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6283A -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6283A KR20020076283A KR1020027010035A KR20027010035A KR20020076283A KR 20020076283 A KR20020076283 A KR 20020076283A KR 1020027010035 A KR1020027010035 A KR 1020027010035A KR 20027010035 A KR20027010035 A KR 20027010035A KR 20020076283 A KR20020076283 A KR 200200762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rding
- format
- head
- type
- ta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7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transform cod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본 부분이 유사한 복수의 포맷에 대해서 기록 호환성을 갖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DVCPRO 포맷의 경우에는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가 이용되고, DV 포맷의 경우에는 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가 이용된다.
포맷 판별부(800)가 포맷 판별 신호[Sf(dvcpro)]를 출력할 때는 등화 특성 선택부(27, 28)는 DVCPRO 포맷 대응의 기록용 증폭기(22p, 25p)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DVCPRO 포맷 대응의 기록용 등화기(21p, 24p)를 선택한다. 또한, 포맷 판별 신호[Sf(dv)]를 출력할 때는 등화 특성 선택부(27, 28)는 DV 포맷 대응의 기록용 증폭기(822d, 825d)를 선택하는 것을 통해 DV 포맷 대응의 기록용 등화기(821d, 824d)를 선택한다.
Description
업무용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례로서, VTR 규격의 D-7에 해당하는 DVCPRO 포맷에 의한 자기 기록 장치가 있다. 이 DVCPRO 포맷은 민생용 VTR 규격의 대표예인 DV 포맷을 업무용(방송용)으로 발전시킨 것이다. DVCPRO 포맷은 캠코더, 스튜디오 VTR, 편집 에디터, 고속 재생 VTR 등의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 업무용 DVCPRO 포맷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스튜디오기)에 따르면, 25메가 모드에서는 민생용의 DV 포맷으로 기록된 DV 테이프를 재생할 수있게 되어 있다(재생 호환성).
DV 포맷 및 DVCPRO 포맷에 대해서는 『디지털 미디어 규격 가이드북』 p114-p117, p138-p141(영상 정보 미디어 학회 지음; 가부시키가이샤 오옴사; 1999년)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기술에 따른 규격 D-7에 준거한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대표 예인 "DVCPRO"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DVCPRO"는 DVCPRO 테이프와 DV 테이프와의 사이에서 재생 호환성을 갖고 있다(스튜디오기).
DVCPRO 포맷과 DV 포맷은 여러 가지 점에서 공통성이 있다. 525/60 방식에 대해서 보면,
(1) 비디오 입력 신호:4 : 2 : 2 성분 신호
(2) 비디오 신호 샘플링 주파수:13.5 MHz
(3) 압축 방식:DV 압축 방식(1/5압축)
(4) 변조 방식:24-25 변조 방식
(5) 트래킹 방식:ATF(Automatic Track Finding)
(6) 테이프 폭:6.35 ㎜ (1/4 인치)
(7) 회전 헤드 실린더 직경:21.7 ㎜
(8) 회전 헤드 실린더의 회전수:9000 rpm
(9) 유효 권취각:174°
(10) 트랙 섹터 구성:ITI 섹터, 오디오 섹터,
비디오 섹터, 서브코드 섹터
(11) 1 프레임분 트랙수:10 트랙
등에 대해서, DVCPRO 포맷과 DV 포맷은 공통으로 되어 있다.
도 30은 디지털 방식의 카메라 일체형 VTR의 일례인 캠코더 "DVCPRO"에 관한 기록계(recording system; 1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1은 그 재생계(reproducing system; 2000)의 블록도, 도 32는 캡스턴 모터 제어계(capstan motor control system; 3000)의 블록도, 도 33은 릴 제어계(reel control system; 4000)의 블록도, 도 34는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flying erase control system; 5000)의 블록도, 도 35는 제어 헤드 제어계(control head control system; 6000)의 블록도, 도 36은 큐 제어계(cue control system; 7000)의 블록도, 도 37은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rotary head cylinder control system; 8000)의 블록도이다.
기록계(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30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아날로그/디지털 인터페이스, 12는 셔플링 처리부(shuffling section), 13은 셔플 메모리, 14는 DCT부(이산 코사인 변환부), 15는 적응 양자화부, 16은 가변 길이 부호화부, 17은 오류 정정ㆍ디셔플링 처리부, 18은 디셔플 메모리, 19는 24-25 변조부, 20은 버퍼, 21p는 DVCPRO용의 제1 기록용 등화기, 22p는 DVCPRO용의 제1 기록용 증폭기, 23p는 DVCPRO용의 제1 전류 제어부, 24p는 DVCPRO용의 제2 기록용 등화기, 25p는 DVCPRO용의 제2 기록용 증폭기, 26p는 DVCPRO용의 제2 전류 제어부, H(REC1)는 제1 기록 헤드, H(REC2)는 제2 기록 헤드, 30은 영상 신호 처리부이다. 이 기록계(1000)의 기본적 동작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재생계(2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1에 있어서, 부호 H(PB1)는 제1 재생 헤드, H(PB2)는 제2 재생 헤드, 41은 제1 헤드 증폭기, 42는 제2 헤드 증폭기, 43은 재생 증폭기, 44는 AGC부(자동 이득 제어부), 45p는 DVCPRO용의 재생용 등화기, 46d는 DV용의 재생용 등화기, 47은 등화 특성 선택부, 48은 24-25 복조부, 49는 오류 정정ㆍ셔플링 처리부, 50은 셔플 메모리, 51은 가변 길이 복호화부, 52는 역적응 양자화부, 53은 역DCT부, 54는 디셔플링 처리부, 55는 디셔플 메모리, 56은 D/A 변환부, 60은 영상 신호 처리부,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상기 DVCPRO용의 재생용 등화기(45p)는 DVCPRO 포맷 재생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고, DV용의 재생용 등화기(46d)는 DV 포맷 재생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의 기술 방법으로서,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를 "Sf(dvcpro)"라고 기재하고,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를 "Sf(dv)"라고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출력되는 포맷 판별 신호(Sf)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로 되어 있을 때는, 등화 특성 선택부(47)는 DVCPRO용의 재생용 등화기(45p)로부터의 재생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여, 24-25 복조부(48)로 출력한다.
또한, 포맷 판별 신호(Sf)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로 되어 있을 때는, 등화 특성 선택부(47)는 DV용의 재생용등화기(46d)로부터의 재생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여, 24-25 복조부(48)로 출력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60)는 DVCPRO 포맷과 DV 포맷에서 공용의 것으로 되어 있다.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2에 있어서, 참조 부호 70은 캡스턴 모터, 71은 FG(Frequency Generator) 증폭기, 72는 FG 검출부, 73은 내부 목표치 카운터, 74는 FG 오차 검출부, 75는 ATF(Automatic Track Finding) 오차 검출부, 76은 ATF 오차 증폭기, 77은 가산기, 78은 오차 증폭기, 79는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 80은 속도 제어부, 85는 위상 제어부이다.
이 도 32의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작 설명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릴 제어계(4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3에 있어서, 참조 부호 310은 공급측 릴 모터, 311은 공급측 FG(Frequency Generator) 증폭기, 312는 공급측 FG 검출부, 320은 권취측 릴 모터, 321은 권취측 FG 증폭기, 322는 권취측 FG 검출부, 330은 권취 직경 연산ㆍ속도 연산부, 313은 공급측 장력 제어 증폭기, 314는 공급측 릴 드라이버, 323은 권취측 장력 제어 증폭기, 324는 권취측 릴 드라이버, 351은 공급측 장력 센서, 352는 장력 센서 증폭기, 353은 목표 전압, 354는 오차 증폭기, 355는 가산기이다. 이 릴 제어계(4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작 설명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4에 있어서, 참조 부호 401은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 402는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 403은 제1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404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H(FE1)는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이다. 여기서, 「플라잉 이레이즈(FE)」라고 하는 것은 「회전 소거」를 말한다. 트랙에 ATF(Automatic Track Finding)를 위한 파일럿 신호가 심층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록시에, 기록에 선행하여 파일럿 신호를 소거하기 위해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한다. 이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작 설명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 헤드 제어계(6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5에 있어서, 참조 부호 500은 서보 마이크로 컴퓨터, 501은 제어용 발진기, 502는 제어용 증폭기, 503은 제어용 재생 증폭기, H(CTL)는 제어 헤드이다. 이 제어 헤드 제어계(6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큐 제어계(7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6에 있어서, 참조 부호 601은 오디오 아날로그부, 602는 큐용 기록 증폭기, 603은 바이어스용 발진기, 604는 가산기, H(CUE)는 큐 헤드이다. 이 큐 제어계(7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작 설명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7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0은 회전 헤드 실린더, 201은 FG 증폭기, 202는 FG 검출부, 203은 목표치 카운터, 204는 FG 오차 증폭기, 205는 PG(Pulse Generator) 증폭기, 206은 PG 검출부, 207은 DVCPRO 포맷에 대응한 위상 기준 신호, 208은 PG 오차 증폭기, 209는 가산기, 210은 실린더 드라이버이다. 이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기본적 동작에 관해서도 널리 공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동작 설명을 행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DVCPRO 포맷 대응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DVCPRO 테이프를 이용한 기록 및 재생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DV 테이프를 이용하여도 재생에 대해서는 그 실현이 가능하다. 즉, DVCPRO 테이프와 DV 테이프와의 사이에서 재생 호환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의 DVCPRO 테이프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DVCPRO 테이프와 DV 테이프와의 사이에서의 기록 호환성은 갖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현행에서는, DV 테이프로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DV 포맷 대응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필요해진다. 또한, DVCPRO 테이프로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는 DVCPRO 테이프 대응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이들 쌍방의 테이프에서의 기록을 함께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즉, 달리 표현하면, 예컨대 상황이나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 DV 테이프에서의 기록과 DVCPRO 테이프에서의 기록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기 위해서는 DV 포맷 기록 재생 장치와 DVCPRO 포맷 기록 재생 장치의 쌍방을 구입하여 보관해야만 한다. 그러나, 쌍방의 기록 재생 장치의 구입에는 많은 초기 비용이 필요하게 된다. 쌍방의 기록 재생 장치의 보관을 위해서는 운용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큰 보관 공간도 필요해진다.
특히, 카메라 리코더(캠코더)와 같이 카메라 일체형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취재 등을 위해 빈번하게 운반하여 휴대해야 하는데, 쌍방의 기록 재생 장치를 함께 운반하여 휴대하는 것은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 외에 특히, 작업 노동력의 부담도 과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DV 테이프와 DVCPRO 테이프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고, 전부를 DVCPRO 테이프로 대응시키게 되면, DVCPRO 테이프는 업무용인 경우도 있어, 민생용의 DV 테이프에 비하여 운용 비용이 상당히 많이 소요된다.
촬영 대상인 소재의 등급이 비교적으로 낮고, 또한 재촬영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저렴한 DV 테이프를 이용한 우선 수록을 행하는 것은 실무 상에서 상당히 편리하고 유리한 것이 되는 것이다. 수록의 결과를 나중에 평가함으로써, 본격적인 수록을 행할 때에는 DVCPRO 테이프를 이용하여 재차의 수록을 행하면 좋고, 폐기된다고 할지라도 DV 테이프에서의 수록으로 충분히 책임을 다한 것이 된다.
또한, 오로지 DVCPRO 테이프를 이용한 취재의 도중에, 그 DVCPRO 테이프가 모자라게 된 때에는 계속되는 촬영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것은 DVCPRO 테이프의 입수 루트가 특수하여 일반 매장 등에서는 DVCPRO 테이프를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입수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만약에 공통의 기록 재생 장치에서 DVCPRO 테이프도 DV 테이프도 함께 기록을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하게 DV 테이프를 입수함으로써, 촬영중단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촬영 재개를 빨리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예상할 수는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DV 테이프와 DVCPRO 테이프의 기록 호환성이 있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다. 즉, 오로지 DVCPRO 테이프만을 이용한 취재를 행하지 않을 수 없고, 그 원인으로 매우 많은 운용 비용의 부담을 강요당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상과 같은 것의 배경으로서, DVCPRO 포맷과 DV 포맷과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가로놓여 있는 것을 하나의 원인으로서 들 수 있다.
(1) 테이프 종류
DVCPRO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
DV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
(2) 테이프 속도
DVCPRO33.8201 ㎜/sec
DV18.831 ㎜/sec
(3) 자기 테이프 상의 트랙 폭
DVCPRO18 ㎛
DV10 ㎛
등이다. 또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의 차이가 문제가 된다.
이상과 같은 DVCPRO 포맷과 DV 포맷 사이에서의 차이점과 동일한 것이 다른 포맷 사이에서도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하기 위해 창작한 것으로서 포맷 상의 기본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유사한 복수의 포맷에 대해서 기록 호환성을 갖는 비용적으로 유리하고 또한 편리성이 높은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더욱 발전하여 트랙 폭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포맷의 기록에 있어서 기록 헤드를 겸용한 경우의 과제, 즉 오버라이트하는 것으로 인하여, 유효한 트랙의 센터가 기록 헤드의 센터에서 벗어나게 되고, 그 때문에 기록 헤드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향해 나오는 자속이 트랙에서 비대칭이 되어, 자속 혼란 때문에 자기 기록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과제도 아울러 해결한다.
또한, 여러 종류의 기록 포맷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각의 기록 모드에서 플라잉 이레이즈(flying erase)를 행하는 것에 부가하여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관련되고, 상이한 복수의 포맷 사이에서의 기록 호환성, 특히 DVCPRO 포맷과 DV 포맷과의 사이에서의 기록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로 업무용 자기 기록 장치/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적합한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촬영도 행하는 카메라 일체형의 것을 적합한 대상으로 한다. 무엇보다도, 그와 같은 것에 한정시킬 필요성은 없고, 널리 임의의 형태의 장치ㆍ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기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재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캡스턴 모터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릴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제어 헤드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큐 제어계의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포맷 판별부의 블록도.
도 10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포맷 지정시의 화면 표시 상태도.
도 11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CPRO 포맷에 대응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구성도.
도 12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측면 전개도.
도 13은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CPRO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14는 일반적인 DV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15는 상기 제1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오버라이트의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기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재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8은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9는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CPRO 포맷에 대응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구성도.
도 20은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측면 전개도.
도 21은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CPRO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22는 상기 제2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CPRO 포맷의 트랙 패턴도(기록 재생 병행 모드).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5는 상기 제4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오버라이트의 설명도.
도 26은 상기 제4 실시예의 호환형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2 트랙분의 동시 소거 동작의 설명도.
도 2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2 트랙분의 동시 소거 동작의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2 트랙분의 동시 소거 동작의 설명도.
도 30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일례인 카메라 일체형 VTR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기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1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방식의 재생 장치의 일례인 "DVCPRO"(스튜디오기)에 대한 재생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2는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캡스턴 모터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3은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릴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4는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5는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제어 헤드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6은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큐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7은 상기 종래 기술의 캠코더 "DVCPRO"에 대한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발명의 개시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 관한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록 포맷의 「판별」에 대해서는 테이프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상태의 식별을 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또한 장전된 테이프 또는 그 카세트에 대해서 임의의 검출 수단으로 테이프 종류를 식별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기록 포맷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항자력 등의 자화 특성이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자기 테이프(예컨대, MP 테이프와 ME 테이프)를 이용하게 되는 여러 종류의 기록 포맷들 사이에서는 기록 호환성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가 되는 것이 등화 특성이다. 그래서, 기록 포맷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기록 포맷, 즉 각각의 사용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여러 종류의 기록 포맷에 대해서 기록 호환성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이점이 생긴다.
종래,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자기 테이프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자기 테이프(예컨대 DVCPRO 테이프와 DV 테이프)와의 구별 사용을 행할 때에는 각각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2 개의 자기 기록 장치를 준비해 두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로서 공통 단일의 장치를 준비하면 충분하게 된다. 그 구입에 있어서의 초기 비용은 대폭 저감한다. 보관 공간도 약 2분의 1로 된다. 특히, 카메라 리코더(캠코더)와 같이 취재 등을 위해 운반하여 휴대하는 일이 많은 카메라 일체형의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경우와 같이 양 포맷 쌍방의 자기 기록 장치를 함께 운반ㆍ휴대할 필요가 없고, 작업 노동력의 부담의 대폭적인 경감을 초래하는 동시에, 경비도 절감된다.
