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8030A -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8030A
KR20020078030A KR1020010017860A KR20010017860A KR20020078030A KR 20020078030 A KR20020078030 A KR 20020078030A KR 1020010017860 A KR1020010017860 A KR 1020010017860A KR 20010017860 A KR20010017860 A KR 20010017860A KR 20020078030 A KR20020078030 A KR 2002007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quarter
reinforcing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영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7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8030A/ko
Publication of KR2002007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8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Panel typ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1보강브라켓트(30) 및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2보강브라켓트(50)에 의해 도어(10)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진되어져, SUV차량의 고속주행시 횡풍의 압력이 상기 도어(10)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프레임(13)의 파손이 예방됨은 물론 주행소음도 감소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of vehicle doors}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주행시 횡풍으로 인한 도어프레임의 파손을 최대한 예방함과 더불어 주행소음을 최소화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은 승용차와 비교하였을 때 전 고(全高)가 높기 때문에 도어자체의 높이도 비교적 높게 제작되어 진다.
이러한, SUV차량에 장착되는 도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너패널(11) 및 도어아웃터패널(12)과, 도어글래스(도시않됨)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도어프레임(13)과, 상기 도어글래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도어글래스런(14)과, 상기 도어인너패널(11)에 횡축상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강성을 보강하는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패널(16)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반 승용차의 도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접합되는 프런트필러(front pillar ; 일명 A필러)부의 단면구조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3)은 그 양단이 서로 단층의 모양을 형성하도록 접합되면서 중간부위는 소정의 모양으로 굴곡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13)의 일면에는 쿼터패널(16)이 접합되어 있으며, 이 쿼터패널(16)의 일면에는 쿼터보강패널(17)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연결되는 외측부위에는 실링부재(18)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쿼터패널(16)과 쿼터보강패널(17)이 연결되는 내측부위에도 실링부재(19)에 의해 밀봉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도어글래스런(14)이 접합되는 부위의 단면구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쿼터보강패널(17)은 전장이 소정의 모양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의 일면에 쿼터보강패널(17)의 일측이 서로 단층의 모양을 이루도록 접합되면 그 타측은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로부터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쿼터보강패널(17)의 일측에는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진 도어글래스런(14)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S는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의 용접부위이다.
이와 같은 SUV차량은 전고가 높기 때문에 도어(10)자체의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A필러의 경사각도 급격하여 차량이 고속주행을 하게 되면 횡풍의 압력에 의해 도어프레임(13)이 파손되거나 도어글래스런(14)의 떨림에 의해 주행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SUV차량이 고속주행을 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사이로 횡풍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실링부재(18)의 결합력이 점차적으로 약해지면서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서로 분리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13)이 파손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쿼터보강패널(17)의 일부만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에 접합되어 있고 나머지 일부분은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이격되어 도어글래스런(14)과 접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고속주행중 발생되는 횡풍의 압력으로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도어글래스런(14)부위가 심하게 유동되면서 주행소음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탑승자의 승차감을 감소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어프레임과 쿼터패널사이 및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과 쿼터보강패널사이에 보강브라켓트를 각각 설치하여 도어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속주행중 횡풍의 압력에 의해 상기 도어프레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주행소음도 최소화시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 보강구조는, 도어프레임과 쿼터패널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1보강브라켓트 및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과 쿼터보강패널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2보강브라켓트에 의해 도어의 강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SUV차량의 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도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도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Ⅱ-Ⅱ선 부분단면도,
도 4는 도 2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보강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대응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보강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어 13 - 도어프레임
14 - 도어글래스런 15 -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
16 - 쿼터패널 17 - 쿼터보강패널
18,19,21,23 - 실링부재 30 - 제1보강브라켓트
