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894A -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894A
KR20020070894A KR1020020011163A KR20020011163A KR20020070894A KR 20020070894 A KR20020070894 A KR 20020070894A KR 1020020011163 A KR1020020011163 A KR 1020020011163A KR 20020011163 A KR20020011163 A KR 20020011163A KR 20020070894 A KR20020070894 A KR 20020070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delivery
stat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274B1 (ko
Inventor
야쿠라게니치
이노우에교코
우치다히로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20070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3Reliability checks, e.g. acknowledgments or fault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송달되면, 중계 장치(70)로부터의 갱신 요구에 따라서, 갱신 수단(20)은 제 2 격납 수단(30)에 격납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는 제 1 격납 수단(40)에 격납된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로부터 「송달」로 갱신한다. 이 상태에서 송신측 단말(A)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20)은 「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 단말(A)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로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일지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갱신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Information transfer management uni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transfer identifying system, and information transfer identifying metho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일 등의 각종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 혁신에 따라 휴대 전화나 PHS 등의 이동 통신 단말이 일반 사회로 급속하고도 착실하게 이에 침투함에 동반하여, 이동 통신 단말에 여러 가지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휴대 전화에서는 단순한 통화 기능만으로는 유저의 요망을 만족할 수는 없으며, 대다수의 유저가 통화 기능과는 별도의 정보 전달 수단인 메일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동 통신 단말간에서의 메일의 송수신은 개략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우선, 어떤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된 메일은 예를 들면 패킷 관문 중계 장치에 의해서,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설치된 메일 박스에 보관되는 동시에, 수신처의 이동 통신 단말을 향하여 송신된다. 그리고, 수신처의 이동 통신 단말이 재권 중에 있으면, 상기 메일은 그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된다. 이러한 메일 기능을 활용하면, 통화에 의하지 않고서도 이동 통신 단말간에서 정보의 송수신을 행할수 있어, 극히 편리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 간에서의 메일 기능을 활용하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메일을 송신한 후에, 상대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회신이 올 때까지는 메일이 상대에게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것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휴대 전화 중에는 미송신 메일을 검색하는 모드를 갖는 것이 있고, 이 검색 모드를 이용하면, 소정의 화면을 여는 것으로 미송신 메일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런데, 이 검색 모드로 표시되는 미송신 메일은 자체가 권 외였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고 있지 않을 뿐이며, 이러한 검색 모드에서는 역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이 완료한 메일이 상대에게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조사할 수 없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송신 완료 메일의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것을 상정하였다. 즉, 휴대 전화 등의 이동 통신 단말은 전원의 온 오프가 용이하기 때문에, 전원을 끊는 것으로 고정 전화보다도 비교적 용이하게 통화를 피하거나, 혹은 메일의 수신을 늦추기도 할 수 있다. 결국, 휴대 전화의 유저는 정보의 수용을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늦출 수 있고, 이것은 휴대 전화의 하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송신 완료 메일의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없었던 상황하에서는 업무 상의 이유 등으로 바쁜 경우에, 메일의 내용 체크나 회신을 메일 송신자에게 실례가 되지 않을 정도로 뒤로 미루더라도, 송신자는 메일의 송달 시각혹은 메일이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상기의 특징은 휴대 전화의 메일 이용자에게 있어서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의미에서 편리한 것이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보면, 송신 완료 메일의 송달 상황을 송신자가 완전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편의성은 부족하여, 수신측에 있어서 불편한 메일 기능이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간에서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송신자가 송신 완료의 정보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이것에 적용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메일 박스에 격납된 메일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메일 박스에 격납된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에 격납된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제 1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송달 상황 데이터가 갱신된 상태의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 상황 데이터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제 2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을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 2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관리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각 이동 통신 단말마다 격납하는 제 2 격납 수단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가 송달된 경우에 계 외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시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하는 발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의하면, 어떤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메일 등의 정보를 송신하면, 해당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다. 정보가 미송달로 되는 것은 예를 들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권 외에 있거나, 전원이 끊겨 있는 경우에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격납 수단에는 상기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송신자에 의해서 확인되는 것을 수신자가 허가하고 있는지 불허가하는지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미리 격납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기 전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또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면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계 외의 예를 들면 중계 장치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갱신 수단은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의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 완료로 된 정보가 상대에게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설정하여 둠으로써,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갱신 요구를 수신한 갱신 수단은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보가 송달된 후에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을 행한 송신자는 수신자가 송달 상황을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불허가」인 것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이후는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하기 위해서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국,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쓸데 없는 통신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갱신 요구를 수신한 갱신 수단은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된 후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를 요구한 송신자에게는 「미송달」이라는 데이터가 발신되게 된다. 