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216A -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 Google Patents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216A
KR20020075216A KR1020020005157A KR20020005157A KR20020075216A KR 20020075216 A KR20020075216 A KR 20020075216A KR 1020020005157 A KR1020020005157 A KR 1020020005157A KR 20020005157 A KR20020005157 A KR 20020005157A KR 20020075216 A KR20020075216 A KR 2002007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ower
distortion
nonlinear
signal
power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8445B1 (ko
Inventor
나가사까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3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617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83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703874B2/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7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03F1/324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using predistortion circuits
    • H03F1/3294Acting on the real and imaginary components of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6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 H04L27/367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 H04L27/368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undesirable properties of the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using predistortion adaptive predist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비선형 고전력 증폭 회로에서 비선형 왜곡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발명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비선형 고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회로에서 ACPR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복조하고,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함하여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으로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 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 분만큼 감쇠시키고, 상기 감쇠시킨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위상 조정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감산함하여 비선형 왜곡성분만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비선형 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COMPENSATING METHOD AND CIRCUIT OF NON-LINEAR DISTORTION}
본 발명은 무선 송신기 등에서 이용되는 직교 변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직교 변조 회로에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상기 변조 신호를 고전력 증폭한다. 이때, 상기 고전력 증폭하는 변조 신호의 전력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선형 특성을 갖는 증폭을 수행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증폭기 특성에서 선형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과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증폭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고전력 증폭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비선형 특성의 영역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선형 특성의 영역에서 증폭이 이루어지면 증폭한 변조 신호는 비선형 왜곡이 발생한다. 따라서 입출력 특성을 선형화 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선형 왜곡이 발생한 신호의 왜곡 보상을 수행해야만 한다. 이러한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프리디스토션(predistortion) 방식의 비선형 왜곡 보상방식이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조하여 프리디스토션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기저대역 신호 I, Q는 왜곡 보상 연산부(1)를 통하여 제1 D/A 컨버터(2)와 제2 D/A 컨버터(3)로 입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 D/A 컨버터(2, 3)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직교 변조기(4)로 출력한다. 직교 변조기(4)는 입력된 기저대역 신호(I, Q)를 직교 변조하여 고전력 증폭기(HPA)(5)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고전력 증폭기(5)는 직교 변조되어 입력된 아나로그 신호를 고전력 증폭하여 출력한다.
보상 데이터 테이블(7)은 보상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여 저장한다. 상기 보상 데이터 테이블(7)에 저장된 데이터는 고전력 증폭기(5)에서 증폭 시의 비선형 특성을 미리 측정하고,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전력 계산기(6)는 기저대역 신호 I, Q의 전력을 계산하여, 얻어진 전력을 보상 데이터 테이블(7)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보상 데이터 테이블(7)은 기저대역 신호 I, Q의 전력에 따라 그 테이블을 참조하고 상기 전력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왜곡 보상 연산부(1)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왜곡 보상 연산부(1)는 입력되는 직교 변조하기 전의 기저대역 신호 I, Q에 고전력 증폭기(4)에서 발생할 비선형 왜곡을 소거시키는 역특성의 왜곡을 미리 가한다. 그리고 상기 비선형 왜곡을 소거하기 위한 역특성의 왜곡 성분이 포함된 신호를 제1 및 제2 D/A 컨버터(2, 3)로 출력한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5)에서 고전력 증폭된 변조신호에는 비선형 왜곡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프리디스토션 방식의 비선형 왜곡 보상방식에서는, 기저대역신호의 전력에 따라 그 보상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한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의 편차나 온도 변화 등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한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 편차와 온도 변화 등에 의해 회로 전체의 성능이 저하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전력 증폭기(5)의 출력을 방향성 결합기(8)에서 분기한다. 그리고 상기 방향성 결합기(8)에서 상기 분기된 신호는 직교 복조기(9)로 입력되며, 상기 직교 복조기(9)에서 직교 복조한 후 보상 데이터 연산부(10)로 피드백 되는 방식의 회로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회로의 보상 데이터 연산부(10)는 상기 피드백 정보에 따른 계수를 내장된 보상 데이터 테이블(도 7에 보상 데이터 테이블을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상기 보상 데이터 테이블은 전술한 도 6의 보상 데이터 테이블(7)과 동일함)의 데이터에 승산하여 보정한다. 그러면 고전력 증폭기(5)의 특성의 편차나 온도변화 등에 관계없이 정밀도가 높은 보상 데이터를 왜곡 보상 연산부(1)로 출력한다. 이러한 회로를 통해 전술한 문제점으로 발생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회로가 의사적인 비선형 왜곡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상기 결점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모든 회로가 복잡한 디지털 연산을 수행하므로 회로규모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회로가 커지므로 소비전력도 증가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과 같이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송신기에서는 동작시간이 단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의 발명자는 일본국 특허출원 2000-233631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를 제안했다. 상기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21)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 감쇠기(13), 감산기(14), 직교 복조부(15), 위상 조정기(22), 진폭 조정기들(23, 24) 및 감산기들(16, 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직교 변조부(11)와 고전력 증폭기(HPA)(12)의 사이에,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를 연결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는 직교 변조부(11)로부터 입력되는 변조 신호를 분기 둘로 분기하고, 상기 분기한 변조 신호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 출력한다. 그러면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는 입력된 신호의 그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 하고, 감쇠기(13)의 출력신호의 위상에 맞춘 후, 감산기(14)로 출력한다. 또한,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도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분기되어 감쇠기(13)로 입력된다.
