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635A -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 Google Patents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72635A KR20020072635A KR1020010012557A KR20010012557A KR20020072635A KR 20020072635 A KR20020072635 A KR 20020072635A KR 1020010012557 A KR1020010012557 A KR 1020010012557A KR 20010012557 A KR20010012557 A KR 20010012557A KR 20020072635 A KR20020072635 A KR 200200726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surface treatment
- wax
- metal
- styre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0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 C10M107/1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containing aromatic monomer, e.g. styr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2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7/3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07/32—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Polyesters; Poly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7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purely physical criteria, e.g. containing as base-material, thickener or additive, ingredients which are characterised exclusively by their numerically specified physical properties, i.e. containing ingredients which are physically well-defined but for which the chemical nature is either unspecified or only very vaguely indicated
- C10M171/04—Specified molecular weight o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20—Metal wor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금속재료의 프레스 성형가공성을 향상시켜 내습성 및 피막 박리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표면 처리제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는 (A) (a) 스티렌과 (b)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을 필수 모노머로 하는 공중합체와, (B) 윤활제를 함유하는 금속표면 처리제로서, 상기 (A) 중합체중의 성분 (a)와 성분 (b)의 비율이 질량비로서 (a)/(b) = 1/9 ∼ 9/1이고, 상기 (A) 중합체중의 (a) + (b)의 비율이 30 ∼ 100 질량%이며, 또한 (A) + (B)에 대한 (B)의 비율이 2 ∼ 3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B) 윤활제로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이 바람직하고, (A) 중합체는 유리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표면 처리제를 도포, 건조하여 금속재료 표면에 피막을 형성시킨다. 건조후의 피막 부착량은 0.1 ∼ 5 g/m2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속재료의 프레스 성형가공성을 향상시켜 내습성 및 피막 박리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표면 처리제, 및 그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에 관한 것이다.
가전, 건재 기타의 부재(部材)로 사용되는 금속판은 프레스 성형가공 등의 성형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종래, 이 성형가공은 금속판에 프레스 성형용의 윤활유 (프레스유)를 도포하여 성형한 후, 염소계 등의 용제에 의해 탈지세정하여 프레스유를 제거하는 방법이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프레스유의 도포공정에서의 작업환경의 악화, 탈지에 사용되는 염소계 용제 등의 사용규제에 대한 대응이 중요시되어 가고있다. 따라서 프레스유 도포공정을 생략하기 위해 금속판 표면에 성형윤활 기능을 부여한 유기피막을 형성시킨 후 프레스 성형 등의 성형을 하고, 성형후는 유기피막을 알칼리 탈지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는, 소위 탈막형(脫膜型) 윤활피막 처리 프로세스가 개발되어 여러가지의 금속표면 처리제 및 표면처리 금속판이 제안되어 왔다.