이로써 정보 수신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갱신 수단에 의한 갱신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 2 격납 수단은 정보를 격납하여, 발신 수단이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발신한 후에, 해당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재송 지시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재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정보가 미송달인 것을 확인한 정보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재송을 지시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를 재송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정보 송달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으로서, 정보 송신측 및 정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동시에,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것이 없는 범위에서, 송신자가 송신 완료의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송달 관리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관리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정보가 송달될 때마다,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그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가 송달된 경우에 계 외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수신 수단에서 수신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시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하는 발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의하면, 어떤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메일 등의 정보를 송신하면, 해당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송달 상황 데이터가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다. 그리고,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기 전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또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확인 허가 데이터를 수신 수단에서 송신한다. 그리고,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계 외의 중계 장치 등으로부터 갱신 요구가 송신되어 오면, 갱신 수단은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를 나타내게 되어 있는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의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 완료로 된 정보가 상대에게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결정함으로써,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갱신 요구를 수신한 갱신 수단은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보가 송달된 후에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한 송신자는 수신자가 송달 상황을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불허가」인 것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이후는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하기 위해서 정보 송달 관리 장치로액세스할 필요가 없어진다. 결국,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쓸데 없는 통신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갱신 요구를 수신한 갱신 수단은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된 후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를 요구한 송신자에게는 「미송달」이라는 데이터가 발신되게 된다. 이로써, 정보 수신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일은 없다. 또한, 갱신 수단에 의한 갱신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제 2 격납 수단은 정보를 격납하고, 발신 수단이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발신한 후에, 해당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재송 지시에 기초하여, 정보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재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정보가 미송달인 것을 확인한 정보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을 조작하여 재송을 지시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정보를 재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은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정보가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한 제 1 격납 수단을 갖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그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확인 허가결정 수단과, 결정된 확인 허가 데이터를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에 의하면,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송신자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고,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으로서, 정보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의 이동 통신 단말과, 상기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동시에,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에 의하면, 상기의 정보 송달 관리 장치 및 이동 통신 단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일이 없는 범위에서, 송신자가 송신 완료의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방법으로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제 1 격납 수단, 제 2 격납 수단, 갱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을 갖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각 이동 통신 단말마다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중계 장치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갱신 요구에 따라서,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 수단이 갱신하는 단계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시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해당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수단이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방법에 의하면, 어떤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메일 등의 정보를 송신하면, 해당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다. 또한, 제 2 격납 수단에는 상기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송신자에게 의해서 확인되는 것을 수신자가 허가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격납된다. 