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3551A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3551A
KR20020073551A KR1020027010529A KR20027010529A KR20020073551A KR 20020073551 A KR20020073551 A KR 20020073551A KR 1020027010529 A KR1020027010529 A KR 1020027010529A KR 20027010529 A KR20027010529 A KR 20027010529A KR 20020073551 A KR20020073551 A KR 20020073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housing
building
antenna device
radio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화이트하우스마크
Original Assignee
오렌지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즈 서비시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즈 서비시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렌지 퍼스널 커뮤니케이션즈 서비시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7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3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들로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빌딩들의 내부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는 이동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안테나 장치. 상기 안테나는 또한 상기 빌딩내의 복사선 레벨들이 승인된 안전 레벨들 위로 상승하는 것을 막음으로써 상기 빌딩의 점유자들이 상기 안테나에 인접한 영역에서 계속 작업하도록 허용한다. 더욱이, 상기 안테나는 대부분의 목록에 기재되거나 보호된 빌딩들을 갖는 영역들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units}
관례적으로, 빌딩이 밀집한 지역에 있어서, 기지국용 안테나 장치들은 어떤 주어진 셀에서 최대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빌딩들의 외부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안테나들이 목록에 기재되거나 보호된 빌딩들의 외벽들상에 배치될 수 없다는 것은 이러한 안테나들의 단점이다. 그러므로, 많은 빌딩들이 목록에 기재된 도시들에 있어서, 안테나들을 설치하기 위한 허가를 획득하는 것은 어렵고 그 결과 상기 지역에서 적합한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유지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더욱이,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안테나들을 심미적으로 좋은 것으로 간주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의 빌딩들에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주인들을 설득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미국 특허 번호 6,014,110은 빌딩의 안쪽 부분에 장착되도록 적합화된 안테나 장치를 기술한다. 상기 안테나는 유전체 물질로 채워진 나팔관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물질은 상기 안테나가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전송할 빌딩의 안쪽 부분의물질과 굴절률에 관하여 매칭될 수 있거나 매칭될 수 없다. 선택적으로, 중간의 유전체 물질은 상기 나팔관의 물질과 상기 안쪽 부분의 물질간의 반사없는 매칭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그러나 배타적이지는 않게, 셀룰러 원격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기지국용 안테나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도 1은 기지의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 형태의 안테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안테나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선 IV-IV상의 안테나 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적합한 빌딩의 내부의 상부층상의 위치에 있는, 도 1 내지 도 4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대안적인 위치에 설치된 다른 형태의 안테나 장치를 도시한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적인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원하는 빔폭을 위해 안테나 장치내의 안테나의 위치 결정을 도시한 기하학도이다.
도 8은 평면 유리창이 있는 상태 및 없는 상태의 시제품 안테나 장치상에서 수행된 실험들의 결과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의하면, 빌딩의 바깥 부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안쪽에 위치할 때, 상기 바깥 부분으로부터의 반사된 복사선이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들과 간섭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바깥 부분에서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의하면, 안테나용 하우징이 제공되는데, 상기 하우징은 빌딩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안테나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빌딩의 내부로 무선 신호들의 누설을 실질적으로 막기 위한 차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들이 상기 하우징의 차폐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도록 정해지며, 상기 하우징은 부착될 때 상기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의 차폐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실질적으로 아무런 유전체 물질도 배치되지 않도록 정해진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의하면, 빌딩의 바깥 부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내부에 위치할 때, 실질적으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바깥 부분 사이에 아무런 유전체 물질도 배치되지 않도록 정해진다.
그러므로 안테나 장치는 빌딩의 외관이 변경됨없이 상기 빌딩내에 완전히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안테나들은 목록에 기재되거나 보호된 빌딩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것은 빌딩이 밀집한 지역에서 개선된 커버리지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차폐 수단은 전송되고 수신되는 상기 무선 신호들이 상기 빌딩으로 누설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빌딩의 점유자들은 상기 네트워크내에서 동작가능한 이동 단말기들로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고 상기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복사선으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무선 신호들의 반사 및 굴절에 관한 영향에 맞서기 위하여 아무런 유전체 물질도 상기 안테나 및 상기 하우징의 바깥 부분 또는 차폐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들 및 어셈블리의 비용은 미국 특허 번호 6,014,110의 안테나 장치에 비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추가 양상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해지고 본 발명의 특징들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로서만 설명될 것이다.