상기 감산기(14)는 입력된 신호간 차를 계산하여 위상 조정기(22)로 출력한다. 즉, 상기 감산기(14)로부터 얻어지는 비선형 왜곡 성분은 상기 위상 조정기(22)를 통해서 그 위상을 조정한 후,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된다. 직교 복조부(15)로부터 출력되는 기저대역의 비선형 왜곡 성분도 진폭 조정기들(23, 24)을 통해 그 진폭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 각각 감산기(26, 27)로 입력된다.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비선형 왜곡 추출부(1A)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21)과,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쇠기(13)와, 감산기(14)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도 5의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는 비선형 왜곡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최대 전력 출력시에 맞춰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쇠기(13)를 조정한다. 즉, 최재 전력 출력시에 무왜곡 신호가 최소가 되어, 가장 높은 정밀도로 비선형 왜곡 성분만이 감산기(14)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도록 하고, 그 조정점을 그대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출력 전력이 최대가 아닐 때는 최대 출력시보다도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이 악화되는 경우는 없지만, 조정점이 미묘하게 어긋나 있다. 따라서 본래의 시스템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게 된다. 또한, 경시 변화나 큰 주위온도 변화로 비선형 특성을 가지는 고전력 증폭기(HPA)(12)의 특성이 미묘하게 변화함에 따라 최적 조정점이 어긋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5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입력전력 레벨 대 ACPR(Adjacent Channel Power Ratio) 특성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전력 레벨이 소정 입력레벨 이하가 되면 왜곡 보상제어 기능을 정지한 경우보다 왜곡 보상제어를 행하고 있는 경우가 ACPR이 저화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원인은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우선 고전력 증폭기(12)에 있어서 비선형 왜곡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최대 전력 출력시에 가변으로 되어 있는 도 5의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쇠기(13)를 조정하여, 무왜곡 신호가 사라져서 최소가 되어, 가장 높은 정밀도로 비선형 왜곡 성분만이 a점에 나타나도록 한 후에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감산기(13)의 조정점을 그대로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전력 조정 시 레벨로부터 멀어져 감에따라서 조정점이 점점 어긋난다. 따라서 감산기(14)에서 감산에 의해 사라지고 있던 무왜곡 신호가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게 된다. 즉, 감산기(14)의 출력단인 a점에는 비선형 왜곡 성분만이 아니라, 송신기의 출력신호인 무왜곡 신호가 서서히 포함되게 된다.
그 결과,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 레벨이 소정 값보다 낮아 졌을 때 무왜곡의 희망파 성분(신호성분)까지가 직교 변조기(11)의 입력측으로 피드백된다. 따라서 원래의 신호로부터 감산되어 상기 희망파 성분의 레벨이 내려가므로 그만큼 ACPR이 저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변조 신호를 고전력 증폭하는 회로에서 경시 변화나 주위온도 변화에 영향 받지 않고, 항상 높은 정밀도로 비선형 왜곡을 추출할 수 있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전력 레벨의 전역에서 ACPR 특성이 양호한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복조하고,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함하여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으로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 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 분만큼 감쇠시키고, 상기 감쇠시킨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위상 조정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감산함하여 비선형 왜곡성분만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회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로서,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비선형 왜곡 성분을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왜곡 추출부는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 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만큼 감쇠시키는 감쇠기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신호의 위상조정을 행하는 위상 조정기와,상기 감쇠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위상 조정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상기 감쇠기를 제어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복조하고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여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으로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 어를 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저화하는 전력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 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회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로서,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상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루프 내에 구비되어 입력된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와, 상기 전력 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보다 저화하는 전력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른 회로는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로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와, 상기 전력 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전력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상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루프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능 요소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요소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상기 도 1의 검파 회로의 구체적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제어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상기 도 1의 제어회로의 제어동작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도 5는 기 출원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종래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일 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종래의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다른 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송신기에 사용되는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전력 대 ACPR 특성을 나타낸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제어회로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1은 상기 도 9의 제어회로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을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이하에서 도 1의 실시 예를 참조하여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와 비교할 때 하기와 같은 구성상 차이점을 가진다. 