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2235A - 피부 외용제 - Google Patents

피부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2235A
KR20020072235A KR1020020012475A KR20020012475A KR20020072235A KR 20020072235 A KR20020072235 A KR 20020072235A KR 1020020012475 A KR1020020012475 A KR 1020020012475A KR 20020012475 A KR20020012475 A KR 20020012475A KR 20020072235 A KR20020072235 A KR 2002007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zenediol
skin
dimethoxy
methyl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타히데노리
요시무라이쿠오
도요다마사시
야마모토요리히로
이치하시마사미쓰
후나사카요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 드 파브르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 드 파브르, 닛신 파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 드 파브르
Publication of KR2002007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2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75Ethers or acetals
    • A61K31/085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 A61K31/09Ethers or acetals having an ether linkage to aromatic ring nuclear carbon having two or more such lin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멜라닌 생산 저해 작용, 즉 피부 미백 작용이 우수하고,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은 멜라닌 생산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멜라닌 생산 저해제는 화학식 1의 1,4-벤젠디올 유도체 및/또는 화학식 2의 1,4-벤조퀴논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당해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의약부외품으로서의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외용제{A skin external preparation}
본 발명은 멜라닌 생산 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 및 안전성이 높은 멜라닌 생산 저해제,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화장품 및/또는 의약부외품의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상의 색소 침착은, 피부내에 존재하는 색소 생산 세포(멜라노사이트)의 활성화에 의해 멜라닌 생산이 현저하게 항진한 결과 생기는 것이며, 심각한 피부 고민의 하나로 되어 있다. 특히 최근, 이러한 색소 침착을 개선 및/또는 억제하여 피부를 희게 유지하기 위해서 유용한, 즉 피부의 미백 작용을 갖는 물질이 소망되고 있다.
멜라닌 생산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아스코르브산과 이의 유도체, 글루타치온이나 시스테인 등의 황 함유 아미노산계 화합물, 코지산과 이의 유도체, 아젤라산과 이의 유도체, 트라넥삼산과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과 이의 유도체(일본 특허공보 제(소)60-16906호, 일본 특허공보 제(소)60-56912호), 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8334호), 유비퀴논 유도체(일본 공개특허공보 제(소)61-28902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제(평)9-510725호) 등이 공지되어 있고, 유효 성분으로서 이들 물질을 크림, 연고, 유액(乳液) 등에 적용하여, 색소 침착된 국소에 도포, 첩부(貼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아스코르브산과 이의 유도체는,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포함하는 계에서는 변색, 변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글루타치온이나 시스테인 등은 이취가 강한 데다가, 산화되기 쉬운 문제가 있어, 외용제에의 배합은 곤란하다. 또한 이들 화합물군은 이의 작용의 발현이 완만하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아젤라산과 이의 유도체, 트라넥삼산과 이의 유도체는 무취의 백색 분말로,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각종 기재와도 비교적 상용성이 좋지만, 모두 멜라닌 생산 저해 작용의 발현이 완만하다.
또한,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알킬레조르시놀 유도체는, 피부 자극성 및/또는 감작성이 있기 때문에 부작용으로서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 등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한편, 유비퀴논 유도체, 특히 유비퀴논-10(C59H90O4: Mw 862)은 생체내 세포막이나 미토콘드리아에 국재하여, 전자전달계에서 보조 효소로서 작용하고, 멜라노사이트 중의 티로시나제 활성의 제어 물질로서 중요한 위치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량이기 때문에, 피부로부터의 흡수 정도는 대단히 낮고, 또한 이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각종 기재와의 상용성이 나빠서, 피부외용제 기재 중에 안정하게 공존시키는 것은 대단히 곤란하다.
본 발명은, 멜라닌 생산 저해 작용, 즉 피부 미백 작용이 우수하고, 또한 안전성 및 안정성이 높은 약제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위에서 기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1,4-벤젠디올 유도체 및 1,4-벤조퀴논 유도체가 피부 미백 작용이 대단히 우수하고, 안정성 및 안전성이 높다는 것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벤젠디올 유도체 또는 화학식 2의 벤조퀴논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제공한다.
위의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의 정수이고,
단 x+y는 4, 5 또는 6이다.
위의 화학식 2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x+y는 4 또는 5이다.
본 발명의 벤젠디올 유도체 또는 벤조퀴논 유도체에 있어서, x+y의 값이 규정수 미만이면 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게 되고, x+y의 값이 규정수보다 크면,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가 현저하게 낮게 되어, 소망하는 멜라닌 생산 저해 작용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벤젠디올 유도체는 거의 무색이며,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면 보기에 좋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학식 1의 1,4-벤젠디올 유도체를 약칭하여 BD-A-yH[여기서, BD는 벤젠디올을, A는 x+y를 나타낸다]로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1의 1,4-벤젠디올 유도체는, BD-4-OH, BD-4-1H, BD-4-2H, BD-4-3H, BD-4-4H, BD-5-OH, BD-5-1H, BD-5-2H, BD-5-3H, BD-5-4H, BD-5-5H, BD-6-OH, BD-6-1H, BD-6-2H, BD-6-3H, BD-6-4H, BD-6-5H 및 BD-6-6H이다. 이의 효과 및 1,4-벤젠디올 유도체 합성의 용이함 및 생산 원가를 고려하면, 다음 1,4-벤젠디올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BD-4-OH(x+y=4, y=0);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드라에닐)-1,4-벤젠디올,
·BD-4-3H(x+y=4, y=3);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헥사데카모노에닐)-1,4-벤젠디올,
·BD-4-4H(x+y=4, y=4);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헥사데카닐)-1,4-벤젠디올,
·BD-5-OH(x+y=5, y=0);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10,14,18-에이코사펜타에닐)-1,4-벤젠디올,
·BD-5-5H(x+y=5, y=5);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에이코사닐)-1,4-벤젠디올,
·BD-6-OH(x+y=6, y=0);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23-헥사메틸-2,6,10,14,18,22-테트라에이코사헥사에닐)-1,4-벤젠디올 및
·BD-6-6H(x+y=6, y=6);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23-헥사메틸-테트라에이코사닐)-1,4-벤젠디올.