또한, 각 기록 포맷 대응의 자기 테이프의 구별 사용이 가능하고, 예컨대 일반 매장 등에서도 판매하고 있는 등의 이유 때문에 입수가 보다 용이한 쪽의 테이프를 다용하는 등의 고안에 의해 사용성이나 기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민생용의 것이라는 등의 이유 때문에 비용이 보다 저렴한 쪽의 테이프를다용하는 등의 고안에 의해 테이프에 요하는 운용 비용을 대폭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카메라 리코더와 같은 카메라 일체형의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 대상인 소재의 등급이 비교적 낮고, 또한 재촬영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저렴한, 또한 보다 입수가 용이한 테이프를 이용한 우선 수록을 행함으로써 실무상의 편리성 및 운용 비용 저감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등급이 높은 소재를 고급의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록하고 있을 때에 그 테이프가 부족하게 되어 버렸을 때에는 저급의 테이프로 전환함으로써 지장 없이 수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저급의 테이프가 없을 때에는 일반 매장 등에서 용이하게 입수하여 촬영 중단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줄이면서 수록을 신속하게 재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에 있어서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만 대응하는 자기 기록 장치로 기록한 테이프에 대해서, 이것을 다른 재생 장치로 재생함에 있어서는 동종, 즉 제1종의 포맷에 대응하는 재생 장치로밖에 재생할 수 없고, 마찬가지로, 제2종의 기록 포맷에만 대응하는 자기 기록 장치로 기록한 테이프에 대해서, 이것을 다른 재생 장치로 재생함에 있어서는 동종, 즉 제2종의 포맷에 대응하는 재생 장치로밖에 재생할 수 없었다. 다시 말해서, 이제부터 촬영을 행하고자 할 때에 그 기록 테이프의 재생에 사용할 예정인 재생 장치의 포맷 종류에 맞춰 테이프 종류 및 자기 기록 장치의 종류가 한정되고, 그 한정된 자기 기록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프 종류ㆍ자기 기록 장치 종류 중 테이프 종류는 별도로 하여, 사용할 예정인 재생 장치의 포맷 종류의 여하에 관계없이 자기 기록 장치를 전환할 필요성이 없고, 공통 단일의 자기 기록 장치를 이용한 단순한 모드 전환만으로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어떤 특정한 기록 포맷(예컨대 DVCPRO 포맷)에 대해서 규격화되어 있는 회전 헤드 실린더를 그대로 이용하는 형식으로 여러 종류의 기록 포맷에 대한 기록 호환성을 갖게 하는 경우에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시에도 공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 트랙의 트랙 폭은 그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의 헤드 폭에 비하여 작은 것이기 때문에 오버라이트(겹쳐 쓰기)를 행한다. 그러나, 오버라이트 후에 유효해지는 트랙의 센터가 기록 헤드의 센터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기록 헤드에서 자기 테이프를 향해 나오는 자속이 트랙에서 비대칭이 되고, 자속 혼란 때문에 자기 기록 정밀도가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오버라이트에 관한 과제의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1)에서부터 (*2)의 기술을 참조].
이하에 있어서는, 오버라이트(겹쳐 쓰기)의 필요성을 없애는 기술에 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 관한 상기 과제의 해결을 도모하고자 하는 본 발명은 회전 헤드 실린더에 헤드 폭을 달리하는 여러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하고 있다. 각각의 기록 헤드의 헤드 폭은 각 기록 포맷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진 각 기록 포맷에 대응한 등화 특성의 기록 신호를 각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기록 헤드에 입력하도록 하고 있다.
어떤 기록 포맷에 대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은 그것의 이상적인 폭이 규격화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기록 포맷에 대한 헤드 폭도 마찬가지로 이상적인 폭이 규격화되어 있다. 그와 같은 기록 포맷마다 적정한 헤드 폭의 여러 종류의 기록 헤드를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기록 포맷에 각각 대응한 헤드 폭이 다른 여러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한 회전 헤드 실린더를 갖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각 기록 포맷마다 최적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 폭은 어떠한 기록 포맷이라도 최적의 것이 되고, 오버라이트를 행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버라이트에 의한 센터 이탈이 해소되고, 항상 기록 헤드의 센터와 기록 트랙의 센터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자기 기록이 실행되며, 자기 기록 정밀도가 매우 양호한 것이 된다.
특히, 기록 헤드는 기록 포맷마다 그 헤드 폭을 비롯한 사이즈ㆍ형상, 방위각, 헤드 갭의 형상ㆍ치수, 코어의 재질, 결정 구조, 코일 권수, 내마모성, 투자율, 포화 자속 밀도, 항자력, 고주파 자기 특성, 표면 평활도 등이나 합리적인 비용, 생산성 등의 여러 가지 항목에서 차이가 인정된다. 따라서, 1 종류의 헤드를 겸용하여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기록 특성은 최적의 상태에서 벗어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각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특성을 각 기록 포맷 각각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일, 각 기록 포맷마다 회전 헤드 실린더를 복수 개 설치하기로 하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대폭적인 부담 증가가 되어 버린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각 기록 포맷마다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두면 공간면 및 비용면을 유리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의 기록 호환성을 갖도록 하는 경우에 있어서, 플라잉 이레이즈에서의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대책을 강구한다. 기록 포맷이 다르면 트랙 폭도 서로 다르다. 어떤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에 대하여 별도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이 작게 되어 있다고 하자. 상기 어떤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써 상기 별도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한다. 이러한 복수 트랙분 동시 소거가 특징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에 대한 기록 호환성을 갖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 또한, 어떤 기록 포맷에만 대응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 별도의 기록 포맷에 대해서도 플라잉 이레이즈를 겸용하는 것, 또한 복수 트랙분 동시 소거를 행하는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는 큰 특이성이 있다. 복수 트랙분에 대해서 동시 소거를 행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별한 이점이 발생한다.
우선,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로 공용하고 있다. 만일, 공통 단일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있어서, 어떤 기록 포맷에 전용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설치하는 동시에 또 다른 기록 포맷에도 전용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설치하게 되면, 즉 회전 헤드 실린더는 소형의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그 작은 회전 헤드 실린더에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개별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설치하는 것은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대폭적인 부담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 사이에서 겸용하도록 구성해 두면,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을 유리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 트랙분 동시 소거 그 자체에 의한 이점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복수 트랙분 동시 소거를 행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는 트랙 폭이 큰 쪽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것이다. 별도의 기록 포맷에서는 그 트랙 폭이 보다 좁게 되어 있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헤드 폭이 별도의 기록 포맷의 트랙 폭의 2 배 이상이면, 본 발명과 같이 복수 트랙분을 그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써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를 행할 수 있다.
헬리컬(helical) 스캔 방식의 헤드 구성은 통상 하나의 기록 포맷에 대해서 회전 헤드 실린더의 1 주에 복수 채널분의 헤드가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 배치는 기록 헤드에 대해서도 그렇고,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해서도 그렇게 되어 있다. 즉,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는 회전 헤드 실린더에 복수 개 배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중 상기 별도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는 하나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만으로 복수 트랙분(복수의 기록 헤드에 정확히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묻지 않음)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게 된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기록 소거는 이 헤드에 대하여 강한 파워의 주파수가 높은 이레이즈 신호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실행된다. 그러나, 나머지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이레이즈 신호 전류의 공급은 불필요해지고, 따라서, 그 만큼,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본원 제1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제1 발명에 의한 작용에 대하여는 상기의 [발명의 개시]항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된다.
본원 제2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상기 제1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즉, 기록용 등화기로서 단순히 1 종류의 등화기가 아니라 기록 포맷의 종류수에 따라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의 복수의 등화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 종류의 기록용 등화기를 판별시키기 위한 포맷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즉, 표현상으로는 「제1종」과 「제2종」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표현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서 그와 같이 기술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즉, 기록용 등화기의 종류수가 2 종류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3 종류 이상의 경우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맷 판별부」에 대해서는 상기의 [발명의 개시]항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이 제2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여, 그 판별 결과를 등화 특성 선택부에 제공한다. 등화 특성 선택부는 제공된 판별 결과에 따라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한다. 즉, 판별 결과가 제1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하고, 판별 결과가 제2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3 발명인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 및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상기 등화 특성 선택부와의 사이에 각각 제1종의 기록용 증폭기 및 제2종의 기록용 증폭기가 개별적으로 개입되어 있고, 상기 제1종의 기록용 증폭기 및 상기 제2종의 기록용 증폭기의 각각에 제1종의 전류 제어부 및 제2종의 전류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3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그 기록 호환성을 갖는 자기 기록 장치는 항자력 등의 자화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자기 테이프를 이용하게 되지만, 그 자화 특성의 차이에 의해 기록 전류의 크기에도 차이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그 기록 전류의 차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테이프가 상대적으로 보다 큰(또는 보다 작은) 기록 전류를 필요로 하는 것일 때에는 제1종의 기록용 증폭기에 대하여 제1종의 전류 제어부로부터 그 비교적 큰(또는 작은) 기록 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지시를 부여한다. 또한,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테이프가 상대적으로 보다 작은(또는 보다 큰) 기록 전류로도 가능할 때에는 제2종의 전류 제어부에서 그 비교적 작은(또는 큰) 기록 전류를 얻을 수 있도록 제2종의 기록용 증폭기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기록 전류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4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ㆍ제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 요소가 회전 헤드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 개의 기록 헤드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부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상기 제2ㆍ제3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즉,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일반적으로 헬리컬 스캔 방식이며, 그것은 회전 헤드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다. 그 회전 헤드 실린더는 1 회전으로 자기 테이프에 대하여 복수의 트랙을 트레이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회전 헤드 실린더에는 복수의 기록 헤드가 장착되게 되지만, 각각의 기록 헤드에 대하여, 상기 제2ㆍ제3 발명에 있어서의 개개의 구성 요소를 개별적으로 대응시켜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반대의 견해를 개진하면, 이 제4 발명의 한정을 하지 않을 때는 본 발명은 회전 헤드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 헤드가 단일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본원 제5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4 발명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에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록 포맷의 차이에 따라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의 종류도 변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아울러 테이프 속도도 변하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포맷은 결국에는 사용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선택하는 동시에 테이프 속도도 사용 테이프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제5 발명은 그것을 기술하고 있다.
회전 헤드 실린더로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회전 헤드 실린더를 이용할 때, 그 기록 헤드의 헤드 폭은 제2종의 기록 포맷에는 직접 대응하지 않는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테이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기록 헤드가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할 때에 오버라이트가 행해지게 되고, 그 오버라이트의 결과로서 트랙 폭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것이 된다.
이 제5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캡스턴 모터 제어계를 제어하여 테이프 속도를 가변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테이프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6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5 발명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에 있어서의 서보용 속도 제어부에서의 목표치 및 위상 제어부에서의 이득 각각을 상기한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상기 제5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이 제6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서보용 속도 제어부에서의 목표치와 함께 서보용 위상 제어부에서의 이득을 기록 포맷 종류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가변한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캡스턴 모터 제어계에 있어서의 서보용의 속도 제어부에서의 목표치 및 위상 제어부에서의 이득을 가변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캡스턴 서보를 기능시키면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테이프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7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한 제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부에서 가변하는 목표치의 대상이 FG 오차 검출부이고, 상기 위상 제어부에서 가변하는 이득의 대상이 ATF 오차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FG」는 주파수 신호 발생기(Frequency Generator)이며, 「ATF」는 자동 트랙 검지(Automatic Track Finding)이다. 이것은 상기 제6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그런데, 상기 제5 발명에 대해서 반대의 견해를 개진하면, 이 제5 발명의 한정을 하지 않을 때에는 본 발명은 기록 포맷을 달리하는 복수 종류의 사용 테이프의 상호간에서 테이프 속도를 변화시키지 않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것이 다음에 기술하는 제8 발명이다.
본원 제8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4 발명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에 대해서는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의 여하에 관계없이 가변을 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제8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이것은 사용 테이프를 바꿨을 때에 등화 특성에 대해서는 그 사용 테이프에 따라 가변하지만, 테이프 속도에 대해서는 원래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경우, 재생 호환성은 잃게되지만 기록 호환성에 대해서는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1종의 기록 포맷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에는 제1종의 자기 테이프로 기록하고 있었던 것을 제2종의 자기 테이프로 전환했다고 하자. 이 경우에, 등화 특성에 대해서는 제2종의 등화 특성으로 전환하지만, 테이프 속도에 대해서는 제1종의 기록 포맷의 경우인 채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된 제2종의 자기 테이프에 있어서는 물론 기록 호환성은 확보되고, 또한, 그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재생하는 한은 재생 호환성도 확보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는 반대로 제2종의 기록 포맷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에는 제2종의 자기 테이프로 기록하고 있었던 것을 제1종의 자기 테이프로 전환했다고 하자.이 경우에, 등화 특성에 대해서는 제1종의 등화 특성으로 전환하지만, 테이프 속도에 대해서는 제2종의 기록 포맷의 경우인 채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된 제1종의 자기 테이프에 있어서는 물론 기록 호환성은 확보되고, 또한, 그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재생하는 한은 재생 호환성도 확보되고 있다.
본원 제9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8 발명에 있어서, 릴 제어계에서 제어되는 테이프 장력을 상기 기록 포맷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 포맷의 차이에 따라 바꾸게 되는 복수 종류의 자기 테이프 상호간에서는 그 테이프 두께도 변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테이프 장력도 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포맷은 결국에는 사용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선택하는 동시에 테이프 장력도 사용 테이프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제9 발명은 그것을 기술하고 있다.
이 제9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릴 제어계를 제어하여 테이프 장력을 가변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테이프 장력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0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릴 제어계에서의 테이프 장력의 가변을 공급측 장력 센서에 대한 오차 증폭기에 관한 목표 전압의 전환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상기 제9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본원 제11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10 발명에 있어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에서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한 이레이즈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자기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 항자력 등의 자화 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기록 포맷에 따라서는 테이프 두께 방향에서의 깊은 곳까지 기록이 행해지는 소위 심층 기록이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주파수가 비교적 낮은 신호는 심층 기록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신호로서, 예컨대 트래킹 서보의 기본이 되는 ATF(오토 트랙 파인딩)를 위한 파일럿 신호를 들 수 있다. 그러한 심층 기록이 이미 행해지고 있을 때에 다음 기록에 있어서, 기록에 선행하여 심층 기록 신호를 확실하게 소거하기 위해서는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자기 테이프의 종류에 따라서는 또한, 기록 포맷에 따라서는 그러한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이 제11의 발명은 이러한 플라잉 이레이즈의 필요 불필요의 차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제11 발명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플라잉 이레이즈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레이즈 신호의 공급을 행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이레이즈 신호의 공급을 행할 때에 기록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레이즈 신호의 공급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플라잉 이레이즈의 필요와 불필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2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11 발명에 있어서, 제어 헤드 제어계에 있어서의 제어 헤드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록 포맷에 따라서는 제어 트랙의 개념이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주로 ATF(오토 트랙 파인딩)를 행하고 있는 기록 포맷의 경우이다. 그러나, ATF와 함께, 또는 ATF 대신에 제어 트랙에의 제어 신호의 기록으로써 테이프 위치 및 트랙 위치의 검출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기록 포맷도 있다. 예컨대, 자기 테이프를 정지시킨 상태로부터 주행을 시작했을 경우에, 온 트랙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ATF만으로는 응답성이 나빠진다. 그래서, 제어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면 트래킹 서보의 인입을 순식간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을 빨리 해두고, 계속해서 ATF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트래킹의 정밀도를 좋게 하면서, 상승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 제12 발명은 이러한 제어 신호 기록의 필요 불필요의 차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제12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 기록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 신호의 공급을 행하거나 또는 차단한다. 제어 신호의 공급을 행할 때에는 상기 트래킹 서보의 인입을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어 신호의 공급을 행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제어 신호 기록의 필요와 불필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3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12 발명에 있어서, 큐 제어계에 있어서의 큐 헤드에 대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록 포맷에 따라서는, 큐 트랙의 개념이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주로 민생용에 대응한 기록 포맷의 경우이다. 그러나, 업무 대응의 기록 포맷에 있어서는 편집시의 인서트 포인트의 서치를 재생 음성으로 행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큐 트랙에도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기록해 두는 것이 있다. 이 제13 발명은 이러한 큐 신호 기록의 필요 불필요의 차이에 대응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제13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큐 트랙으로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기록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공급을 행하거나 또는 차단을 행한다. 아날로그 음성 신호의 공급을 행할 때에는 상기 큐 재생을 양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아날로그 음성 신호 기록의 필요와 불필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4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제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포맷이 DVCPRO 포맷과 DV 포맷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 제14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용이 있다. 즉, DVCPRO 포맷과 DV 포맷과의 기록 호환성을 실현한다.