먼저 상기 도 5의 비선형 왜곡 추출부(1A)에서 감쇠기(13) 대신에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압가변 감쇠기(3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감산기(14)의 출력 신호를 둘로 분기하여 출력하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40)를 구비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40)의 분배 신호는 비선형 왜곡성분의 신호로써 위상 조정기(22)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분배 신호는 검파기(50)로 입력된다. 상기 검파기(50)는 입력되는비선형 왜곡 성분의 신호를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여 이를 제어회로(60)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회로(60)는 검파기(50)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검파기(5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신호 감쇠량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제어회로(60)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전압가변 감쇠기(30)로 입력되어 상기 전압가변 감쇠기(30)의 감쇠량을 조정한다. 그 외의 다른 구성은 상기 도 5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도 1에서 도 5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였으며, 이에 대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검파 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상기 검파 회로(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단자(500)로부터 입력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정류하는 다이오드들(501, 502)로 이루어진 정류부와, 인덕턴스(inductance)(503) 및 콘덴서(504)로 이루어진 로우 패스 필터(LPF)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의 출력을 직류 증폭하여 출력단자(506)를 통해 제어회로(60)로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505)로 구성된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제어회로의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제어회로(60)는 검파기(5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출력을 A/D 변환하는 A/D 변환기(601)와, A/D 변환기 601의 출력을 받아서, 검파기(50)의 출력이 최소가 되도록 전압가변 감쇠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을 산출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또는 DPS)(602)와, 마이크로 컴퓨터(또는 DPS)(602)의 출력을 D/A 변환하는 D/A 변환기(603)로 구성된다. 상술한 검파회로(50)와 제어회로(6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기능을가지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에 의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그러면 이하에서 상기 도 1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보상회로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의 위상 지연량 및 전압가변 감쇠기(30)의 감쇠량이 송신 주파수에 따라 감산기(14)로부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할 시에 발생하는 최적의 비선형 왜곡만이 추출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설명한다. 상기 상태 하에서는 제어회로(60)는 전압가변 감쇠기(30)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서 기저대역 신호 I, Q는 각각 감산기들(16, 17)에서 후술하는 왜곡성분 e, f가 감산되고 난 후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직교 변조부(11)는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 g를 수신한다.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π/2 이상기(111)는 상기 입력된 캐리어 신호 g의 위상을 π/2만큼 이상하여 승산기(112)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112)는 상기 π/2 이상기(112)에서 π/2만큼 이상 위상이 이상된 캐리어 신호 g와 상기 감산기(17)에서 기저대역 신호 Q와 후술되는 신호 f가 감산된 신호가 승산되어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승산기(113)는 상기 감산기(16)에서 후술되는 신호 e와 기저대역 신호 I가 감산된 신호와 상기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 g를 승산하여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가산기(114)는 상기 승산기들(112, 11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즉, 입력된 신호를 직교 변조하여 직교 변조 신호 i를 출력한다.
상기 직교 변조 신호 i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로 입력되어 둘로분기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분기된 출력의 한 출력은 고전력 증폭기(12)로 입력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는 직교 변조 신호를 비선형 고전력 증폭(이득 K)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 신호 j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둘로 분기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의 한 출력 신호 j는 증폭회로의 출력이 되며, 다른 하나의 출력 신호 j는 전압가변 감쇠기(30)로 입력되어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 이득만큼 감쇠(1/K)되어 출력된다. 상기 전압가변 감쇠기(30)의 출력 신호 k는 감산기(14)로 입력된다.
또한,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는 직교 변조 신호 i의 분기 출력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 하여 상기 전압가변 감쇠기(30)의 출력 신호의 위상과 맞춰져 감산기(14)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4)는 고전력 증폭기(12)로부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를 통해 전압 가변 감쇠기(30)에서 감쇠된 비선형 왜곡을 포함한 신호 k에서, 직교 변조부(11)에서 출력되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분기되어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를 통해 출력된 왜곡이 없는 직교 변조 신호 l이 감산되어,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만이 추출된다.
상기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40)에 의해 둘로 분기된다. 상기 둘로 분기된 출력 중 한 출력은 위상 조정기(22)로 입력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은 검파기(50)로 입력된다. 위상 조정기(22)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40)의 입력 신호를 위상 조정한 후,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들(152, 153)로입력한다.
한편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g는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된다. 상기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152)는 위상 조정기(22)로부터 출력된 비선형 왜곡성분 b와 캐리어 신호 g를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2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 신호 g는 직교 복조부(15)의 π/2 이상기(151)로 입력된다. 그러면 π/2 이상기(151)는 입력된 캐리어 신호 g를 π/2만큼 위상을 이상하여 위상 이상된 캐리어 신호 m을 승산기(153)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153)는 위상 이상된 캐리어 신호 m과 상기 위상 조정기(22)의 출력 신호 b를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24)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직교 복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23, 24)은 입력된 신호를 각각 진폭 조정하여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들 e, f를 각각 감산기들(16, 17)로 출력한다.