예컨대 유리전이 온도 15 ∼ 35℃인 수용성 수지와 유리전이 온도 60 ∼ 90℃인 수용성 수지를 4:6 ∼ 6:4의 비율로 함유하는 베이스 수지와 융점 100℃ 이상인 윤활제를 베이스 수지 90 ∼ 98 중량부에 대해 2 ∼ 10 질량부 배합한 금속표면 처리제 (일본국 특개소54-18462호 공보), 가동성이고 알칼리 수용액 가용성의 수용성 수지 또는 물분산성 수지와 고체 윤활제와 체질안료 혹은 플루오르 수지 분말로 된 금속표면 처리제 (일본국 특개평8-291294호 공보, 특개평10-152691호 공보), 알칼리 가용형 아크릴 수지 20 ∼ 50%, 융점이 50 ∼ 130℃인 왁스 에멀젼 20 ∼ 50%, 알칼리 가용형 콜로이달 실리카 10 ∼ 40%로 된 표면 처리제 (일본국 특개평10-88364호 공보), 더욱이는 스테인레스 강판 표면에 산가(酸價)가 40 ∼ 400이고 유리전이 온도가 -10 ∼ 30℃인 아크릴 수지의 하층피막 1 ∼ 60 ㎛과, 산가가 40 ∼ 400이고 유리전이 온도가 40 ∼ 80℃인 아크릴 수지의 상층피막 3 ∼ 60 ㎛을 순차로 형성시키는 방법 (일본국 특개평8-156177호 공보)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에 제안되어 있는 금속표면 처리제나 표면처리 금속재료에서는 금속재료의 프레스 성형가공성은 향상할 수 있으나 도장 라인의 오븐출구 이후에 배치된 로울러나 프레스 성형가공 공구에 피막구성 수지가 퇴적하는 빌드 업 현상, 그리고 피막중에 배합한 물질에 따른 금속판 표면의 형(型)을 갉아 먹는 현상, 혹은 보관시에서의 피막표면의 접착에 의한 금속판 끼리의 블록킹 현상, 탈지처리에 시간을 요하거나 피막박리성이 불량한 등의 피막물성에서 기인하는 문제점이 있어 아직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여 금속재료의 프레스 성형가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더욱이 피막 박리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금속표면 처리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그리고 이 금속표면 처리제로써 표면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대해 예의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화학구조를 가진 공중합체와 윤활제를 함유시킨 금속표면 처리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A) (a) 스티렌과 (b)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을 필수 모노머로 하는 공중합체와, (B) 윤활제를 함유하는 금속표면 처리제로서, 상기 (A) 중합체중의 성분 (a)와 성분 (b)의 비율이 질량비로서 (a)/(b) = 1/9 ∼ 9/1이고, 상기 (A) 중합체중의 (a) + (b)의 비율이 30 ∼ 100 질량%이며, 또한 (A) + (B)에 대한 (B)의 비율이 2 ∼ 3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 처리제이다. 상기 (B) 윤활제로서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A) 중합체로서는 유리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금속재료의 표면에 상기한 금속표면 처리제를 건조후의 피막 부착량이 0.1 ∼ 5 g/m2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된, 프레스 성형가공성 및 피막 박리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금속재료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 중합체에 대해 설명한다. (A) 중합체는 (a) 스티렌과, (b)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을 필수 모노머로 하는 공중합체이다. 상기한 성분 (b)는 스티렌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인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신남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중합체 중의 (a) 스티렌과, (b)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의 비율은, (a)/(b)가 질량비로서 1/9 ∼ 9/1, 바람직하게는 2/8 ∼ 8/2,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8/2이다. (a)/(b)가 질량비로서 1/9 미만 (스티렌이 적음)인 경우는 피막의 가공성이 불량한, 즉 피막의 경도가 불충분하여 프레스 성형시에 피막손상이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a)/(b)가 질량비로서 9/1을 초과 (스티렌이 많음)할 경우는 피막 박리성이 저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A) 중합체 중의 (a) + (b)의 비율, 즉 (A) 중합체 중의 성분 (a)와 성분 (b)의 합계량의 비율은 30 ∼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40 ∼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00 질량%이다. (A) 중합체 중의 (a) + (b)의 비율이 30 질량% 미만인 경우는 중합체 중의 스티렌량이 적으므로 피막의 가공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중합체의 성분 (a) 및 (b) 이외의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로서는 특히 한정은 없으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및 이타콘산 등의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말레산 모노 또는 디메틸, 말레산 모노 또는 디에틸, 말레산 모노 또는 디부틸, 푸마르산 모노 또는 디메틸, 푸마르산 모노 또는 디에틸, 푸마르산 모노 또는 디부틸, 크로톤산 메틸, 크로톤산 에틸, 크로톤산 부틸,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메틸,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에틸, 이타콘산 모노 또는 디부틸 등이 바람직하다. 