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4227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4227A
KR20050094227A KR1020040019394A KR20040019394A KR20050094227A KR 20050094227 A KR20050094227 A KR 20050094227A KR 1020040019394 A KR1020040019394 A KR 1020040019394A KR 20040019394 A KR20040019394 A KR 20040019394A KR 20050094227 A KR20050094227 A KR 20050094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xt
vo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4227A/ko
Publication of KR20050094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91Automatic devices with timing mechanisms, e.g. pet f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1/00Marking of animals
    • A01K11/006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for animals, e.g. electronic devices, transponders for anim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대방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부가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와;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은,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되고,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송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가 표시되는 단계; 및 수신자의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승인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Mobile st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수신자의 착신 및 읽음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문자/음성 메시지 시스템에서는 보낸 메시지를 수신자가 제대로 받아서 읽었는지/들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전화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 문자 메시지나 혹은 음성 메시지로 중요한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수신자가 이를 읽었는지 확인할 길이 없으므로 발신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낼 때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발신자가 문자/음성 메시지 발송시에 이 기능을 선택하고, 수신자가 실제 메시지를 읽었을 경우,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수신자의 착신 및 읽음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대방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부가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은,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되고,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송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가 표시되는 단계; 및 수신자의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승인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의 다른 실시 예는,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되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메시지의 제공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송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수신자의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승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수신자의 착신 및 읽음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에 입력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대방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부가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120)와, 상기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120)에서 처리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수신부(130) 및 상기 제 구성요소(110)(120)(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140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목록 및 메시지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문자 메시지 메뉴 기능에 옵션으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을 선택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수신 및 읽음 확인이 필요한 문자/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 이 옵션을 등록하도록 한다. 도 2는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의 추가 예로서, 전송 옵션을 선택하면 읽음 확인 서브 메뉴가 펼쳐지고, 이를 선택함으로써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이 추가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발신시에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발신자는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낼 때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을 정의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수신자가 이러한 메시지를 받고, 메시지를 확인하는 과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문제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음성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이다.
수신자가 문자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메시지를 곧바로 확인하므로, 수신자는 메시지를 확인할 때 "읽음 확인 메시지를 보낼까요?"와 같은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여부의 동의를 묻는 문구를 도 3과 같이 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에 대한 응답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수신자가 음성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에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바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이동통신 서비스 망으로 접속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망에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듣게 된다. 이때 이동통신 서비스 망에서는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가 읽은 후에 옵션으로 '읽음 확인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묻게 된다. 전송 여부에 대한 답변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통한 번호 입력을 통하여 받도록 할 수 있다.
수신자는 문자 혹은 음성 메시지를 위 두 방법을 통하여 받게 되고, 수신자가 읽음 확인 여부에 동의를 선택한다면, 자동으로 이동통신 서비스 망으로 이 메시지가 전달되어, 이동통신 서비스 망은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읽음 확인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그러나, 어떠한 수신자의 경우는 메시지를 확인했다는 사실을 발신자에게 알리고 싶지 않을 경우도 있다. 따라서 수신자가 읽음 확인 여부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선택한다면,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선택된 메시지를 받았을 경우에도, 읽음 확인 메시지가 발신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기능을 통하여, 발신자는 수신자의 메시지 읽음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신자에게 자동으로 전송 혹은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자에게 중요한 정보를 꼭 전달해야 하는 경우, 전화 통화를 하지 않더라도 수신자가 문자/음성 메시지를 읽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정보가 전달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여러 번의 전화 통화를 시도할 필요 없이, 문자 혹은 음성 메시지를 통하여 중요한 정보를 남길 수 있고 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러 명에게 정보를 남기고, 이를 확인해야 하는 겨우 '읽음 확인 메시지' 만 가지고도 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의 각 실시 예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발신자는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정의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401). 이때, 상기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에게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때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설정되었다는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단계 402).
한편,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에 대한 응답 여부를 선택한다. 이때,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하지 않으면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으며,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한 경우에는 서비스 운용자를 통하여 '읽음 확인 메시지'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단계 403, 404).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문자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는 상대방이 문자 메시지를 안전하게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음성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서는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서는 음성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자는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정의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를 전송한다(단계 501). 이때, 상기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에게 전송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502). 이때,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와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활성화 되었다는 정보를 서비스 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다.
한편,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 운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503). 이에 따라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때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설정되었다는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수신자에게 문의하게 된다(단계 504).
이때,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하지 않으면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으며,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한 경우에는 서비스 운용자를 통하여 '읽음 확인 메시지'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단계 505, 50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발송한 발신자는 상대방이 음성 메시지를 안전하게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음성 사서함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발신자가 전화 걸기를 시도하고 일정 시간 후 연결되지 않아 음성 사서함으로 전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발신자는 음성 사서함에서 음성을 녹음하고,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한다(단계 601). 이때, 상기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운용자에게 전송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한다(단계 602). 이때,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와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활성화 되었다는 정보를 서비스 운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켜 놓을 수도 있다.
한편,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 운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603). 이에 따라 서비스 운용자는, 발신자로부터 전송된 음성 메시지를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며, 이때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설정되었다는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그리고,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수신자에게 문의하게 된다(단계 604).
이때,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하지 않으면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는 전송되지 않으며, 수신자가 응답을 선택한 경우에는 서비스 운용자를 통하여 '읽음 확인 메시지'가 발신자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단계 605, 606).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음성 사서함에 음성 메시지를 남겨 둔 발신자는 상대방이 음성 메시지를 안전하게 수신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대방에게 문자/음성 메시지를 보냈을 경우, 수신자의 착신 및 읽음 확인이 요구되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신자에게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발신시에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시에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에 대한 응답 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음성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이 포함된 음성 사서함을 이용한 음성 메시지가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laims (5)

