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089Y1 -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 Google Patents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089Y1
KR200230089Y1 KR2020000033656U KR20000033656U KR200230089Y1 KR 200230089 Y1 KR200230089 Y1 KR 200230089Y1 KR 2020000033656 U KR2020000033656 U KR 2020000033656U KR 20000033656 U KR20000033656 U KR 20000033656U KR 200230089 Y1 KR200230089 Y1 KR 200230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s
point
composite girder
branch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세
Original Assignee
구민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세 filed Critical 구민세
Priority to KR2020000033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089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부모멘트 구간 중 일정 위치에 설치한 1개소 이상의 연결부와; 교각의 교좌부를 제외한 부모멘트 구간 중 일정 위치에 설치한 1개소 이상의 가지점과; 상기 가지점 위에 설치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 위에 설치한 고임판; 으로 이루어진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Description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Shifting up and down system of continuous preflex composite girder on temporary support}
본 고안은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5754호(이하 '인용발명1'라 한다)인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법'이 있다.
도 1은 인용발명의 구조물을 시공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a는 연속보의 모멘트도 형상대로 경간별로 만들어진 프리플렉스빔(1)를 거치한 다음 내측지점(2)에서 연결(3)한 상태도를 나타낸다. 그 후 연결된 내측지점을 상승(4)시켜 하부케이싱 콘크리트(5)에 압축응력을 추가로 도입시키고(도 1b 참조),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의 강형의 상부플랜지 및 복부를 감싸는 바닥판 콘크리트와 복부 콘크리트(6)를 타설 양생한 후(도 1c 참조), 상승된 지점을 하강(7)시켜(도 1d 참조) 바닥판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견딜 수 있는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나머지 구간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완전한 2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를 완성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기술인 인용발명은 복수의 프리플렉스빔을 설계하중에 의해서 가장 모멘트가 크게 발생하는 내측지점에서 연결함으로 과다량의 연결 볼트(8)와 두꺼운 연결플레이트(9)의 사용이 불가피하였으며, 강형의 하부플랜지의 연결시는 기설치된 하부 교좌장치(10)로 인하여 연결에 상당한 어려움이 뒤따른다.무엇보다도 가장 큰 문제점은, 바닥판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한 합성형의 상승 및 하강 작업을 내측지점에서 즉, 합성형의 하부와 교각 교좌부(11)의 좁은 공간 사이에 유압잭(12)을 설치하고 고임판(13)을 끼워 넣으면서 작업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한층 더 어려움이 따른다(도 1e 참조).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안출되었으며,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프리플렉스빔의 연결부를 기존 기술과 마찬가지로 내측지점에 위치시키거나, 내측지점이 아닌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으로 2개소에, 또는 좌측과 우측 중 어느 1개소에 위치시키고, 상승 및 하강 작업을 위한 유압잭의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으로 2개소에, 또는 좌측과 우측 중 어느 1개소에 설치한 가지점 위로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 1]는 인용발명의 시공법에 대한 것으로써 [도 1a]는 2개의 프리플렉스빔을 거치시키고 내측지점에서 연결한 상태도를, [도 1b]는 연결된 내측지점을 상승시키는 상태도를, [도 1c]는 내측지점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바닥판 콘크리트와 복부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한 상태도를, [도 1d]는 내측지점을 하강시키는 상태도를, [도 1e]는 내측지점에서의 연결부와 교좌장치, 그리고 유압잭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2a]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내측지점으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위치는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한 상태도를, [도 2b]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내측지점으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위치는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우측 1개소로 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3a]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상기의 연결부 2개소로 한 상태도를, [도 3b]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상기의 우측 연결부 1개소로 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도 4a]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우측 1개소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한 상태도를, [도 4b]는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우측 1개소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우측 1개소로 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프리플렉스빔 2:내측지점 3:연결 4:상승 5:하부케이싱 콘크리트 6:바닥판 콘크리트 및 복부 콘크리트 7:하강 8:연결 볼트 9:연결플레이트 10:교좌장치 11:교좌부 12:유압잭 13:고임판
도 2,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를 제시한 도면으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내측지점으로 하고, 가지점과 유압잭의 위치는 도 2a와 같이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에, 또는 도 2b와 같이 교각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1개소에 설치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종래 기술의 합성형 하부와 교각 교좌부의 좁은 공간 사이에서 상승·하강 작업을 실시하는데 따른 시공상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도 3은 프리플렉스빔의 연결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상기의 연결부 2개소로 하거나(도 3a 참조), 상기의 좌측 또는 우측 연결부 1개소(도 3b 참조)로 한다. 이로써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강형의 하부플랜지 연결 작업과 좁은 공간 사이에서의 상승·하강 작업의 시공상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도 4는 연결부의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 또는 우측 1개소로 한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가지점과 유압잭의 설치 위치는 도 4a와 같이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하거나, 교각의 좌측 또는 우측 1개소(도 4b 참조)로 한다. 이의 잇점은 도 3의 설명시와 같다.
본 고안에서 제시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는 연결부의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 또는 교각의 좌측과 우측 중 1개소로 함으로써 강형하부플랜지 연결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며, 상승·하강을 위한 유압잭의 위치는 교각의 교좌부를 벗어난 부모멘트 구간 중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 또는 교각의 좌측과 우측 중 1개소로 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좁은 공간 사이에의 작업상 어려움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6)