기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아세트산 비닐,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중합체의 중합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닐 화합물을 중합하는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유화중합, 현탁중합, 용액중합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중합체는 유리전이 온도가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것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프레스 성형가공시의 재료표면 온도는 80℃ 이상 전후라고 하고 있는데, 피막인 수지의 유리전이 온도가 낮으면 성형가공시에 피막이 손상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피막인 수지의 유리온도는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 윤활제로서는, 파라핀 왁스,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칸델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호호바유, 밀랍, 라놀린, 고래왁스, 몬탄왁스, 몬탄왁스 유도체, 오조케라이트, 세레신, 페트로라탐, 경화 피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스테아르산 아미드, 무수 프탈산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는, 상기 (A) 중합체 및 (B) 윤활제를 물에 첨가, 혼합하여 용해,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한다. 각 성분의 첨가 순서는 특히 한정은 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펠라식 교반기 등을 사용하여 교반함으로써 혼합하는 것이 적당하다. (A) 중합체와 (B) 윤활제의 비율은, 고형분으로서 (A) + (B)에 대한 (B)의 비율이 2 ∼ 30 질량%, 바람직하게는 3 ∼ 2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20 질량%이다. (A) + (B)의 전고형분에 대한 (B)의 고형분의 비율이 2 질량% 미만인 경우는 프레스 성형가공시의 윤활제 효과가 부족하고, 한편, 30 질량%를 초과할 경우는 윤활제가 물에 대해 불용성이므로 피막 박리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는 고형분 농도가 5 ∼ 50 질량%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40 질량%의 범위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고형분 농도가 5 질량% 미만인 경우는 금속재료 표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킬 때, 건조시간이 길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고형분 농도가 50 질량%를 초과할 경우는 표면처리제 자체의 점도가 높아 취급상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는 임의 성분으로서 피(被)도장면에 균일한 피막을 형성시키기 위한 습윤성 향상제로 불리우는 계면 활성제나 용접성 향상을 위한 도전성 물질, 의장성 향상을 위한 착색안료 등을 함유시켜도 좋다.
상기한 피막 박리성은 금속재료를 소재의 특징 [예컨대 외관, 선영성(鮮映性)], 후공정의 처리성 (예컨대 인산염 화성처리, 알루마이트 처리) 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할 경우에 요구되는 성능이며, 이들 경우는 알칼리 탈지 등의 처리로써 피막박리가 가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기술의 이러한 피막은 알칼리 탈지 등으로써 피막박리가 가능하지만, 내습성이 불충분하며, 금속재료에 도포후 성형가공까지의 사이에 공기중의 습도에 의해 피막이 점착성으로 되어 금속판 끼리가 블로킹하는 현상을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습도를 엄밀하게 관리하면서 보관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막은 (A) 중합체 중의 성분을 특정함으로써 알칼리 탈지에 의해 피막박리가 가능하고, 또한 내습성이 양호하다. 그러므로 금속재료에 도포후 성형가공할 때까지의 보관시에 습도를 엄밀히 관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로써 피막을 형성시킨 금속재료는 종래의 표면처리제로써 피막을 형성시킨 금속재료와 비교하여 월등히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의 처리대상과 금속재료는 특히 한정하지 않으나, 아연계 도금강판 (전기아연 도금강판, 용융아연 도금강판, 합금화 용융 아연 도금강판, 5% 알루미늄 함유 아연 도금강판, 55% 알루미늄 함유 아연 도금강판, 증착 아연 도금강판), 알루미늄판, 알루미늄 합금판, 냉연강판, 스테인레스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는 금속재료위에 10 ∼ 40℃에서 도포한다. 도포방법으로서는 로울 코우터법, 침지법, 정전 도포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후, 도달판온도 50 ∼ 180℃, 바람직하게는 60 ∼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140℃에서 건조시킨다. 우수한 피막 박리성을 가진 피막을 금속재료의 표면에 형성할 수가 있어 이 피막을 형성시킨 금속재료는 프레스 성형가공성이 우수하다. 상기한 건조시의 도달 판온도가 50℃ 미만인 경우는 피막이 끈끈하게 달라붙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달 판온도가 180℃를 초과할 경우는 건조에 소요되는 코스트가 높아지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표면처리제로써 금속재료 표면에 도포하여 피막을 형성시킬 때, 건조후의 피막 부착량이 0.1 ∼ 5 g/m2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한다. 이 피막 부착량은 바람직하게는 0.2 ∼ 4 g/m2,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3 g/m2이다. 수지 피막층의 부착량이 0.1 g/m2미만인 경우는 만족할 수 있는 프레스 성형가공성을 얻을 수가 없고, 한편, 5 g/m2을 초과할 경우는 프레스 성형가공성의 효과가 포화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기재하는 것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시험판의 작제]
(1) 공시재
아래에 나온 시판의 금속재료를 공시재로서 사용하였다. 그리고 공시재의 사이즈는 200 mm × 300 mm이다.
