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0254A -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0254A
KR20020070254A KR1020027000914A KR20027000914A KR20020070254A KR 20020070254 A KR20020070254 A KR 20020070254A KR 1020027000914 A KR1020027000914 A KR 1020027000914A KR 20027000914 A KR20027000914 A KR 20027000914A KR 20020070254 A KR20020070254 A KR 2002007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conductive layer
lower transparent
layer
metal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치즈카다쿠오
데라다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2007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2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로서 기판 유리(11) 위에 박막을 형성하고, 그 박막의 일부에 홈(12b)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12)과, 하부 투명도전층(12) 위에 성층된 일렉트로크로믹 층(13)과,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격리부(12a)에 직접 접촉된 상부 투명도전층(14)을 구비하며, 하부 투명도전층의 본체부(12c)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격리부(12a)의 단부에, 금속박(17a)에 도전성 점착재(17b)를 도포한 구조의 금속박 전극(17)을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Solid-state electrochromic device, and mirror system and CRT display using same}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역적으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고 가역적으로 착·소색(消色)하는 현상을 일렉트로크로미즘(electrochromism)이라고 한다. 이러한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을 이용해서 전압 조작에 의해 착·소색하도록 설계된 일렉트로크로믹(이하, EC로 함) 소자가 표시 소자나 광량 제어소자 등 많은 산업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고체형 EC소자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고체형 EC소자(30)에 있어서 기판 유리(31) 위에는 ITO(indium tin oxide) 등 하부 투명도전막(32)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하부 투명도전막(32)의 일부에 홈(32b)을 형성하여 격리부(3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위에는 WO3등에 의한 EC층(33), ITO와 같은 상부 투명도전막(34)이 순서대로 성층되며 그 위를 에폭시 수지와 같은봉지재(封止材)(35) 및 대향 유리(36)가 덮고 있다. 또, 상부 투명도전막(34)은 격리부(32a)와 직접 접하고 있고,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32)과 상부 투명도전막(34)은 단락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격리부(32a)에서 상부 투명도전막(34)의 전극을 취출할 수 있다. 이 고체형 EC소자(30)의 하부 투명도전막(32)과 상부 투명도전막(34) 사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하면 EC층(33)은 착색되며 역전압을 인가하면 EC층(33)은 소색된다.
여기서, 고체형 EC소자(30)의 하부 및 상부 투명도전막(32, 34)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취출 전극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금속 클립(37)으로 기판 유리(31)와 하부 투명도전막(32)을, 또한 기판 유리(31)와 격리부(32a)를 사이에 두고 각각 봉지재(35)로 고정해서 취출 전극으로 하였다. 여기서 대향 유리(36)는 금속 클립(37, 37)의 단자부를 가이드해서 접착되기 때문에 대향 유리(36)의 폭은 기판 유리(31)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고체형 EC소자(30)의 수지 두께인 수 십㎛ 정도로 금속 클립(37)의 금속 재료를 가공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대향 유리(36)의 폭을 기판 유리(31)의 폭보다 넓게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금속이 얇아짐으로써 응력 도입이 충분하지 않아 탄성 영역 내의 응력에 의한 금속클립(37)의 집는 힘을 발현시키기 어려우므로 장착시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 유리(31)의 단면이 곡률을 갖는 경우에는 금속 클립(37)을 기판 단면에 따라서 굽히기 어려우며 접촉 저항이 높아지거나 외관이 손상을 입는다. 이러한 점은 고체형 EC소자(30)를 미러에 응용할 경우에도 발생한다.
한편, 일반적인 CRT 디스플레이의 패널 앞면에 VDT 장해 방지용 필터를 부착하기도 하지만, 넓은 범위의 파장을 감쇠시키게 되어 화면 전체가 너무 어두워져 보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고체형 EC소자(30)를 CRT 디스플레이 필터에 이용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으로 고체형 EC소자(30)를 장착시켜야 한다. 이는 고체형 EC소자(30)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금속 클립(37)은 그 가공법에 의해서 금속판의 두께를 100㎛ 정도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속 클립(37)은 기판 유리(31) 등과의 결합력을 스프링 탄성에 의해 갖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클립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금속 클립(37)은 금속판의 두께와 그 형상으로 인하여 상하 방향으로 두꺼워진다. 그래서 이 금속 클립(37)의 두께를 고려하여 CRT 디스플레이에 고체형 EC소자(30)를 장착시켜야 한다.