또한, 화학식 2의 1,4-벤조퀴논 유도체를 약칭하여 BQ-A-yH[여기서, BQ는 벤조퀴논을, A는 x-y를 나타낸다]로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화학식 2의 1,4-벤조퀴논 유도체는, BQ-4-OH, BQ-4-1H, BQ-4-2H, BQ-4-3H, BQ-4-4H, BQ-5-OH, BQ-5-1H, BQ-5-2H, BQ-5-3H, BQ-5-4H 및 BQ-5-5H이다. 이의 효과 및 1,4-벤조퀴논 유도체 합성의 용이함 및 생산 원가를 고려하면, 다음 1,4-벤조퀴논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BQ-4-OH(x+y=4, y=0);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에닐)-1,4-벤조퀴논,
·BQ-4-3H(x+y=4, y=3);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헥사데카모노에닐)-1,4-벤조퀴논 및
·BQ-5-OH(x+y=5, y=0);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10,14,18-에이코사펜타에닐)-1,4-벤조퀴논.
위에서 기재한 1,4-벤젠디올 유도체 및 1,4-벤조퀴논 유도체는, 멜라닌 색소 생산 세포(B16 멜라노마, HM3KO 멜라노마)와의 직접적 접촉에서는 3ppm, 바람직하게는 10ppm의 저농도에서 현저한 멜라닌 생산 저해 작용을 나타내고, 피부에 있어서 대단히 현저한 미백 작용을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한 1,4-벤젠디올 유도체 및/또는 1,4-벤조퀴논 유도체로 이루어진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작용이 우수한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피부 외용제 속의 멜라닌 생산 저해제 1종 이상의 함량은 0.0001중량% 이상이다.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멜라닌 생산 저해제는, 대단히 저농도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0.0001중량% 이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의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어느 농도 이상 함유하여도 발현되는 효과는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5중량% 이상 함유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는,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 및/또는 1,4-벤조퀴논 유도체로 이루어진 멜라닌 생산 저해제 1종 이상을 0.00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의 투여량은, 연령, 개인차, 인종차, 색소 침착 상황 등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 및/또는 1,4-벤조퀴논 유도체 0.01 내지 5m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mg/㎠을 1일 1 내지 3회로 환부의 피부에 직접 넓게 퍼지게 도포한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는 제제상 허용할 수 있는 다른 약제, 첨가제 및/또는 기제(基劑)와 조합시킬 수 있다. 첨가제는 항산화제, 자외선 차단제, 각층 박리제, 계면 활성제, 향료, 색소, 방부제, pH 조정제 및 킬레이트제로부터 선택되지만,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와 1,4-벤조퀴논 유도체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항산화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제와 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부 외용제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각층 박리제, 경피 흡수성을 향상시키는 천연계 계면 활성제와 조합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항산화제는, 제제상 허용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토코페롤 또는 이의 유도체, 수용성 항산화제로서 저농도의 아스코르브산 또는 이의 유도체, 티오타우린, 글루타치온 등의 황 함유 아미노산, 로즈마리 추출물, 세이지 추출물 등의 항산화 생약 추출물,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등의 합성 항산화제를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 및 자외선 반사제가 포함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예에는, 옥틸신나메이트,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 등의 신남산 에스테르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 옥틸 에스테르, N,N-디메틸-벤조산 옥틸 에스테르 등의 벤조산 에스테르 유도체,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염 등의 벤조페논, 기타 자외선 흡수제로서, 3-(4'-메틸벤질리덴)-d,l-캠퍼, 3-벤질리덴-d,l-캠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 에틸 에스테르,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반사제로서는, 산화티탄, 산화아연, 운모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각층 박리제로서는 시트르산, 글리콜산 등의 α-하이드록시-카복실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카복실산 모노나트륨염, 디나트륨염 및 트리나트륨염, 트리메틸글리신, 하이드록시프롤린 등의 아미노산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계면 활성제로서는, 특히 모노알킬로일포스파티딜콜린 등의 리조레시틴, 디알킬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알킬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등의 레시틴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로는, 통상, 화장품에 사용되는 성분(예를 들면,유성(油性) 성분, 보습 성분, 증점제, 유화제(乳化劑) 및 각종 첨가제)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성 성분으로서는 탄화수소류, 각종 합성 에스테르류, 왁스류, 유지(油脂)류, 고급 지방산류, 고급 알콜류, 실리콘류 등을 들 수 있다.