50 - 제2보강브라켓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의 보강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및 사시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SUV(Sports Utility Vehicle)차량에 장착되는 도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인너패널(11) 및 도어아웃터패널(12)과, 도어글래스(도시않됨)의 외곽 테두리를 감싸 보호하는 도어프레임(13)과, 상기 도어글래스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도어글래스런(14)과, 상기 도어인너패널(11)에 횡축상으로 설치되어 도어의 강성을 보강하는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패널(1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접합되는 프런트필러(front pillar ; 일명 A필러)부의 보강단면구조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프레임(13)은 그 양단이 서로 단층의 모양을 형성하도록 접합되면서 중간부위는 소정의 모양으로 굴곡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13)의 일면에는 쿼터패널(16)이 접합되어 있으며, 이 쿼터패널(16)의 일면에는 쿼터보강패널(17)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연결되는 외측부위에는 실링부재(18)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상기 쿼터패널(16)과 쿼터보강패널(17)이 연결되는 내측부위에도 실링부재(19)에 의해 밀봉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18)가 밀봉되는 부위 즉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단면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 제1보강브라켓트(30)가 상기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에 각각 면접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보강브라켓트(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프레임(13)과 면접합되면서 끝단이 실링부재(21)에 의해 밀봉되는 도어프레임접합부(31)와, 이 도어프레임접합부(31)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쿼터패널(16)과 면접합되면서 끝단이 실링부재(23)에 의해 밀봉되는 쿼터패널접합부(33)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도어글래스런(14)이 접합되는 부위의 보강단면구조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쿼터보강패널(17)은 전장이 소정의 모양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의 일면에 쿼터보강패널(17)의 일측이 서로 단층의 모양을 이루도록 접합되면 그 타측은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로부터 일정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와 이격되어 위치되는 쿼터보강패널(17)의 일측에는 대략 ㄷ자 모양의 단면구조를 가진 도어글래스런(14)이 접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의 이격부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보강브라켓트(5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의 일단과 쿼터보강패널(17)의 일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데 이 이격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제2보강브라켓트(50)가 위치되면서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에 각각 면접합됨으로써,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을 연결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보강브라켓트(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면접합되는 제1접합부(51)와, 상기 쿼터보강패널(17)과 도어글래스런(14)사이에 끼워져 면접합되는 제2접합부(53) 및, 상기 제1,2접합부(51,53)를 연결하는 연결부(55)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미설명부호 S는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의 용접부위이고, 미설명부호 T는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제1접합부(51)와의 용접부위를 표시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보강브라켓트(30)가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제2보강브라켓트(50)가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의 이격부위를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면, SUV차량에 장착되는 도어(10)의 A필러부위의 강성이 증진됨으로써 전체적인 도어(10)의 강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SUV차량의 고속주행시 횡풍의 압력이 도어(10)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프레임(13)이 쿼터패널(16)로부터 벌어져 서로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도어프레임(13)이 파손되는 것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SUV차량의 고속주행시 횡풍의 압력이 도어(10)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의 이격부위가 본 발명에 따른 제2보강브라켓트(5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해 도어글래스런(14)이 접합된 쿼터보강패널(17)이 횡풍의 압력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주행소음도 감소되면서 탑승자의 승차감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프레임과 쿼터패널의 연결부위에 제1보강브라켓트가 면접합되면서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과 쿼터보강패널의 이격부위가 제2보강브라켓트에 의해 연결되어져, SUV차량에 장착되는 도어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진됨으로써 고속주행시 횡풍의 압력이 도어에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도어프레임의 파손이 예방됨은 물론 주행소음도 감소되어 탑승자의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도어프레임(13)과 쿼터패널(16)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1보강브라켓트(30) 및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쿼터보강패널(17)을 연결시키도록 면접합되는 제2보강브라켓트(50)에 의해 강성이 증진되도록 된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브라켓트(30)가, 상기 도어프레임(13)과 면접합되면서 끝단이 실링부재(21)에 의해 밀봉되는 도어프레임접합부(31)와, 이 도어프레임접합부(31)와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쿼터패널(16)과 면접합되면서 끝단이 실링부재(23)에 의해 밀봉되는 쿼터패널접합부(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브라켓트(50)가, 상기 도어벨트인너보강패널(15)과 면접합되는 제1접합부(51)와, 상기 쿼터보강패널(17)과 도어글래스런(14)사이에 끼워져 면접합되는 제2접합부(53) 및, 상기 제1,2접합부(51,53)를 연결하는 연결부(5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1020010017860A 2001-04-04 2001-04-04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KR2002007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860A KR20020078030A (ko) 2001-04-04 2001-04-04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860A KR20020078030A (ko) 2001-04-04 2001-04-04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8030A true KR20020078030A (ko) 2002-10-18

Family

ID=2769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860A KR20020078030A (ko) 2001-04-04 2001-04-04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780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310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8113161A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KR910001478B1 (ko) 자동차의 전부차체구조
KR20010066475A (ko) 자동차의 후방필러 보강구조
JP4147797B2 (ja) 車両のフロントピラー構造
CN111824263B (zh) 车身前部结构
KR20020078030A (ko) 자동차 도어의 보강구조
JP2001233243A (ja) 車両のルーフ構造
KR200149107Y1 (ko) 자동차의 도어 샤시 구조
JP2002321530A (ja) 自動車ドアの窓枠構造
KR100422541B1 (ko) 자동차의 도어
JPH022666Y2 (ko)
JP3967079B2 (ja) 自動車用ドアミラの車体取付け構造
KR200263172Y1 (ko) 쿠페형 차량의 리어 휠 하우스 보강 구조
KR950004091Y1 (ko) 자동차의 차체 하부보강구조
JP3125994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19980045788U (ko) 루프 패널의 보강부재
JP3769785B2 (ja) 自動車のルーフ後部構造
KR20010066511A (ko) 버스용 윈도우 필러
KR100397831B1 (ko) 자동차 사이드 실의 횡방향 강성 증대 단면구조
JPH09175179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19980030232A (ko) 자동차 도어의 풍절음 차단구조
CN118082472A (zh) 全地形车
KR100273914B1 (ko) 자동차의 센터 필라
KR20040052069A (ko) 자동차용 투명 a필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