첫째 방법은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체형 EC소자(30A)와 브라운관(39)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라운관(39)의 표면은 만곡되어 있고 대향 유리(36A) 부착 고체형 EC소자(30A)는 그 대향 유리(36A)를 에폭시 수지로 접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만곡 형상에 추종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이 방법에서는 금속 클립(37A)이 브라운관(39)의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고체형 EC소자(30A)와 브라운관(39)을 이격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대응 유리(36A) 등을 브라운관(39) 표면의 만곡 형상에 추종시키지 않아도 되는 방법으로 하고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CRT 디스플레이의 표면 쪽이 필터(고체형 EC소자(30A)) 때문에 두께가 커짐과 동시에 부착용 부재도 필요하게 된다. 또한, 기판 유리(31A)나 대향 유리(36A)를 브라운관(39)의 만곡 형상에 맞춰서 미리 가공해 두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단가가 높아지게 된다.
둘째 방법은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라운관(40)보다 큰 고체형 EC소자(30B)를 브라운관(40)에 부착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기판 유리(31A)를 브라운관(40)의 만곡 형상에 추종시키서 가공하여 대향 유리를 브라운관(40)의 패널 유리로 대용한다. 그리고 고체형 EC소자(30B)를 브라운관(40)의 패널 유리 위에 봉지재(35B)인 에폭시 수지 등을 통하여 부착시킨다. 이 경우 봉지재(35B)인 에폭시 수지 등의 두께는 수 십 ㎛ 정도이지만, 금속 클립(37B)은 그 금속판의 두께만이라도 100㎛ 정도이다. 따라서 고체형 EC소자(30B)를 브라운관(40)에 부착시킬 경우 기판 유리(31B)의 폭 치수를 브라운관(40)의 패널 유리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하면 금속 클립(37B)이 돌기물로 되어 방해가 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기판 유리(31B)의 폭 치수를 브라운관(40)의 패널 유리의 폭 치수보다 길게 하여 고체형 EC소자(30B)를 브라운관(40)에 부착시킨다. 이 결과로서, 금속 클립(37B, 37B)이 브라운관(40)의 측면 쪽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금속 클립(37B, 37B)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하면 CRT 디스플레이의 필터인 고체형 EC소자(30B)의 사이즈가 크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여러 형태로 가공이 용이하며 장착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극 구조의 고체형 EC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또한, 그 소자를 이용하여 투과도 또는 휘도를 어느 범위 내로 조정이 가능한 CRT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금속박 전극을 소자의 취출 전극으로서 이용하는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mirror) 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표면에 고체형 EC소자를 형성시킨 CRT 디스플레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고체형 EC소자 및 패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RT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고체형 EC소자 및 브라운관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고체형 EC소자의 구조 예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종래 고체형 EC소자를 CRT 디스플레이 필터에 이용한 경우의 고체형 EC소자 및 브라운관의 개략 평면도로서, 도 7a는 고체형 EC소자와 브라운관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는 방법이고, 도 7b는 브라운관보다 더 큰 고체형 EC소자를 브라운관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나타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는 기판 유리 상에 박막을 형성하고 그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EC층과,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EC층의 상부에 걸쳐서 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고, 또한 EC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하부 투명도전층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쉽게 전극을 장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착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고체형 EC소자에 있어서 금속박 전극의 금속 재료가 구리 또는 알루미늄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금속박 전극에는 부식 방지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신뢰도가 더 높은 고체형 EC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는 기판 유리 상에 형성된 금속 반사막과, 이 금속 반사막 상에 박막으로 형성하고 그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EC층과,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EC층의 상부에 걸쳐서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며, 또한 EC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하부 투명도전층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미러 장치에 적용시키기 