보습 성분으로서는,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친 황산나트륨, 가수분해 콜라겐 펩티드, 엘라스틴 펩티드, 케라틴 펩티드, 스테롤 배당체 등을 들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수용성 합성 고분자 화합물인 카복시비닐 중합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이의 염 등, 수용성 천연 고분자 화합물인 퀸스시드 추출물, 구아검, 크산탄검, 알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乳化劑)는, 비이온성 유화제로서는 각종 고급 알콜의 폴리옥시에틸렌 부가물 등, 각종 고급 지방산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등 및 글리세린/소르비탄의 모노에스테르/디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고, 음이온 유화제로서는 각종 고급 지방산 비누 등을 들 수 있으며 양이온 유화제로서는 α-올레오로일글리세롤 α'-포스파티딜콜린(리조레시틴), 대두 레시틴 및 난황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 향료, 색소, 방부제, pH 조정제, 킬레이트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양에 있어서 피부 외용제 제형으로서는, W/O형 로션, O/W형 로션, W/O형 크림, O/W형 크림, 점조 마이크로에멀젼 에센스 또는 O/W형 에센스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의 합성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합성예 1]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헥사데칸-2,6,10,14-테트라에닐)-벤젠-1,4-디올(BD-4-OH)의 합성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 25g과 올트랜스-게라닐리나롤 25g을 이소프로필 에테르 100ml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에, 삼불화붕소 에테르 착체 12.2g을 이소프로필 에테르 25ml에 용해시킨 용액을, 40℃ 전후에서 1시간에 걸쳐 적하한다. 적하 후, 동일 온도에서 교반하여 반응을 종료시킨다(약 1시간).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10ml를 첨가한다. 전체 액을 분액 깔대기로 옮겨, 하층을 제거한다. 이소프로필 에테르 상(相)에, 소량의 아이티온산나트륨을 포함하는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0ml를 가하고, 교반한 후 정치시키고, 하층(미반응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을 제거한다. 재차, 이소프로필에테르 상에, 미량의 아이티온산나트륨을 포함하는 5%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0ml를 가하고, 교반한 후 정치시키고, 하부 상을 제거한다. 이소프로필 에테르 상을 수세하고, 포화 식염수로 세정한 다음, 용제를 감압하에 증류제거한다. 수득된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담체: 실리카 겔, 이동상: 이소프로필 에테르-헥산)로 정제하고, 오일상의 BD-4-OH를 12g 수득한다(수율 32%).
[합성예 2]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헥사데칸-2-에닐-벤젠-1,4-디올(BD-4-3H)의 합성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 25g과 피톨 25g을 이소프로필에테르 100ml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오일상의 BD-4-3H를 20g 수득한다(수율 51%).
[합성예 3]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헥사데카닐)-벤젠-1,4-디올(BD-4-4H)의 합성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 25g과 3,4-디하이드로피톨 25g을 이소프로필에테르 100ml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오일상의 BD-4-4H를 8.5g 수득한다(수율 22%).
[합성예 4]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10,14,18-에이코사펜타에닐)-벤젠-1,4-디올(BD-5-OH)의 합성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 5.0g과 올트랜스-게라닐파르네솔 6.2g을 이소프로필에테르 50ml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오일상의 BD-5-OH를 12g 수득한다(수율 30%).
[합성예 5]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헥사데카닐)-1,4-벤젠디올(BD-4-4H)의 합성
조효소 Q4 5.0g을 에탄올 20ml에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촉매로서 5% 팔라듐/카본 1.0g을 첨가하고, 수소 기류하에서 실온에서 교반한다. 2시간 후, 약 5등량의 수소를 흡수한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에탄올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오일상의 BD-4-4H를 4.9g 수득한다(수율 98%).
[합성예 6] 조효소 Q4로부터의 BD-4-OH의 합성
조효소 Q4 2.0g을 에탄올 50ml에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수소화붕소나트륨 0.2g을 가하여, 오렌지색이 없어질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헥산 100ml를 첨가한 후, 물 100ml와 빙초산 1.5ml를 첨가한다. 교반 후 정치시켜 하부 상을 제거한다. 이어서, 헥산 상을 수세한 후에 헥산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오일상의 BD-4-OH를 1.8g 수득한다(수율 90%).
[합성예 7]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23-헥사메틸-2,6,10,14,18,22-테트라에이코사헥사에닐)-1,4-벤젠디올(BD-6-OH)
시판되는 조효소 Q6 0.1g을 에탄올 5ml에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수소화붕소나트륨 0.05g을 가하여, 오렌지색이 사라질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액에 헥산 100ml를 첨가한 후, 물 100ml와 빙초산 0.1ml를 첨가한다. 교반 후 정치시켜 하부 상을 제거한다. 헥산 상을 수세한 후, 헥산을 감압하에 증류제거하여, 오일상의 BD-6-OH를 0.1g 수득한다(수율 100%).
[합성예 8]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에이코사에닐)-벤젠-1,4-디올(BD-5-3H)의 합성
2,3-디메톡시-5-메틸-1,4-디하이드록시벤젠 5g과 3,7,11,15,19-펜타메틸-2,6-에이코사디엔올 5g을 이소프로필에테르 100ml에 첨가하고, 40℃로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이어서, 합성예 1과 동일하게 처리하고, 오일상의 BD-5-3H를 2.5g 수득한다(수율 32%).
[합성예 9]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에이코사닐)-1,4-벤젠디올(BD-5-5H)의 합성
합성예 8에서 수득한 BD-5-3H 0.5g을 에탄올 20ml에 가온하여 용해시킨다. 촉매로서 5% 팔라듐/카본 0.1g을 가하여, 수소 기류하에서 실온에서 교반한다. 2시간 후, 약 2등량의 수소를 흡수한다. 반응액을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에탄올을 감압하에 증류 제거하여, 오일상의 BD-5-5H를 0.49g 수득한다(수율 98%).