DV 포맷 대응의 자기 테이프는 비용이 염가이고, 일반 매장 등에서도 판매하고 있기 때문에 입수가 용이하며, 운용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 DV 테이프를 이용하여 DV 포맷 기록을 행한 것을 일반적인 민생용 재생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그 자기 기록 장치가 재생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민생용 디지털 기록 기기를 이용하여 기록한 자기 테이프를 DV 포맷 모드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그 1 대의 장치로 DV 테이프에서의 기록도 DVCPRO 테이프에서의 기록도 함께 가능해지고, 초기 비용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소재 등급 등의 조건에 따라 DVCPRO 포맷 기록과 DV 포맷 기록을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DVCPRO 테이프에서의 촬영을 행하고 있을 때에 DVCPRO 테이프가 없을 때에는 급히, DV 테이프로 전환하여 촬영을 계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실사용에서의 편리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게 된다.
또한, 안성마춤인 것은 DVCPRO 포맷 기록 재생을 위한 회로 구성과 DV 포맷기록 재생을 위한 회로 구성에는 큰 공통성이 있고, 본 발명의 양 포맷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회로 규모의 증대화는 별로 대단한 것은 아니고, 상기와 같은 비약적인 편리성의 확장을 가져오는 것을 고려하면 비용 상승의 증대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원 제15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회전 헤드 실린더에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의 각각에 알맞은 헤드 폭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하고 있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 포맷에 대응한 개별적인 등화 특성의 기록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기록 헤드에 입력하도록 구성해 두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의 [발명의 개시]항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된다.
본원 제16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1종의 기록 헤드 및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2종의 기록 헤드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를 배반적으로 전환하는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15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즉,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포맷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부가하여 헤드 폭을 달리하는 제1종의 기록 헤드와 제2종의 기록 헤드를 동일한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고, 또한,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설치하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대응하는 기록 헤드의 계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대응하는 기록 헤드의 계를 배반적으로 온/오프 전환한다.
이 제16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를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에 부여한다.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는 주어진 판별 결과에 따라 기록용 등화기 및 기록 헤드를 선택한다. 즉, 판별 결과가 제1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를 선택하고, 판별 결과가 제2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종의 기록 헤드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의 것으로, 제2종의 기록 헤드는 제2종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을 갖기 때문에, 각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 특성이 함께 최적의 것이 된다. 또한, 제1종 및 제2종의 기록 헤드를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기 때문에, 공간면, 비용면이 유리해지는 동시에 오버라이트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7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5ㆍ제16의 발명에 있어서,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에서의 PG 오차 검출에 대한 위상 기준 신호를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PG」는 펄스 신호 발생기(Pulse Generator)이다.
이 제17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헤드 폭을 달리하는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는 경우, 통상은 그 탑재의 부착 위치가 회전 헤드 실린더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벗어나게 된다. 즉, 부착 위상이 다르다. 한편, 영상 신호 처리부로부터 송신되는 기록 신호의 타이밍이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에서 같다고 하면,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의 PG 오차 검출에 기초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회전 위상에 대한 제어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 사이에서 아무것도 조정하지 않기로 하면,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가 회전 헤드 실린더에서 부착 위상을 달리한다고 하는 물리적인 차이를 흡수할 수 없고, 한쪽 기록 포맷으로 소망한 바와 같은 기록 패턴에서의 기록을 행하여도 다른 쪽 기록 포맷에서는 기록 헤드가 테이프를 트레이스하는 타이밍과 공급되는 기록 신호의 타이밍이 매칭하지 않고, 소망한 바와 같은 기록 패턴에서의 기록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해결하는데, 별도의 사고 방식으로서, 영상 신호 처리부에서 각 기록 헤드에 이르기까지의 회로에 기록 신호에 대한 지연부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면 회로 변경이 부득이하다.
그래서, 이 제17 발명과 같이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에 있어서의 PG 오차 검출에 대한 위상 기준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도록 하면, 즉, 조정된 위상 기준 신호에 기초하여 회전 헤드 실린더의 회전 위상의 제어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회로 변경을 수반하지 않고 타이밍을 매칭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어느 쪽 기록 포맷에 있어서도 소망한 바와 같은 기록 패턴으로 기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원 제18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5∼제17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로 기록을 행하는 상태로, 동시에 제2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고, 상기 제1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가 트레이스한 직후의 기록 트랙을 상기 재생 헤드로서의 상기 제2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에 의해 트레이스하여 기록과 병행하여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록 재생 병행 모드에 대한 것이다.
어떤 기록 포맷으로 기록과 병행하여 재생을 행하도록 하는 경우, 통상은 그 기록 포맷에서의 전용의 동시 재생 헤드를 장착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회전 헤드 실린더에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면에서도 공간면에서도 비용면에서도 곤란성이 증가한다. 그래서, 별도의 기록 포맷의 기록 헤드를 동시 재생 헤드로서 겸용함으로써, 전용의 동시 재생 헤드의 필요성을 없애고,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기술면이나 공간면 및 비용면을 유리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19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에 대하여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이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써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소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음 사항에 유의해야 한다. 즉, 표현 상으로는 「제1종」과 「제2종」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이것은 표현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그와 같이 기술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즉, 기록 포맷의 종류수가 2 종류인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3 종류 이상의 경우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이 제19 발명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는 상기의 [발명의 개시]항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것이 된다.
본원 제20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9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보다 폭이 좁은 트랙 폭에서의 기록으로 겸용하는 것을 오버라이트로써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겸용하여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19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이 제20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즉, 회전 헤드 실린더로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회전 헤드 실린더를 이용할 때, 그 기록 헤드의 헤드 폭은 제2종의 기록 포맷에는 직접 대응하지 않는 것이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테이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기록 헤드가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할 때에 오버라이트가 행해지게 되고, 그 오버라이트의 결과로서 트랙 폭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것이 된다. 한편,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캡스턴 모터 제어계를 제어하여 테이프 속도를 가변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테이프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일, 회전 헤드 실린더에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의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적인 기록 헤드를 설치하게 되면, 즉 회전 헤드 실린더는 소형의 것이 바람직한 것이기 때문에 그 작은 회전 헤드 실린더에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개별적인 기록 헤드를 설치하는 것은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대폭적인 부담 증가가 된다. 이에 대하여, 이 제20 발명과 같이 기록 헤드를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 사이에서 겸용하도록 구성해 두면,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을 유리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는 헤드 폭이 큰 것으로서, 제2종의 기록 포맷의 트랙 폭은 제1종 트랙 폭보다도 좁게 되어 있다. 그래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광폭의 기록 헤드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도 겸용하는 것에 있어서, 오버라이트를 행함으로써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로 폭이 좁은 트랙 폭의 기록 트랙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있어서, 기록에 선행하는 플라잉 이레이즈에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광폭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겸용하도록 하고, 또한 단순히 이것에 그치지 않고,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기 때문에 매우 합리적인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제1종 및 제2종의 기록 포맷으로 플라잉 이레이즈를 겸용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것으로서, 그 헤드 폭은 큰 것으로 되어 있다. 그 제1종의 기록 포맷 대응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는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 헤드에 의한 기록에 선행하여 기록 소거를 한다.
이 겸용하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헤드 폭이 제2종의 기록 포맷의 트랙 폭의 2 배 이상이면, 복수 트랙분을 그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써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하나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복수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중의 하나 이외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해서는 파워가 강하고 주파수가 높은 이레이즈 신호 전류의 공급을 불필요하게 하여, 그 만큼 소비 전력이 삭감되게 된다.
본원 제21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0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1)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헤드 폭(Fw1)과, 상기 오버라이트의 트레이스 폭(Ow)과의 사이에,
의 관계를 갖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20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3을 변형하면,
가 된다. 또한, 수학식 2를 변형하면,
가 된다. 이에 따라, 한정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2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0ㆍ제21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20ㆍ제21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즉, 기록용 등화기로서, 단순히 1 종류의 등화기가 아니라, 기록 포맷의 종류수에 따라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의 복수의 등화기를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 종류의 기록용 등화기를 판별시키기 위한 포맷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있어서의 어느 하나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2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를 등화 특성 선택부에 부여한다. 등화 특성 선택부는 주어진 판별 결과에 따라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한다. 즉, 판별 결과가 제1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하고, 판별 결과가 제2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 및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3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9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에 대하여 보다 좁은 트랙 폭의 기록을 행하는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을 행하는 것에,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보다 폭이 좁은 헤드 폭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도록 구성해 두는 동시에,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겸용하여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도록 구성해 둔다고 하는 것이다.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오버라이트 후에 유효해지는 트랙의 센터(C)가 기록 헤드의 센터(C0)에서 크게 벗어난 상태가 된다(참조 부호 C, C0에 대해서는 도 15 참조). 기록 헤드의 센터(C0)는 유효 트랙의 단부 가장자리 쪽에 매우 가깝고, 유효 트랙의 센터(C)에서 크게 떨어져 있다. 기록 헤드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향해 나오는 자속은 기록 헤드의 센터(C0)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며, 센터(C0) 부근에서의 자속의 변화가 가장 기록 전류의 변화에 충실하다. 센터(C0)에서 떨어질수록 오차가 혼입된 상태의 자기 기록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버라이트에 의한 센터 이탈은 자기 기록 정밀도에서 보면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즉, 상기 제20 발명에 있어서는 오버라이트를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제23의 발명의 경우에서는 각 기록 포맷마다 최적의 기록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헤드 폭은 어느 쪽의 기록 포맷이라도 최적의 것이 되고, 오버라이트를 행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버라이트에 의한 센터 이탈이 해소되고, 항상 기록 헤드의 센터와 기록 트랙의 센터가 일치하는 상태에서 자기 기록이 실행되며, 자기 기록 정밀도가 매우 양호한 것이 된다.
특히, 기록 헤드는 기록 포맷마다 그 헤드 폭을 비롯한 사이즈ㆍ형상, 방위각, 헤드 갭의 형상ㆍ치수, 코어의 재질, 결정 구조, 코일 권수, 내마모성, 투자율, 포화 자속 밀도, 항자력, 고주파 자기 특성, 표면 평활도 등이나 합리적인 비용, 생산성 등의 여러 가지 항목에서 차이가 인정된다. 따라서, 1 종류의 헤드를 겸용하여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기록 특성은 최적의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이 제23 발명과 같이 각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특성을 각각의 기록 포맷으로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만일, 각 기록 포맷마다 회전 헤드 실린더를 복수 설치하게 되면,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대폭적으로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이 제23 발명과 같이,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각 기록 포맷마다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두면,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을 유리하게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4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3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1)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2)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폭(Fw1)과의 사이에,
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23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한 것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8을 변형하면,
가 된다. 이에 따라,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5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23ㆍ제24 발명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1종의 기록 헤드 및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2종의 기록 헤드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를 배반적으로 전환하는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즉,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포맷 판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부가하여, 헤드 폭을 달리하는 제1종의 기록 헤드와 제2종의 기록 헤드를 동일한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고, 또한,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설치하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대응하는 기록 헤드의 계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대응하는 기록 헤드의 계를 배반적으로 온/오프 전환한다.
이 제25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를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에 부여한다.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는 주어진 판별 결과에 따라 기록용 등화기 및 기록 헤드를 선택한다. 즉, 판별 결과가 제1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를 선택하고, 판별 결과가 제2종의 기록 포맷인 것을 나타내고 있을 때에는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종의 기록 헤드는 제1종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의 기록 헤드이고, 제2종의 기록 헤드는 제2종의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의 기록 헤드이기 때문에, 각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 특성이 함께 최적의 것이 된다. 또한, 제1종 및 제2종의 기록 헤드를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하기 때문에, 기술면, 공간면, 비용면에서 유리해지는 동시에, 상기 제20 발명과 같은 오버라이트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6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9∼제25 발명에 있어서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제어계에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한 이레이즈 신호를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도 공급하도록 구성해 둔다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반대의 견해를 개진하면,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는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지 않는 모드도 행하는 모드도 함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본원 제27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9∼제25 발명에 있어서의 캡스턴 모터 제어계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한다고 하는 것이다.
기록 포맷의 차이에 따라 사용하는 자기 테이프의 종류도 변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아울러, 테이프 속도도 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록 포맷은 결국에는 사용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을 선택하는 동시에, 테이프 속도도 사용 테이프에 따라 가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구성은 그것을 기술하고 있다.
이 제27 발명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포맷 판별부는 기록 포맷이 어떤 포맷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그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캡스턴 모터 제어계를 제어하여 테이프 속도를 가변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종류에 따른 등화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고, 또한 테이프 종류에 따른 테이프 속도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 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원 제28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는 상기 제15∼제27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록 포맷이 DVCPRO 포맷과 DV 포맷이라고 하는 것이다. DVCPRO 포맷과 DV 포맷과의 기록 호환성을 실현하는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정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의한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에 기초한 소비전력 삭감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본원 제29의 발명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상기 제1∼제28 발명의 자기 기록 장치의 기능에 부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포맷으로 기록된 자기 테이프에 대한 재생 호환성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다.
이 제29 발명에 따르면 기록 호환성뿐만 아니라 재생 호환성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기록 포맷으로서 DVCPRO 포맷과 DV 포맷의 재생 호환성 및 기록 호환성을 갖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미리, 재생 호환 및 기록 호환을 위해 필요하게 되는 조건에 관해서 설명해 둔다.
2 개 이상의 기록 포맷으로서 서로 다른 자화 특성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즉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와 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의 쌍방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경우, 그 2 개 이상의 포맷 사이에서 기록 및 재생의 호환을 취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자기 테이프에 있어서의 자기 기록의 특성을 배려해야 한다. 즉, 등화 특성이 각 테이프에 맞지 않으면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정상적인 또는 양호한 품질의 기록 재생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대응이 기본이 된다.
덧붙여, 스틸 모드로 자기 테이프 상의 기록 패턴이 동일하게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각 포맷에 대해서 테이프 상의 트랙의 기울기가 같아질 필요가 있고, 그와 같이 되도록 하부 실린더의 트랙각(리드각)이나 실린더 직경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DV 포맷과 DVCPRO 포맷의 경우, 실린더의 회전수(9000 회전)와 실린더 직경(21.7 ㎜)이 같고, 하부 실린더의 트랙각(9.15°), 헤드 배치도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DV 포맷과 DVCPRO 포맷은 스틸 상태로 테이프 상의 기록 패턴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별도의 각도로부터 고찰하면, 테이프 패턴이 동일해지면, 실린더 직경, 하부 실린더 트랙각, 회전 속도, 헤드 배치 등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다음에, DV 포맷 및 DVCPRO 포맷에 대한 테이프 속도와 트랙 피치와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DV 포맷의 경우에는 테이프 속도가 18.83 ㎜/sec로 되어 있다. 테이프가 스틸 상태로부터 상기 속도로 주행하기 시작하면, 트랙의 기울기가 스틸의 경우의 9.15°에서 9.1668°까지 되게 된다. 단, 이 수치는 무장력시의 값이며, 장력을 건 경우에는 약간의 차이가 생긴다. 다음의 헤드가 테이프에 맞닿은 위치를 계산하면, 스틸시에 트레이스하고 있었던 트랙의 센터에서 다음 트랙의 센터까지가 10 ㎛가 된다. 테이프가 이 속도로 계속해서 주행하면, 10 ㎛마다 테이프 상에 다음 트랙이 기록되어 가게 된다. DV 포맷의 트랙 피치 10 ㎛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되게 된다.
