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1126A -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1126A
KR20020071126A KR1020010011065A KR20010011065A KR20020071126A KR 20020071126 A KR20020071126 A KR 20020071126A KR 1020010011065 A KR1020010011065 A KR 1020010011065A KR 20010011065 A KR20010011065 A KR 20010011065A KR 20020071126 A KR20020071126 A KR 20020071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rnet
dimensions
symmetric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크노.티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크노.티, 김충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크노.티
Priority to KR102001001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71126A/ko
Priority to PCT/KR2001/000670 priority patent/WO2002071252A1/en
Publication of KR2002007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9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94Transmission of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86Image signal generato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인터넷 또는 CD를 통해서 제공되는 영상을 촬영할 때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후 이를 서로 조합할 때 어느 한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한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대칭되는 이미지가 되도록 한 후 두 가지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조합하며 이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CD와 같은 저장수단에 의하여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동영상시스템에 의하여 모니터 상에서 플레이를 시키고 사용자가 영상의 중앙 위치에 거울을 위치시킨 후 거울을 바라보면 보이는 영상이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A system which can change a image transferrer by internet to a cubic picture}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정지된 영상이나 움직이는 영상(동영상)을 제작할 때 동일한 사물을 두 개의 카메라가 촬영하여 이중 하나를 다른 하나와는 대칭이 되게 한 후 두 가지 영상을 합성하고 이를 인터넷상이나 또는 CD를 통해서 제공하며 사용자는 모니터의 중앙 부분에 거울을 구비하여 전송된 동영상을 바라보면 평면적인 영상이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물체를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여 전송시키고 이를 사용자가 모니터 상에서 동영상 프로그램에 의하여 내용을보아 왔었고 다른 하나는 동영상을 CD에 수록한 다음 이를 CD 플레이어로서 보아 왔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동영상은 하나의 카메라(비록 촬영을 할 때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였어도 편집과정에서 하나의 카메라만 채택함)에 의하여 찍힌 영상만을 제공함으로서 보는 사람은 입체감을 느끼지 못하고 이차원적인 평면상태의 영상을 보게 됨으로 사실적인 느낌을 가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리고,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영상을 입체적으로 제작하고 이를 입체안경을 통해서 봄으로서 화면에 나타난 영상이 입체적으로 느끼게 하는 수단이 있으나 이러한 영상은 두 대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되 각각의 카메라가 촬영한 위치에 따라서 서로의 촬영지점에 대한 각도가 달라 약간의 차이점을 가지는 필름을 하나의 필름으로 조합하여 이를 영사시키고 이를 편광안경을 통해서 바라봄으로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으나, 편광안경이 없이는 영상을 보는 것에 눈의 피로와 어지러움을 발생시켜 널리 보급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영상상태의 것이 아니라 화보집과 같은 책자는 본 발명자가 선 등록한 특허등록제 제 148435호와 제 235921 호에 의하여 제공된 바, 상기 선 등록들은 책자를 통해서 평면적인 그림을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움직이는 영상에서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영상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선 등록 특허를 동영상에 응용한 발명으로서, 인터넷 또는 CD를 통해서 제공되는 영상을 촬영할 때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후 이를 서로 조합할 때 어느 한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다른 한 대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과 대칭되는 이미지가 되도록 한 후 두 가지의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조합하며 이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거나 또는 CD와 같은 저장수단에 의하여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동영상시스템에 의하여 모니터 상에서 플레이를 시키고 사용자가 영상의 중앙 위치에 거울을 위치시킨 후 거울을 바라보면 보이는 영상이 입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한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영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영상이나 정지된 이미지를 촬영을 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점을 향하여 두 개의 카메라도 동시에 촬영을 하되 각각의 카메라의 위치는 서로 동일높이와 근접된 상태에서 목표물과는 약간의 각도를 가진 상태로 촬영을 하여 하나의 물체에 대하여서 동시에 촬영된 두 개의 이미지를 얻는다.