다음에,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조금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에 관한 멜라닌 생산 저해 시험 및 독성 시험을 이하에 나타낸다.
[멜라닌 생산 저해 시험 및 독성 시험]
본 발명의 화합물로서 BD-4-OH[합성예 1], BD-4-3H[합성예 2], BD-5-OH[합성예 4], BQ-4-OH, BQ-4-3H 및 BQ-5-OH를, 비교예로서 유사 화합물 2,3-디메톡시-5-메틸-6-(3,7,11-트리메틸-2,6,10-도데카트리에닐)-1,4-벤젠디올(BD-3-OH)[비교예 1]를 사용하였다. BD-3-OH는 파르네솔로부터 합성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조제하였다. 또한, 에탄올만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1) 멜라닌 생산 저해 시험
1) 마우스 유래 B16 멜라노마(악성 흑색종 세포) 배양 세포에 의한 시험
B16 멜라노마 배양 세포를 96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에 1웰당 2000개의 세포로서 파종하고, 10% 소 태아 혈청 및 테오피린(0.09mg/ml)을 포함하는 이글 MEM 배지 속에서 37℃, 5% CO2존재하에 배양하였다. 배양 1일 후, 각종 농도의 시료 화합물 BD-3-OH, BD-4-OH, BD-4-3H, BD-5-OH, BQ-4-OH, BQ-4-3H 또는 BQ-5-OH 20μl를, 최종 농도 3, 10, 50, 100 또는 200μg/ml로 되도록 각 웰에 첨가하였다. 72시간 배양한 후, 배지를 교환하고, 이 때에도 시료 화합물을 첨가하였다. 다음날 세포를 회수하고, 세포 펠릿의 색조에 의해, 신생하는 멜라닌 합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판정하였다.
동시에 세포 독성은, 세포를 10% 포르말린 버퍼로 고정한 후, 1%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모노셀레이터로 대조군에 대한 세포 생육률을 측정하고, 대조군 세포수를 100%로 하여 평가하였다.
세포 펠릿의 색조에 의한 멜라닌 생산의 판정은, 웰을 인산 완충액(50mM, pH 6.8)으로 세정한 후, 세포를 마이크로스크레버로 박리시켜, 인산 완충액으로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 펠릿의 색조를 다음 기준으로 4단계 평가하였다.
-: 대조와 동일
+: 약간 엷은 색
++: 약간 백색
+++: 백색
BD-4-OH[합성예 1], BQ-4-OH 및 BD-3-OH[비교예 1]에 관해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시험 시료(㎍/ml)
3 10
BD-3-OH[비교예 1] +++70% +++30%
BD-4-OH[합성예 1] +100% +++100%
BQ-4-OH +100% +++100%
비교예 1의 BD-3-OH는, 3μg/ml에서 높은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만, 동시에 B16 멜라노마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독성을 나타내고, 또한 고농도(50μg/ml)에서는 모든 세포가 사멸하였다. 이 점에서 BD-3-OH의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는 이의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본 발명의 BD-4-OH 및 BQ-4-OH는, 3μg/ml에서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가 관찰되고, 10μg/ml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세포 생육률은 대조와 변화가 없고,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BD-4-3H, BD-5-OH, BQ-4-3H 및 BQ-5-OH는, 50μg/ml에서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가 관찰되고, 100μg/ml에서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2) 사람 유래 HM3KO 멜라노마 배양 세포에 의한 시험
고오베 대학에서 입수한 사람 유래 HM3KO 멜라노마 배양 세포[참조: Melanoma Res. 6, p.25-30[1996]]를 둘베코(Dulbecco)사제 이글 배지에 10% 소 태아 혈청 및 적량의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항생 물질을 가하여, 실온 배양하였다. 시험 시료로서 BD-3-OH[비교예 1], BD-4-3H[합성예 2], BD-5-OH[합성예 4], BD-6-OH[합성예 7]를 최종 농도가 3, 10, 30, 100, 300μg/ml로 되도록 배지에 첨가하고,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 5일 후, 세포를 트립신 및 EDTA 처리하고, 세포수를 푸취즈 로젠탈 사이토미터(Fuchs-Rosenthal Cytometer)로 측정하고, 세포 생육률을 측정하였다. 그 다음, 세포 펠릿의 색조를 우선 시각 판정하고, 이어서 106개의 세포를 NaOH 1mol/L 농도의 수용액으로 약 10분간 자비(煮沸) 용해시키고, 분광광도계로 생산된 멜라닌량을 400nm의 흡광도로 정량화하였다. 또한, 대조군(시료 미첨가)의 멜라닌 생산 억제율을 0%, 세포 생육률을 100%로 하여 상대적으로 정량화하였다.
그 결과, 비교예 1의 BD-3-OH에서는 멜라닌 생산의 저해율은 3μg/ml에서 35%, 10μg/ml에서 60%로 저농도에서 억제율이 높지만, 세포 생육률은 3μg/ml에서 93%, 10μg/ml에서 56%로 낮고, B16 멜라노마 배양 세포에서의 결과와 같이, 멜라닌 생산 억제 효과는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본 발명의 BD-4-OH는 멜라닌 생산 억제율이 3μg/ml에서 35%, 10μg/ml에서 58%이고, 세포 생육률은 3μg/ml에서 90%, 10μg/ml에서 100%로, 거의 세포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BD-4-3H는 멜라닌 생산 억제율이 30μg/ml에서 36%, 100μg/ml에서 65%이었다. BD-5-OH의 멜라닌 생산 억제율은 30μg/ml에서 42%, 100μg/ml에서 60%이었다.