다음에, DVCPRO 포맷의 경우에는 테이프 속도가 33.82 ㎜/sec이기 때문에 스틸시의 트랙의 기울기(9.15°)에서 9.1784°까지 되게 된다. 이 때에 다음 헤드가 테이프에 맞닿은 위치를 계산하면, 스틸시에 트레이스하고 있었던 위치에서 18 ㎛만큼 뒤에 오게 된다. 테이프가 이 속도로 계속해서 주행하면, 18 ㎛마다 테이프 상에 다음 트랙이 기록되어 가게 된다. DVCPRO 포맷의 트랙 피치 18 ㎛는 이와 같이 하여 결정되게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기록 호환성 및 재생 호환성을 위해서는 각 포맷의 트랙피치를 얼마로 할 것인지에 기초하여 테이프 속도가 결정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즉, DVCPRO 포맷 대응의 회전 헤드 실린더를 기준으로 할 때에는 33.82 ㎜/sec의 테이프 속도로 기록을 행하면, 트랙각 약 9.17°로 트랙 폭 18 ㎛의 기록 트랙으로써 DVCPRO 포맷 기록을 행할 수 있고, 18.83 ㎜/sec의 테이프 속도로 기록을 행하면, 거의 동일한 트랙각으로 트랙 폭 10 ㎛의 기록 트랙으로써 DV 포맷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8 발명에 대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록에 대해서만 테이프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만이라면, 테이프 속도는 임의로 할 수 있고, 예컨대 포맷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테이프 속도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최상의 양호한 형태를 제1 실시예로 하고, 그 제1 실시예에 관계되는 디지털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해 나간다. 또, 제1 실시예∼제3 실시예는 DV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형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기록계(1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그 재생계(2000)의 블록도, 도 3은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의 블록도, 도 4는 릴 제어계(4000)의 블록도, 도 5는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블록도, 도 6은 제어 헤드 제어계(6000)의 블록도, 도 7은 큐 제어계(7000)의 블록도, 도 8은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블록도, 도 9는 포맷 판별부의 블록도, 도 10은 포맷 지정시의 화면 표시 상태도, 도 11은 DVCPRO 포맷에 대응한 회전 헤드 실린더의 구성도, 도 12는 그 회전 헤드 실린더의 측면 전개도, 도 13은 DVCPRO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14는 일반적인 DV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15는 오버라이트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계(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아날로그/디지털 인터페이스, 12는 셔플링 처리부, 13은 셔플 메모리, 14는 DCT부(이산 코사인 변환부), 15는 적응 양자화부, 16은 가변 길이 부호화부, 17은 오류 정정ㆍ디셔플링 처리부, 18은 디셔플 메모리, 19는 24-25 변조부, 20은 버퍼, 21p는 DVCPRO 포맷용의 제1 기록용 등화기, 22p는 DVCPRO 포맷용의 제1 기록용 증폭기, 23p는 DVCPRO 포맷용의 제1 전류 제어부, 24p는 DVCPRO 포맷용의 제2 기록용 등화기, 25p는 DVCPRO 포맷용의 제2 기록용 증폭기, 26p는 DVCPRO 포맷용의 제2 전류 제어부, H(REC1)는 제1 기록 헤드, H(REC2)는 제2 기록 헤드, 30은 영상 신호 처리부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0)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21d는 DV 포맷용의 제1 기록용 등화기, 822d는 DV 포맷용의 제1 기록용 증폭기, 823d는 DV 포맷용의 제1 전류 제어부, 824d는 DV 포맷용의 제2 기록용 등화기, 825d는 DV 포맷용의 제2 기록용 증폭기, 826d는 DV 포맷용의 제2 전류 제어부, 27은 제1 등화 특성 선택부, 28은 제2 등화 특성 선택부,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영상 신호 처리부(30)는 DVCPRO 포맷과 DV 포맷에서 공용으로 되어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30)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데이터는 버퍼(20)를 통해 4 개의 계통으로 공급된다.
제1 계통에서는 DVCPRO용의 제1 기록용 등화기(21p)에 공급되어 등화되고, 다음 제1 기록용 증폭기(22p)에 공급되어 제1 전류 제어부(23p)에 의해 기록 전류의 제어가 행해지며, 제1 등화 특성 선택부(27)로 출력된다.
제2 계통에서는 DVCPRO용의 제2 기록용 등화기(24p)에 공급되어 등화되고, 다음 제2 기록용 증폭기(25p)에 공급되어 제2 전류 제어부(26p)에 의해 기록 전류의 제어가 행해지며, 제2 등화 특성 선택부(28)로 출력된다.
이들 기록용 등화기(21p, 24p), 기록용 증폭기(22p, 25p) 및 전류 제어부(23p, 26p)는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3 계통에서는 DV용의 제1 기록용 등화기(821d)에 공급되어 등화되고, 다음 제1 기록용 증폭기(822d)에 공급되어 제1 전류 제어부(823d)에 의해 기록 전류의 제어가 행해지며, 제1 등화 특성 선택부(27)로 출력된다.
제4 계통에서는 DV용의 제2 기록용 등화기(824d)에 공급되어 등화되고, 다음 제2 기록용 증폭기(825d)에 공급되어 제2 전류 제어부(826d)에 의해 기록 전류의 제어가 행해지며, 제2 등화 특성 선택부(28)로 출력된다.
이들 기록용 등화기(821d, 824d), 기록용 증폭기(822d, 825d) 및 전류 제어부(823d, 826d)는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포맷 판별부(8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는 현재의 기록 모드가 DVCPRO 포맷 기록인지 아니면 DV 포맷 기록인지의 판별을 행하고, 그 판별 결과에 따른 포맷 판별 신호(Sf)를 각부로 출력한다.
포맷 판별부(800)는 도 1의 기록계(1000)뿐만 아니라, 도 2의 재생계(2000), 도 3의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 도 4의 릴 제어계(4000), 도 5의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 도 6의 제어 헤드 제어계(6000), 도 7의 큐 제어계(7000)에도 접속되어 있다.
포맷 판별부(800)의 구체적 구성, 동작에 대해서는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포맷 판별 신호(Sf)의 출력처는 도 1의 블록 구성에 있어서는 제1 등화 특성 선택부(27)와 제2 등화 특성 선택부(28)이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의 기술 방법으로서,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를 "Sf(dvcpro)"라 기재하고,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를 "Sf(dv)"라 기재하는 것으로 한다.
포맷 판별 신호(Sf)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등화 특성 선택부(27, 28)는 DVCPRO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22p, 25p)로부터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고,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로 출력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에 따라 제1 기록 헤드 H(REC1)와 제2 기록 헤드 H(REC2)가 교대로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하게 되고, 이들 양 기록 헤드 H(REC1), H(REC2)에 의해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상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해 나간다.
이상과 같이 하여, 포맷 판별부(800)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CPRO 포맷 기록 및 그 자기 테이프인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기록용 등화기(21p, 24p), 기록용 증폭기(22p, 25p) 및 전류 제어부(23p, 26p)가 결과로서 선택되고, 그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상태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가 제1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포맷 판별 신호(Sf)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등화 특성 선택부(27, 28)는 DV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822d, 825d)로부터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선택하여,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맷 판별부(800)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 포맷 기록 및 그 자기 테이프인 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기록용 등화기(821d, 824d), 기록용 증폭기(822d, 825d) 및 전류 제어부(823d, 826d)가 결과로서 선택되고, 그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상태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가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에 공급되게 된다.
재생계(2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H(PB1)는 제1 재생 헤드, H(PB2)는 제2 재생 헤드, 41은 제1 헤드 증폭기, 42는 제2 헤드 증폭기, 43은 재생 증폭기, 44는 AGC부(자동 이득 제어부), 45p는 DVCPRO 포맷용의 재생용 등화기, 46d는 DV 포맷용의 재생용 등화기, 47은 등화 특성 선택부, 48은 24-25 복조부, 49는 오류 정정ㆍ셔플링 처리부, 50은 셔플 메모리, 51은 가변 길이 복호화부, 52는 역적응 양자화부, 53은 역DCT부, 54는 디셔플링 처리부, 55는 디셔플 메모리, 56은 D/A 변환부, 60은 영상 신호 처리부, 800은 포맷 판별부이며, 이 도 2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1)와 완전히 동일하다.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3에 있어서, 참조 부호 70은 캡스턴 모터, 71은 FG(Frequency Generator) 증폭기, 72는 FG 검출부, 73은 내부 목표치 카운터, 74는 FG 오차 검출부, 75는 ATF(Automatic Track Finding) 오차 검출부, 76은 ATF 오차 증폭기, 77은 가산기, 78은 오차 증폭기, 79는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 80은 속도 제어부, 85는 위상 제어부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2)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31은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 832는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속도 제어부(80)에 있어서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캡스턴 모터(70)로부터 출력되는 캡스턴 FG 펄스(캡스턴 1회전에 대해 294발)는 캡스턴 FG 증폭기(71)에 공급되어 증폭된 후, FG 검출부(72)에 공급되고, 그 출력이 FG 오차 검출부(74)에서 내부 목표치 카운터(73)의 카운트치와 비교되어, 오차 성분이 출력된다.
위상 제어부(85)에 있어서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RF 회로로부터입력되는 ATF 신호가 ATF 오차 검출부(75)에 공급되고, 트랙 편차량을 검출하여, 그 출력을 ATF 오차 증폭기(76)에 공급한다.
그리고, FG 오차 검출부(74)로부터의 오차 성분과 ATF 오차 검출부(76)로부터의 오차 성분을 가산한 후, 오차 증폭기(78)에 공급하고,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79)에 제어 신호로서 공급하며, 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79)는 캡스턴 모터(70)를 구동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출력될 때에는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831)는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카운터 목표치를 내부 목표치 카운터(73)로 설정한다. 그 카운터 목표치는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큰 값이다. 그것은 DVCPRO 포맷 기록의 테이프 속도(33.82 ㎜/sec)에 대응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1580 Hz(FG 펄스의 1주기의 주파수)로 설정한다.
또한,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832)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일 때에 ATF 오차 증폭기(76)에 대하여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이득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그 이득은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10% 정도 큰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가 출력되었을 때에는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831)는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카운터 목표치를 내부 목표치 카운터(73)에 설정한다. 그 카운터 목표치는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작은 값이다. 그것은 DV 포맷 기록의 테이프 속도(18.83 ㎜/sec)에 대응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879 Hz(FG 펄스의 1주기의주파수)로 설정한다.
이상과 같은 설정은 다음 이유에 의한다. 캡스턴 모터(70)로부터 출력되는 캡스턴 FG 펄스의 수는 캡스턴 1회전에 대해 294발이다. 이것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라도 DV 포맷 기록 모드라도 동일하고, 또한, 테이프 속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이 기준 펄스 1발을 출력하는 데 요하는 시간, 즉 주기가 테이프 속도에 따라 변화된다.
FG 오차 검출부(74)는 캡스턴 FG 펄스의 기준 펄스 1발을 출력하는 데 요하는 시간, 즉 주기를 내부 목표치 카운터(73)로부터의 시간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차이분을 가산기(77)로 출력한다.
또한,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832)는 포맷 판별 신호가 Sf(dv)일 때에 ATF 오차 증폭기(76)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이득을 설정한다. 그 이득은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작은 값이며, 구체적으로는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의 20% 전후 줄인 이득으로 설정한다.
이것은 DVCPRO 포맷 기록일 때에는 MP 테이프를 이용하는 데 대하여 DV 포맷 기록일 때에는 ME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의 사용 테이프의 차이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득이 조정되어 ATF 오차 증폭기(76)로부터 레벨이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적정화된 오차 신호가 가산기(77)에 출력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테이프 속도에 의한 오차 성분과 테이프의 차이에 의한 오차 성분이 가산기(77)에서 종합된다. 그 종합된 오차 성분이 또한 오차증폭기(78)로 증폭되고, 제어 신호로서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79)에 공급되며, 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캡스턴 모터 드라이버(79)는 캡스턴 모터(7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맷 판별부(800)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테이프 속도가 설정되게 된다. 또한, 포맷 판별부(800)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테이프 속도가 설정되게 된다.
릴 제어계(4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310은 공급측 릴 모터, 311은 공급측 FG 증폭기, 312는 공급측 FG 검출부, 320은 권취측 릴 모터, 321은 권취측 FG 증폭기, 322는 권취측 FG 검출부, 330은 권취 직경 연산ㆍ속도 연산부, 313은 공급측 장력 제어 증폭기, 314는 공급측 릴 드라이버, 323은 권취측 장력 제어 증폭기, 324는 권취측 릴 드라이버, 351은 공급측 장력 센서, 352는 장력 센서 증폭기, 354는 오차 증폭기, 355는 가산기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3)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41은 목표 전압 전환 제어부, 842는 목표 전압 출력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권취측 릴 모터(320)로부터의 FG(Frequency Generator) 신호가 권취측 FG 증폭기(321)에 공급되어 증폭된 후, 권취측 FG 검출부(322)에 공급되고, 그 검출 결과가 권취 직경 연산ㆍ속도 연산부(330)에 공급되며, 그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한 결과를 권취측 장력 제어 전압으로서 권취측 장력 제어 증폭기(323)에 공급하고, 권취측 릴 드라이버(324)에 대하여 권취측의 릴 토크 제어 전압으로서 공급한다.권취측 릴 드라이버(324)는 공급된 제어 전압에 기초하여 권취측 릴 모터(320)를 구동한다.
한편, 공급측 릴 모터(310)로부터의 FG 신호가 공급측 FG 증폭기(311)에 공급되어 증폭된 후, 공급측 FG 검출부(312)에 공급되고, 그 검출 결과가 권취 직경 연산ㆍ속도 연산부(330)에 공급되며, 그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한 결과를 공급측 장력 제어 전압으로서 공급측 장력 제어 증폭기(313)에 공급하고, 릴 토크 제어 전압으로서 가산기(355)에 공급한다.
또한, 공급측 장력 센서(351)에 의해 검출된 장력 전압이 장력 센서 증폭기(352)에 의해 증폭되어, 오차 증폭기(354)에 공급된다. 그리고, 오차 증폭기(354)에 있어서, 목표 전압 출력부(842)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측의 장력 목표치의 전압과 검출 장력 전압과의 차이분이 취해져 가산기(355)에 출력된다. 목표 전압 출력부(842)로부터 공급되는 목표 전압은 기록의 포맷이 DVCPRO 포맷인지 DV 포맷인지에 따라 전환된다. 공급측 장력 제어 증폭기(313)로부터 공급된 장력 제어 전압과 오차 증폭기(354)로부터 공급된 장력 제어 전압이 가산기(355)에서 가산되고, 그 가산 결과의 최종의 장력 제어 전압을 공급측 릴 드라이버(314)에 공급측의 릴 토크 제어 전압으로서 공급한다. 공급측 릴 드라이버(314)는 공급된 제어 전압에 기초하여 공급측 릴 모터(310)를 구동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출력될 때에는 목표 전압 전환 제어부(841)는 목표 전압 출력부(842)에 대하여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목표 전압을 출력하도록 지시를 부여한다. 그 목표 전압은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큰 값이다. 그것은 DVCPRO 포맷 기록으로 이용하는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의 테이프 두께가 두껍고, 장력을 보다 크게 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의 목표 전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공급측 출구에서 장력이 52.9 ×10-3N(뉴턴)(5.4 g 중) 정도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로 되어 있을 때에는 목표 전압 전환 제어부(841)는 목표 전압 출력부(842)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목표 전압을 출력하도록 지시를 부여한다. 그 목표 전압은 DVCPRO 포맷 기록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작은 값이다. 그것은 DV 포맷 기록에 이용하는 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의 테이프 두께가 보다 얇기 때문에, 거는 장력은 보다 작아야 하기 때문이다. DV 포맷 기록의 경우의 목표 전압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공급측 출구에서 장력이 44.1×10-3N(뉴턴)(4.5 g 중) 정도에 해당하는 전압을 출력한다.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5에 있어서, 참조 부호 401은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 402는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 403은 제1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404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H(FE1)는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4)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51은 제1 플라잉이레이즈용의 전류 제어부, 852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의 전류 제어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DVCPRO 포맷 기록에 있어서는 그 자기 테이프로서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를 이용한다. 트래킹 서보의 기본이 되는 ATF(오토 트랙 파인딩)를 위한 파일럿 신호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로 테이프에 기록하지만, 주파수가 낮으면 심층 기록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MP 테이프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항자력이 크기 때문에 심층 기록이 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이미 자기 테이프에 기록을 마친 파일럿 신호를 다음 기록에 있어서 기록에 선행하여 확실하게 소거하기 위해서는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할 필요가 있고, 이들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 비교적 강한 파워의, 그리고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이레이즈 신호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출력될 때에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의 전류 제어부(851, 852)는 각각에 대응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를 액티브 생태로 한다.
이 경우,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401)로부터의 고주파 발진 신호를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에 공급하고, 이들 증폭기를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402)로 적절히 제어하면서, 소거용의 고주파 전류를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 공급한다.