그리고,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기 전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또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면, 정보의 송달을 검지한중계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갱신 수단은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의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완료로 된 정보가 상대에게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설정하여 둠으로써,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정보 송신 확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방법으로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제 1 격납 수단, 갱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을 갖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중계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그 정보의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의 결정을 재촉하는 단계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결정된 확인 허가 데이터를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중계 장치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대하여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갱신 요구에 따라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결정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 수단이 갱신하는 단계와,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시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 에 대하여 해당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 수단이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정보 송달 확인 방법에 의하면, 어떤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메일 등의 정보를 송신하면, 해당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다. 그리고,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기 전에,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또한,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면, 그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결정되고, 해당 확인 허가 데이터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로 송달된다. 그리고, 정보의 송달을 검지한 중계 장치로부터 갱신 요구가 송신되어 오면,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갱신 수단은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지면, 발신 수단은 「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의 송신자는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 완료가 정보가 상대로 송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를 나타내는 것에 결정함으로써, 수신자가 정보를 수신한 경우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을 나타내는 것으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의 메일 송달 관리 장치(정보 송달 관리 장치; 10)가 적용된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1)은 메일 송신 관리 장치(10)와,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 62)와,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와,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의 관리 에어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A)과,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2)의 관할 에어리어에 재권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B)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 및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 62)와 통신 회로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에는 제어 장치(20), 메일 박스(제 2 격납 수단; 30), 및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제 1 격납 수단; 40)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동 통신 단말(B)은 소위 메일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문자 정보 및 화상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 62)는 에어리어 내의 이동 통신 단말(A, B)과의 사이에서, 메일 등의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 62)는 에어리어 내의 이동 통신 단말(A, B)로부터 수신한 메일 등의 정보를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에 송신하는 동시에,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에어리어 내의 이동 통신 단말(A, B)에 송신한다.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이동 통신 단말(A, B)로부터 수신한 메일을 송신처의 이동 통신 단말의 메일 박스(30)에 축적하는 것을 제어 장치(20)에 지시함과 동시에, 제어 장치(20)의 지시에 따라서 송신처의 이동 통신 단말에 메일을 송신한다. 또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송신처 메일이 정확하게 도착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송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와 송신처의 이동 통신 단말이 실제로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메일이 정확하게 송달되었다고 검지한다. 더욱이,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의 송달을 검지한 경우에,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후술하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는 요구를 행한다.
다음에,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메일 박스(30)에 격납된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한다. 메일 박스(3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메일 관리 테이블(30a)과, 도 3에도시하는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이 격납되어 있다.
메일 관리 테이블(30a)은 각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된 메일의 상세를 나타내는 것이며, 송신자의 메일 어드레스, 메일 송신 시각, 타이틀 및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가 포함되어 있다. 도 2는 어드레스가 「xxx@docomo.ne.jp」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송신된 메일의 일람을 도시하고 있지만, 그 밖에도,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1)을 이용하는 모든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어 있다.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에는 자신에 대한 메일의 송달 상황을 송신자에 의해서 확인되는 것을,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확인 허가 데이터는 이동 통신 단말의 계약 시 또는 그 후에 유저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확인 허가 데이터는 각 이동 통신 단말마다 축적되어 있고, 메일 어드레스를 키로서, 도 2의 메일 관리 테이블(30a)과 관련짓고 있다. 더욱이, 메일 관리 테이블(3Oa) 및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로 이동 통신 단말의 번호를 기억시켜, 이것에 기초하여 데이터 관리를 행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 격납된 데이터 테이블을 설명한다.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는 각 이동 통신 단말이 송신한 메일의 상세를 나타내는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4Oa)이 격납되어 있고, 해당 테이블(4Oa)에는 송신처의 메일 어드레스, 메일 송신 시각, 타이틀,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 및 메일의 송달 상황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송달 상황 데이터는 자신이 송신한 메일이, 상대에게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또한, 송달 상태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 격납된 상기 데이터는 각 이동 통신 단말이 소정의 인터넷 어드레스로 액세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로 관람할 수 있게 작성되어 있다.