위의 시험 결과는,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 및 1,4-벤젠퀴논 유도체가 현저한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를 갖고 있지만,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거나 현저히 낮아, 멜라닌 생산 저해제로서 유용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독물학적 특성에 대하여, 또한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를 시험하였다.
(2) 단회 투여 독성 시험
위스터(Wister)계 래트 및 ICR-JCL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각종 투여 경로에 있어서의 급성 독성을 조사하였다. 투여는 본 물질을 생리식염수 중에 초음파하 현탁액으로서, 소정의 양으로 조절하여 제공했다. 투여 후, 중독 증상을 계속 관찰하여, 7일간까지의 경시적 사망율을 구하여, LD50값을 구하였다. 생존예, 사망예 모두 해부하여 소견을 얻었다. LD50은 리치필드-윌콕손(Litchfield-Wilcoxon)의 도형산법(圖形算法)에 의해 산출하였다.
래트 암수, 마우스 암수에 BD-4-OH, BD-4-3H, BD-5-OH를 경구적으로 4000mg/kg, 경피적으로 4000mg/kg, 피하에 500mg/kg, 근육내에 500mg/kg, 복강내에 1500mg/kg 또는 정맥내에 250mg/kg을 투여하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급성 독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래트 암수, 마우스 암수 모두 이의 체중, 사료의 섭취량에 특별한 변화는 없고, 또한 이의 부검 소견에 있어서도, 각종 장기에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의 안전성이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3) 감작성 시험
마그눗손(Magnusson B.)과 클리그만(Kligman A. M.)이 개발한 맥시미제이션(maximisation) 테스트법에 따라서 감작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i) 감작 유도
기니 피그 20마리를 준비하고, 10마리는 감작 유도용으로, 나머지의 10마리는 대조용으로 한다. 기니 피그의 견갑골 위 4×6cm 면적의 털을 깍고, 면도하고, 다음 a, b 및 c의 3쌍의 피내 주사를 정중앙선을 대칭으로 좌우 동시에 실시하였다. 또한, 시험 시료로서 BD-4-OH, BD-4-3H 및 BD-5-OH의 10% 농도의 초음파하 현탁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a. 좌우 2개소에 각각 0.05ml(합계 0.1ml)의 플로이트 콘블리트 애쥬밴드[제조원: 에프씨에이 디프코(FCA Difco)]를 피내(皮內) 주사하였다.
b. 좌우 2개소에 각각 0.05ml의 시험 시료(10% 농도의 초음파하 현탁 수용액)를 피내 주사하였다.
c. 좌우 2개소에 각각 0.05ml의 시험 시료(10% 농도의 FCA 유화물)를 피내 주사하였다.
7일 후, 견갑골 위의 털을 재차 깍고, 면도하여 라우릴황산나트륨 10%를 함유하는 와세린을 도포하고, 가벼운 염증을 일으키게 한다. 이러한 처치에 의해 감작 유도가 증강된다. 이어서, 이 부위에 테스트 시료를 도포하고, 폐색 첩부하였다.
(ii) 유발
감작 유도 후 21일째에 감작 처치군과 대조군의 기니 피그의 측복부 5×5cm의 털을 깍고, 면도하고, 각 시험 시료를 8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희석하여, 24시간 폐색 첩부하였다. 대조군에도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였다.
(iii) 평점
감작 처치군과 대조군에 함께, 시각적으로 이상이 관찰되는지 비교 평가하고, 홍반·부종의 유무와 이의 정도(경도, 중등도 또는 고도)를 감작 처치군에 대해서만 비교 평가하였다.
(iv) 결과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는, 전체 기니 피그에 있어서 전혀 감작 반응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 화합물을 경피적으로 장기 투여하여도 안전한 것을 나타낸다.
(4) 약리 효과 시험
8메톡시솔라렌 처리 광독성 색소 침착 웨이저 메이플(Weiser Maple) 기니 피그 5마리를 사용하여, 털을 깍은 등에 50μl의 테스트 시료를 1일 1회 약 4㎠의 범위로 8주간 도포하고, 탈색 효과 및 부작용으로서 나타나는 색소 침착의 정도를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색소 침착에 대한 저해 효과
평가점 기준 판정
3: 희게 되었다(탈색되었다)
2: 다소 희게 되었다.
1: 약간 희게 되었다
0: 변화없음
-1: 약간 검게 되었다
-2: 다소 검게 되었다
-3: 검게 되었다(색소가 침착되었다)
시험 시료는,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로서 BD-4-OH, BD-4-3H 및 BD-5-OH를 사용하고 비교예 2로서 하이드로퀴논을 사용하였다. 각 시험 시료는 1중량% 농도로 되도록 디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시키고, 당해 용액을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기니 피그에 도포하였다. 또한, 평가점으로서 웨이저 메이플 기니 피그 5마리의 평균 평가점을 다음 표 2에 나타냈다.
시료 화합물 도포 일수(주)
1 2 3 4 5 6 7 8
하이드로퀴논[비교예 2] 0.2 0.4 1.2 0.6 0.2 0.0 -1.0 -1.2
BD-4-OH[합성예 1] 0.6 1.0 1.8 2.0 2.0 2.0 2.2 2.2
BD-4-3H[합성예 2] 0.4 0.8 1.0 1.8 2.0 2.0 2.0 2.2
BD-5-OH[합성예 4] 0.5 1.8 1.8 2.0 2.0 2.2 2.4 2.4
본 발명의 1,4-벤젠디올 유도체(BD-4-OH, BD-4-3H, BD-5-OH)는 모두 경시적으로 탈색 효과가 증가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 2의 하이드로퀴논은, 3주째에 탈색 효과는 최대가 되지만, 그 이후에는 자극에 의한 색소 침착이 일어나고, 7, 8주째에는 반대로 흑화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 외용제의 제조예를 나타낸다. 또한, 다음 배합량은 모두 중량%이다.