기지의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 이 실시예에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라고 지칭되는 GSM 네트워크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동 전화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re)(2)은 통신 링크들을 경유하여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들(BSC: base station controller)(4)에 연결된다. 상기 BSC들(4)은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2)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들을 지리적으로 가로질러 분산된다. 각 BSC(4)는 상기 BSC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추가적인 통신 링크들에 의해 상기 BSC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 기지국들(BTS: base transceiver station)(6)을 제어한다. 각 BTS(6)는 상기 BTS에 의해 서빙되는 영역에 있는 이동국들(8)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국들(8)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 안테나 어셈블리(7)를 포함한다. 상기영역은 "셀"로서 지칭된다.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는 많은 수의 이러한 셀들이 제공되는데, 상기 셀들은 전체 네트워크 영역에 걸쳐 연속적인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상적으로 인접해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한가지 형태의 안테나는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 Fibre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하우징(10)은 평평한 개방면(15)을 갖는 프러스토삼각 프리즘(frustotriangular prism: 상부를 밑면에 평행하게 잘라낸 삼각 프리즘)으로 형성된 단단한 박스이다.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 모양은 특히 창문과 같은 평평한 평면에 대한, 한 형태의 설치에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0)의 모양은 다른 형태의 설치에 적합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은 GFRP로 형성될 필요가 없고 알루미늄과 같이, 하우징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어떤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안테나의 앞에서 직접 약 80°내지 90°의 호를 이루는 스패닝(spanning)으로 이동 단말기들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필요한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셈블리(11)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는 GSM 구성요소이며, 방사되는 복사선은 약 900 MHz, 1800 MHz 또는 1900 MHz의 주파수이다. 다른 셀룰러 시스템들을 위해, 상기 안테나는 관련된 적합한 주파수 대역들에서 방사한다. 신호 급전선(9)은 상기 안테나를 송수신 기지국(6)에 연결한다.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11)는 내부 장착 브라켓(5)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그것을 통한 무선 주파수의 전송을 차단하는 차폐 물질(12)과 정렬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상기 차폐 물질은 전기적인 도전성 흑연 입자들 및 알루미늄 박 또는 페인트(12b)가 주입된 발포체(12a)의 교대 층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어떤 적합한 무선 주파수 차폐 물질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발포체는 어떤 적합하게 발포체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기로는 흑연 현탁 물질을 포함하는 익스팬디드 폴리머(expanded polymer)이다. 흑연이 주입된 발포체와 알루미늄 박의 결합물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부 영역을 차폐하고 인접 영역으로 상기 하우징(10)을 통해 복사선이 전송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안테나를 둘러싸는 상기 하우징의 나머지 부분이 차폐되는 반면에 차폐되지 않은 개방부(16)를 갖는다. 이 부분(16)은 그것을 통하여 무선 신호들의 전송을 허용하는 물질로 덮여 있을 수 있거나 단순히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선(9)은 그 목적을 위하여 특히 상기 차폐 물질에 형성된 구멍들을 통과하는데, 상기 물질은 원하지 않는 누설을 막기 위하여 상기 급전선들(9) 주위에 단단히 설치된다.
사용시, 상기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6)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그것에 대한 플랜지들(28, 29)의 접합에 의해, 상기 창문에 직접 부착되거나, 나사들 및 볼트들과 같은 적합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주위 벽에 부착된다. 상기 플랜지들(28)에는 나사들 또는 볼트들이 상기 장치(1)를 벽에 부착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그것의 모서리에 위치한 일련의 구멍들(30)이 제공될 수 있다.