제어 장치(20)는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부터의 상기 갱신 요구에 따라서,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의 메일을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에 대응하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로부터 「송달」로 갱신한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제어 장치(20)는 그 이동 통신 단말이 송신한 메일에 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추출하여, 이들을 그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발신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송달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메일 어드레스가 「abc@docomo.ne.jp」인 이동 통신 단말(A)이 메일 어드레스가 「xxx@docomo.ne.jp」인 이동 통신 단말(B)에 대하여 메일을 송신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메일 박스(30)에는 이동 통신 단말(B)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미리 격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이동 통신 단말(A)이 이동 통신 단말(B)에 대하여 메일을 송신하면(S101), 해당 메일은 가입자계 패킷 처리 장치(61)를 통과하여 관문 중계 장치(70)에 도달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송신된 메일은 데이터 사이즈가 380바이트, 타이틀이 「내일의 예정」, 송신 시각이 1월3일 14시13분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해당 메일의 축적을 지시한다(S201). 이 지시를 받은 제어 장치(20)는 도 2의 메일 관리 테이블(31a)의 정리 번호(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일 박스(30)에 메일에 관한 정보를 축적한다(S301). 더욱이, 제어 장치(20)는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40a)의 관리 번호(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달 상황 관리 테이블 베이스(40)에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작성한다(S302). 계속해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는 메일 박스(30)에 축적된 메일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 송신한다(S303).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메일은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패킷 처리 장치(62)를 중계하여 이동 통신 단말(B)에 송신된다(S202).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B)이 재권 중이라면 메일은 이동 통신 단말(B)에 의해 수신된다(S401). 메일을 수신한 이동 통신 단말(B)은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에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402). 상기 응답 신호에는 이동 통신 단말(B)이 실제로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B)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이동 통신 단말(B)에 송신한 데이터 사이즈(380 바이트)와, 이동 통신 단말(B)이 실제로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와 같은 것을 확인하여, 메일 송달이 정확히 행하여진 것을 검지한다(S203). 양자의 데이터 사이즈가 같지 않은 경우는 메일의 모든 정보가 이동 통신 단말(B)에 송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동 통신 단말(B)에 정확하게 메일이 송달된 것을 검지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에 대하여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송신한다(S204).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수신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는 메일 박스(30)의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Ob)의 확인 허가 데이터(도 3 참조)가 「허가」인지 「불허가」인지를 판단한다(S304). 그리고, 메일 어드레스가 「xxx@docomo.ne.jp」인 이동 통신 단말(B)의 확인 허가 데이터는 「허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20)는 갱신 수단으로서, 도 6의 관리 번호(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 격납된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40a)의 이동 통신 단말(B)에 대응하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로부터 「송달」로 갱신한다(S305).
또한, 여기서는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의 확인 허가 데이터는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일 어드레스가 「yyy@ docomo.ne. jp」의 이동 통신 단말과 같이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도 3 참조)는 제어 장치(20)는 S305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즉, 이동 통신 단말(A)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신한 메일의 송달 상황 데이터는 「미송달」 그대로가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B)로 메일이 송달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A)이 송달 상황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사이트로 액세스하는 과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A)에서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1)를 경유하여 패킷 관문 중계장치(70)로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 신호가 송신된다(S102). 상기 요구 신호를 수신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로 추출 지시를 송신한다(S205).
그리고, 상기 추출 지시를 수신한 제어 장치(20)는 이동 통신 단말(A)에 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추출한다(S306). 그리고, 제어 장치(20)는 발신 수단으로서, 추출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1)를 중계시켜 이동 통신 단말(A)에 발신한다(S306). 그리고, 송달 상황 데이터가 이동 통신 단말(A)에 도달하면, 이동 통신 단말(A)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일 송달 상황을 알리는 사이트가 표시된다(S1O3). 또한, 이동 통신 단말(B)에 타이틀 「내일의 예정」의 메일이 송달되기 전에,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S102의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는 갱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일의 예정」의 메일은 「미송달」이라는 표시가 디스플레이에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이트를 보는 것으로, 메일을 송신한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송신 종료가 된 메일이 상대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송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이동 통신 단말(B)의 유저가 상기의 확인 허가 데이터를 미리 「불허가」에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메일을 수신한 경우일지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에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B)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304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는 제어 장치(20)는 송신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일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송달된 후일지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를 요구한 이동 통신 단말(A)에는 「미송달」이라는 데이터가 발신되게 된다. 이로써, 수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B)의 유저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장치(20)에 의한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작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S304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에, 제어 장치(20)가「미송달」인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메일이 이동 통신 단말(B)에 송달된 후에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한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B)의 유저가 송달 상황을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불허가」인 것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이후는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하기 위해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A)과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와의 사이에서, 쓸데 없는 통신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S103에서 메일 송달 상황을 이동 통신 단말(A)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때에, 미송달의 메일을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로 재송신할 것인지 여부를 유저에게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을 더불어 표시시켜도 된다.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가 재송신을 선택 지시하면, 해당 재송신 지시는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를 경유하여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에 송신된다. 재송신 지시를 수신한 제어 장치(20)는 유저(A)로부터 발신되어 수신측에 미송달의 메일을 메일 박스(30)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메일을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2)를 통해 이동 통신 단말(B)에 재송신한다. 재송신 후는 S401 이후의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메일이 미송달인 것을 확인한 메일 송신자(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A)을 조작하여 재송신을 지시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정보를 재송신할 수 있어, 메일을 보다 확실하게 상대에게 송달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메일 송달 확인 시스템이 제 1 실시예와 다른 것은 주로, 메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의 구성, 및, 메일 박스(30)에 격납된 테이블에 있다.