쉽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련된 CRT 디스플레이는 CRT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패널 유리를 대향 유리로 하고, 또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배치된 고정형 EC소자에 의한 필터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CRT 디스플레이에 적용하는 것도 용이하며 투명도나 휘도를 어느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한 CRT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CRT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EC 소자에 의한 필터층은 기판 유리 상에 박막으로 형성하고 그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EC층과,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EC층의 상부에 걸쳐서 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고, 또한 EC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하부 투명도전층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판 유리 쪽을 아래쪽으로 하고 대향 유리 쪽을 위쪽으로 해서 기재하고 있으나, 물론 아래쪽과 위쪽을 반대로 기재해도 상관없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체형 EC소자(10)에는 기판 유리(11) 상면에 ITO 등의 하부 투명도전막(12)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하부 투명도전막(12)의 일부에홈(12b)을 형성하며 격리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투명도전막(12)은 2개의 전극을 취출하기 위해서 홈(12b)에 의해서 격리된 격리부(12a)와 본체부(12c)의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격리부(12a) 및 본체부(12c)를 포함한 하부 투명도전막(12)의 폭 치수는 기판 유리(11)와 같은 크기이다. 하부 투명도전막(12) 상면에는 WO3등에 의한 EC층(13)이 성층되며 EC층(13) 상면에 ITO 등의 상부 투명도전막(14)이 순서대로 성층되고 있다. 상부 투명도전막(14) 상면에는 봉지재로서의 에폭시 수지(15)가 덮여 있고, 에폭시 수지(15) 상면에는 대향 유리(16)가 덮여 있다. 또한 상부 투명도전막(14)은 격리부(12a)와 직접 접하고 있으며,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12)의 본체부(12c)와 상부 투명도전막(14)과는 단락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고 격리부(12a)로부터 상부 투명도전막(14)의 전극을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홈(12b)에도 EC층(13)이 성층되어 있으며 하부 투명도전막(12)의 본체부(12c)와 상부 투명도전막(14) 및 하부 투명도전막(12)의 격리부(12a)와의 사이에는 EC층(13)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15)는 EC층(13) 및 상부 투명도전막(14) 측면을 덮고 있고 양쪽 바깥쪽 단부가 하부 투명도전막(12) 격리부(12a) 또는 본체부(12c)에 접하고 있다. EC층(13)의 폭 치수는 홈(12b)부터 본체부(12c)의 대부분을 덮는 크기를 갖고 있지만, 본체부(12c)의 바깥쪽 단부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크기이다. 상부 투명도전막(14)의 폭 치수는 격리부(12a)의 안쪽 단부에서 EC층(13)을 대부분 덮는 크기이다. 에폭시 수지(15)의 폭 치수는 격리부(12a) 및 본체부(12c)를 포함한 하부 투명도전막(12)의 폭 치수보다 작으며, 크기 또한 EC층(13) 및 상부 투명도전막(14)을 완전히 덮는 크기이다. 대향유리(16)의 폭은 격리부(12a) 및 본체부(12c)를 포함한 하부 투명도전막(12)(즉, 기판 유리(11)) 폭 치수보다 양쪽으로 긴 치수를 갖는다.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12) 본체부(12c) 바깥쪽 단부의 상면과 대향 유리(16) 바깥쪽 단부의 하면 사이 및 격리부(12a)의 바깥쪽 단부 상면과 대향 유리(16) 바깥쪽 단부의 하면 사이에는 금속박(17a) 하면에 도전성 점착재(17b)를 도포한 구조의 금속박 전극(17, 17)이 각각 부착되어 있으며 에폭시 수지(15)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하부 투명도전막(12)과 금속박 전극(17, 17)의 접점은 도전성 점착재(17b) 자체의 점착성으로 확보된다. 또한 금속박(17a)의 금속 재료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서 부식 방지가공이 되어 있다.
이 고체형 EC소자(10)의 금속박 전극(17, 17)을 통해서 외부에서 하부 투명도전막(12)과 상부 투명도전막(14) 사이에 직류 전류를 인가하면 EC층(13)은 착색되며 역전압을 인가하면 EC층(13)은 소색된다.
여기서, 도전성 점착재(17b)로서는 도전성 재료의 미분말을 혼입한 발포 고무인 플록 시트를 슬라이스한 것이나 메틸 계통 실리콘 수지를 도포한 박리 라이너에 메틸페닐 공중합 함실리콘 수지에 유전성 필러(filler)를 배합한 도전성 감압 점착재를 도포 또는 함침시킨 것 등이 사용된다. 또, 부식 방지 가공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수지 등을 도공하는 수법 등이 채용된다.
이와 같이 취출 전극으로서 금속박(17a) 하부에 도전성 점착재(17b)를 도포한 구조의 금속박 전극(17)을 이용함으로써 전극 부착 시에는 위치 결정된 자리에 금속박 전극(17)을 도전성 점착재(17b) 자체의 점착성을 이용해서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대향 유리(36)는 금속 클립(37)의 단자부를 가이드에 접착하기 위해서 기판 유리(31)보다 수 ㎜ 작게 만들어졌지만, 발명의 금속박 전극(17)을 이용함으로써 대향 유리(16)의 크기가 기판 유리(11)와 동일하거나 더 크게 하고 싶을 경우(후술되는 CRT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12)의 박막 면과 대향 유리(16)의 거리(이하, "수지 두께"라고 함)는 일반적으로 수 십 ㎛ 정도로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박(17a) 및 도전성 점착재(17b)의 도전성 재료는 변형이 용이하므로 이 재료를 찌그러뜨림으로써 수지 두께에 추종시킬 수 있다.