창문에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창문(26)에 영구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없고, 바람직하기로는 유지 보수 목적들을 위하여 그것의 내부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떼어낼 수 있다. 고정 마운트는 상기 창문에 접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볼트들 또는 나사들과 같은 풀릴 수 있는 고착물에 의해 그것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10)에 적합하게 배치된 제거가능한 접착 스트립들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해 상기 창문(26)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1)가 상기 창문(26)을 가로질러 부착될 때,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창문(26)에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창문(26)과 상기 하우징(20)간의 영역에 부가적인 차폐 물질을 통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추가 차폐부는 상기 하우징(10) 내부로부터 상기 모서리 영역을 통해 상기 빌딩(32)의 내부까지 무선 신호들이 누설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모서리들 주위에 부착되는 금속화된 테이프 또는 도전성 테이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된 하우징(10)은 상기 하우징의 바로 바깥의 복사 레벨들이 인간 점유에 대한 규정된 레벨들내에 있다는 것을 보증하기 위하여 복사선을 차단하도록 설계된다. 1800 MHz 안테나의 경우, 영국의 국가 복사 보호국에 의해 정해진 허용된 레벨은 10 mWcm-2이고, 상기 하우징(10)의 바로 바깥의 레벨들은 이 한계내에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더 낮고, 적어도 5 mWcm-2미만이다.
상기 안테나 장치(1)는 창문(26)에 기댄 또는 창을 가로지른 상기 하우징(10)의 부분(16) 또는 구멍과 같은 다른 적합한 무선 주파수 신호 방출구와함께, 빌딩(32)내에 위치한다. 상기 안테나(11)가 상기 장치가 설치된 상기 빌딩 외부의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들로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방출구가 비교적 무선 주파수들에 대해 비교적 투과적이라 것은 중요하다.
상기 안테나 장치(1)는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고, 무선 신호들은 상기 안테나(11)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반면에 이 전송에 의해 야기되는 복사, 특히 상기 안테나(11)의 측면 및 배면으로 복사되는 그것의 복사 전력의 일부는 상기 빌딩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상기 창문(26)내의 유리 또는 다른 무선-전달 물질은 상기 안테나에 의해 상기 빌딩으로 되돌려 전송되는 무선 신호들의 일부를 반사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반사된 신호들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차폐부(12)에 의해 상기 빌딩으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된 예에서,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차폐부(12)의 확산적인 모양은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11)의 전송 패턴의 확산적인 모양을 실질적으로 따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차폐부(12)는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11)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무선 신호들(B)의 경로를 중대하게 막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1)는 컴팩트하므로, 상기 빌딩내의 공간의 효과적인 사용을 보증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안테나(11)는 허버(Huber) 및 서너(Suhner) 321 안테나와 같은, 이중 극 패널 안테나이다. 상기 장치(1)가 부착되는 창문에 상기 안테나가 너무 가까이 위치하는 것은 상기 안테나(11)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상기 창문으로부터 반사된 복사선은 상기 전송된 복사선과 간섭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1800 MHz의 무선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위해, 상기 안테나는 그것의 면이 상기 창문의 내부 표면에서 적어도 3cm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가 상기 창문에서 너무 멀리 이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크기는 바람직하지 않게 커지므로, 상기 간격은 10cm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간격은 약 6cm이다.
일반적으로, 주어진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위하여, 장치(1)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안테나 및 상기 유리간의 간격이 다음 조건들을 만족하도록 정해진다. 도 7을 참조하면, 구경 폭 d 및 빔폭 θ(예를 들어 80°-90°)의 개방부(16)를 갖는 장치에 대해, 기하학은 안테나(11) 및 상기 유리간의 최대 간격 D를 제공한다.
최소 간격 D는 신호 저하가 허용될 수 있는 최소 간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8은 1800 MHz에서 동작하고 그리고 표준 두께 6㎜의 평면 유리창에 대해 동작하는 시제품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테스트들로부터 획득된 실험적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데시벨(Y 축)의 수신된 전력에서의 손실은 안테나(11)의 중심을 통과하는 법선(normal line)을 따라 상기 유리로부터 1.285m 지점에서 측정되었다. 센티미터(X 축)의 유리-안테나 간격에 대해 표시된 것은, 상기 유리에서 각각 0.3 및 6㎝ 이격된 안테나를 가지고 수신된 전력의 손실을 보여주는 3개의 점들이다. 수평선(50)은 유리가 제거된 상태에서 수신된 전력을 보여준다. 선(52)은 3개의 측정치들을 외삽한 것이다. 실제로, 선(52)은 수평선(50)에 대해 점근적(asymptotic)이어야 하지만, 직선 표시는 유용한 근사치를 제공하고, 선들(50 및 52)이 교차하는, 약 8.4㎝ 간격에서, 상기 수신된 전력이 실질적으로 아무런 유리도 없는 것처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한다. 1800 MHz의 동작 주파수에 대해, 우리는 16.7㎝의 파장을 갖는다. 이것은 상기 실험 데이터에서 획득된 최소 거리의 두배에 매우 근접한 근사치를 제공한다. 상기 간섭 영향들은 파장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동작 파장(λ)에 대해 상기 유리와 안테나(11)간의 최소 간격을 위한 더 일반적인 조건을 고안할 수 있다.