메일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C)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일을 수신할때마다, 그 메일에 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메일 송신자에게 확인되는 것을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부(확인 허가 결정 수단)(80)를 내장하고 있다. 제어부(80)는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유저에 대하여 확인 허가 데이터를 「허가」로 할 것인지, 「불허가」로 할지의 결정을 재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메일 박스(30)에는 메일 관리 테이블(30a)이 격납되어 있지만, 도 3에 도시한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은 격납되어 있지 않다. 즉,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보유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정보 송달 확인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동 통신 단말(C)의 메일 어드레스는 이동 통신 단말(B)과 마찬가지로 「xxx@ docomo.ne.jp」인 것으로 한다.
우선, 이동 통신 단말(A)이 이동 통신 단말(C)에 대하여 메일을 송신하면(S1O1), 해당 메일은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1)를 통하여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에 도달한다. 여기서,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송신된 메일은 제 1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사이즈가 380 바이트, 타이틀이 「내일 예정」, 송신 시각이 1월3일 14시13분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상기 메일의 축적을 지시한다(S201). 상기 지시를 받은 제어 장치(20)는 메일 박스(30)에 메일에 관한 정보를 축적한다(S301). 또한, 제어 장치(20)는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 「미송달」을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작성한다(S302). 계속해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는 메일 박스(30)에 축적된 메일을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에 송신한다(S303).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메일은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2)를 중계하여 이동 통신 단말(C)에 송신된다(S 202).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C)이 권한 내이면, 메일은 이동 통신 단말(C)에 의해서 수신된다(S401).
메일을 수신한 후, 이동 통신 단말(C)은 확인 허가 데이터의 결정 처리를 행한다(S402).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C)의 제어부(80)가,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 허가 데이터를 「허가」로 할지 「불허가」로 할지의 결정을 유저에게 재촉한다. 유저는 +자 키 및 결정 키를 조작하여, 「허가」 또는 「불허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결정한다. 여기서는 유저는 「확인」을 선택한 것으로 한다.
확인 허가 데이터를 결정한 이동 통신 단말(C)은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 응답 신호 및 확인 허가 데이터를 송신한다(S403). 확인 허가 데이터는 송신 수단으로서도 기능하는 제어부(80)의 제어하에서, 이동 통신 단말(C)의 공지의 기술에 의해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 송신된다. 또한, 응답 신호에는 이동 통신 단말(C)이 실제로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통신 단말(C)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이동 통신 단말(C)에 송신한 데이터 사이즈(380 바이트)와, 이동 통신 처리 C가 실제로 수신한 메일의 데이터 사이즈가 같은 것을 확인하여, 메일 송달이 정확히 행하여진 것을 검지한다(S203). 이동 통신 단말(C)에 정확하게 메일이 송달된 것을 검지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에 대하여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 및 확인 허가 데이터를 송신한다(S204).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 및 확인 허가 데이터를 수신 수단으로서 수신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는 수신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인지 「불허가」인지를 판단한다(S304).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금회의 메일에 관한 확인 허가 데이터는 「허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장치(20)는 갱신 수단으로서,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에 격납된 송신 메일 관리 테이블(40a)의 이동 통신 단말(C)에 대응하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미송달」로부터 「송달」로 갱신한다(S305).