따라서, 감산기(16)는 기저대역 신호 I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성분 e가 미리 감산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I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또한, 감산기(17)는 기저대역 신호 Q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성분 f가 미리 감산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Q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즉, 상기 감산기들(16, 17)은 감산기(14)에서 추출한 왜곡성분을 직교 복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저대역 영역에서의 역왜곡 특성(고전력 증폭시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소거하는 특성)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가 직교 변조부(11)에 의해 직교 변조된 후, 고전력 증폭기(12)에서 비선형 고전력 증폭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이 소거된다.
이어서, 고전력 증폭기(12)의 특성이 주위 온도의 변화 등에 의해 변화한 경우의 제어회로(60)에 의한 제어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00 단계에서 비선형 왜곡 추출부(1A)는 감산기(14)에서 고전력 증폭기(12)의 비선형 증폭에 기인하는 비선형 왜곡 성분만이 높은 정밀도로 출력하기 위한 초기 값들을 설정한다. 따라서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전압가변 감쇠기(30)에 의해 최적 조정된 상태에서의 검파기(50)의 출력인 검파 전압을 Vo로 설정한다. 그리고 이때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제어전압을 Vc로 설정하며, 상기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전전회의 제어전압을 Vco로 설정하고, 상기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전회의 제어전압을 Vcp로 설정한다. 또한 검파기(50)의 출력 오차전압 Ve의 전회의 오차전압을 Vep,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하는 제어전압의 가변 폭인 제어 스텝 전압을 ΔV(ΔV>0)로 하며, Vco = Vc, Vcp = Vc, Vep = 0으로 제어회로(60) 내의 메모리에 초기 설정한다.
여기에서 오차전압 Ve는 감산기(14)로부터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만이 출력되고 있는 시점에서 검파기(50)의 출력을 기준으로 하는 검파기(50) 출력의 차전압을 말한다.
그리고 101 단계로 진행하여 검파기(50)의 출력인 검파전압 VL을 독출한다. 그런 후 102 단계에서 검파기(50)의 오차전압 Ve(Ve = VL- Vo)을 구한다. 그리고 103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검파기(50)이 오차전압과 전회의 오차 전압보다 큰가(Ve > Vep)를 검사한다. 즉, 검파기(50)의 전회의 오차전압과 금 회의 오차전압의 대소비교가 행해진다. 상기 103 단계의 검사결과 금 회의 오차전압이 전회의 오차전압보다 큰 경우 즉, 특성이 저화된 경우 104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103 단계의 검사결과 금 회의 오차전압이 전회의 오차전압보다 크지 않은 경우 즉 특성이 향상된 경우 105 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104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를 살펴본다. 104 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큰가(Vcp > Vco)를 검사한다. 상기 104 단계의 검사결과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큰 경우 106 단계로 진행하여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제어전압 Vc를 Vc=Vcp-ΔV로 설정한다. 반면에 상기 104 단계의 검사결과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크지 않은 경우 107단계로 진행하여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하는 제어전압 Vc를 Vc=Vcp+ΔV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103 단계에서 105 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회로(60)로부터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되는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큰가(Vcp > Vco)를 검사한다. 상기 105 단계의 검사결과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큰 경우 108 단계로 진행하여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하는 제어전압 Vc를 Vc = Vcp + ΔV로 설정한다. 반면에 상기 105 단계의 검사결과 전회의 제어전압이 전전회의 제어전압보다 크지 않은 경우 109 단계로 진행하여 전압가변 감쇠기(30)로 공급하는 제어전압 Vc를 Vc = Vcp - ΔV로 설정한다.
