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925A -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925A
KR20020073925A KR1020010013878A KR20010013878A KR20020073925A KR 20020073925 A KR20020073925 A KR 20020073925A KR 1020010013878 A KR1020010013878 A KR 1020010013878A KR 20010013878 A KR20010013878 A KR 20010013878A KR 20020073925 A KR20020073925 A KR 2002007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ravity
support
presen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056B1 (ko
Inventor
심태영
Original Assignee
심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태영 filed Critical 심태영
Priority to KR10-2001-001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0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을 가설하기 위해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을 때, 상기 빔과 지승에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교각 상측에 설치되는 지승의 상단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지승의 상측에 설치되는 빔의 저면 일측에 결합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빔의 저면 타측에 장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승 위에 교량용 빔의 무게중심이 정확하게 올려지도록 상기 교량용 빔을 수 차례 들었다 놓았다 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단지 빔이 지승 위에 올려질 때 결합돌기가 결합요홈 또는 장홈에 삽입되도록만 하면 무게중심은 정확하게 맞춰져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Description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Beam for Bridge}
본 발명은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을 가설하기 위해 교각 위에 빔을 설치할 때, 상기 빔을 설치 위치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과 차량이 통행하는 교량의 상부구조를 시공할 때에는 상기 상부구조의 일부가 되며 상부구조에 가해지는 하중을 교각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빔을 사용한다.
이러한 빔은 "I" 형상이 일반적이며, 상부구조를 지지하며 상부구조의 하중을 지중으로 보내 소멸시키는 교각과 교각 또는 교각과 교대의 상측에 상기 빔을 올려놓은 다음, 상부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구조와 빔이 일체가 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에 있어서, 빔을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올려놓을 때에는 먼저, 교각 또는 교대 위에 지승(교좌장치)을 설치한 다음, 상기 지승 위에 빔을 올려놓아야 한다.
그러나 상기과 같은 종래의 설치방법은 그 작업이 매우 어려워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즉, 상기 빔의 저면 양측 선단부분이 각각 지승 위에 올려져 지지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빔은 그 크기와 무게가 매우 크고 무겁기 때문에 상기 작업을 인력으로는 할 수가 없고 기중기와 같은 기계장비를 이용하여야 하며. 빔이 지승 위에 올려질 때 그 무게 중심이 정확하게 지승 위에 올려져야 교량의 안전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을 때에는 기중기를 이용하여 상기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되, 빔의 저면 양측 선단의 무게 중심이 정확하게 올려지도록 하여야 하는데, 단 한 번의 시도 즉, 빔을 지승 위에 처음 올려 놓는 순간 바로 무게 중심이 정확히 맞추어 진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어서, 무게 중심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는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고 오차범위를 확인한 뒤, 다시 빔을 들고 오차범위만큼 상기 빔을 이동시킨 후, 지승 위에 다시 올려 놓는 작업을 수회 반복해야 겨우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빔과 지승에 무게 중심을 맞출 만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기 위해서 하루종일 또는 몇 일씩 작업을 해야 되어, 상기와 같은 작업을 위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을 가설하기 위해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을 때, 상기 빔과 지승에 무게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승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저면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설치과정도.
* 도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승 11 : 결합돌기 12 : 빔
13 : 결합요홈 14 : 장홈 15 : 교각
16 : 상부 콘크리트
이러한 본 발명은 교각 상측에 설치되는 지승이 상단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지승의 상측에 설치되는 빔의 저면 일측에 결합요홈을 형성하며, 상기 빔의 저면 타측에 장홈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고안은 교량용 빔의 설치 작업시 비용과 시간이 절감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지승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교량용 빔의 저면 사시도 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교량용 빔의 설치과정도 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교각(15) 또는 교대 상단에 설치되는지승(10)의 상단에 원뿔형상의 결합돌기(11)를 형성하고, 이 지승(10)위에 올려지며 상부 콘크리트(16)의 하중을 상기 교각(15) 또는 교대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교량용 빔(12)의 저면 일측 선단에는 결합요홈(13)을 형성하며, 타측 선단에는 장홈(14)을 형성하여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각(15) 또는 교대 상단에 지승(10)을 설치하는데, 교각(15) 또는 교대를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상기 지승(10)의 하단 일부가 콘크리트 속에 삽입되어 교각(15) 또는 교대와 일체가 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교량용 빔(12)을 기중기 등으로 들어 올린 다음, 그 양측 선단을 교각(15)과 교각(15) 또는 교각(15)과 교대 상단에 설치한 지승(10) 위에 올려놓는데, 이때 교량용 빔(12)의 저면 양측 선단에 형성한 결합요홈(13)과 장홈(14)에 지승(10)의 결합돌기(11)가 각각 삽입되도록 위치를 조절하여 올려놓는다.
상기에 있어서, 지승(10) 상단에 형성한 결합돌기(11)가 원뿔형상이기 때문에, 결합요홈(13) 또는 장홈(14)에 결합돌기(11)가 삽입될 때, 결합 돌기(11)의 상단 꼭지점부분과 결합요홈(13) 또는 장홈(14)의 정 중앙부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다소의 오차가 있다 하더라도, 결합돌기(11)가 결합요홈(13) 또는 정홈(14)에 삽입되면 결합요홈(13) 또눈 장홈(14)의 내주연이 결합돌기(11)의 외주연에 안내되며 그 위치가 정확하게 맞게 된다.
따라서, 교량용 빔(12)의 무게중심 부분이 정확하게 지승(10) 위에 올려져 교량의 안전을 기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빔(12)을지승(10) 위에 올려놓았다 들었다 하는 작업을 반복하지 않고, 단지 결합돌기(11)와 결합요홈(13) 또는 장홈(14)의 위치만 맡춘 상태로 올려놓기만 하면, 무게중심이 정확하게 맞춰진다.
이후, 상부 콘크리트(16)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가설한 다음,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 콘크리트(16)를 형성한다.
이때, 교량용 빔(12)의 상측은 상부 콘크리트(16) 내부에 삽입되도록 거푸집을 가설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12)의 상측과 상부 콘크리트(16)가 일체가 되도록 하는데,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빔(12)의 중간부분은 상기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빔을 형성할 때 통상적으로 중간부분을 상측으로 만곡지게 솟아오른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빔(12)의 중간부분이 하측으로 휜다 하여도 빔(12)의 솟아오른 중간부분이 내려오는 것으로, 상기 빔(12)은 수평상태가 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빔(12)의 양측 선단이 외측으로 조금 이동하게 되는데, 결합요홈(13)을 형성한 빔(12)의 일측은 그 위치가 변하지 않으나, 장홈(14)을 형성한 타측이 변하게 된다.
즉, 첨부한 도면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교량용 빔(12)의 중간부분이 하측으로 내려오며 빔(12)의 양측 선단을 외측으로 이동시킬 때, 빔의 결합요홈(13)에 지승(10)의 결합돌기(11)가 삽입되어 이동에 방해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교량의 안전에 치명적인 지장을 줄 수 있으나. 상기 빔(12)의 타측에 빔(12)이 이동되는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장홈(14)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빔(12)의 선단이 이동될 때 장홈(14)의 범위 내에서 결합돌기(11)가 삽입된 채로 이동이 이루어져. 그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것은 물론 무게중심도 변하지 않아 교량의 안전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끈탄 후, 상부 콘크리트(16) 상측에 차도, 인도, 난간 등을 설치하면 교량의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시공을 위해 교량용 빔을 지승 위에 올려놓을 때, 상기 교량용 빔의 무게중심이 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지승 위에 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기와 결합요홈 및 장홈을 형성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승 위에 교량용 빔의 무게중심이 정확하게 올려지도록 상기 교량용 빔을 수 차례 들었다 놓았다 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없고, 단지 빔이 지승 위에 올려질 때 결합돌기가 결합요홈 또는 장홈에 삽입되도록만 하면 무게중심은 정확하게 맞춰져 작업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발명이다.