기하학에 기초한 상기 최대 간격 조건과 결합되어, 우리는 다음과 같이 유리-안테나 간격(D)을 결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범위 부등식을 획득한다.
이 결과의 필연적인 결과는 상기 개방부(16)의 최소 구경(d)을 파장 및 빔폭의 함수로서 정의하는 다음식과 같다.
또한, 무시해도될 상기 유리에서의 내부 반사의 영향에 대해, 우리가 다음과같은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은 주목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TG는 상기 유리의 두께이다. 정상 동작 조건에서 16.7㎝의 파장들 및 6㎜의 두께를 가진 시제품의 테스트들에서와 같은 이 요건은 만족된다.
상기 안테나를 상기 유리에 근접하여 배치함으로써 야기되는 신호 저하의 허용가능한 레벨은 예를 들어, 안테나(11)의 전력 용량 및 요구되는 무선 커버리지의 면적에 따라 변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의 크기와 같은 다른 인자들은 또한 상기 유리-안테나 간격을 결정하는데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상기 최소 간격 조건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신호 세기를 유지하는 것과 상기 하우징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의 상충하는 요건들간의 절충을 제공한다. 이 절충을 가지고, 최소 구경의 정의는 다음과 같아진다.
설명된 상기 안테나 및 하우징 구성은 평면 창문(26)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기 안테나 장치(1)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이 다른 설치들에 적합한 다른 모양들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은 구석 유리창(42)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그리고 두개의 수직한 유리창들에 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의 내부 모양을 따르는,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의 차폐부(44)는 또한 상기 장치가 설치된 빌딩으로의 무선 전송의 실질적인 누설을 막는다.
또한 불규칙한 모양의 창문에서 또는 구멍과 같은 방출구 또는 무선 주파수들에 대해 충분히 투과적인 심지어 벽을 가로질러 상기 안테나 장치(1)를 설치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다른 모양들이 고찰될 수 있다.
첨부한 청구항들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추가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Claims (22)

  1.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된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안쪽에 위치할 때, 상기 바깥 부분으로부터의 반사된 복사선이 상기 안테나에 의해 전송된 무선 신호들과 간섭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막기 위하여 상기 안테나가 상기 바깥 부분에서 이격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부분은 창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바깥 부분간의 간격은 전송된 무선 신호들의 파장의 절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바깥 부분간의 간격은 전송된 무선 신호들의 파장의 1/3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무선 신호들은 θ의 빔폭(beamwidth)을 갖도록 요구되고 상기 하우징은 전송된 복사선의 파장에를 곱한 것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무선 신호들은 θ의 빔폭을 갖도록 요구되고 상기 하우징은 전송된 복사선의 파장에를 곱한 것보다 더 큰 폭을 갖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및 상기 바깥 부분간의 간격은 3㎝ 내지 10㎝ 사이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은 약 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빌딩의 내부로 실질적으로 무선 신호들의 누설을 막기 위한 차폐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차폐 수단은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가 상기 빌딩내에 위치할 때 상기 빌딩의 외부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빌딩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상기 빌딩의 외부로 그리고 상기 빌딩의 외부로부터 무선 신호들의 방해받지 않는 전송을 허용하는 상기 빌딩의 바깥 부분의 안쪽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이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은 상기 하우징을 평평한 바깥 부분에 부착하도록 적합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부착 수단의 영역내의 상기 빌딩의 내부로 무선 신호들의 누설을 실질적으로 막도록 정해지는 추가 차폐 수단이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의 모양은 실질적으로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의 전송 및 수신 패턴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은 무선 신호들을 흡수할 수 있는 전기적인 도전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인 도전성 물질은 전기적인 도전성 입자들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인 도전성 물질은 도전성 발포체 및 알루미늄 박의 교대 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7. 제9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적합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이동 원격 통신 네트워크의 일부를 형성하는 송수신 기지국에 부착되고, 상기 안테나 어셈블리는 상기 네트워크내의 이동 단말기들로 무선 신호들을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들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19. 안테나용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빌딩 내부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은 안테나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빌딩의 내부로 무선 신호들의 누설을 실질적으로 막기 위한 차폐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부터의 무선 신호들이 상기 하우징의 차폐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도록 정해지며, 상기 하우징은 부착될 때 상기 안테나와 상기 하우징의 차폐되지 않은 부분 사이에 실질적으로 아무런 유전체 물질도 배치되지 않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용 하우징.