상술한 106단계, 107단계, 108단계 및 109 단계의 처리 후에 110 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110 단계로 진행하면 전전회의 제어전압 Vco와, 전회의 제어전압 Vcp와, 전회의 오차전압 Vep를, 각각 Vco = Vcp로, Vcp = Vc로 그리고 Vep = Ve로 갱신한 후 101 단계로 진행하여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상의 처리를 검파기(50)의 출력전압의 레벨에 따라서 수행하므로 검파기(50)의 출력전압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감산기(14)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만이 출력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정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는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 분만큼 감쇠시킨다. 그리고 상기 감쇠시킨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위상 조정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신호를 감산하여 비선형 왜곡성분만을 추출하는 조정을 한 후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류성분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 직류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했으므로, 시간에 따른 변화나 주위 온도변화에 영향 받지 않고, 항상 높은 정밀도로 변조 신호를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므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상기 고전력 증폭 출력으로부터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전력이 변화하거나, 동일한 출력전력이라도 경시간의 변화나 주위온도의 변동 등에 의해서 고전력 증폭기의 특성이 변동한 경우에도 항상 최선의 비선형 왜곡보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는 도 5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와 구성상 하기와 같은 차이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는 상기 도 5의 비선형 왜곡 추출부(1A)에서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의 사이에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를 구비한다. 또한, 진폭 조정기(23)와 감산기(16)의 사이와 진폭 조정기(24)와 감산기(17)의 사이에 각각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들(31, 32)을 구비한다. 그리고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의 하나의 출력단과 상기 스위치(31, 32)의 사이에 검파기(50)와, 제어회로(70)를 구비한다. 그리고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의 다른 하나의 출력단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의 한 분기 출력은 검파기(50)로 입력되고, 제어회로(70)는 검파기(50)의 출력에 근거하여 스위치들(31, 32)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동일한 장치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치들(31, 32)은 연동하는 스위치이고, 제어회로(70)에 의해 동시에 온(on) 상태 또는 오프(off) 상태로 제어되며, 통상적으로는 온(on) 상태가 되도록 제어된다. 검파기(50)는 전술한 도 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스위치들(31, 32)은 본 발명의 스위치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검파기(5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검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고, 제어회로(70)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회로(70)를 예를 들어 도시하면 도 10과 같이 도시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회로(7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제어회로(70)는 검파기(5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출력을 A/D 변환하는 A/D 변환기(701)와, 디지털 컴퍼레이터(comparator)(702)와, 메모리(703)를 가진다. 또한 메모리(703)에는 입력 전력 레벨을 판정하기 위한 기준 전력 레벨의 데이터가 저장된다. 즉, 상기 메모리(703)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 값에 따라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되는 기준 전력 레벨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기준 전력 레벨을 도 8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8에서의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를 하는 경우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전력에 대한 ACPR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 P와,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를 행하지 않는 경우의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에 대한 ACPR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 Q와의 교점에서의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 레벨로 설정된다.
그러면 도 10을 참조하여 제어 회로(70)의 구성을 살펴본다. 제어회로(70)는 입력 단자(700)를 통해서 입력되는 검파기(50)의 출력을 수신한다. 그리고 A/D 변환기(701)는 상기 검파기(50)의 출력을 A/D 변환한다. 디지털 컴퍼레이터(702)는 A/D 변환기(701)의 출력을 수신하고, A/D 변환기(701)로부터 수신된 값이메모리(703)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기준 전력 레벨을 나타내는 값 이하인 경우에 스위치들(31, 32)을 오프상태로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단자(704)를 통해서 스위치들(31, 32)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검파회로(50)와, 제어회로(70)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검파회로(50)와 제어회로(70)의 구성은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다른 구성을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70)의 다른 예를 도 11에 도시하였다. 그러면 도 11을 참조하여 제어회로(70)의 다른 예를 살펴본다. 제어회로(70)의 입력단자(800)는 비반전 입력단자를 통해 검파기(50)의 출력이 입력되며,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가변저항(801)에 의해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연산 증폭기(802)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아날로그 컴퍼레이터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살펴본다.
기저대역 신호 I, Q는 각각 감산기들(16, 17)에서 후술하는 왜곡성분 e, f가 감산되고 난 후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직교 변조부(11)는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 g를 수신한다.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π/2 이상기(111)는 상기 입력된 캐리어 신호 g의 위상을 π/2만큼 이상하여 승산기(112)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112)는 상기 π/2 이상기(112)에서 π/2만큼 이상 위상이 이상된 캐리어 신호 g와 상기 감산기(17)에서 기저대역 신호 Q와 후술되는 신호 f가 감산된 신호가 승산되어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직교 변조부(11)의 승산기(113)는 상기 감산기(16)에서 후술되는 신호 e와 기저대역 신호 I가 감산된 신호와 상기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 g를 승산하여 가산기(114)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가산기(114)는 상기 승산기들(112, 113)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즉, 입력된 신호를 직교 변조하여 직교 변조 신호 i를 출력한다.
상기 직교 변조부(11)에서 출력된 직교 변조 신호 i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둘로 분기되며, 상기 분기된 출력 중 하나는 고전력 증폭기(12)로 입력되고, 다른 하나의 출력은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로 각각 입력된다. 여기에서,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 레벨은 상술한 메모리(703)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전력 레벨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따라서, 스위치들(31, 32)은 온 상태에 있다. 또한,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에서 둘로 분기된 출력 중 한 출력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 입력되며, 다른 하나의 출력은 검파기(50)로 각각 입력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는 직교 변조 신호를 비선형 고전력 증폭(이득 K)하여 출력한다. 상기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 신호 j는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에 의해 둘로 분기된다. 상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의 한 출력 신호 j는 증폭회로의 출력이 되며, 다른 하나의 출력 신호 j는 전압가변 감쇠기(30)로 입력되어 고전력 증폭기(12)의 증폭 이득만큼 감쇠(1/K)되어 출력된다. 상기 전압가변 감쇠기(30)의 출력 신호 k는 감산기(14)로 입력된다.