이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는, 그 자기 테이프로서 ME 테이프를 이용한다. ME 테이프는 그 항자력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는 특성으로부터 MP 테이프에 비하여 심층 기록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단순한 겹쳐 쓰기 기록을 행할 뿐이며, 이미 기록을 마친 파일럿 신호를 소거하면서 새로운 기록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DV 포맷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플라잉 이레이즈는 행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가 출력될 때에는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의 전류 제어부(851, 852)는 각각에 대응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를 인액티브(부동작)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로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는 소거용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이레이즈 신호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의 전류 차단을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의 정지로 행하는 대신에,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401)를 정지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전류 경로 중 어느 지점에 스위치를 삽입해 두고, 그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DVCPRO 포맷 기록시와 DV 포맷 기록시에 플라잉 이레이즈의 온/오프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조건에 따라서는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을 확실하게 소거하고 싶을 때에는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에는 별도의 연산 처리를 통하여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어 헤드 제어계(6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6에 있어서, 참조 부호500은 서보 마이크로 컴퓨터, 501은 제어용 발진기, 502는 제어용 증폭기, 503은 제어용 재생 증폭기, H(CTL)는 제어 헤드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5)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61은 제어용 발진기 제어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민생용에 대응한 DV 포맷 기록에 있어서는 제어 트랙의 개념이 없다. VHS로서는 트래킹 서보 때문에 제어 트랙의 규격이 있지만, DV 포맷에 있어서는 ATF(Automatic Track Finding)를 위한 파일럿 신호를 기록 트랙에 대한 심층 기록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 트랙을 불필요하다고 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업무 대응의 DVCPRO 포맷에 있어서는 ATF(오토 트랙 파인딩)에 상기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는 것 외에 제어 트랙에 기록한 트래킹 서보용의 제어 신호도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은, 예컨대 자기 테이프를 정지시킨 상태로부터 주행을 시작한 경우에, 온 트랙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ATF만으로는 응답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제어 트랙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면, 트래킹 서보의 인입을 순간에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승을 빨리 해두고, 계속해서 ATF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전체로서 트래킹의 정밀도를 좋게 하면서, 상승을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조건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게 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출력될 때에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같이 제어용 발진기 제어부(861)는 제어용 발진기(501)를 액티브 상태로 한다. 서보 마이크로 컴퓨터(50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제어용 발진기(501)로 변조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증폭기(502)를 통해 제어 헤드 H(CTL)로부터 자기 테이프의 제어 트랙에 제어 신호를 기록한다.
또한, 재생시에는 제어 헤드 H(CTL)로부터의 신호를 제어용 재생 증폭기(503)를 통해 서보 마이크로 컴퓨터(500)에 공급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가 출력될 때에는 제어용 발진기 제어부(861)는 제어용 발진기(501)를 인액티브(부동작)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로서, 제어 헤드 H(CTL)에의 제어 신호의 공급은 없어지고, 자기 테이프의 제어 트랙에는 제어 신호의 기록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제어용 발진기(501)의 발진을 정지하는 대신에 제어용 증폭기(502)를 정지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전류 경로 중 어느 지점에 스위치를 삽입해 두어 그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DVCPRO 포맷 기록시와 DV 포맷 기록시에 제어 신호 기록의 온/오프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큐 제어계(7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601은 오디오 아날로그부, 602는 큐용 기록 증폭기, 603은 바이어스용 발진기, 604는 가산기, H(CUE)는 큐 헤드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6)와 마찬가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71은 발진기 제어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민생 대응의 DV 포맷 기록에 있어서는 큐 트랙의 개념이 없다. 이것에 대하여, 업무 대응의 DVCPRO 포맷에 있어서는 편집시의 인서트 포인트의 서치를 재생 음성으로 행한다. 빨리 감기(FF)나 되감기(REW)의 서치 동작일 때에, 기록 트랙으로부터 재생한 PCM 기록에 의한 음성 신호는 도중에서 끊기게 된다.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서 큐 트랙에도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기록해 둔다. 아날로그 기록이기 때문에 서치 동작일 때의 큐 헤드 H(CUE)로부터의 재생 음성 신호에 도중에서 끊기는 일이 없어진다.
이상과 같은 조건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하게 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출력될 때에는, 발진기 제어부(871)는 바이어스용 발진기(603)를 액티브 상태로 만든다. 그렇게 하면,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디오의 아날로그 신호를 큐용 기록 증폭기(602)에 공급하고, 바이어스용 발진기(603)로부터의 바이어스 발진 신호를 가산하여 큐 헤드 H(CUE)로부터 자기 테이프 상의 큐 트랙에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를 기록한다.
이에 대하여,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가 출력될 때에는, 발진기 제어부(871)는 바이어스용 발진기(603)를 인액티브(부동작)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로서, 큐 헤드 H(CUE)에의 음성 신호의 공급은 없어지고, 자기 테이프의 큐 트랙에는 음성 신호의 아날로그 기록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또, 바이어스용 발진기(603)의 발진을 정지하는 대신에, 큐용 기록 증폭기(602)를 정지하는 것이어도 좋고, 또는 전류 경로 중의 어느 지점에 스위치를 삽입해 두어 그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DVCPRO 포맷 기록시와 DV 포맷 기록시에 큐 기록의 온/오프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8은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지만, 이 구성은 종래 기술의 경우인 도 37과 동일하다.
도 9는 포맷 판별부(8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참조 부호 801은 메뉴 조작부, 802는 메뉴 판정부, 803은 제어부, 804는 메뉴 표시 제어부, 805는 메뉴 표시부이다. 도 10은 메뉴 표시부(805)에 표시되는 메뉴 표시의 일례를 도시한다.
메뉴 조작부(801)에 의해 메뉴 화면의 설정치를 변화시켜 그 정보를 메뉴 판정부(802)에 공급하고, 그 판정 결과를 제어부(803)에 공급한다. 제어부(803)에서는 메뉴 판정부(802)의 결과에 따라 메뉴 표시 제어부(804)를 통해 메뉴 표시부(805)의 표시를 변경하는 동시에 그에 관련된 제어 신호인 포맷 판별 신호(Sf), 즉, 포맷 판별 신호[Sf(dvcpro)] 또는 포맷 판별 신호[Sf(dv)]를 출력한다.
도 11은 DVCPRO 포맷을 표준으로한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헤드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록 헤드 H(REC1)와 제2 기록 헤드 H(REC2)가 서로 180°이격되어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의 회전하는 상부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부 실린더에 있어서 양 기록 헤드 H(REC1), H(REC2)는 위상을 90°벗어난 위치에 제1 재생 헤드 H(PB1)와 제2 재생 헤드 H(PB2)가 서로 180°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실린더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 각각의 회전 방향 위쪽 바로 근처에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가 장착되어 있다.
도 12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원주 방향으로 전개한 상태에서의 헤드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는 제1 기록 헤드 H(REC1)에 대하여 축심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13의 트랙 패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는 제1 기록 헤드 H(REC1)보다도 2 트랙분만큼 선행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재생 헤드 H(PB1)는 제1 기록 헤드 H(REC1)에 대하여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축심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13의 트랙 패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재생 헤드 H(PB1)는 제1 기록 헤드 H(REC1)보다도 90°분만큼 지연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직경은 21.7 ㎜이며, 그 회전 속도는 DVCPRO 포맷 기록 모드시와 DV 포맷 기록 모드시에 동일한 9000 rpm이다.
도 13은 DVCPRO 포맷의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다. 이하,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참조 부호 950은 자기 테이프, 951은 ITI(Insert and Tracking Information) 섹터, 952는 오디오 섹터, 953은 비디오 섹터, 954는 서브 코드 섹터이다. 955는 제어 트랙, 956은 큐 트랙이다.
ITI 섹터(951)는 인서트 편집을 위한 트래킹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며, 구체적으로는 각 섹터의 위치 정보, 식별 코드(트랙 상의 위치 검출)가 기록된다. 인서트 편집시에 이 ITI 섹터(951)를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로 재생함으로써 정확한 트래킹과 트랙 길이 방향의 정확한 인서트 위치 제어를 실현한다.
오디오 섹터(952)는 디지털의 오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며, 나아가서는 AUX(Audio auxiliary data; 보조/추가)부에 편집의 개시ㆍ종료 신호, 프레임당 샘플수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2 채널로서, NTSC(525/60)에서는 5 트랙마다 각 채널이 교대로 기록된다.
비디오 섹터(953)는 디지털의 비디오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이며, 나아가서는 VAUX(Video auxiliary data; 보조/추가)부에 클로즈드 캡션(자막) 신호 등이 기록된다. 10 트랙에 1 프레임분이 기록된다.
서브 코드 섹터(954)는 타임 코드, 기록 일시(SMPTE/EBU를 표준으로한 테이프 관리 정보)가 기록된다. 고속 재생시에도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다른 섹터에 비하여 싱크 블록 길이를 짧게 하는 동시에 데이터를 중복하여 기록하고 있다.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에 의해 교대로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함으로써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상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해 나간다. 인접하는 트랙끼리는 보호 대역(guard band)이 없는 상태로 밀접해 있다.
도 14는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다. 헬리컬 스캔의 트랙에 대해서는 ITI 섹터(951), 오디오 섹터(952), 비디오 섹터(953), 서브 코드 섹터(954)의 형태가 DVCPRO 포맷과 완전히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DV 포맷에있어서는 DVCPRO 포맷에 있어서의 제어 트랙(955)에 해당하는 영역과 큐 트랙(956)에 해당하는 영역이 옵셔널 트랙으로서 공백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트랙끼리는 보호 대역이 없는 상태로 밀접해 있다.
도 13의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에 있어서는 트랙 폭이 18 ㎛로 되어 있는 데 대하여, 도 14의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에 있어서는 트랙 폭이 10 ㎛로 되어 있다. 트랙 폭이 큰 쪽의 DVCPRO 포맷 쪽이 트래킹 에러가 쉽게 발생하지 않고, 보다 신뢰성이 높다.
도 11, 도 12에 있어서의 DVCPRO 포맷 표준의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는 그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의 헤드 폭이 18 ㎛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재생 헤드 H(PB1), H(PB2)의 헤드 폭은 21 ㎛이며,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의 헤드 폭도 21 ㎛로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DVCPRO 포맷 대응의 18 ㎛의 헤드 폭을 갖는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에서 오버라이트를 행함으로써 DV 포맷 대응의 10 ㎛의 트랙 폭, 10 ㎛의 트랙 피치로 기록을 행하게 된다.
그 때의 테이프 속도는 DV 포맷 표준의 18.83 ㎜/sec이다. 즉,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정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에 있어서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831)에 의한 내부 목표치 카운터(73)에 대한 DV 포맷 대응의 목표치의 설정 및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832)에 의한 ATF 오차 증폭기(76)에 대한 DV 포맷 대응의 이득 설정에 기초하여결정되게 된다.
헤드 폭 18 ㎛의 제1 기록 헤드 H(REC1)가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1)에 대하여, 동일하게 헤드 폭 18 ㎛의 제2 기록 헤드 H(REC2)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홀수 번째의 트랙(971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기록 헤드 H(REC2)가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에 대하여, 제1 기록 헤드 H(REC1)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또한, 제1 기록 헤드 H(REC1)가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에 대하여 제2 기록 헤드 H(REC2)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4)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오버라이트후의 유효해지는 트랙(971a, 972a, 973a)을 보면, 도 14에 도시한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패턴과 동일해진다. 즉, DVCPRO 포맷 표준인 헤드 폭 18 ㎛의 기록 헤드 H(REC1), H(REC2)를 갖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그대로 이용하면서 그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하여 테이프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DV 포맷에서의 기록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등화 특성 조정, 테이프 장력 조정, 플라잉 이레이즈 정지, 제어 신호 정지, 큐 기록 정지를 함께 행한다.
(*1)
다음에, 오버라이트의 경우의 과제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DVCPRO 포맷 대응의 18 ㎛의 헤드 폭을 갖는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REC1), H(REC2)에서 오버라이트를 행함으로써 DV 포맷 대응의 10 ㎛의 트랙 폭, 10 ㎛의 트랙 피치로 기록을 행하게 된다. 그 때의 테이프 속도는 DV 포맷 표준의 18.83 ㎜/sec이다.
헤드 폭 18 ㎛의 제1 기록 헤드 H(REC1)가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1)에 대하여 동일하게 헤드 폭 18 ㎛의 제2 기록 헤드 H(REC2)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홀수 번째의 트랙(971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마찬가지로, 제2 기록 헤드 H(REC2)가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에 대하여 제1 기록 헤드 H(REC1)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짝수 번째의 트랙(972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또한, 제1 기록 헤드 H(REC1)가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에 대하여 제2 기록 헤드 H(REC2)가 계속해서 트레이스한 짝수 번째의 트랙(974)이 8 ㎛만큼 오버라이트(OW) 되고, 결과로서 유효한 홀수 번째의 트랙(973a)의 트랙 폭은 DV 포맷 표준의 10 ㎛가 된다.
오버라이트후의 유효해지는 트랙(971a, 972a, 973a)을 보면, 이것은 DV 포맷기록 모드에서의 기록 패턴과 동일해진다.
이 경우에는, 오버라이트 후에 유효해지는 트랙의 센터(C)가 기록 헤드의 센터(C0)에서 크게 벗어난 상태가 되어 버린다. 그 편차량(Δx)은 실효 트랙 폭 10 ㎛에 대하여 Δx=18/2-10/2=4 ㎛로도 된다. 기록 헤드의 센터(C0)는 유효 트랙의 단부 가장자리 쪽에 매우 가깝고(그 치수는 1 ㎛), 유효 트랙의 센터(C)에서 크게 떨어져 있다. 기록 헤드로부터 자기 테이프를 향해 나오는 자속은 기록 헤드의 센터(C0)에 대하여 좌우 대칭이며, 센터(C0) 부근에서의 자속 변화가 가장 기록 전류의 변화에 충실하다. 센터(C0)에서 떨어질수록 오차가 혼입된 상태에서의 자기 기록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오버라이트에 의한 센터 이탈은 자기 기록 정밀도로부터 보면 이상적이라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2)
이러한 오버라이트에 관계되는 과제에 대하여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각 기록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두기 때문에 오버라이트의 필요성이 없어지고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하, 그 밖의 실시예인 제2 실시예∼제7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대한 기록계(1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그 재생계(2000)의 블록도, 도 18은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블록도, 도 19는 DVCPRO/DV 기록 호환을 위한 이번 신규 제안의 회전 헤드 실린더의 구성도, 도 20은 그 회전 헤드 실린더의 측면 전개도, 도 21은 DVCPRO 포맷의 트랙 패턴도, 도 22는 DV 포맷의 트랙 패턴도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전제적 구성 요건으로서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의 각각에 알맞은 헤드 폭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놓는」것에 대해서 도 19를 이용하여 설명해 둔다.
도 19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헤드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가 서로 180°이격되어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의 회전하는 상부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부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양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와는 위상을 90° 벗어나게 한 위치에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가 서로 180°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 대한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의 장착 위상 편차인 90°는 일례에 불과하다. 이 편차 위상에 대해서는 임의로 정해도 좋은 것이다.
본 제2 실시예의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기록계(1000)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 16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27a는 제1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 28a는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 H(proㆍREC1), H(proㆍREC2)는 각각 상기한 바에 있어서 도 19,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는 각각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이다.
포맷 판별부(800)는 도 18의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도 부가되어 있다.
포맷 판별 신호(Sf)의 출력처는 도 16의 블록 구성의 기록계(1000)에 있어서는 제1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와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8a)이다.
포맷 판별 신호(Sf)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 28a)는 DVCPRO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22p, 25p)와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온 상태로 접속하는 동시에, DV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822d, 825d)와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와의 접속을 오프로 차단한다. 즉, DVCPRO계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동시에, DV계를 반대인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한다. 그러므로, 「배반적」이다.
DVCPRO 포맷 기록 모드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 28a)의 배반적 전환 동작의 결과로서, 제1 및 제2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가 선택된 상태가 된다. 그 결과로서, 도 18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와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가 교대로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하게 되고, 이들 양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 의해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상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해 나간다(도 21 참조).
또한, 이 DVCPRO 포맷 기록 모드일 때의 테이프 속도는 도 3에 도시하는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에 있어서, DVCPRO 포맷을 표준으로한 33.82 ㎜/sec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위상은 도 18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있어서, DVCPRO 포맷을 표준으로한 위상 기준 신호(207)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포맷 판별 신호(Sf)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 28a)는 DV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822d, 825d)와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온 상태로 접속하는 동시에, DVCPRO용의 제1 및 제2 기록용 증폭기(22p, 25p)와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와의 접속을 오프로 차단한다. 즉, DV계를 액티브 상태로 전환하는 동시에, DVCPRO계를 반대의 인액티브 상태로 전환한다.