[실시예 1] W/O형 에몰리엔트 로션
미세결정성 왁스 1.0
밀랍2.0
마카데미아 너츠유 2.0
스쿠알란10.0
유동 파라핀19.0
BD-4-OH(합성예 1)1.0
1,3-부틸렌 글리콜4.0
글리세린3.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3.0
리조레시틴1.0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1.0
α-토코페롤0.02
방부제적량
이온교환수52.98
-------------------------------------------------------------
(제법) 이온교환수에 보습제로서 1,3-부틸렌 글리콜과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70℃로 가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또한 미세결정성 왁스, 밀랍, 마카데미아 너츠유, 스쿠알란 및 유동 파라핀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이어서 70℃로 유지하면서 BD-4-OH, 유화제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산 에스테르, 리조레시틴 및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항산화제인 α-토코페롤, 및 방부제를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먼저 조제한 수상(水相)을 서서히 당해 오일 상에 첨가하여 예비 유화(乳化)시켜,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냉각시켰다.
[실시예 2] W/O형 에몰리엔트 로션
세틸 알콜1.0
밀랍0.5
와셀린2.0
스쿠알란6.0
디메틸폴리실록산2.0
에탄올 5.0
BD-4-3H(합성예 2)1.0
글리세린4.0
1,3-부틸렌 글리콜4.0
폴리옥시에틸렌 (10mol) 모노올레산 에스테르1.0
퀸스시드 점액(1% 수용액)20.0
α-토코페롤0.02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이온교환수52.48
-------------------------------------------------------
(제법) 이온교환수에 글리세린, 1,3-부틸렌 글리콜 및 퀸스시드 점액을 첨가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세틸 알콜, 밀랍, 와셀린, 스쿠알란 및 디메틸폴리실록산을 7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이어서 70℃로 유지하면서 BD-4-3H,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 (10mol)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항산화제인 α-토코페롤, 방부제를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먼저 조제한 수상을 서서히 당해 오일 상에 첨가하여 예비 유화시키고, 온도가 35℃ 이하로 되고 나서 에탄올을 첨가하고, 이어서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냉각시켰다.
[실시예 3] W/O형 에몰리엔트 크림
유동 파라핀 30.0
미세결정성 왁스2.0
와셀린5.0
BD-5-5H(합성예 5)1.0
디글리세롤디올레산 에스테르5.0
α-토코페롤0.02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수상(1)
L-글루타민산나트륨1.2
L-세린0.4
트리메틸글리신0.4
이온교환수13.0
수상(2)
디프로필렌 글리콜3.0
아스코르브산-α-D-글루코피라노시드0.2
글리콜산나트륨0.1
글리콜산0.1
이온교환수38.58
--------------------------------------------------
(제법) 수상(1)을 50℃로 가열 용해시킨 것을, 동일하게 50℃로 가열한 유화제부 디글리세롤디올레산 에스테르에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乳化)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BD-5-5H와 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오일상(유동 파라핀, 미세결정성 왁스 및 와셀린)을 70℃로 가열 용해한 용액 속에 위의 유화 조성물을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또한, 수상(2)을 70℃로 가열 용해한 용액을 위의 분산액에 충분히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탈기, 여과하여 30℃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4] O/W형 에몰리엔트 크림
세틸 알콜5.0
스테아르산3.0
와셀린5.0
스쿠알란10.0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산산 에스테르7.0
BD-5-OH(합성예 4)0.5
α-토코페롤0.02
1,3-부틸렌 글리콜5.0
글리세린5.0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3.0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세틸 알콜 에테르3.0
트리에탄올아민0.8
방부제적량
향료적량
이온교환수52.68
-------------------------------------------------
(제법) 이온교환수에 트리에탄올아민과 보습제인 1,3-부틸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첨가하고, 70℃로 가열하였다. BD-5-OH와 α-토코페롤을 포함하는 오일상(세틸알콜, 스테아르산, 와셀린, 스쿠알란 및 글리세롤 트리2-에틸헥산산 에스테르)을 가열 용해시킨 후, 유화제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세틸 알콜 에테르, 방부제 및 향료를 첨가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이를 먼저 조제한 수상에 첨가하여 예비 유화시켰다. 이어서,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 여과하고, 30℃로 냉각시켰다.
[실시예 5] 반투명 마이크로에멀젼 화장수
1,3-부틸렌 글리콜6.0
글리세린5.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3.0
마카데미아 너츠유 0.5
BD-4-4H(합성예 3)0.3
α-토코페롤0.02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1.5
폴리옥시에틸렌 (5mol) 올레오일 알콜 에테르0.3
에탄올10.0
향료 적량
색제적량
방부제적량
pH 조정제적량
킬레이트제적량
이온교환수73.38
-----------------------------------------------------------------
(제법) 이온교환수에 보습제인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0, 색제, pH 조정제 및 킬레이트제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와는 별도로 BD-4-4H, α-토코페롤, 마카데미아 너츠유,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5mol) 올레오일 알콜 에테르, 방부제 및 향료를 에탄올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먼저 조제한 수상에 당해 알콜상을 첨가하여, 호모 믹서로써 마이크로에멀젼을 조제하였다.