또한,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는 직교 변조 신호 i의 분기 출력 위상을 적절하게 시프트 하여 상기 전압가변 감쇠기(30)의 출력 신호의 위상과 맞춰져 감산기(14)로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감산기(14)는 고전력 증폭기(12)로부터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21)를 통해 전압 가변 감쇠기(30)에서 감쇠된 비선형 왜곡을 포함한 신호 k에서, 직교 변조부(11)에서 출력되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에 의해 분기되어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를 통해 출력된 왜곡이 없는 직교 변조 신호 l이 감산되어,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만이 추출된다. 상기 비선형 증폭 왜곡성분 a는 위상 조정기(22)에 의해 위상 조정된 후,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들(152, 153)로 각각 입력된다.
한편 캐리어 발생기(18)에서 발생된 캐리어 신호 g는 직교 복조부(15)로 입력된다.
상기 직교 복조부(15)의 승산기(152)는 위상 조정기(22)로부터 출력된 비선형 왜곡성분 b와 캐리어 신호 g를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23)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캐리어 신호 g는 직교 복조부(15)의 π/2 이상기(151)로 입력된다. 그러면 π/2 이상기(151)는 입력된 캐리어 신호 g를 π/2만큼 위상을 이상하여 위상 이상된 캐리어 신호 m을 승산기(153)로 출력한다. 상기 승산기(153)는 위상 이상된 캐리어 신호 m과 상기 위상 조정기(22)의 출력 신호 b를 승산하여 진폭 조정기(24)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직교 복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각 진폭 조정기들(23, 24)은 입력된 신호를 각각 진폭 조정하여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들 e, f를 각각 감산기들(16, 17)로 출력한다.
따라서, 감산기(16)는 기저대역 신호 I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 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성분 e가 미리 감산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I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또한, 감산기(17)는 기저대역 신호 Q로부터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증폭동작에 의해 발생하는 왜곡성분 f가 미리 감산된다. 이를 통해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신호 Q가 직교 변조부(11)로 입력된다.
즉, 상기 감산기들(16, 17)은 감산기(14)에서 추출한 왜곡성분을 직교 복조함으로써 생성되는 기저대역 영역에서의 역왜곡 특성(고전력 증폭시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성분을 소거하는 특성)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역왜곡 성분이 중첩된 기저대역 신호가 직교 변조부(11)에 의해 직교 변조된 후, 고전력 증폭기(12)에서 비선형 고전력 증폭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이 소거된다.
그러나 검파기(50)로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단과 동일한 직교 변조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단 전력레벨에 비례하여 전력레벨의 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신호를 검파기(50)에 의해 검파하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30)의 출력단의 신호전력, 즉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단의 신호전력에 비례한 직류전압이 발생한다. 상기 직류전압은 제어회로(70)로 입력된다.
제어회로(70)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 전력 레벨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31, 32)의 온/오프 제어를 수행한다. 즉, 제어회로(70)는 고전력 증폭기(12)에서의 입력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하는 경우가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기준전력레벨 이하인 경우에 스위치(31, 32)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그 결과,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기능이 자동적으로 정지되어, 고전력 증폭기(12)에서 입력전력 대 인접채널 전력비 특성은 개선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하는 경우가 제어를 정지한 경우보다 저화하는 전력 레벨 이하이면,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기저대역신호에 중첩하는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의 전역에 걸쳐서 양호한 ACPR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와 구성상 다른 점을 살펴본다. 상기 도 9의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30) 대신에 직교 변조부(11)의 출력신호를 고전력 증폭기(12)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 및 검파기(50)의 3방향으로 분배하는 3 분배기(40)를 구비한다.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는 상기 도 9에 도시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와 구성상 하기와 같은 차이점을 가진다. 상기 도 9의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들(19, 30) 대신에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 80)을 구비하고, 직교 변조부(11)의 출력신호를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80)에 의해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와 검파기(50)로 분기한다. 그리고, 방향성 결합기 또는 분배기(19)는 입력된 신호를 다시 둘로 분기하여 한 출력은 고전력 증폭기(12)로, 그리고 다른 출력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로 분기시켜서 입력한다. 이를 통해 직교 변조부(11)의 출력신호를 고전력 증폭기(12)와, 지연회로 또는 이상기(20) 및 검파기(50)의 3방향으로 분배하도록 한 점으로, 그 외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도 12 및 도 13과 같은 실시 예를 통해서도 상기 도 9에 도시한 선형 왜곡 보상 회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예들에서는 고전력 증폭기(12)의 입력측의 신호를 검파하여 제어회로(70)로 입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전력 증폭기(12)의 출력측의 신호를 분기하여 그를 검파하고 제어회로(70)로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도 2의 검파기는 반파 정류형으로 되어 있지만, 전파 정류형으로 구성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2의 검파기를 구성하는 로우 패스 필터(LPF)는 여기에 제시한 것 이외의 회로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저지하는 스위치를 왜곡 추출부로부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 루프 내에 구비한다. 