이후, 상기 촬영된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으로 조합하는바, 상기 두 대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는 다른 하나와는 대칭이 되도록 뒤집기를 하여 정상적인 필름에 의한 이미지와 대칭상태가 되도록 대칭 이미지로 작업된 필름의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으로 서로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도록 결합한 이미지 필름을 만든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이미지와 대칭이 되는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된 상태의 영상을 인터넷상에서 제공을 하거나 또는 CD와 같은 디스켓으로사용자에게 제공을 하면 상기 임지를 사용자가 컴퓨터에 설치된 동영상 프로그램을 통해서 모니터로 보면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모니터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서로 대칭되는 이미지가 좌, 우 양측에 나타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이미지의 중앙에 반사거울을 구비하여 반사거울의 단부가 사용자의 미간에 위치하도록 한 후 영상을 바라보면 일측의 한쪽 눈으로 보여지는 반사거울에 반사된 이미지와 다른 한쪽 눈으로 비춰지는 이미지가 서로 겹쳐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반사거울을 통해서 느껴지는 이미지는 입체적으로 보여지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로서는 이미지를 촬영할 때 두 대의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한 대의 카메라로 촬영을 한 후 촬영된 이미지를 복사본을 만들고 복사본의 이미지를 정본의 이미지와 대칭이 되게 작업한 후 상기 설명과 같이 하나의 필름 좌, 우에 입력시켜 서로 대칭하는 이미지를 가지는 영상을 제작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이미지를 만들 때 카메라로 촬영된 이미지가 아니라 게임용 배경화면과 같이 컴퓨터 그래픽에 의한 합성된 이미지의 경우에는 완성된 이미지와는 거꾸로 된 이미지를 별도로 제작한 후 상기와 같이 정상 이미지와 거꾸로 된 이미지를 서로 동일 화면에 배열한 후 동영상으로 제공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모니터로 영상을 볼 때에는 손으로 반사거울을 잡고 모니터에 부착하여 보는 것이 불편함으로 모니터에 반사거울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영상을 보는 것이 편리한 것이며, 반사거울이 없이 모니터를 볼 경우에는 좌,우로 양분된 이미지 중 대칭상태의 영상 이외의 정상적인 영상을 볼 수 있어 눈의 피로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모니터 화면으로 제공되는 영상이 좌, 우 양측에 대칭 상태로 평면적으로 제공되나 이를 바라볼 때에 반사거울을 통해서 바라보게 되면 평면적인 영상이 입체적으로 보여지게 됨으로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고, 반사거울이 없는 상태에서 볼 때에는 어느 한쪽의 영상이미지가 정상적인 영상으로 나타남으로 영상을 바라볼 때에 눈이 피로하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하나의 영상 이미지를 두 개의 이미지로 분리하되 어느 하나의 이미지는 다른 임지와는 대칭 상태가 되도록 좌, 우에 배열한 후 이를 인터넷상에서 동영상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CD와 같은 디스켓으로 사용자에게 제공을 하며, 상기 이미지를 사용자가 컴퓨터에 설치된 동영상 프로그램을 통해서 모니터로 볼 때 영상의 중앙에 반사거울을 구비하여 바라봄으로 반사거울에 반사된 이미지와 반사되지 않은 이미지가 서로 겹쳐져 입체적으로 볼 수 있게 되는 하여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최초 얻어지는 영상 이미지를 촬영을 할 때 두 대의 카메라가 동일높이와 근접된 위치에서 촬영하여 서로 다른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된 이미지를 얻은 후 이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뒤집어 서로 대칭되는 이미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하나의 영상 이미지를 촬영할 때 한 대의 카메라로 촬영을 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복사하여 이를 정품의 이미지와는 반대의 이미지를 가지게 한 후 정품 이미지와 복사된 이미지를 하나의 필름에 대칭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컴퓨터 그래픽에 의하여 이미지 영상을 제작한 후 제작된 이미지 영상을 뒤집은 상태로 복사하여 대칭되는 이미지를 얻은 후 이를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
KR1020010011065A 2001-03-03 2001-03-03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KR20020071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65A KR20020071126A (ko) 2001-03-03 2001-03-03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PCT/KR2001/000670 WO2002071252A1 (en) 2001-03-03 2001-04-23 System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image on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065A KR20020071126A (ko) 2001-03-03 2001-03-03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26A true KR20020071126A (ko) 2002-09-12