DV 포맷 기록 모드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전환부(27a, 28a)의 배반적 전환 동작의 결과로서 제1 및 제2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가 선택된 상태가 되고, 도 19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와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가 교대로 자기 테이프를 트레이스하게 되고, 이들 양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에 의해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상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해 나간다(도 22 참조).
또한, 이 DV 포맷 기록 모드일 때의 테이프 속도는 도 3에 도시하는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에 있어서, DV 포맷을 표준으로한 18.83 ㎜/sec로 조정되어 있다. 또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위상은 도 18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있어서, DV 포맷을 표준으로한 90°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포맷 판별부(800)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 28a)의 배반적 전환 동작에 의해 DVCPRO 포맷 기록 및 그 자기 테이프인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기록용 등화기(21p, 24p), 기록용 증폭기(22p, 25p) 및 전류 제어부(23p, 26p)를 선택하고, 그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상태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가 이것도 상기 배반적 전환 동작에 의해 선택한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포맷 판별 신호(Sf)가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신호[Sf(dv)]로 되어 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27a, 28a)의 배반적 전환 동작에 의해 DV 포맷 기록 및 그 자기 테이프인 ME 테이프(메탈 증착형 테이프)에 알맞은 등화 특성과 기록 전류 제어를 행하는 기록용 등화기(821d, 824d), 기록용 증폭기(822d, 825d) 및 전류 제어부(823d, 826d)를 선택하고, 그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상태의 기록용 데이터 신호가 이것도 상기 배반적 전환 동작에 의해 선택한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에 대하여 공급되게 된다.
재생계(2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17에 있어서, 제1 헤드 증폭기(41)에 대하여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제1 기록 헤드 H(proㆍREC1)와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제1 기록 헤드 H(dvㆍREC1)가 제1 전환부(57)를 통해 입력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헤드 증폭기(42)에 대하여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제2 기록 헤드 H(proㆍREC2)와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제2 기록 헤드 H(dvㆍREC2)가 제2 전환부(58)를 통해 입력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가 포맷 판별 신호[Sf(dvcpro)]일 때에는 제1 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선택하고, 포맷 판별 신호[Sf(dv)]일 때에는 제1 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8은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참조 부호 200은 회전 헤드 실린더, 201은 FG 증폭기, 202는FG 검출부, 203은 목표치 카운터, 204는 FG 오차 증폭기, 205는 PG 증폭기, 206은 PG 검출부, 207은 DVCPRO 포맷에 대응한 위상 기준 신호, 208은 PG 오차 증폭기, 209는 가산기, 210은 실린더 드라이버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7)와 마찬가지다.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901은 위상 시프트부, 902는 위상 기준 선택부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회전 헤드 실린더(200)로부터 1회전에 대해 4발의 FG(Frequency Generator) 펄스가 출력된다. 이 실린더 FG 펄스를 FG 증폭기(201)에 공급하여 증폭한 후, FG 검출부(202)에 공급한다. 그 출력(600 Hz)을 FG 오차 증폭기(204)에 공급하고, 목표치 카운터(203)로부터 주어지는 목표치와의 차이분을 검출한다.
한편, 회전 헤드 실린더(200)로부터 1회전에 대해 1발의 PG(Pulse Generator) 펄스가 출력된다. 이 실린더 P G 펄스를 PG 증폭기(205)에 공급하여 증폭한 후, PG 검출부(206)에 공급한다. 그 출력(150 Hz)을 PG 오차 증폭기(208)에 공급한다.
FG 오차 증폭기(204)와 PG 오차 증폭기(208)로부터의 출력을 가산하고, 실린더 드라이버(210)에 공급하여 실린더(200)의 제어를 행한다.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는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이용하는 데 대하여,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는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이용한다.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와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H(dvㆍREC1), H(dvㆍREC2)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 상에 있어서의 부착 위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부착 위치의 차이분에 해당하는 위상만큼 위상 기준 신호(207)를 시프트하기 위한 위상 시프트부(901)가 필요하다. 본 제2 실시예의 경우, 양 포맷의 기록 헤드의 부착 위치가 90°벗어나 있기 때문에, 위상 시프트부(901)는 DVCPRO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를 90°지연시켜 DV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a)를 생성한다. 위상 기준 선택부(902)는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dvcpro)/Sf(dv)]에 따라 위상 기준 신호(207) 또는 위상 기준 신호(207a)를 PG 오차 증폭기(208)에 부여한다.
이상과 같이 위상이 조정된 위상 기준 신호(207) 또는 위상 기준 신호(207a)에 기초하여 증폭된 PG 오차 증폭기(208)로부터 오차 신호가 가산기(209)에 출력된다. 그리고, 가산기(209)에 있어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속도의 편차와 위상의 편차가 종합된다. 그 종합 오차 성분이 제어 신호로서 실린더 드라이버(210)에 공급되고, 그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실린더 드라이버(210)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포맷 판별부(800)가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CPRO 포맷 기록에 알맞은 회전 위상으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구동하고,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할 때에는, DV 포맷 기록에 알맞은 회전 위상으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속도는 어느 쪽의 포맷이라도 9000 rpm이 되도록 서보 제어된다.
이하,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관해서 보충 설명을 한다.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위상 기준 선택부(902)는 위상 시프트부(901)로부터의 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를 선택한다. 이 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는 위상 시프트부(901)가 DVCPRO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를 입력하고, 90°만큼 위상을 지연시킴으로써 생성된 것이다. 즉, DVCPRO 포맷 기록 모드일 때에 기록 동작을 행하는 제1 기록 헤드 H(proㆍREC1)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 모드일 때에 기록 동작을 행하는 제1 기록 헤드 H(dvㆍREC1)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90°지연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DVCPRO 포맷 기록시의 제2 기록 헤드 H(proㆍREC2)와 DV 포맷 기록시의 제2 기록 헤드 H(dvㆍREC2)와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며, 후자는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90°지연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DV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는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위상 기준 선택부(902)가 DVCPRO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 대신에 위상 시프트부(901)로부터의 DV 포맷 대응의 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 쪽을 선택하여 PG 오차 증폭기(208)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장착 위치의 90°지연에 매칭한 상태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위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9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의 축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헤드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지만, 다시 설명하면,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가 서로 180°이격되어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상부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상부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양 기록 헤드 H(proㆍREC1),H(proㆍREC2)는 위상을 90°벗어나게 한 위치에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가 서로 180°이격되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실린더에 있어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 각각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바로 근처에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가 장착되어 있다.
도 20은 회전 헤드 실린더(200)를 원주 방향으로 전개한 상태에서의 헤드 배치 구성을 도시한다.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는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에 대하여 축심 방향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고, 도 21의 트랙 패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는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보다도 2 트랙분만큼 선행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는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에 대하여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축심 방향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는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보다도 90°분만큼 지연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직경은 21.7 ㎜이며, 그 회전 속도는 DVCPRO 포맷 기록 모드시와 DV 포맷 기록 모드시에 동일한 9000 rpm이다.
도 21은 DVCPRO 포맷의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다. 이하, 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서트 편집시에 ITI 섹터(951)를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 또는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로 재생함으로써 정확한 트래킹과 트랙 길이 방향이 정확한 인서트 위치 제어를 실현한다.
제1 및 제2 DVCPRO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 의해 교대로 자기 테이프(950)를 트레이스함으로써 기록용 데이터 신호를 디지털 상태로 자기 테이프에 기록해 나간다. 인접하는 트랙끼리는 보호 대역이 없는 상태로 밀접해 있다.
도 22는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다. DV 포맷에 있어서는 DVCPRO 포맷에 있어서의 제어 트랙(955)에 해당하는 영역과 큐 트랙(956)에 해당하는 영역이 옵셔널 트랙으로서 공백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인접하는 트랙끼리는 보호 대역이 없는 상태로 밀접해 있다.
도 19, 도 20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있어서는 그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의 헤드 폭이 18 ㎛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의 헤드 폭이 10 ㎛로 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의 헤드 폭은 21 ㎛로 되어 있다.
도 21의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에 있어서는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패턴에서의 트랙 폭은 18 ㎛로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기록 모드에서는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는 인액티브 상태이다.
한편, 도 22의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테이프 패턴에 있어서는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에 의해 형성되는 기록 패턴에서의 트랙 폭은 10 ㎛로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기록 모드에서는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 및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는 인액티브 상태이다.
그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CPRO 포맷 대응의 18 ㎛의 헤드 폭을 갖는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에서 보호 대역이 없는 기록을 행함으로써 DVCPRO 포맷 대응의 18 ㎛의 트랙 폭, 18 ㎛의 트랙 피치로 기록을 행하게 된다.
그 때의 테이프 속도는 DVCPRO 포맷 표준의 33.82 ㎜/sec이다. 즉,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정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에 의해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에 있어서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831)에 의한 내부 목표치 카운터(73)에 대한 DVCPRO 포맷 대응의 목표치의 설정 및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832)에 의한 ATF 오차 증폭기(76)에 대한 DVCPRO 포맷 대응의 이득 설정에 기초하여 테이프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이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동시에, 도 18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있어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dvcpro)]에 의해 위상 기준 선택부(902)는 DVCPRO 포맷 대응의 직접의 위상 기준 신호(207)를 선택하여 PG 오차 증폭기(208)에 공급함으로써 DVCPRO 포맷에 적합한 상태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위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V 포맷 대응의10 ㎛의 헤드 폭을 갖는 제1 및 제2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에서 보호 대역이 없는 기록을 행함으로써 DV 포맷 대응의 10 ㎛의 트랙 폭, 10 ㎛의 트랙 피치로 기록을 행하게 된다.
그 때의 테이프 속도는 DV 포맷 표준의 18.83 ㎜/sec이다. 즉,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정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에 있어서 목표치 카운터 제어부(831)에 의한 내부 목표치 카운터(73)에 대한 DV 포맷 대응의 목표치의 설정 및 오차 증폭기 이득 제어부(832)에 의한 ATF 오차 증폭기(76)에 대한 DV 포맷 대응의 이득 설정에 기초하여 테이프 속도가 결정되게 된다.
이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는 동시에, 도 18에 도시하는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있어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의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위상 기준 선택부(902)는 위상 시프트부(901)로부터의 90°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를 선택한다. 이 90°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는 위상 시프트부(901)가 DVCPRO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를 입력하여 90°만큼 위상을 지연시킴으로써 생성된 것이다. 즉, DVCPRO 포맷 기록 모드일 때에 기록 동작을 행하는 제1 기록 헤드 H(proㆍREC1)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 모드일 때에 기록 동작을 행하는 제1 기록 헤드 H(dvㆍREC1)는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90°지연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DVCPRO 포맷 기록시의 제2 기록 헤드 H(proㆍREC2)와 DV 포맷 기록시의 제2 기록 헤드 H(dvㆍREC2)와의 관계도 마찬가지이며, 후자는 회전 방향의 상류측으로 90°지연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DV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는 포맷 판별 신호[Sf(dv)]에 의해 위상 기준 선택부(902)가 DVCPRO 포맷 대응의 위상 기준 신호(207) 대신에, 위상 시프트부(901)로부터의 DV 포맷 대응의 90° 위상 시프트 후의 위상 기준 신호(207a) 쪽을 선택하여 PG 오차 증폭기(208)에 공급함으로써 기록 헤드 부착 위치의 90°지연에 매칭한 상태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의 회전 위상의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등화 특성 조정, 테이프 장력 조정, 플라잉 이레이즈 정지, 제어 신호 정지, 큐 기록 정지를 함께 행한다.
다음에, 재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자기 테이프가 DVCPRO 테이프인 경우
이 모드일 때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 포맷 판별부(800)는 등화 특성 선택부(47)에 대하여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를 부여한다. 그 결과로서, DVCPRO용의 재생용 등화기(45p)가 선택되게 된다.
또한,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 릴 제어계(4000),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 제어 헤드 제어계(6000), 큐 제어계(7000) 및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각각은 DVCPRO 포맷에 대응한 상태로 제어된다.
이 (1)의 모드는 다음 (1-1)과 (1-2)로 분리된다.
(1-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 재생 헤드 선택 신호(S)로서 폭이큰 헤드 선택 신호(S1)를 제1 및 제2 전환부(57, 58)에 부여한다. 그렇게 하면,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가 제1 전환부(57)를 통해 제1 헤드 증폭기(41)에 접속되고,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가 제2 전환부(58)를 통해 제2 헤드 증폭기(42)에 접속된다.
도 21에 도시하는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가 재생 헤드로서 기록 트랙 상을 트레이스하고,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한다. 그 재생된 신호는 도 17의 재생계(2000)에 있어서, 재생 헤드로서의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로부터 제1 및 제2 헤드 증폭기(41, 42), 재생 증폭기(43), AGC부(44), DVCPRO용의 재생용 등화기(45p)나 영상 신호 처리부(60)를 통해 D/A 변환부(56)로 출력된다.
(1-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하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 재생 헤드 선택 신호(S)로서 폭이 작은 헤드 선택 신호(S2)를 제1 및 제2 전환부(57, 58)에 부여한다. 그렇게 하면,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가 제1 전환부(57)를 통해 제1 헤드 증폭기(41)에 접속되고,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가 제2 전환부(58)를 통해 제2 헤드 증폭기(42)에 접속된다.
도 22에 도시하는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가 재생 헤드로서 기록 트랙 상을 트레이스하고,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한다. 그 재생된 신호는 도 17의 재생계(2000)에 있어서, 재생 헤드로서의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로부터 상기 (1-1)과 동일한 경로를 지나서 D/A 변환부(56)로 출력된다.
(2) 자기 테이프가 DV 테이프인 경우
이 모드일 때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 포맷 판별부(800)는 등화 특성 선택부(47)에 대하여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를 부여한다. 그 결과로서 DV용의 재생용 등화기(46d)가 선택되게 된다.
또한,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 릴 제어계(4000),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 제어 헤드 제어계(6000), 큐 제어계(7000) 및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의 각각은 DV 포맷에 대응한 상태로 제어된다.
이 (2)의 모드는 다음 (2-1)과 (2-2)로 분리된다.
(2-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 경우, 상기 (1-1)과 같이, 재생 헤드 선택 신호(S)로서 폭이 큰 헤드 선택 신호(S1)가 출력되고, 상기의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헤드 폭이 18 ㎛로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는 보호 대역이 없는 10 ㎛의 트랙 폭의 기록 트랙에 대하여 양 외측으로 돌출되지만, 방위각이 인접 트랙끼리 플러스ㆍ마이너스 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스 토크(crosstalk)는 생기지 않는다.
(2-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는 경우
이 경우, 상기 (1-2)와 같이, 재생 헤드 선택 신호(S)로서 폭이 작은 헤드 선택 신호(S2)가 출력되고, 상기의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양 기록 포맷에 공통의 하나의 신호 처리 회로와 일부의 적은 변경으로 DV/DVCPRO의 양방의 포맷에 대응할 수 있다.
또, 재생 헤드로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만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 및 제2 전환부(57, 58)를 설치하지 않고서,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를 제1 헤드 증폭기(41)에 직접 접속하고,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를 제2 헤드 증폭기(42)에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반대로, 재생 헤드로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만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 및 제2 전환부(57, 58)를 설치하지 않고서,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를 제1 헤드 증폭기(41)에 직접 접속하고,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를 제2 헤드 증폭기(42)에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DVCPRO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있을 때에 동시에,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고, 기록과 함께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기록과 함께 재생을 행하는 모드를 기록 재생 병행 모드라고 한다.
제3 실시예에 대한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구성은 제2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6 내지 도 22를 그대로 유용하는 것으로 한다.
기록 재생 병행 모드에 있어서는, 도 17에 도시하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환부(57, 58)에 대한 기록 재생 병행 모드 신호(S3)를 부여한다. 그렇게 하면,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가 제1 전환부(57)를 통해 제1 헤드 증폭기(41)에 접속되고,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가 제2 전환부(58)를 통해 제2 헤드 증폭기(42)에 접속된다. 또한, 이 때, 포맷 판별부(800)로부터는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캡스턴 모터 제어계(3000), 릴 제어계(4000),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 제어 헤드 제어계(6000), 큐 제어계(7000) 및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8000)에 주어진다. 나아가서는, 재생계(2000)에 있어서의 등화 특성 선택부(4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포맷 판별 신호[Sf(dvcpro)]가 주어진다.
