전기용의 4사이클 OHC엔진에 한하지 않고, 4사이클 OHC엔진에 관련되어 널리 실시할 수 있다. 또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의 타이밍 벨트(132)에 동반시키는 이외의 기구에서 작동밸브실(116)에 오일을 유도하도록한 4사이클 OHC엔진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엔진본체(41)의 상부에 양단부가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지지축(130)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작동밸브캠(126)을 구비하여 흡기밸브(110) 및 배기밸브 (111)에 연동, 연결되는 작동밸브장치(113)가, 상기 엔진본체(41)에 결합되는 헤드 커버(115) 및 엔진본체(41) 사이에 형성되는 작동밸브실(116)에 수용되며, 상기 작동밸브캠(126)과 일체로 형성된 피동바퀴(131)를 구비하여 크랭크샤프트(44) 및 상기 작동밸브장치(113) 사이에 설치되는 시간조절 전동수단(127)이, 상부를 상기 작동밸브실(116)로 통과시켜서 엔진본체(41)에 설치된 수용통로(128)에 수용되어, 작동밸브실(116)에는 윤활용의 오일이 공급되는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
    상기 엔진본체(41)의 상부 및 상기 지지축(130)의 일단간에는 상단부를 작동밸브실(116)내의 저부에서 위쪽으로 개구함과 동시에 하단을 폐쇄한 오일도입통로(142)가 설치되며, 지지축(130)의 하부 외면에는 상기 오일도입통로(142)에 일단을 연통시키는 오일통로(143)를 상기 작동밸브캠(126) 및 피동바퀴(131)와의 사이에 형성하는 평탄면(130a)이 설치되며, 상기 오일통로(143)의 타단이 아래쪽을 향해서 개방해서 상기 수용통로(128)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KR10-2002-0007937A 2001-02-14 2002-02-14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KR100407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36555 2001-02-14
JP2001036555A JP3863725B2 (ja) 2001-02-14 2001-02-14 4サイクルohcエンジンにおける潤滑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9372A true KR20020079372A (ko) 2002-10-19
KR100407020B1 KR100407020B1 (ko) 2003-11-28

Family

ID=18899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37A KR100407020B1 (ko) 2001-02-14 2002-02-14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29517B2 (ko)
EP (1) EP1233154B1 (ko)
JP (1) JP3863725B2 (ko)
KR (1) KR100407020B1 (ko)
CN (1) CN1201068C (ko)
DE (1) DE60211971T2 (ko)
TW (1) TW51586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67335B2 (ja) * 2004-03-09 2010-05-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における潤滑構造
US7296554B2 (en) * 2005-07-28 2007-11-2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Lubrication assembly for an engine
DE202006002330U1 (de) * 2006-02-13 2007-06-21 Dolmar Gmbh Absaugvorrichtung
CN1945932A (zh) * 2006-10-17 2007-04-11 马云峰 便携式发电机
JP4974155B2 (ja) * 2007-04-02 2012-07-11 ヤマハモーターパワープロダクツ株式会社 遮音型エンジン発電機
US7980216B2 (en) * 2008-03-14 2011-07-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ocker arm assembly having slider roller oil pumping features
JP6050765B2 (ja) * 2011-03-16 2016-12-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中枢性無呼吸症の診断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054559A (ja) * 2016-01-20 2019-04-0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ビークル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818A (en) * 1975-11-11 1978-10-31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il circulating and cooling system
US4325589A (en) 1977-01-21 1982-04-20 Carl Hurth Maschinen- Und Zahnradfabrik Gmbh & Co. Support of a machine part which rotates on a bolt or the like
DE2753752C2 (de) 1977-12-02 1984-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chmiervorrichtung für die Nocken von Nockenwellen, insbesondere in Brennkraftmaschinen
JPH0141848Y2 (ko) * 1985-09-04 1989-12-08
JPH08177416A (ja) 1994-12-28 1996-07-09 Honda Motor Co Ltd Ohcエンジンにおける動弁用カムシャフト
JP3333667B2 (ja) * 1995-08-09 2002-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Sohc型エンジンの動弁装置
GB9522975D0 (en) * 1995-11-09 1996-01-10 Woodhouse Timothy C Engine lubrication system
JP3172103B2 (ja) 1996-10-29 2001-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機構潤滑装置
US5797364A (en) 1996-11-01 1998-08-25 Cummins Engine Company, Inc. Top trough cam roller pin
US5887678A (en) * 1997-06-19 1999-03-30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Lubrication apparatus for shaft bearing
JPH1113426A (ja) 1997-06-23 1999-01-19 Daido Metal Co Ltd ローラ支持装置
JP3839993B2 (ja) * 1999-04-19 2006-11-01 株式会社共立 4サイクル内燃エンジ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42635A (ja) 2002-08-28
JP3863725B2 (ja) 2006-12-27
EP1233154B1 (en) 2006-06-07
US6629517B2 (en) 2003-10-07
EP1233154A1 (en) 2002-08-21
KR100407020B1 (ko) 2003-11-28
CN1201068C (zh) 2005-05-11
US20020117145A1 (en) 2002-08-29
DE60211971D1 (de) 2006-07-20
TW515866B (en) 2003-01-01
DE60211971T2 (de) 2007-02-01
CN1370913A (zh) 200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72726B2 (en) Multiple-position, operator-carried, four-stroke engine
US5031591A (en) OHC vertical crankshaft engine
KR100407058B1 (ko)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AU759874B2 (en) Breather structure in four-cycle engine for work machines
KR100407020B1 (ko) 4사이클 ohc엔진에 있어서의 윤활구조
CA2352724C (en) Valve-operating device with breather system in engine
US5996561A (en) Vapor separator for outboard motor
JP4071443B2 (ja) 携帯用エンジン作業機
AU768991B2 (en) Multiple-position, operator-carried, four-stroke engine
JP3080384B2 (ja) スクータ形自動二輪車のエンジン冷却装置
JP2001193433A (ja) 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
JP2001182534A (ja) 2サイク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