  20.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빌딩의 바깥 부분의 내부에 위치할 때, 실질적으로 상기 안테나와 상기 바깥 부분 사이에 아무런 유전체 물질도 배치되지 않도록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1.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안테나 장치.
  22.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질적으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안테나용 하우징.
KR1020027010529A 2000-02-14 2001-02-13 안테나 장치 KR200200735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003364A GB2359195A (en) 2000-02-14 2000-02-14 Mounting a shielded antenna unit inside a building
GB0003364.7 2000-02-14
PCT/GB2001/000584 WO2001059873A2 (en) 2000-02-14 2001-02-13 Antenna un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3551A true KR20020073551A (ko) 2002-09-26

Family

ID=9885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0529A KR20020073551A (ko) 2000-02-14 2001-02-13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30112187A1 (ko)
EP (1) EP1264363B1 (ko)
JP (1) JP2003523118A (ko)
KR (1) KR20020073551A (ko)
CN (2) CN1401145A (ko)
AT (1) ATE355632T1 (ko)
AU (1) AU2001232093A1 (ko)
BR (1) BR0108359A (ko)
CA (1) CA2400031A1 (ko)
DE (1) DE60126919T2 (ko)
ES (1) ES2282231T3 (ko)
GB (1) GB2359195A (ko)
NO (1) NO20023813L (ko)
PL (1) PL357219A1 (ko)
WO (1) WO2001059873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98B1 (ko) * 2011-06-08 2012-05-1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방해전파 차단용 gps 수신기 보호장치
KR101301604B1 (ko) * 2011-04-25 2013-08-3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재밍 및 간섭신호에 대한 차폐기능이 강화된 gps 위성 안테나 및 gps 수신기
KR102423170B1 (ko) * 2021-05-21 2022-07-21 (주)하이게인안테나 인빌딩용 원통형 양방향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47938A1 (en) * 2005-12-13 2007-06-28 Zih Corp. Printer encoder adapted for positioning aboard a mobile unit
US7812779B2 (en) * 2007-02-06 2010-10-12 Incom Corporation RFID transceiver sensitivity focusing system
US8730106B2 (en) * 2011-01-19 2014-05-20 Harris Corporation Communications device and tracking device with slotted antenna and related methods
JP5790398B2 (ja) * 2011-10-19 2015-10-07 富士通株式会社 パッチアンテナ
CN102760972B (zh) * 2012-07-02 2014-12-24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覆盖特定区域的天线装置及方法
CA3070557A1 (en) * 2017-08-02 2019-02-07 AGC Inc. Antenna unit for glass, glass sheet with antenna, and production method of antenna unit for glass
CN107733453A (zh) * 2017-11-15 2018-02-23 苏州汉明科技有限公司 无线ap设备
WO2020157253A1 (en) * 2019-01-31 2020-08-06 Agc Glass Europe Glazing unit with antenna unit
EP3918658A1 (en) * 2019-01-31 2021-12-08 AGC Glass Europe Glazing unit with antenna unit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8704A (en) * 1959-02-03 1961-04-04 Cohen Albert Radome structural devices
US3832715A (en) * 1971-09-23 1974-08-27 Page Communications Eng Inc Wide angle scanning and multibeam single reflector
US4710778A (en) * 1985-08-07 1987-12-01 Radov Mitchell C Satellite earth station
US4896164A (en) * 1988-08-30 1990-01-23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Radar transparent window for commercial buildings
WO1990007199A1 (en) * 1988-12-20 1990-06-28 Mawzones Developments Limited Focussing device for a microwave antenna
FR2699773A1 (fr) * 1992-12-17 1994-06-24 Alsthom Cge Alcatel Emetteur radio portable.