동작을 도 23에 의해 설명한다.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가 트레이스함으로써 형성된 기록 트랙(981)을 그 기록의 직후에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가 트레이스하고, 지금 막 기록한 상태의 기록 트랙(981)의 기록 신호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기록 트랙(981)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guide rail) 상태로 인접한 다음 기록 트랙(982)에서는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에서의 기록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가 트레이스함으로써 형성된 기록 트랙(991)을 그 기록의 직후에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가 트레이스하고, 지금 막 기록한 상태의 기록 트랙(991)의 기록 신호의 재생을 행한다. 또한, 기록 트랙(991)에 대하여 가이드 레일 상태로 인접한 다음 기록 트랙(992)에서는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에서의 기록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 있어서,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가 기록 트랙(982)을 트레이스하고 있을 때에 인접하는 기록 트랙(981)을 트레이스하는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는 그 센터가 기록 트랙(981)의 센터와 일치하는 조건으로, 또한,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가 기록 트랙(992)을 트레이스하고 있을 때에 인접하는 기록 트랙(991)을 트레이스하는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는 그 센터가 기록 트랙(991)의 센터와 일치하는 조건으로 회전 헤드 실린더(200)에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제3 실시예에 따르면, DV/DVCPRO 대응 실린더로써, DVCPRO 전용의 동시 재생 헤드를 갖지 않더라도 동시 재생 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블록도, 도 25는 오버라이트의 설명도이다.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도 24에 있어서, 참조 부호 401은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 402는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 403은 제1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404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 H(FE1)는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는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이며,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의 경우(도 34)와 마찬가지다. 본 제4 실시예에 있어서의 새로운 구성 요소로서, 참조 부호 853은 2 트랙분 동시 소거 제어부, Si는 동시 소거 제어 신호이다. 또한, 800은 포맷 판별부이다.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FE)용의 전류 제어부(851, 852)는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L"일 때에는 포맷 판별 신호(Sf)를 우선으로 하고, 포맷 판별 신호(Sf)가 Sf(dvcpro)="H"일 때에는 액티브 상태가 되며, 포맷 판별 신호(Sf)가 Sf(dv)="L"일 때에는 인액티브(부동작)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FE 전류 제어부(851)는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H"일 때에는 그것을 우선으로 하고, 포맷 판별 신호(Sf)가 "H", "L" 중 어느 것인지에 관계없이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FE 전류 제어부(852)는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H"일 때에는 그것을 우선으로 하고, 포맷 판별 신호(Sf)가 "H", "L" 중 어느 것인지에 관계없이 인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2 트랙분 동시 소거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제1 FE 전류 제어부(851)만을 액티브 상태로 하도록 하여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에만 이레이즈 신호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있다.
DVCPRO 포맷 기록에 있어서는, 그 자기 테이프로서 MP 테이프(메탈 도포형 테이프)를 이용한다. 트래킹 서보의 기본이 되는 ATF(오토 트랙 파인딩)를 위한 파일럿 신호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로 테이프에 기록하지만, 주파수가 낮으면 심층 기록이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MP 테이프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항자력이 크기 때문에 심층 기록이 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이미 자기 테이프에 기록을 마친 파일럿 신호를 다음 기록에 있어서 기록에 선행하여 확실하게 소거하기 위해서는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할 필요가 있고,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 비교적 강한 파워의, 그리고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이레이즈 신호 전류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는 그 자기 테이프로서 ME 테이프를 이용한다. ME 테이프는 그 항자력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하는 특성으로부터 MP 테이프에 비하여 심층 기록이 쉽게 발생하지 않고, 단순한 겹쳐 쓰기 기록을 행하는 것만으로 이미 기록을 마친 파일럿 신호를 소거하면서 새로운 기록을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DV 포맷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플라잉 이레이즈는 행하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면 소거율이 개선되어 보다 고품질의 디지털기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DV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지 않는 모드와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는 모드의 쌍방의 모드를 갖고 있다.
(1) "L"-"H"의 조합시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L"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CPRO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H"가 출력될 때에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FE 전류 제어부(851, 852)는 각각에 대응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를 액티브 상태로 만든다.
이 경우,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401)로부터의 고주파 발진 신호를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에 공급하고, 이들 증폭기를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402)로 적절히 제어하면서, 소거용의 고주파 전류(이레이즈 신호)를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 공급한다.
(2) "L"-"L"의 조합시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L"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포맷 판별부(800)로부터 DV 포맷 기록 모드를 지시하는 포맷 판별 신호[Sf(dv)]="L"이 출력될 때에는 제1 및 제2 FE 전류 제어부(851, 852)는 각각에 대응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를 인액티브 상태로 만든다. 그 결과로서,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는 소거용의 비교적 높은 주파수의 이레이즈 신호 전류는 흘리지 않는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피할 수 있다.
(3) "H"-"H" 또는 "H"-"L"의 조합시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가 "H"로 반전되었을 때에는 포맷 판별 신호(Sf)가 Sf(dvcpro)="H"인지 Sf(dv)="L"인지에 무관하게 이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의 "H"가 우선된다. 즉, 제1 FE 전류 제어부(851)에 있어서는 그것에 대응한 제1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를 액티브 상태로 한다. 또한, 제2 FE 전류 제어부(852)에 있어서는 그것에 대응한 제2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4)를 인액티브 상태로 한다. 그 결과, 플라잉 이레이즈용 발진기(401)로부터의 고주파 발진 신호를 제1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에 대해서만 공급하고, 이 증폭기를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부(402)로 적절히 제어하면서, 소거용의 고주파 전류(이레이즈 신호)를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에 대해서만 공급한다.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에는 이레이즈 신호 전류는 공급하지 않는다.
또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에의 전류 차단을 플라잉 이레이즈용 증폭기(403, 404)의 정지로 행하는 것 대신에 전류 경로 중 어느 지점에 스위치를 삽입해 두고, 그 스위치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DVCPRO 포맷 기록시와 DV 포맷 기록시에 플라잉 이레이즈의 온/오프 및 2 트랙분 동시 소거시의 온/오프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포맷 판별 신호(Sf)에 대한 "H", "L"의 관계 및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에 대한 "H", "L"의 관계 및 이들의 조합은 어디까지나 참고를 위한 일례를 든 것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은 하등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해석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DV 포맷 기록의 경우에 있어서도,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함으로써 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을 확실하게 소거하고, 소거율을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2 트랙분 동시 소거가 행해진다. 이 점에 관해서 도 26을 이용하여설명한다.
X는 기록 트랙에 대하여 붙인 좌표이다. 도 26(a)은 어떤 회전 위상에서의 제1 기록 헤드 H(REC1)와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의 제1 기록 헤드 H(REC1)의 단부(A1)를 좌표의 기준(0)으로 하고 있다.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센터는 제1 기록 헤드 H(REC1)의 센터에 대하여 2 트랙분, 즉 18 ㎛ ×2=36 ㎛만큼 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센터의 좌표는 36 ㎛에 제1 기록 헤드 H(REC1)의 헤드 폭 18 ㎛의 1/2을 더하여 45 ㎛가 된다.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은 21 ㎛이기 때문에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단부(D1)의 좌표는 45 - 21/2 = 34.5 ㎛가 되고, 단부(D2)의 좌표는 45 + 21/2 = 55.5 ㎛가 된다.
이 도 26(a)의 상태에서는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로써 선행의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고, 그 후를 제1 기록 헤드 H(REC1)에 의해 기록한다.
도 26(b)은 도 26(a)로부터 회전 헤드 실린더(200)가 반회전 진행한 상태에서의 제2 기록 헤드 H(REC2)와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기록 헤드 H(REC2)에 의해 오버라이트의 기록을 행한다. 제2 기록 헤드 H(REC2)의 단부(B)의 좌표는 10 ㎛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는 플라잉 이레이즈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의 단부(E1)의 좌표는 44.5 ㎛가 되고, 단부(E2)의 좌표는 65.5㎛가 된다.
도 26(c)은 도 26(b)로부터 회전 헤드 실린더(200)가 반회전 더 진행한 상태에서의 제1 기록 헤드 H(REC1)와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의 제1 기록 헤드 H(REC1)의 단부(C1)의 좌표는 20 ㎛로 되어 있다.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단부(F1)의 좌표는 54.5 ㎛가 되고, 단부(F2)의 좌표는 75.5 ㎛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에서 선행의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하고, 그 후를 제1 기록 헤드 H(REC1)에 의해 기록한다.
도 26(a)에서의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단부(D2)의 좌표가 55.5 ㎛이며, 도 26(c)에서의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단부(F1)의 좌표가 54.5 ㎛이기 때문에, 이 2 개의 상태에서의 트레이스 궤적은 1.0 ㎛만큼 오버트레이스 상태(OT)로 되어 있다. 즉,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트레이스 영역(X1)에 대하여, 1 회전 후의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트레이스 영역(X2)이 겹쳐져 있다. 따라서,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를 플라잉 이레이즈 부동작 상태로 하여도,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만으로의 2 트랙분 동시 소거에 의해, 후행하는 제1 기록 헤드 H(REC1) 및 제2 기록 헤드 H(REC2)가 트레이스하는 모든 영역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에서의 플라잉 이레이즈의 부동작에 의해, 플라잉 이레이즈에 요하는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반감할 수 있다.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본 제4 실시예에 있어서, 2 트랙분 동시 소거를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서 보충한다. DVCPRO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DVCPRO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 H(REC1)의 헤드 폭(Hw1)과, DV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DVCPRO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Fw1)과, 오버라이트의 트레이스 폭(Ow)과의 사이에는,
의 관계가 있다. 단, DVCPRO 포맷의 경우에는 실제로는 Fw1> Tw2×2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2 트랙분 동시 소거의 플라잉 이레이즈를 실행하는 것을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로 실행하였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쪽에서 2 트랙분 동시 소거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거기에는, 포맷 판별 신호[Sf(dvcpro), Sf(dv)]와 동시 소거 제어 신호(Si)의 조합 입력에 대한 제1 FE 전류 제어부(851)와 제2 FE 전류 제어부(852)의 기능을 상기와는 반대로 하면 좋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는 2 트랙분 동시 소거를 행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교대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27은 본 제5 실시예의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5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도 27에 있어서, 참조 부호 854는 기준 클록 발생부, 855는 클록 카운트부, 856은 카운트치 판정부이다. 클록 카운트부(855)는 2 트랙분 동시 소거 모드 신호를 입력하고 있을 때에 기준 클록 발생부(854)로부터의 클록을 카운트하도록 되어 있다. 카운트치 판정부(856)는 클록 카운트부(855)의 카운트치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제1 및 제2 FE 전류 제어부(851, 852)에 부여하는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를 반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클록 카운트부(855)는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의 반전에 기초하여 제로 클리어되도록 되어 있다.
제1 FE 전류 제어부(851)는 카운트치 판정부(856)로부터의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가 "H"일 때에는 제4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액티브 상태가 되지만,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가 반전하여 "L"이 되었을 때에는 인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FE 전류 제어부(852)는 카운트치 판정부(856)로부터의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가 "H"일 때에는 제4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인액티브 상태가 되지만, 상태 반전 제어 신호(Sj)가 반전하여 "L"이 되었을 때에는 액티브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클록 카운트부(855)의 카운트업마다 2 개의 FE 전류 제어부(851, 852)에 대해서 한쪽이 액티브 상태이고 다른 쪽이 인액티브의 상태를 교대 또한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제5 실시예에 따르면, 2 트랙분 동시 소거의 동작의 누적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마다 플라잉 이레이즈를 실행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와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 사이에서 교대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교대로 전환함으로써 양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의 마모 진행 형편을 균등화할 수 있고, 그 수명을 길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는 2 트랙분 동시 소거의 트레이스 영역이 기록 트랙과 일치하도록 고찰한 것이다. 제4 실시예의 도 26의 경우에는 그 (c)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트랙분 동시 소거의 트레이스 영역(X1, X2)이 기록 트랙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다. 이러한 이탈을 없애는 것이 본 제6 실시예이다.
도 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8(a)는 제1종의 기록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고, 트랙 폭이(Tw1), 기록 헤드 H(REC1)의 헤드 폭이(Hw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이(Fw1)로 되어 있다. 기록 헤드 H(REC1)의 단부(A1)를 원점으로 한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는 기록 헤드 H(REC1)에 대하여 제1종의 기록 포맷으로 2 트랙분 선행하는 것으로 한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H(FE1)의 센터의 좌표는,
이며, 그 단부(D1)의 좌표는,
이며, 또한, 단부(D2)의 좌표는,
이다.
도 28(b)는 제2종의 기록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모습을 나타내고,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센터의 좌표가 인접 트랙의 경계선에 일치하기 위해서는,
가 된다. n=4일 때는,
가 된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Fw1)은,
의 조건이 있다. Fw1= 2 ×Tw2일 때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단부(D1, D2)가 인접 트랙의 경계선과 일치한다. 단,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양단은 인접 트랙의 경계선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여도 좋다. 이것은, Fw1> 2 ×Tw2에 해당한다. 중요한 것은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센터가 인접 트랙의 경계선에 일치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만일,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 헤드 H(REC1)의 헤드 폭(Hw1)을 제4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DVCPRO 포맷의 18 ㎛이라고 하면,
이며, 이것은 제4 실시예의 경우의 DV 포맷의 10 ㎛보다 커진다. 또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Fw1)은,
가 된다.
또한, 만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을 제4 실시예의 경우와동일하게 DV 포맷의 10 ㎛라고 하면,
이며, 이것은, 제4 실시예의 경우의 DVCPRO 포맷의 18 ㎛보다도 작아진다. 또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Fw1)은,
가 된다. 또한, n의 값은 3 이상이면 좋다.
다음에 설명하는 제7 실시예는 DV 포맷 기록 모드에 있어서, 오버라이트를 행하지 않는 새로운 실린더 방식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의 DVCPRO/DV 호환형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는, 그 구성은 제2 실시예의 도 16으로부터 도 22에 해당한다. 그 외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해당한다.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 각각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바로 근처에 제1 및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 H(FE2)가 장착되어 있다.
재생계(2000)에 있어서, 폭이 큰 헤드 선택 신호(S1)가 입력되었을 때는 제1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선택하고, 폭이 작은 헤드 선택 신호(S2)가 입력되었을 때는 제1 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폭이 큰 헤드 선택 신호(S1)가 입력되었을 때는 제1 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를 선택하고, 폭이 작은 헤드 선택 신호(S2)가 입력되었을 때는 제1 및 제2 전환부(57, 58)가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7 실시예와 제4 실시예를 비교하면, 오버라이트를 행하는지 행하지 않는지의 차이가 있지만, DVCPRO 포맷 대응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또는 H(FE2)]를 이용하여 DV 포맷 기록 모드에서의 플라잉 이레이즈를 행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는 본 제7 실시예도 제4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즉, 도 26을 유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도 26에 있어서의 기록 헤드 H(REC1), H(REC2)를 DV 포맷에 적합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로 대체하여 생각하면 좋다. 이 경우도, 오버트레이스 상태(OT)를 얻을 수 있고,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트레이스 영역(X1)에 대하여, 1 회전 후의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트레이스 영역(X2)이 겹치고,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를 플라잉이레이즈 부동작 상태로 하여도 제1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에 의해서만 2 트랙분 동시 소거에 의해 후행하는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가 트레이스하는 모든 영역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2)에서의 플라잉 이레이즈 부동작 상태에 의해 플라잉 이레이즈에 필요한 소비 전력을 종래 기술의 경우에 비하여 반감할 수 있다.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이용함으로써 오버라이트는 행하지 않는 본 제7 실시예에 있어서, 2 트랙분 동시 소거를 위해 필요한 조건에 대해서 보충한다. DVCPRO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DVCPRO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 H(REC1)의 헤드 폭(Hw1)과, DV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DVCPRO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H(FE1)의 헤드 폭(Fw1) 사이에는,
의 관계가 있다. 단, DVCPRO 포맷의 경우에는 실제로는 Fw1> Tw2×2이다.