[실시예 6] 점조 마이크로에멀젼 에센스
디프로필렌 글리콜5.0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5.0
에탄올10.0
카복시비닐 중합체0.3
알긴산나트륨0.3
수산화칼륨0.15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1.0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0.3
리조레시틴0.2
BD-4-OH(합성예 1)0.2
BD-5-5H(합성예 5)0.3
α-토코페롤0.02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0.02
올레일 알콜0.5
향료적량
방부제적량
이온교환수73.38
-----------------------------------------------------------------
(제법) 이온교환수에 카복시비닐 중합체를 용해시킨 후, 디프로필렌 글리콜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을 순차적으로 용해시켰다. 이와는 별도로 소르비탄 모노올레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르산 에스테르, 리조레시틴, BD-4-OH, BD-5-5H, 올레일 알콜, α-토코페롤,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향료 및 방부제를 에탄올에 순차적으로 용해시켰다. 이를 먼저 조제한 수상에 첨가하고, 호모 믹서로써 마이크로에멀젼화시켰다. 이어서, 일부의 이온교환수에 용해시킨 수산화칼륨을 첨가하고, 교반, 탈기, 여과하였다.
[실시예 7] O/W형 자외선 차폐제 함유 에센스
스테아르산3.0
에탄올1.0
콜레스테릴-12-하이드록시 스테아레이트3.0
유동 파라핀5.0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3.0
BD-4-3H(합성예 2)0.3
BD-5-OH(합성예 4)0.3
α-토코페롤0.02
1,3-부틸렌 글리콜5.0
폴리옥시에틸렌 (20mol) 세틸 알콜 에테르2.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2.0
글리세릴모노-2-에틸헥사노일-디파라메톡시신나메이트4.0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4.0
실리콘 표면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2.0
데카메틸사이클로메티콘2.0
트리에탄올아민0.8
향료적량
방부제적량
이온교환수61.88
---------------------------------------------------------------
(제법) 이온교환수에 1,3-부틸렌 글리콜과 트리에탄올아민을 가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12-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유동 파라핀 및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를 70 내지 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유화제(폴리옥시에틸렌 (20mol) 세틸 알콜 에테르 및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자외선 흡수제(신나메이트 및 4-메톡시-4'-t-부틸-디벤조일메탄), BD-4-3H, BD-5-OH, α-토코페롤, 방부제 및 향료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오일상을 먼저 조제한 수상에 교반하면서 첨가하고, 예비유화시켰다. 그 다음, 온도를 40℃ 이하로 냉각시키고, 실리콘 표면 처리 미립자 산화아연과 데카메틸사이클로메티콘 분산액을 첨가하면서 호모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화하고, 탈기, 냉각시켰다.
[실시예 8] W/O형 크림
유동 파라핀23.0
와셀린6.0
세레신 왁스3.0
비스 왁스1.0
BQ-4-OH 0.5
BQ-5-5H 0.5
α-토코페롤0.02
디글리세롤 디올레산 에스테르4.0
L-글루타민산나트륨2.0
피롤리돈카복실산나트륨3.0
1,3-부틸렌 글리콜5.0
글리세린2.0
방부제적량
킬레이트 방지제적량
향료적량
이온교환수49.98
---------------------------------------------------
(제법) 이온교환수에 보습제로서 피롤리돈카복실산나트륨, L-글루타민산나트륨, 1,3-부틸렌 글리콜과 글리세린 및 킬레이트 방지제를 첨가하여 70℃로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켰다. 이와는 별도로 또한 세레신 왁스, 비스 왁스, 와셀린, 유동 파라핀과 디글리세롤 디올레산 에스테르를 8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BQ-4-OH, BQ-5-5H, α-토코페롤, 향료 및 방부제를 첨가하였다. 교반하면서, 먼저 조제한 수상을 서서히 당해 오일 상에 첨가하여 예비 유화시켜, 호모 믹서로 유화 입자를 균일하게 한 후, 탈기하고, 냉각시켰다.
[시험예] 사람에 있어서의 실용 시험
1) 투여 시료 및 시험 방법
실제로 사람의 피부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피부 외용약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 시험을 실시하였다.
안면에 색소 침착 환부를 갖는(기미 및 주근깨, 노인성 반점, 염증 후의 색소 침착 및 다른 색소 침착이 덮여 있는) 피험자 127명을 패널로 하였다. 패널의약 반인 67명에게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약을 도포하고, 나머지 60명에게는 위약을 매일 조석 세안 후에 멜라닌 색소 생산이 항진하고 있는 환부에 직접 넓게 퍼지게 도포하였다. 2개월 연속 사용 후, 의사에 의한 시감(視感) 판정에 의해 이의 효과의 판정을 실시하고, 또한 시험 개시전과 시험 2개월후의 사진에 의한 비교 검토도 실시하였다.
시험 시료로서는, 실시예 1에서 조제한 W/O형 에몰리엔트 로션을 사용하고, 위약으로는 BD-4-OH를 동량의 이온교환수로 치환하여 조제한 W/O형 에몰리엔트 로션을 사용하였다.
또한, 피부 외용약을 넓게 퍼지게 도포하는 때는, 1,4-벤젠디올 유도체의 투여량이 0.05 내지 0.5mg/㎠로 되도록, 로션을 환부의 피부에 도포하였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다음 표에 나타낸다.