Family

ID=1970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065A KR20020071126A (ko) 2001-03-03 2001-03-03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0071126A (ko)
WO (1) WO2002071252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9820A (ja) * 1986-10-03 1988-04-2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193992A (ja) * 1987-10-05 1989-04-12 Sharp Corp 立体表示装置
WO1995001083A1 (fr) * 1993-06-22 1995-01-05 Moulinex S.A. Generateur de haute tension
US5854706A (en) * 1996-10-15 1998-12-29 Alb; Cristian I. System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JPH11202258A (ja) * 1998-01-12 1999-07-30 Yasuo Ono 立体画像再生方法および立体画像再生装置
KR200165512Y1 (ko) * 1999-07-16 2000-02-15 최해용 입체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488B1 (ko) * 1996-01-06 1999-06-01 이연우 디지탈 입체 동영상 변환방법
US6081273A (en) * 1996-01-31 2000-06-27 Michigan State University Method and system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s
KR100596971B1 (ko) * 1999-07-16 2006-07-04 최해용 입체영상변환장치
KR20000024676A (ko) * 2000-02-29 2000-05-06 조영훈 인터넷을 통한 멀티미디어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연예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9820A (ja) * 1986-10-03 1988-04-20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H0193992A (ja) * 1987-10-05 1989-04-12 Sharp Corp 立体表示装置
WO1995001083A1 (fr) * 1993-06-22 1995-01-05 Moulinex S.A. Generateur de haute tension
US5854706A (en) * 1996-10-15 1998-12-29 Alb; Cristian I. System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JPH11202258A (ja) * 1998-01-12 1999-07-30 Yasuo Ono 立体画像再生方法および立体画像再生装置
KR200165512Y1 (ko) * 1999-07-16 2000-02-15 최해용 입체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1252A1 (en) 200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9497B1 (en) Multi-image compositing
KR100809479B1 (ko) 혼합 현실 환경을 위한 얼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JP5172972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
US20060132915A1 (en) Visual interfacing apparatus for providing mixed multiple stereo images
JPH07114000A (ja) 画像表示装置
JPH07222866A (ja) 立体画像ゲーム装置
JP2002051359A (ja) 3次元映像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方法
Naimark Elements of real-space imaging: a proposed taxonomy
US10659772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layering depth on head-mounted displays using external stereo screens
JPH0792426A (ja) 視覚装置
JP2002125245A (ja) 立体画像編集方法、立体画像編集装置および立体画像表示システム
US8717425B2 (en) System for stereoscopically viewing motion pictures
JPH09224265A (ja) 立体視画像記録方法並びに装置
JPH10336703A (ja) 画像合成装置、方法および記憶媒体
KR20020071126A (ko) 인터넷상에서 전송된 영상을 입체로 볼 수 있도록 한 시스템
JP2004207780A (ja) 写真撮影装置
CA2194630A1 (en) Viewing system for electronic 3-d animation and 3-d viewing mirror
JPH03226198A (ja) 立体表示装置
Wei et al. Color anaglyphs for panorama visualizations
JP2005222026A (ja) 立体視装置
JP202101541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11220758A (ja) ステレオ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KR200250437Y1 (ko) 독립된 다중 영상의 합성에 의한 오목 거울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생성 장치
JPH11327739A (ja) 画像表示装置
JP2769203B2 (ja) 複数画面合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