ㆍ 전기아연 도금강판 (EG)
판두께 0.8 mm, 아연 부착량 = 20/20 (g/m2)
ㆍ 알루미늄판 (AL)
판두께 0.8 mm, 5182계
ㆍ 냉연강판 (SPC)
판두께 0.8 mm, JIS-G-3141
(2) 탈지처리
상기한 각 공시재를 실리케이트계 알칼리 탈지제인 화인 클리너 4336 [등록상표, 일본국의 日本파카라이징(주)제]로써 탈지처리하였다. 즉, 탈지제 농도 20 g/L, 온도 60℃에서 2분간 분무처리한 후, 수돗물로써 30초 동안 세정하였다.
[표면처리제의 조정]
표 1에 나온 모노머를, 표 1에 나온 비율 (표 1의 모노머의 괄호속의 숫자는 질량비율을 나타냄)로 공중합시켜 A1∼A8의 공중합체를 조제하였다. 공중합은 실온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유화중합하였다. 공중합체는 고형분 농도 20 질량%의 물분산체로 하여 사용하였다. 표 1에 나온 A1∼A8의 공중합체와 표 2에 나온 B1∼B3의 윤활제를 표 3에 나온 조합 및 량으로 하여 이 순서로 프로펠러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하고, 증류수를 가하여 고형분 농도를 조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3에 나온 실시예 가∼차의 금속표면 처리제 및 비교예 카∼하의 표면처리제를 조제하였다.
[표 1]
중합체 | 중합체중의 모노머 조성 | |||
성분 (a) | 성분 (b) | 기타 성분 | ||
A1A2A3A4A5A6A7A8 | 스티렌 (40)스티렌 (30)스티렌 (48)스티렌 (25)스티렌 (72)스티렌 ( 8)스티렌 ( 0)스티렌 (60) | 아크릴산 (40)말레산 (30)아크릴산 (32)말레산 (75)아크릴산 ( 8)아크릴산 (72)아크릴산 (50)말레산 ( 4) | 메틸 아크릴레이트 (10)말레산 디메틸 (10)부틸 아크릴레이트 (10)-메틸 아크릴레이트 (10)메틸 아크릴레이트 (10)부틸 아크릴레이트 (25)부틸 아크릴레이트 (18)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말레산 디에틸 (30)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0)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8) |
중합체 | 중합체 (A)중의 (a)/(b) | 중합체 (A)중의 (a)+(b) | 유리전이 온도 |
A1A2A3A4A5A6A7A8 | 1/11/13/23/19/11/90/1015/1 | 80608010080805064 | 91℃85℃78℃123℃91℃109℃47℃59℃ |
[표 2]
윤활제B1B2B3 | 종 류폴리에틸렌 왁스(일본국의 三井화학사제: 상포명 케미파루W900)파라핀 왁스(일본국의 中京유지사제: 상표명 세로조루428)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일본국의 中京유지사제: 상표명 세로조루967) | 고형분 농도40%50%50% |
[표 3]
금속표면 처리제 | |||
(A) 중합체 | (B) 윤활제 | ||
종류 량*1 | 종류 량*1 | ||
실시예 |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 | A1 80A2 80A3 80A4 80A5 80A6 80A1 80A2 80A3 95A4 70 | B1 20B1 20B1 20B1 20B1 20B1 20B2 20B3 20B1 5B2 30 |
비교예 | 카타파하 | A7 80A8 80A3 99A4 60 | B1 20B1 20B1 1B1 40 |
*1: 금속표면 처리제의 고형분 (A) + (B)에 대한 (A), (B) 각 성분의 고형분 질량%.