FI930646A (fi) * 1993-02-15 1994-08-16 Increa Oy Radiolaite
US6014110A (en) * 1997-04-11 2000-01-1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Antenna and method for receiving or transmitting radiation through a dielectric material
SE509175C2 (sv) * 1997-04-18 1998-12-14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att förbättra en antenns prestandaparametrar
JPH11122023A (ja) * 1997-10-16 1999-04-30 Ntt Kansai Personal Tsushinmo Kk 窓ガラスアンテナ
JPH11313021A (ja) * 1998-04-30 1999-11-09 Hitachi Electronics Service Co Ltd 建屋内無電源電波中継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604B1 (ko) * 2011-04-25 2013-08-30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재밍 및 간섭신호에 대한 차폐기능이 강화된 gps 위성 안테나 및 gps 수신기
KR101144298B1 (ko) * 2011-06-08 2012-05-11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방해전파 차단용 gps 수신기 보호장치
KR102423170B1 (ko) * 2021-05-21 2022-07-21 (주)하이게인안테나 인빌딩용 원통형 양방향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2231T3 (es) 2007-10-16
EP1264363A2 (en) 2002-12-11
AU2001232093A1 (en) 2001-08-20
CN100481612C (zh) 2009-04-22
WO2001059873A3 (en) 2002-05-16
CN1691410A (zh) 2005-11-02
DE60126919T2 (de) 2007-11-08
PL357219A1 (en) 2004-07-26
CN1401145A (zh) 2003-03-05
GB0003364D0 (en) 2000-04-05
NO20023813L (no) 2002-09-23
US20030112187A1 (en) 2003-06-19
BR0108359A (pt) 2003-03-11
ATE355632T1 (de) 2006-03-15
NO20023813D0 (no) 2002-08-12
EP1264363B1 (en) 2007-02-28
CA2400031A1 (en) 2001-08-16
JP2003523118A (ja) 2003-07-29
DE60126919D1 (de) 2007-04-12
GB2359195A (en) 2001-08-15
WO2001059873A2 (en)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3551A (ko) 안테나 장치
JP4549265B2 (ja) 電波吸収体
Sung et al. A frequency-selective wall for interference reduction in wireless indoor environments
US5276277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door electromagnetic signal propagation
US8164506B2 (en) Electromagnetic absorber using resistive material
EP1155473B1 (en) Apparatus for suppress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KR100315537B1 (ko) 전자실드성능을갖는창유리
CN106953173B (zh) 一种双极化天线隔离装置及方法
Cooper et al. Public exposure to radio waves near GSM microcell and picocell base stations
CN116941135A (zh) 电磁波反射装置、电磁波反射围栏以及电磁波反射装置的组装方法
Qasem Enhancing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erformance through modified indoor environments
JPH10126091A (ja) 電磁シールド性能を有する窓ガラス
JPH11330773A (ja) 電磁遮蔽体および電磁遮蔽窓部材
JP4390058B2 (ja) 携帯型無線通信装置用通信空間
JPH06252583A (ja) 電波遮蔽吸収パネル
JP2000196288A (ja) 電磁シ―ルド構造
JP3620774B2 (ja) 基地局アンテナ装置
JP3628548B2 (ja) 信号中継装置
JP2000068677A (ja) 選択性電磁遮蔽スクリーン
JP2007134869A (ja) アンテナ収納ボックス
Turkmani et al. Estimation of signal strength characteristics in typical microcell environments for PCN networks
ZHANG et al. A deterministic model for UHF radio wave propagation through building windows in cellular environments
JP2000054755A (ja) 電波無反射電磁波シールド窓
WO1998015034A1 (en) Antenna having improved blockage fill-in characteristics
Sharples A versatile ray tracing model for microcellular 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