그리고 직교 변조 신호를 비선형 증폭하는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수단으로서의 검파기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회로는 상기 검파기의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전력에대한 인접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태 쪽이 상기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전력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들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고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한 비선형 왜곡성분을 귀환시키는 귀환루프 내에 상기 귀환루프를 접속 또는 절단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는 대신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행하고 있는 상태 쪽이 상기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전력레벨 이하인 경우에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상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루프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능 요소 중 어느 하나의 기능요소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상기 각 실시 예에 관한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감쇠량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고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회로에서 ACPR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ACPR이 저하되는 출력 전력 레벨에 따라 궤환 회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므로 신호의 전 대역에서 ACPR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 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복조하고,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함하여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할 때에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 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 분만큼 감쇠시키고, 상기 감쇠시킨 상기 출력신호로부터 위상 조정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감산함하여 비선형 왜곡성분만을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2.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출력되는 비선형 왜곡 성분을 직류 성분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추출부는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사용 전력 출력시에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증폭도만큼 감쇠시키는 감쇠기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신호의 위상조정을 행하는 위상 조정기와,
    상기 감쇠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위상 조정기의 출력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직류 성분이 최소가 되도록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감쇠량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상기 감쇠기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4.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고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 영역으로 직교복조하고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여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 어를 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보다 저화하는 전력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 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동작을 중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5.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 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상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루프 내에 구비되어 입력된 신호를 통과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와,
    상기 전력 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보다 저화하는 전력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6. 기저대역 신호를 직교 변조한 후 고전력 증폭기에 의해 비선형 고전력 증폭하는 송신기에서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한 변조 신호로부터 비선형 왜곡성분을 추출하는 왜곡 추출부와, 상기 비선형 왜곡성분을 위상 조정한 상태에서 기저대역영역으로 직교 복조하는 직교 복조부와, 상기 기저대역영역의 왜곡성분의 역위상의 왜곡성분을 상기 기저대역 신호에 중첩하는 왜곡 중첩부를 구비하며, 상기 비선형 고전력 증폭 시 발생하는 비선형 왜곡을 보상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을 검출하는 전력 검출부와,
    상기 전력 검출부의 검출 출력을 수신하여 상기 고전력 증폭기의 입력 전력 레벨이 상기 고전력 증폭기에서의 입력 전력에 대한 인접 채널 전력비의 특성이 비선형 왜곡 보상제어를 수행하는 경우가 상기 제어를 정지한 상태보다 저화하는 전력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왜곡 추출부로부터 상기 왜곡 중첩부에 이르는 귀환루프 내에 구비된 복수의 기능 요소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 요소의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KR10-2002-0005157A 2001-03-22 2002-01-29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KR100438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3715A JP4361704B2 (ja) 2001-03-22 2001-03-22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JP-P-2001-00083716 2001-03-22
JP2001083716A JP4703874B2 (ja) 2001-03-22 2001-03-22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JP-P-2001-00083715 2001-03-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93A Division KR100438449B1 (ko) 2001-03-22 2004-03-15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16A true KR20020075216A (ko) 2002-10-04
KR100438445B1 KR100438445B1 (ko) 2004-07-03

Family

ID=266118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157A KR100438445B1 (ko) 2001-03-22 2002-01-29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KR10-2004-0017393A KR100438449B1 (ko) 2001-03-22 2004-03-15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393A KR100438449B1 (ko) 2001-03-22 2004-03-15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36646B2 (ko)
KR (2) KR100438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2725B2 (ja) * 2001-12-05 2007-11-21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プリディストーション型増幅装置
US7215716B1 (en) * 2002-06-25 2007-05-08 Francis J. Smith Non-linear adaptive AM/AM and AM/PM pre-distortion compensation with time and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low power applications
JP4168259B2 (ja) * 2003-02-21 2008-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非線形歪補償回路および非線形歪補償方法ならびに送信回路
JP4175503B2 (ja) * 2003-04-18 2008-11-0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歪み補償回路及び送信装置
KR100518456B1 (ko) * 2003-10-10 2005-09-30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전력 증폭기의 선형화를 위한 디지털 피드백 선형화 장치및 방법