  1. 사용자로부터 문자/음성 메시지 전송을 위한 내용을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입력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며, 상대방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부가하여 문자/음성 메시지를 처리하는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와;
    상기 문자/음성 메시지 처리부에서 처리된 문자/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제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가 표시되고,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송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가 표시되는 단계; 및
    수신자의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승인에 따라,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음 확인 메시지'가 전송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가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
  4. 발신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작성하고, 수신자의 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읽음 확인 메시지 요청' 옵션을 설정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해당되는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가 수신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 메시지의 제공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수신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고, '읽음 확인 메시지'를 발송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수신자의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 승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읽음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가 '읽음 확인 메시지' 전송을 거부하는 경우에는, 상기 발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음성 메시지 수신 여부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전송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운용방법.
KR1020040019394A 2004-03-22 2004-03-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50094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394A KR20050094227A (ko) 2004-03-22 2004-03-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394A KR20050094227A (ko) 2004-03-22 2004-03-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227A true KR20050094227A (ko) 2005-09-27

Family

ID=37275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394A KR20050094227A (ko) 2004-03-22 2004-03-22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42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0325A1 (fr) * 2006-12-31 2008-07-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et procédé de transmission et d'amélioration de messages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sans fil
KR101352510B1 (ko) * 2006-12-28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메일 수신응답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462898B1 (ko) * 2008-03-11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510B1 (ko) * 2006-12-28 2014-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메일 수신응답 차단 장치 및 방법
WO2008080325A1 (fr) * 2006-12-31 2008-07-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ème et procédé de transmission et d'amélioration de messages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sans fil
EP2106155A1 (en) * 2006-12-31 2009-09-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and enhanc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106155A4 (en) * 2006-12-31 2010-01-27 Huawei Tech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ENHANCING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462898B1 (ko) * 2008-03-11 2014-11-1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메시지 읽음 확인서비스 단말기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565B1 (ko) 푸쉬 메시지의 신뢰성 판단을 위한 메시징 시스템
EP1784970A1 (en) Method of obtaining caller information in a mobil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therefore
JP3727247B2 (ja) 情報送達管理装置、移動通信端末、情報送達確認システム、および情報送達確認方法
WO2004110045A1 (ja) 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機
US20070173284A1 (en) Method of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350454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옵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10058797A (ko)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94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JP2001339765A (ja) 情報端末
KR100601930B1 (ko) 휴대 전화 단말기의 상태 정보 처리 장치
KR100688195B1 (ko)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200785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채팅 방법
KR1006130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그룹 메시지 수신 확인 장치 및방법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1003653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JP2010212756A (ja) 通信端末及び交換機
KR10083625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158622A (ja) 留守番電話ステータス通知システム、留守番電話ステータス通知方法
KR1013061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이동통신 시스템
KR100878804B1 (ko)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518175B1 (ko)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KR101099910B1 (ko) 이동통신단말장치의 단문메시지 릴레이 멀티 전송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KR100618779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30033323A (ko) 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약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