[표면처리제의 시험판에 대한 도포방법]
상기 조정한 각 표면처리제를 바아 코우터에 의해 상기 시험판에 도포하고, 240℃의 분위기 온도에서 10초간 건조하였다. 이 때의 도달 판온도는 100℃이다. 표면처리제의 부착량의 조정은 이 표면처리제의 고형분 농도 및 바아 코우터의 종류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하였다.
[도장판 성능시험]
(1) 프레스 성형가공성
시험편을 30 mm × 300 mm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드로오 비이드 시험 (비이드 선단 1 mm R, 비이드 높이 4 mm, 다이스 어깨 1 mm R, 압착하중 500 kg, 온도 30℃)을 하여 접동면(摺動面)을 셀로테이프 박리하여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 셀로테이프에 피막이 부착하지 않음
O : 셀로테이프에 극히 약간 피막이 부착함
△ : 셀로테이프에 피막이 부착하며 접동면의 피막손상이 적음
× : 접동면의 피막손상이 큼
(2) 내습성
시험편을 70 mm ×150 mm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온도 50℃, 습도 95%의 분위기에서 5 시간 방치한다. 시험 전후의 외관을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 : 피막의 용해, 색조 변화 없음
O : 피막의 용해없음, 색조 변화 있음
△ : 피막이 약간 용해
× : 피막이 용해
(3) 피막 박리성
시험편을 70 mm ×150 mm의 사이즈로 절단하여 실리케이트계 알칼리 탈지제인 화인 클리너 4336 [등록상표: 일본국의 日本파카라이징(주)제]로써 탈지처리하였다. 즉, 탈지제 농도 20 g/L, 온도 60℃에서 2분간 분무처리한 후, 수돗물로써 세정하였다. 세정후에 LECO (표면탄소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시험편의 표면 탄소량을 측정하고, 아래의 식으로 피막 박리도를 산출하여 아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리고 식 중의 탈지전, 탈지후 및 무처리판은 각각의 시험편의 표면의 탄소량을 나타낸다.
<피막 박리도>
피막 박리도 (%) = [(탈지전 - 탈지후)/(탈지전 - 무처리판)] × 100
<평가기준>
◎ : 피막 박리도 98% 이상
O : 피막 박리도 95% 이상 98% 미만
△ : 피막 박리도 80% 이상 95% 미만
× : 피막 박리도 80% 미만
표 4에 나온 시험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를 사용한 실시예 1 ∼ 14에서는 가공성, 내습성 및 피막 박리성의 어느것이라도 양호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범위밖인 금속표면 처리제를 사용한 비교예 1 ∼ 4에서는 가공성, 내습성 및 피막 박리성의 모든 성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표 4]
소재 | 금속표면 처리제 | 도포판 성능 | ||||||
종류 | 부착량g/m2 | 도달 판온도 ℃ | 프레스성형가공성 | 내습성 | 피막박리성 | |||
실시예 | 1234567891011121314 | EGALSPCEGALSPCEGALSPCEGALSPCEGAL | 가나다라마바사아자차카타파하 | 1.01.01.01.01.01.01.01.01.01.00.53.01.01.0 | 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10070150 | ◎◎◎◎◎◎◎◎◎◎O◎◎◎ | ◎◎◎◎◎◎◎◎◎◎◎◎◎◎ | ◎◎◎◎◎◎◎◎◎◎◎◎◎◎ |
비교예 | 1234 | SPCEGALSPC | 가'나'다'라' | 1.01.01.01.0 | 100100100100 | △△△O | ×△OO | △×O× |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를 금속재료의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금속재료 표면에 내습성 및 피막 박리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할 수가 있어 이 피막을 형성시킨 금속재료는 프레스 성형가공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금속재료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내습성이 우수하므로 금속재료를 프레스 성형가공할 때까지의 보관시에 습도를 엄밀히 관리하지 않더라도 블로킹을 발생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금속재료 표면에 형성된 피막은 피막 박리성이 우수하므로 본 발명의 금속표면 처리제는 외관이나 선영성(鮮映性) 등, 소재의 특성을 살린다거나 인산염 화성처리, 알루마이트 처리 등의 후공정의 처리가 요구되는 금속재료의 처리에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 (A) (a) 스티렌과 (b) 그것과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를 가진 비닐 화합물을 필수 모노머로 하는 공중합체와, (B) 윤활제를 함유하는 금속표면 처리제로서, 상기 (A) 중합체중의 성분 (a)와 성분 (b)의 비율이 질량비로서 (a)/(b) = 1/9 ∼ 9/1이고, 상기 (A) 중합체중의 (a) + (b)의 비율이 30 ∼ 100 질량%이며, 또한 (A) + (B)에 대한 (B)의 비율이 2 ∼ 3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표면 처리제.