또한, 여기서는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C)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 」로서 결정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동 통신 단말(C)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서 결정된 경우는 제어 장치(20)는 S305의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즉, 이동 통신 단말(A)이 이동 통신 단말(C)에 송신한 메일의 송달 상황 데이터는 「미송달」그대로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C)로 메일이 송달된 상태에서, 이동 통신 단말(A)이 송달 상황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사이트로 액세스하는 과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가 소정의 입력 조작을 행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1)를 경유하여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로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 신호가 송신된다(S102). 상기 요구 신호를 수신한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는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로 추출 지시를 송신한다(S205).
그리고, 상기 추출 지시를 수신한 제어 장치(20)는 이동 통신 단말(A)에 관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송달 상황 관리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추출한다(S306).그리고, 제어 장치(20)는 발신 수단으로서, 추출한 송달 상황 데이터를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1)를 중계시켜 이동 통신 단말(A)에 발신한다(S306). 그리고, 송달 상황 데이터가 이동 통신 단말(A)에 도달하면, 이동 통신 단말(A)의 디스플레이에는 도 7과 동일한 메일 송달 상황을 알리는 사이트가 표시된다(S103). 또한, 이동 통신 단말(C)에 타이틀 「내일의 예정」의 메일이 송달되기 전에,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S102의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가 이루어진 경우는 송달 상황 데이터는 갱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내일의 예정」의 메일은 「미송달」이라고 하는 표시가 디스플레이에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사이트를 봄으로써, 메일을 송신한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A)로부터 송신 종료가 된 메일이 상대의 이동 통신 단말(C)에 송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C)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를 「불허가」로 결정함으로써, 메일을 수신한 경우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는 「송달」로 갱신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에게 송달이 완료하고 있는 것이 파악되지 않아, 수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B)의 유저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304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는 제어 장치(20)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일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C)에 송달된 후일지라도, 송달 상황 데이터를 요구한 이동 통신 단말(A)에는 「미송달」이라는 데이터가 발신되게 된다. 이로써, 수신자인 이동 통신 단말(C)의 유저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지 않는다. 또한, 제어 장치(20)에 의한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작업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S304에서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에, 제어 장치(20)가「미송달」인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 메일이 이동 통신 단말(C)에 송달된 후에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한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C)의 유저가 송달 상황을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불허가」인 것을 파악할 수 있고, 그 이후는 송달 상황 데이터의 확인 요구를 행하기 위해서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에 액세스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A)과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 사이에서, 쓸데 없는 통신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S103에서 메일 송달 상황을 이동 통신 단말(A)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킬 때에, 미송달의 메일을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재송할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입력시키기 위한 화면을 더불어 표시시켜도 된다. 이 경우, 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가 재송신을 선택 지시하면, 상기 재송신 지시는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를 경유하여 메일 송달 관리 장치(10)의 제어 장치(20)에 송신된다. 재송신 지시를 수신한 제어 장치(20)는 유저(A)로부터 발신되어 수신측에 미송달의 메일을 메일 박스(30)로부터 추출하고, 해당 메일을 패킷 관문 중계 장치(70) 및 가입자 시스템 패킷 처리 장치(62)를 거쳐 이동 통신 단말(B)에 재송한다. 재송신 후는 S4O1 이후의 상기와 같은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메일이 미송달인 것을 확인한 메일 송신자(이동 통신 단말(A)의 유저)는 이동 통신 단말(A)을 조작하여 재송신을 지시함으로써,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B)에 정보를 압송할 수 있어, 메일을 보다 확실하게 상대에게 송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실시예의 메일 박스(30)에, 도 3에 도시한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을 격납하여도 된다. 이 경우, 확인 허가 데이터 관리 테이블(30b)의 확인 허가 데이터가 기본 설정으로서 사용되고, 메일 수신시에 유저가 설정을 변경하고 싶은 경우는 그 때마다 확인 허가 데이터로 결정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동 통신 단말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는 메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착신 멜로디, 화상, 날씨 예보, 게임 등의 정보로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통신 단말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수신자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송신자가 송신 종료의 정보 송달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3)