2개월 후의 환부 상태
개선 다소 개선 불변 악화
실시예 1의 로션 28인(42%) 31인(46%) 8인(12%) 0인(0%)
위약 로션 3인(5%) 10인(17%) 43인(72%) 4인(6%)
2) 시험 결과
위의 표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외용약인 W/O형 에몰리엔트 로션은, 이의 88%(개선+약간 개선)에서 증상의 개선이 관찰되었다. 이에 대하여, 위약에서는 이의 78%에서 개선이 보이지 않고, 더구나 악화가 6% 관찰되었다.또한, 위약에서 이의 22%로 개선이 관찰되고 있지만, 소위 위약 효과라고 생각된다. 또한, 본 시험에 있어서, 색소 침착의 증상의 차이(기미 및 주근깨, 노인성 반점, 염증후의 색소 침착 및 다른 색소 침착)에 의한 효과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는 실제로 사람 피부의 색소 침착 개선에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안정성 및 안전성이 높은 멜라닌 생산 저해제,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화장품 및/또는 의약부외품의 피부 외용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멜라닌 생산 저해제는 0.0001중량% 이상으로 대단히 저농도로 현저한 멜라닌 생산 저해 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피부나 이의 세포에 대하여 독성이 없거나 대단히 낮기 때문에, 당해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는,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의 높은 안전성 때문에 장기간의 연속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7)

  1. 화학식 1의 벤젠디올 유도체 또는 화학식 2의 벤조퀴논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멜라닌 생산 저해제.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6의 정수이고,
    단 x+y는 4, 5 또는 6이다.
    화학식 2
    위의 화학식 2에서,
    x 및 y는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고,
    단 x+y는 4 또는 5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벤젠디올 유도체가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에닐)-1,4-벤젠디올,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헥사데카모노에닐)-1,4-벤젠디올 또는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10,14,18-에이코사펜타에닐)-1,4-벤젠디올인 멜라닌 생산 저해제.
  3. 제1항에 있어서, 벤조퀴논 유도체가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6,10,14-헥사데카테트라에닐)-1,4-벤조퀴논, 2,3-디메톡시-5-메틸-6-(3,7,11,15-테트라메틸-2-헥사데카모노에닐)-1,4-벤조퀴논 또는 2,3-디메톡시-5-메틸-6-(3,7,11,15,19-펜타메틸-2,6,10,14,18-에이코사펜타에닐)-1,4-벤조퀴논인 멜라닌 생산 저해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멜라닌 생산 저해제를 1종 이상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5. 제4항에 있어서, 멜라닌 생산 저해제의 함량이 0.0001 내지 5중량%인 피부 외용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항산화제, 자외선 차단제, 각층(角層) 박리제, 계면 활성제, 향료, 색소, 방부제, pH 조정제 및 킬레이트제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W/O형 로션, O/W형 로션, W/O형 크림, O/W형 크림, 점조(粘稠) 마이크로에멀젼 에센스 및 O/W형 에센스로부터 선택되는 피부 외용제.
KR1020020012475A 2001-03-09 2002-03-08 피부 외용제 KR200200722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67135 2001-03-09
JP2001067135 2001-03-09
JP2001076735 2001-03-16
JPJP-P-2001-00076735 2001-03-16
JP2001300470A JP2002338458A (ja) 2001-03-09 2001-09-28 皮膚外用剤
JPJP-P-2001-00300470 2001-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235A true KR20020072235A (ko) 2002-09-14

Family

ID=27346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2475A KR20020072235A (ko) 2001-03-09 2002-03-08 피부 외용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338458A (ko)
KR (1) KR20020072235A (ko)
CN (1) CN13776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R055453A1 (es) * 2004-01-06 2007-08-22 Creactivar S A Uso de la idebenona en una composicion destinada a ser aplicada sobre la piel y composicion que la comprende
JP6322575B2 (ja) * 2011-06-29 2018-05-09 アビダス・フアーマシユーテイカルズ・エル・エル・シー 脂質マイクロカプセルのデリバリービヒクルを含む局所用製剤およびその使用
KR101932330B1 (ko) * 2014-01-14 2018-12-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인간 피부의 외관 및 감촉을 개선하기 위한 다단계 요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338458A (ja) 2002-11-27
CN1377640A (zh) 200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096B1 (ko) 하나 이상의 뽕나무 추출물, 하나 이상의 골무꽃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살리실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용 및/또는 피부용 조성물
EP1570839B1 (en) 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4091824B2 (ja) 皮膚外用剤
JPH07277939A (ja) 皮膚外用剤
JP3084104B2 (ja) 化粧料
JP2003306419A (ja) 化粧料
JP2003137716A (ja) 皮膚の外用剤
JP2006193427A (ja) 水素添加レチノイドまたは水素添加レチノイド誘導体並びにその利用
JP3667027B2 (ja) 皮膚外用剤
KR10107219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14636A (ja) ヒアルロン酸産生及びカタラーゼ産生促進剤、線維芽細胞賦活剤、並びに皮膚外用剤
JPH08268859A (ja) シワ予防・改善化粧料
KR20020072235A (ko) 피부 외용제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JP3643690B2 (ja) 皮膚外用剤
JP2003342159A (ja) 皮膚老化防止化粧料
JP3822959B2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H10120546A (ja) 美白用皮膚外用剤
JP4285939B2 (ja) 皮膚外用剤
JP2004307437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3449967B2 (ja) 皮膚外用剤
JP3693213B2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3382146B2 (ja) 皮膚外用剤
JPH1180016A (ja) 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JP2004175688A (ja) 美白剤及び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