Claims (1)

  1. 교각(15)과 교각(15) 또는 교각(15)과 교대 위에 설치된 지승(10)과 상기 지승(10)위에 설치되는 빔(12)에 있어서,
    상기 지승(10)의 상단에 형성한 결합돌기(11)와, 빔(12)의 저면 일측에 형성한 결합요홈(13)과, 빔(12)의 저면 타측에 형성한 장홈(1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KR10-2001-0013878A 2001-03-17 2001-03-17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KR100402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878A KR100402056B1 (ko) 2001-03-17 2001-03-17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3878A KR100402056B1 (ko) 2001-03-17 2001-03-17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925A true KR20020073925A (ko) 2002-09-28
KR100402056B1 KR100402056B1 (ko) 2003-10-17

Family

ID=2769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3878A KR100402056B1 (ko) 2001-03-17 2001-03-17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05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717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composer
US9606695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Event notification
US9607289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type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1970A (ja) * 1996-04-27 1997-11-11 Kawasaki Heavy Ind Ltd 構造体の変位制御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6717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composer
US9606695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Event notification
US9607289B2 (en) 2012-11-14 2017-03-28 Facebook, Inc. Content typ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2056B1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6635B1 (ko) 하로식 폼 트래블러와 선조립된 철근조립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208702197U (zh) 一种大位移整体顶升水平限位装置
CN108316466B (zh) 一种预制飘窗构件、装配式飘窗节点构造及其施工方法
CN108118620B (zh) 用于桥塔施工的整体自爬式集成平台及其施工方法
KR100664996B1 (ko) 신구 교량 상부구조물 긴급 교체장치 및 방법
KR20020073925A (ko) 교량용 빔의 설치구조
JP2007031963A (ja) 橋桁架設構造
CN109056438B (zh) 一种城市高架匝道改造的施工方法
CN109837838A (zh) 一种钢混箱梁的施工方法
KR20200110892A (ko) 프리캐스트 교량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100377868B1 (ko) 교각용 틀비계를 이용한 교각 시공 방법
CN205822454U (zh) 一种焊接格构柱装置
CN211849438U (zh) 一种用于桩柱连接及垂直度调节的装置
CN113882280A (zh) 一种钢-混凝土混合组合连续刚构桥梁的施工方法
CN208869951U (zh) 一种用于桥梁悬臂浇筑的墩顶梁段的吊装座
KR100734019B1 (ko) 4방향 또는 2방향으로 지지대가 설치된교량거더지지브라켓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210002262U (zh) 带平移滑动装置的现浇桥梁模板
KR100555146B1 (ko) 교량의 교각변위 측정장치
KR20020073000A (ko) 사장교의 주두부 시공 방법
CN219671103U (zh) 一种钢箱梁高位落梁支墩结构
CN220131692U (zh) 一种预制浮置板的吊装装置
KR200230089Y1 (ko)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KR200290739Y1 (ko) 교량 보수를 위한 인상용 잭 받침대
CN218324097U (zh) 一种墩柱装配式梯笼预制混凝土底座
KR102381969B1 (ko) 교량 코핑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코핑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