  1.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에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관리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정보의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각 이동 통신 단말마다 격납하는 제 2 격납 수단과,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경우에 시스템 외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하는 발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납 수단은 상기 정보를 격납하고,
    상기 발신 수단이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발신한 후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재송신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5.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송신측 및 정보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과,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상기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6.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관리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 1 격납 수단과,
    상기 정보가 송달될 때마다,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그 정보의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경우에 시스템 외로부터 송신되는 갱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수신 수단으로 수신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갱신 수단과,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발신하는 발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 인 경우,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로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요구를 수신한 상기 갱신 수단은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불허가인 경우,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격납 수단은 상기 정보를 격납하고,
    상기 발신 수단이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발신한 후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재송신 지시에 의거하여, 상기 정보를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재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
  10.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격납한 제 1 격납 수단을 갖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상기 정보를 수신할 때마다, 그 정보의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결정하기 위한 확인 허가 결정 수단과,
    결정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를 상기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
  11.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를 송신하는 이동 통신 단말과,
    정보를 수신하는 제 10 항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과,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정보 송달 관리 장치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함과 동시에,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상기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중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확인 시스템.
  12.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제 1 격납 수단, 제 2 격납 수단, 갱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을 갖는 정보 송달 관리 장치의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정보의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를 각 이동 통신 단말마다 상기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중계 장치가,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2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상기 갱신 수단이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발신 수단이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확인 방법.
  13.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된 정보의 송달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정보 송달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가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달되었는지 미송달인지를 나타내는 송달 상황 데이터를, 제 1 격납 수단, 갱신 수단, 및 발신 수단을 갖는 정보 송신 관리 장치의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중계 장치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였을 때에 그 정보의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확인되는 것에 대하여 허가할지 불허가할지를 나타내는 확인 허가 데이터의 결정을 재촉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이, 결정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를 상기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정보를 중계하여,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송신하는 중계 장치가,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 상기 정보가 송달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정보 송달 관리 장치에 대하여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의 갱신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요구에 따라서, 상기 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서 결정된 상기 확인 허가 데이터가 허가로 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수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관한 미송달을 나타내는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로부터 송달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상기 갱신 수단이 갱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제 1 격납 수단에 격납된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상기 송신측의 이동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송달 상황 데이터를 상기 발신 수단이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송달 확인 방법.