또한, 재생 헤드로서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 H(proㆍREC2)만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 및 제2 전환부(57, 58)를 설치하지 않고,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를 제1 헤드 증폭기(41)에 직접 접속하고, 제2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2)를 제2 헤드 증폭기(42)에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반대로 재생 헤드로서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만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제1 및 제2 전환부(57, 58)를 설치하지 않고,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를 제1 헤드 증폭기(41)에 직접 접속하고,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2)를 제2 헤드 증폭기(42)에 직접 접속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런데, DV 포맷에 적합한 제1 및 제2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 H(dvㆍREC2)를 이용함으로써 오버라이트를 행하지 않는 본 제7 실시예에 대해서도, 제6 실시예와 같은 사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29는 제6 실시예의 경우의 도 28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28(a)에 있어서의 제1 기록 헤드 H(REC1)가 도 29(a)에서는 DVCPRO 포맷에 적합한 제1 헤드 폭이 큰 기록 헤드 H(proㆍREC1)로 되어 있고, 도 28(b)에 있어서의 제1 기록 헤드 H(REC1)가 도 29(b)에서는 DV 포맷에 적합한 제1 헤드 폭이 작은 기록 헤드 H(dvㆍREC1)로 되어 있다. 이 도 29(a), 도 29(b)에 있어서도, 도 28(a), 도 28(b)로 설명한 사항이 그대로 적합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한 임의의 사항에 대해서 그 생략의 가능성, 또는 특허 청구 범위에의 추가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변경의 가능성을 유보한다.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도록 구성해 두기 때문에 항자력 등의 자화 특성이 서로 다른 복수 종류의 자기 테이프(예컨대 MP 테이프와 ME 테이프)를 이용하게 되는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들 사이에서도 기록 호환성을 갖게 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이하와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다른 포맷 기록의 교대에 있어서,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자기 기록 장치를 준비할 필요가 없고, 공통 단일의 자기 기록 장치를 준비하면 충분하며, 그 입수에 대한 초기 비용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보관 공간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리코더(캠코더)와 같이 취재 등을 위해 운반하여 휴대하는 경우가 많은 카메라 일체형의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그 작업 노동력의 부담을 대폭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경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기록 포맷 대응의 자기 테이프를 구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일반 매장 등에서도 판매하고 있는 등의 이유로부터 입수가 보다 용이한 쪽의 테이프를 다용하는 등의 고안에 의해 사용성이나 기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민생용의 것이라는 등의 이유로부터 비용이 보다 저렴한 쪽의 테이프를 다용하는 등의 고안에 의해 테이프에 필요한 운용 비용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카메라 리코더와 같은 카메라 일체형의 자기 기록 장치에 있어서는, 촬영 대상인 소재의 등급이 비교적으로 낮고, 또한 재촬영이 가능한 경우에는, 보다 저렴하고, 또한 보다 입수가 용이한 테이프를 이용한 우선 수록을 행함으로써 실무 상의 편리성 및 운영 비용 저감을 비약적으로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등급이 높은 소재를 고급 테이프를 이용하여 수록하고 있을 때에, 그 테이프가 모자라게 되었을 때에는 저급 테이프로 전환함으로써 지장 없이 수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저급 테이프가 없을 때에는 일반 매장 등에서 용이하게 입수하여 촬영 중단에 의한 영향을 최소로 줄이면서, 수록 재개를 빠르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사용을 예정하고 있는 재생 장치의 포맷 종류의 여하에 관계없이 자기 기록 장치를 전환할 필요성이 없고, 공통 단일의 자기 기록 장치를 이용한 단순한 모드 전환만으로 어느 쪽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록에 있어서의 사용성ㆍ편리성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한 기록 헤드를 복수의 기록 포맷의 기록에 대해서 겸용하는 결과, 오버라이트에 의한 센터 이탈을 나타내는 기술에 대하여, 각 기록 포맷마다 최적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 폭은 어느 기록 포맷이라도 최적의 것이 되고, 오버라이트를 행할 필요성이 없어져서 그 결과로서, 항상 기록 헤드의 센터와 기록 트랙의 센터가 일치하는 상태에서의 자기 기록을 실현할 수 있으며, 자기 기록 정밀도가 매우 양호한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특히, 기록 헤드는 기록 포맷마다 그 헤드 폭을 비롯한 사이즈ㆍ형상, 방위각, 헤드 갭의 형상ㆍ치수, 코어의 재질, 결정 구조, 코일 권수, 내마모성, 투자율, 포화 자속 밀도, 항자력, 고주파 자기 특성, 표면 평활도 등이나 합리적인 비용, 생산성 등의 여러 가지 항목에서 차이가 인정된다. 따라서, 1 종류의 헤드를 겸용하여 오버라이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그 기록 특성은 최적의 상태로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각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헤드를 이용함으로써 기록 특성을 각 기록 포맷 각각에 의해 최적화할 수 있다.
만일, 각 기록 포맷마다 회전 헤드 실린더를 복수 개 설치하는 것으로 하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대폭적인 부담 증가가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과 같이 공통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각 기록 포맷마다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두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트랙분의 동시 소거의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에 있어서의 플라잉 이레이즈로 겸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소형의 회전 헤드 실린더에 기록 포맷마다 전용의 개별적인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기술면, 공간면 및 비용면에서 유리하게 전개할 수 있다.
복수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중 하나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만으로 복수 트랙분(복수의 기록 헤드에 정확히 대응하는지 여부는 묻지 않음)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기 때문에 나머지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이레이즈 신호 전류의 공급은 불필요하게 되며, 따라서, 그 만큼 소비 전력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9)
-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 및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상기 등화 특성 선택부 사이에 각각 제1종의 기록용 증폭기 및 제2종의 기록용 증폭기가 개별적으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제1종의 기록용 증폭기 및 상기 제2종의 기록용 증폭기의 각각에 제1종의 전류 제어부 및 제2종의 전류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 요소가 회전 헤드 실린더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기록 헤드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부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에 있어서의 서보용 속도 제어부에서의 목표치 및 위상 제어부에서의 이득 각각을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부에서 가변하는 목표치의 대상이 FG 오차 검출부이고, 상기 위상 제어부에서 가변하는 이득의 대상이 ATF 오차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에 대해서는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의 여하에 관계없이 가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릴 제어계에 있어서 제어되는 테이프 장력을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 제어계에서의 테이프 장력의 가변을 공급측 장력 센서에 대한 오차 증폭기에 관한 목표 전압의 전환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잉 이레이즈 제어계에 있어서의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한 이레이즈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헤드 제어계에 있어서의 제어 헤드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큐 제어계에 있어서의 큐 헤드에 대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포맷이 DVCPRO 포맷과 DV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회전 헤드 실린더에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 포맷의 각각에 알맞은 헤드 폭의 복수 종류의 기록 헤드를 탑재해 두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상기 기록 포맷에 대응한 개별적인 등화 특성의 기록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기록 헤드에 입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1종의 기록 헤드 및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2종의 기록 헤드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를 배반적으로 전환하는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회전 헤드 실린더 제어계에 있어서의 PG 오차 검출에 대한 위상 기준 신호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로 기록을 행하는 상태로, 동시에, 제2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를 재생 헤드로서 이용하고, 상기 제1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가 트레이스한 직후의 기록 트랙을 상기 재생 헤드로서의 상기 제2종의 헤드 폭의 기록 헤드에 의해 트레이스하여 기록과 병행하여 재생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복수 종류의 포맷에 대한 기록을 선택할 수 있고,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등화 특성을 가변하는 동시에,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에 대하여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이 작게 되어 있고,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하는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로써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보다 폭이 좁은 트랙 폭에서의 기록에 겸용하는 것을 오버라이트로써 행하도록 구성해 두는 동시에,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겸용하여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1)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헤드 폭(Fw1)과, 상기 오버라이트의 트레이스 폭(Ow) 사이에,Fw1≥Hw1= Tw1> Tw2Fw1≥Tw2×2Ow = Hw1- Tw2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등화 특성 선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에 대하여 보다 폭이 좁은 트랙 폭의 기록을 행하는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을 행하는 것에,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보다 폭이 좁은 헤드 폭의 기록 헤드를 이용하도록 구성해 두는 동시에,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대한 플라잉 이레이즈에 있어서,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를 겸용하여 이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복수 트랙분을 동시에 트레이스하여 기록 소거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1)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1)과,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트랙 폭(Tw2)과,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기록 헤드의 헤드 폭(Hw2)과, 상기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의 헤드 폭(Fw1) 사이에,Fw1≥Hw1= Tw1> Tw2Fw1≥Tw2×2Hw2= Tw2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와, 회전 헤드 실린더에 탑재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1종의 기록 헤드 및 제2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헤드 폭의 제2종의 기록 헤드와, 기록 포맷의 종류를 판별하는 포맷 판별부와, 상기 포맷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따라 상기 제1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1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와 상기 제2종의 기록용 등화기로부터 상기 제2종의 기록 헤드에 이르는 계의 온/오프 상태를 배반적으로 전환하는 배반적 온/오프 전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 제어계에 있어서 제1종의 기록 포맷에 대응한 플라잉 이레이즈 헤드에 대한 이레이즈 신호를 상기 제2종의 기록 포맷에서의 기록에 있어서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스턴 모터 제어계로 제어되는 테이프 속도를 상기 기록 포맷의 종류의 판별 결과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포맷이 DVCPRO 포맷과 DV 포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 상기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자기 기록 장치의 기능에 부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포맷으로 기록된 자기 테이프에 대한 재생 호환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0-00026309 | 2000-02-03 | ||
JP2000026309A JP2001216607A (ja) | 2000-02-03 | 2000-02-03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JP2000097493A JP2001283408A (ja) | 2000-03-31 | 2000-03-31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JPJP-P-2000-00097492 | 2000-03-31 | ||
JPJP-P-2000-00097493 | 2000-03-31 | ||
JP2000097492A JP2001283407A (ja) | 2000-03-31 | 2000-03-31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6283A true KR20020076283A (ko) | 2002-10-09 |
KR100469114B1 KR100469114B1 (ko) | 2005-02-02 |
Family
ID=27342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0035A KR100469114B1 (ko) | 2000-02-03 | 2001-02-02 |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30053241A1 (ko) |
EP (1) | EP1265228A4 (ko) |
KR (1) | KR100469114B1 (ko) |
CN (1) | CN1398396A (ko) |
WO (1) | WO200105785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42729B2 (ja) * | 2004-08-27 | 2008-02-06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WO2011112181A1 (en) * | 2010-03-09 | 2011-09-15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ape-format compatibility between various types of tape heads |
US9196296B2 (en) | 2010-11-08 | 2015-11-24 | Jbi Inc | System and method for reading a magnetic tape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156424A (en) * | 1961-08-25 | 1964-11-10 | Vectron Electro Physics Ltd | Magnetic tape decks |
US3414684A (en) * | 1965-02-05 | 1968-12-03 | Rca Corp | Video recorder and/or reproducer with intermediate tape drive |
US4325092A (en) * | 1980-07-18 | 1982-04-13 | King Instrument Corporation | Apparatus for detection of cue data carried by a recording medium moving at greatly varying speeds |
JPS59138185A (ja) * | 1983-01-28 | 1984-08-08 | Hitachi Ltd | ビデオテ−プレコ−ダの記録回路 |
JP2693417B2 (ja) * | 1985-03-28 | 1997-12-24 | ソニー株式会社 | 記録再生装置 |
JP2587475B2 (ja) * | 1988-10-21 | 1997-03-0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デ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
DE69021144T2 (de) * | 1989-06-16 | 1995-11-30 | Sony Corp | Verfahren und Gerät zur Wiedergabe eines digitalen Videosignals. |
JP2695925B2 (ja) * | 1989-07-12 | 1998-01-14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ディジタル画像信号の再生装置 |
JP2936606B2 (ja) * | 1989-12-18 | 1999-08-23 | ソニー株式会社 | フリクションキャプスタン駆動方式のテープ走行駆動装置 |
JP2820477B2 (ja) * | 1990-01-09 | 1998-11-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
JP2890684B2 (ja) * | 1990-06-12 | 1999-05-17 | ソニー株式会社 | 磁気記録装置 |
JP3008995B2 (ja) * | 1991-06-28 | 2000-02-14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の磁気記録装置 |
DE69230126T2 (de) * | 1991-11-27 | 2000-04-06 | Canon K.K. | Wiedergabegerät |
JP3153928B2 (ja) * | 1992-02-20 | 2001-04-09 | ソニー株式会社 | 信号再生装置 |
US5579119A (en) * | 1992-10-19 | 1996-11-26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Recording signal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optimizing recording conditions for magnetic recording medium |
DE601963T1 (de) * | 1992-12-10 | 1994-11-17 | Gold Star Co | System für die Aufzeichnung/Wiedergabe von digitalen und analogen Videosignalen. |
US5671100A (en) * | 1993-07-21 | 1997-09-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VCR track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capstan motor drive signal based on the capstan speed control valve |
WO1995016985A1 (en) * | 1993-12-13 | 1995-06-22 | Philips Electronics N.V. | Information track format and reading and recording apparatuses therefor |
JP3601072B2 (ja) * | 1994-04-18 | 2004-12-1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ディジタル信号の磁気記録再生装置 |
DE69525203T2 (de) * | 1994-08-10 | 2002-09-1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für kodierten Datenstrom |
JPH0865633A (ja) * | 1994-08-26 | 1996-03-08 | Hitachi Ltd | 画像信号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
JPH08180344A (ja) * | 1994-12-26 | 1996-07-12 | Sony Corp | 回転ヘッド式磁気記録/再生装置 |
JPH08190765A (ja) * | 1995-01-10 | 1996-07-23 | Canon Inc |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
EP0853857B1 (en) * | 1995-10-06 | 2000-04-05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Compressed video data processing with conversion of image compression format |
JP4081881B2 (ja) * | 1998-03-02 | 2008-04-30 | ソニー株式会社 | デジタル信号の磁気記録装置及び方法、デジタル信号の磁気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テープ状記録媒体 |
JP2000100081A (ja) * | 1998-09-25 | 2000-04-07 | Sony Corp | デジタル信号の磁気記録装置及び方法、デジタル信号の磁気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テープ状記録媒体 |
US6246551B1 (en) * | 1998-10-20 | 2001-06-12 | Ecrix Corporation | Overscan helical scan head for non-tracking tape subsystems reading at up to 1X speed and methods for simulation of same |
-
2001
- 2001-02-02 KR KR10-2002-7010035A patent/KR1004691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2-02 CN CN01804511A patent/CN1398396A/zh active Pending
- 2001-02-02 WO PCT/JP2001/000767 patent/WO2001057855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2-02 US US10/182,603 patent/US2003005324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1-02-02 EP EP01949059A patent/EP1265228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265228A4 (en) | 2007-04-04 |
US20030053241A1 (en) | 2003-03-20 |
KR100469114B1 (ko) | 2005-02-02 |
CN1398396A (zh) | 2003-02-19 |
WO2001057855A1 (fr) | 2001-08-09 |
EP1265228A1 (en) | 2002-1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80011021A (ko) | 셀프 서보기록 시스템과 셀프 서보기록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트랙 기록 방법 | |
KR940004929B1 (ko) | 영상 신호 기록장치 | |
KR100469114B1 (ko) | 디지털 방식의 자기 기록 장치 및 자기 기록/재생 장치 | |
JP3271103B2 (ja) | 回転ヘッド型記録/再生装置 | |
KR100606158B1 (ko) | 자기 기록/재생 장치 | |
US5235479A (en) | Digital video tape recorder with tracking central circuit for causing positions of existing recorded track and newly recorded track to coincide during editing | |
JP2001283407A (ja)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
US20080180834A1 (en) | Servo signal recording method, servo signal recording apparatus,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 |
JP2001283408A (ja)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
JP3008712B2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JP3288131B2 (ja) | データ記録再生装置 | |
US7046479B2 (en) |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having position control | |
JP2001216607A (ja) | デジタル方式の磁気記録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
US20060204212A1 (en) |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
JP3497653B2 (ja) | ヘリカルスキャン型磁気記録再生装置 | |
KR20000071557A (ko) | 자기 기록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 |
JP2671702B2 (ja) | 磁気記録再生方法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 |
JPH08293139A (ja) | テープ走行制御装置 | |
JPH0855389A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KR19990015015A (ko) | 디지털 비디오 캠코더에서의 롱 플레이 모드 편집장치 | |
JPH0636409A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JP2004185712A (ja) | 情報記録再生装置 | |
JPH06243441A (ja) | 磁気記録再生装置 | |
CA2184221A1 (en) |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000004018U (ko) | 자기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