- 제1항에 있어서, (B) 윤활제가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및 폴리프로필렌 왁스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금속표면 처리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A) 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가 75℃ 이상인 금속표면 처리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표면 처리제를, 금속재료의 표면에, 건조후의 피막 부착량이 0.1 ∼ 5 g/m2가 되도록 도포, 건조하여 된, 프레스 성형가공성 및 피막 박리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2557A KR20020072635A (ko) | 2001-03-12 | 2001-03-12 |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12557A KR20020072635A (ko) | 2001-03-12 | 2001-03-12 |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72635A true KR20020072635A (ko) | 2002-09-18 |
Family
ID=3748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2557A KR20020072635A (ko) | 2001-03-12 | 2001-03-12 |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7263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349B1 (ko) * | 2002-12-16 | 2009-11-09 |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 합성 고분자 필름용 표면처리제, 합성 고분자 필름의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 합성 고분자 필름 |
-
2001
- 2001-03-12 KR KR1020010012557A patent/KR200200726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5349B1 (ko) * | 2002-12-16 | 2009-11-09 | 다케모토 유시 가부시키 가이샤 | 합성 고분자 필름용 표면처리제, 합성 고분자 필름의표면처리방법 및 표면처리 합성 고분자 필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67413B2 (en) | Metal surface treating agent | |
JP2554401B2 (ja) | 水性樹脂分散体および被覆用樹脂組成物 | |
JPH03252461A (ja) | 潤滑性親水化処理剤及び処理方法 | |
JP2009191284A (ja) | 金属表面処理剤 | |
JPS60255865A (ja) | 水性の被覆組成物 | |
KR20020072635A (ko) | 금속표면 처리제 및 이것으로 처리한 표면처리 금속재료 | |
JP3803819B2 (ja) | 金属表面処理剤並びにこれで処理した表面処理金属材料 | |
JP4122531B2 (ja) | 深絞り性、耐型かじり性および一時防錆性に優れた脱膜型潤滑塗料組成物 | |
JP3272422B2 (ja) | 潤滑性に優れた水系金属表面処理組成物 | |
US20030211343A1 (en) | Metal surface treatment agent | |
EP0787831A1 (en) | Resin-chromate composition and surface-treated metal sheet | |
JPH04325509A (ja) | フッ素系重合体の水性分散体 | |
KR100626417B1 (ko) | 도금 금속판용 수계 표면 처리제, 표면 처리 금속판 및 그제조 방법 | |
JP4197487B2 (ja) | 潤滑性とアルカリ脱膜性に優れた樹脂膜積層金属板 | |
JP2004231698A (ja) | 防錆塗料用水分散性樹脂組成物 | |
JP3536489B2 (ja) | 深絞り性および耐カジリ性に優れた脱膜型潤滑鋼板 | |
JP2000073180A (ja) | 金属材料用水系表面処理剤およびその表面処理金属材料 | |
JPS6011754B2 (ja) | 熱硬化性被覆組成物 | |
JP2960892B2 (ja) | 表面処理金属板 | |
JP3741451B2 (ja) | 粉体塗料組成物 | |
JPH06316685A (ja) | 潤滑表面処理用または電磁鋼板用樹脂組成物 | |
JPS6158104B2 (ko) | ||
JPH0411672A (ja) | 金属板用塗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装金属板、ならびに塗装金属板の製造方法 | |
JP2577676B2 (ja) | 加工性のすぐれた建材用塗装アルミメッキ鋼板 | |
JP3092231B2 (ja) | 金属製加工物外面トップコート用塗料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