KR10-2002-0011163A 2001-03-02 2002-03-02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KR100488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8704A JP3727247B2 (ja) 2001-03-02 2001-03-02 情報送達管理装置、移動通信端末、情報送達確認システム、および情報送達確認方法
JPJP-P-2001-00058704 2001-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894A true KR20020070894A (ko) 2002-09-11
KR100488274B1 KR100488274B1 (ko) 2005-05-11

Family

ID=1891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163A KR100488274B1 (ko) 2001-03-02 2002-03-02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44271B2 (ko)
EP (1) EP1241900B1 (ko)
JP (1) JP3727247B2 (ko)
KR (1) KR100488274B1 (ko)
CN (1) CN100483368C (ko)
DE (1) DE60207130T2 (ko)
SG (1) SG134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3101B (en) * 2003-01-21 2010-04-01 Panasonic Corp Communication system and its terminal
US7756829B2 (en) * 2006-04-18 2010-07-13 Sandeep Bhanote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EP1895784B1 (en) 2006-09-01 2009-1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method of relaying an electronic message to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beyond the coverage area of a wireless network
JP4998030B2 (ja) * 2007-03-20 2012-08-15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基地局装置における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における通信プログラム
CN101321317B (zh) * 2008-07-01 2012-1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分段确认机制实现短消息系统中级联短消息传输方法
US8200199B2 (en) 2008-11-21 2012-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 delivery status notification
EP2475138B1 (en) 2011-01-06 2019-03-13 BlackBerry Limited Delivery and management of status notifications for group messaging
CA2823817C (en) 2011-01-06 2019-02-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livery and management of status notifications for multiple message formats
JP4879361B1 (ja) * 2011-04-28 2012-02-22 楽天株式会社 電子メールシステム、電子メールシステムの制御方法、中継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10051104B2 (en) * 2012-05-14 2018-08-14 Apple Inc. Delivery/read receipts for electronic messaging
US10063506B2 (en) * 2013-04-17 2018-08-28 Cellco Partnership Preventing SMS message forwarding loops
US20140378103A1 (en) * 2013-06-25 2014-12-25 Alcatel-Lucent Usa Inc. Archiving a delivery status for a text message
JP7211899B2 (ja) * 2018-07-03 2023-01-24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6541A (ja) 1991-01-18 1992-08-25 Csk Corp 電子メール配送システム
US5555426A (en) * 1992-01-08 1996-09-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eminating messages to unspecified user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H05260117A (ja) 1992-03-10 1993-10-08 Ricoh Co Ltd 通信制御装置
US5940740A (en) * 1996-10-25 1999-08-17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ssage transmission verification
JP3664581B2 (ja) 1998-02-26 2005-06-29 株式会社リコー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の制御方法
US6731942B1 (en) * 1998-03-06 2004-05-04 Mirafin Ag Two-way pager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f alphanumeric messages over the GSM/GPRS network
US6175743B1 (en) * 1998-05-01 2001-01-16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to a restricted group of subscr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41900A1 (en) 2002-09-18
US6944271B2 (en) 2005-09-13
JP2002262353A (ja) 2002-09-13
DE60207130T2 (de) 2006-07-20
US20020122540A1 (en) 2002-09-05
JP3727247B2 (ja) 2005-12-14
CN1374615A (zh) 2002-10-16
CN100483368C (zh) 2009-04-29
SG134968A1 (en) 2007-09-28
KR100488274B1 (ko) 2005-05-11
EP1241900B1 (en) 2005-11-09
DE60207130D1 (de) 2005-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7178B1 (en)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thod and system
KR100488274B1 (ko) 정보 송달 관리 장치, 이동 통신 단말, 정보 송달 확인시스템, 및 정보 송달 확인 방법
KR20020076276A (ko) 메일 시스템, 서버 및 메일 송수신장치
US7343151B2 (en) Cellular phone having mail and schedule functions
EP1361712B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essages 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814248B1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개별통화 수신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1600864B1 (ko) 이메일의 선택적 수신방법
JPH0946371A (ja) 電子メールのプライバシー保護方法及びメール端末装置
JP3676766B2 (ja) メールシステム
JP2002335287A (ja) メール送受信装置
KR101219734B1 (ko) 긴급전송 프리미엄 sms 서비스 방법
KR100498325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4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WO2003096636A1 (en) Method for communicating messages to an electronic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099910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단문메시지 릴레이 멀티 전송 방법
JP2005057585A (ja) メール照会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照会サーバ
KR200600921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와 시간을 이용한 메시지 송수신방법
JP2003069648A (ja) メール送受信装置
KR20010067571A (ko)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0618402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발신 메시지 저장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6508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회수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20180127162A (ko) 휴대폰 문자메시지 전달 방법 및 장치
KR20010067570A (ko) 휴대 단말기의 메일 접속 장치 및 방법
KR20050072720A (ko) 통신단말기간의 통신데이터의 생성, 관리와 이의 능동적수신에 관한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