FI20040140A0 (fi) * 2004-01-30 2004-01-30 Nokia Corp Säätöpiiri
US7268626B2 (en) * 2004-04-30 2007-09-11 Broadcom Corporation Compensating a power amplifier based on operational-based changes
DE102004038089B4 (de) * 2004-08-05 2016-02-04 Rohde & Schwarz Gmbh & Co. Kg Reglergestütztes Verfahren und reglergestützte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Kennlinie eines Kompensationsgliedes in einem Pegelkreis
JP2007104007A (ja) * 2005-09-30 2007-04-19 Toshiba Corp 直交変調器及び直交変調器におけるベクトル補正方法
US7542738B2 (en) * 2005-12-21 2009-06-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mpensating for power amplifier distortion and non-linearity
US7675983B2 (en) * 2006-04-14 2010-03-0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itigation of DC distortion in OFDM receivers
US7940198B1 (en) * 2008-04-30 2011-05-10 V Corp Technologies, Inc. Amplifier linearizer
US8320841B2 (en) * 2007-06-27 2012-11-27 Broadcom Corporation Active power meter
JP2010187178A (ja) * 2009-02-12 2010-08-26 Toshiba Corp 無線送信装置および無線送信方法
US8774314B2 (en) * 2009-06-23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 architectures
US20100327932A1 (en) * 2009-06-26 2010-12-30 Qualcomm Incorporated Feedback system with improved stability
US20110143697A1 (en) * 2009-12-11 2011-06-16 Qualcomm Incorporated Separate i and q baseband predistortion in direct conversion transmitters
US8880010B2 (en) * 2009-12-30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Dual-loop transmit noise cancellation
KR101101512B1 (ko) 2010-07-29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씨모스 파워 증폭기
CN104409817B (zh) * 2014-12-06 2017-02-22 河南蓝海通信技术有限公司 合路装置
US9813085B1 (en) * 2016-09-23 2017-11-07 Qualcomm Incorporated Closed loop digital pre-distortion
CN108390651B (zh) * 2018-02-09 2021-07-06 沃勤科技有限公司 自适应反馈抵消失真信号的射频功率放大器及抵消方法
US10305522B1 (en) 2018-03-13 2019-05-28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circuit including voltage mode harmonic-rejection mixer (HRM)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6439B2 (ja) * 1993-04-20 2001-04-16 三菱電機株式会社 歪補償回路
JP3064901B2 (ja) * 1996-05-08 2000-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
JPH1022844A (ja) * 1996-07-05 1998-01-23 Fujitsu Ltd 送信機の非線形歪み検出回路およ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KR200278532Y1 (ko) * 1997-12-30 2002-11-07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기준신호를이용한피드포워드증폭기
US5929704A (en) * 1998-02-20 1999-07-27 Spectrian Control of RF error extraction using auto-calibrating RF correlator
GB9804835D0 (en) * 1998-03-06 1998-04-29 Wireless Systems Int Ltd Predistorter
KR20000009063A (ko) * 1998-07-21 2000-02-15 이재길 암반 선절개 방법 및 선절개에 의한 암반절취 방법
US6614854B1 (en) * 1999-05-28 2003-09-02 Carrier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predistortion
JP3381689B2 (ja) * 1999-11-30 2003-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非線形歪み補償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送信装置並びに移動通信機
US6751447B1 (en) * 1999-12-30 2004-06-15 Samsung Electronics Cop., Ltd. Adaptive digital pre-distortion circuit using output reference sig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6384677B2 (en) * 2000-01-28 2002-05-07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ower amplifier having negative feedback circuit for transmitter
JP4633891B2 (ja) * 2000-08-01 2011-02-16 三星電子株式会社 非線形歪み補償回路及び非線形歪み補償方法
KR100371174B1 (ko) * 2000-08-25 2003-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호변조왜곡 전력 검출회로
JP2002111401A (ja) * 2000-10-03 2002-04-12 Fujitsu Ltd 信号の歪補償装置および歪補償方法
KR20010025223A (ko) * 2000-11-02 2001-04-06 오병선 적응성이 있는 전치왜곡기를 이용한 고출력 증폭기 효율향상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8449B1 (ko) 2004-07-07
US20020136324A1 (en) 2002-09-26
KR100438445B1 (ko) 2004-07-03
KR20040030762A (ko) 2004-04-09
US6836646B2 (en) 2004-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8445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KR100421145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US6587513B1 (en) Predistorter
US6980604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6437644B1 (en) Predistorter
KR100279948B1 (ko) 선형화된 전력 증폭 장치 및 방법
TWI442697B (zh) 射頻功率放大器之前饋線性化
EP1092274B1 (en) A predistorter
KR20000035116A (ko) 왜곡 보상 회로
US6838934B2 (en) Feedforward amplifier with dual loop
JP4302436B2 (ja) 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446500B1 (ko) 비선형 왜곡 보상 방법 및 비선형 왜곡 보상 회로
US7209715B2 (en) Power amplifying method,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27151B1 (ko)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및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JP2008028746A (ja) 歪み補償装置
JP4703874B2 (ja)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JP2000244341A (ja) カーテシアン・フィードバック回路における飽和防止回路
JP4361704B2 (ja) 非線形歪み補償方法及び非線形歪み補償回路
KR100790122B1 (ko) 비선형 왜곡 보상회로 및 비선형 왜곡 보상방법
JP2006086928A (ja) 電力増幅器の非線形歪補償回路
KR100538267B1 (ko) 아날로그 제어기를 이용한 적응형 피드포워드선형전력증폭기 및 그 선형화 방법
JP2004080770A (ja) 電力増幅方法、電力増幅器、通信機器
RU2172552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линеаризации усилителя мощности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радиосвязи
JPH10233627A (ja) 歪補償増幅器
JP2005005834A (ja) 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