  1. 부모멘트 구간 중 일정 위치에 설치한 1개소 이상의 연결부와;
    교각의 교좌부를 제외한 부모멘트 구간 중 일정 위치에 설치한 1개소 이상의 가지점과;
    상기 가지점 위에 설치한 유압잭과;
    상기 유압잭 위에 설치한 고임판;
    으로 이루어진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위치를 내측지점의 교좌장치 위 1개소로 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제외한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위치를 교각의 교좌부를 제외한 교각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1개소로 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가지점의 위치를 교각의 좌측과 우측 2개소로 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가지점의 위치를 교각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1개소로 한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KR2020000033656U 2000-12-01 2000-12-01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KR200230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56U KR200230089Y1 (ko) 2000-12-01 2000-12-01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56U KR200230089Y1 (ko) 2000-12-01 2000-12-01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089Y1 true KR200230089Y1 (ko) 2001-07-19

Family

ID=7309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56U KR200230089Y1 (ko) 2000-12-01 2000-12-01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0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46B1 (ko) * 2000-12-01 2003-10-17 구민세 상승·하강을 이용한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시공법
KR100761732B1 (ko) 2006-07-21 2007-09-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0793157B1 (ko) 2006-12-21 2008-01-10 주식회사 포스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부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146B1 (ko) * 2000-12-01 2003-10-17 구민세 상승·하강을 이용한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시공법
KR100761732B1 (ko) 2006-07-21 2007-09-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강합성 거더의 연속화 방법
KR100793157B1 (ko) 2006-12-21 2008-01-10 주식회사 포스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부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608B1 (ko) 교각 코핑상면에 블럭아웃을 실시하여 매립한 중공형 철제파이프와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력을 갖는 고장력 강봉과조립식 철제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슬라브 인상공법
KR100522170B1 (ko) 단경간 및 다경간 합성형교(合成桁橋)의 시공법
KR100974305B1 (ko) 정모멘트 구간용 거더와 부모멘트 구간용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다경간 교량시공방법
CN106894346A (zh) 一种连续梁桥施工方法
KR200230089Y1 (ko) 가지점에서 상승·하강시키는 연속 프리플렉스합성형교의 상승·하강 구조
US5553439A (en)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0402146B1 (ko) 상승·하강을 이용한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시공법
CN108755606B (zh) 一种拱坝支撑大梁模板结构及施工方法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100791991B1 (ko) 슬래브일체형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방법
KR100793157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부모멘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제작방법
CN212077623U (zh) 一种用于组合结构桥梁的可拆卸式预制桥面板
JPH07300817A (ja)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トラス橋脚とその施工方法
JPH04353105A (ja) 橋桁の架設方法
KR200419013Y1 (ko) 합성거더를 이용한 가교설치시스템
KR200391232Y1 (ko) 가설벤트가 구비된 메인거더 런칭시스템
KR100622449B1 (ko) 하이브리드 교각 및 이를 이용한 연속화 시공방법
KR200304955Y1 (ko) 교각 해체를 위한 가시설 구조
KR100349023B1 (ko) 지점 재상승에 의한 연속형 프리플렉스 합성형교의 2차 프리스트레싱 공법
CN214995385U (zh) 一种分段组装的剪刀式叠合板式楼梯
KR19990045828A (ko) 가지점의상승.하강을이용한피에스씨빔교의시공및보수,보강공법
CN218893398U (zh) 一种高空塔柱施工用塔吊基础结构
KR102381969B1 (ko) 교량 코핑용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코핑의 시공방법
KR100584869B1 (ko) 지상에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조립하고 교량 상부슬래브를 타설양생하여 제작한 단위 프리스트레스트합성보 교량 및 이를 조립하여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합성보 교량 시공방법
KR20120136639A (ko)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대 일체형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