또한, 취출 전극인 금속박 전극(17)은 금속박(17a)의 편면에 도전성 점착재(17b)를 도포하기만 하면 되는 간편한 구조이므로 제품 자체가 복잡한 형상을 하고 있다 해도 그 형상에 맞춰서 취출 전극을 여러 모양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서 접촉 저항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을 깔끔하게 만들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리(21) 상면에 형성된 금속 반사막(22)과 금속 반사막(22)의 상면에 박막을 형성하고 그 박막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막(미도시)과, 하부 투명도전막 상면에 형성된 EC층(24)과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막의 일부와 EC층(24) 상면에 걸쳐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막(미도시)과, 상부 투명도전막 상면에 적층시킨 봉지재(미도시) 및 대향 유리(23)로 이루어지며,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의 본체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막의 격리부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25, 25)을 접착하여 고정형 EC소자에 의한 미러 장치(20)로 한 것이다. 금속박 전극(25, 25)은 일단부가 대향 유리(23)와 하부 투명도전막의 격리부 또는 본체부 사이에 놓여서 부착되어 있고 타단부가 외부에 연장되고 있다. 금속 반사막(22)의 폭 치수는 기판 유리(21)의 폭 치수보다 양쪽으로 작은 치수이다. 대향 유리(23)의 폭 치수는 기판 유리(21)의 폭 치수 같은 치수이다. 그리고 상하 투명도전막, 봉지재(에폭시 수지) 및 EC층(24)의 적층 상태는 도 1에 도시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이 생략되었다. 이와 같이 하면 쉽게 전극을 설치할 수 있어 부착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금속박 전극(25)을 이용함으로써 취출 전극을 기판 유리(21)나 대향 유리(23) 및 금속 반사막(22) 등의 형상에 대응해서 여러 가지 형상으로 가공해서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미러 장치(20)처럼 대향 유리(23)의 폭 치수를 기판 유리(21)의 폭 치수와 같은 크기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 전극(25)을 이용함으로써 미러 장치(20)의 설치 자리나 사용 상황에 따라서 여러 형상의 취출 전극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두께가 얇은 취출 전극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고체형 EC소자를 표면에 형성시킨 CRT 디스플레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된 표면에 고체형 EC소자를 형성시킨 CRT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고체형 EC소자 및 패널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CRT 디스플레이서의 고체형 EC소자 및 브라운관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CRT 디스플레이(26)의 패널(27) 표면에 패널 유리를 대향 유리로 하고,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12)의 격리부(12a)와 본체부(12c)의 각 단부에 금속박(17a)에 도전성 점착재(17b)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17, 17)을 배치한 고체형 EC소자(28)에 의한 필터층을 형성시킨 것이다. 고체형 EC소자(28)는 봉지재인 에폭시 수지(15)에 의해서 패널(27) 표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판 유리(21)는 그 폭 치수가 패널 유리의 폭 치수보다 약간 작으며 또한 그 두께가 얇게(0.5㎜ 정도) 가공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고체형 EC소자(28)의 박막 구성은 도 1에서 도시된 고체형 EC소자(10)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CRT 디스플레이(26)에서는 금속박 전극(17, 17)을 이용함으로써 취출 전극을 브라운관(29) 표면의 만곡 형상이나 CRT 디스플레이(26)의 케이스 등의 형상에 대응해서 여러 형상 형상으로 가공해서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취출 전극을 얇은 전극(수 십 ㎛ 정도)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기판 유리(11)의 폭 치수를 브라운관(29)의 패널 유리의 폭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CRT 디스플레이(26)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라운관(29)의 표면에 고체형 EC소자(28)를 직접 부착할 수 있으므로 CRT 디스플레이(26) 표면에 얇은 층으로서 필터를 구성할 수 있어서 취출용 부재도 필요 없다. 또한, 이 CRT 디스플레이(26)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판 유리(11)가 브라운관(29)의표면보다 작으므로 CRT 디스플레이(26)의 필터를 작게 만들 수 있다.
이 예시에서는 EC층에 소정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패널의 휘도나 플리커링(flickering)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적인 CRT 디스플레이의 패널 앞면에 바깥에서 부착하는 VDT 장해 방지용 필터를 병용해도 상관없다.
상기 CRT 디스플레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판 유리에 상하 투명도전막과 EC층을 형성한 EC소자 중간체를 준비하고, 이 EC 소자 중간체의 상부 투명도전막 쪽을 CRT 디스플레이의 패널 유리 표면에 접근시킨다. 이어서, EC소자 중간체의 주위부에 금속박 전극을 접착함과 동시에 EC 소자 중간체와 패널 표면 사이에 투명 수지 봉지재로 봉지함으로써 패널 유리를 대향 유리로 하는 고체형 EC 소자를 적층함으로써 패널 표면에 필터층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기판 유리는 패널 유리의 폭 치수와 같은 치수이거나 작은 치수로 가공되어 있다. 또한, 금속박 전극은 EC소자 중간체 및 투명 수지 봉지재의 두께에 대응한 두께로 되어 있으며 그 형상도 EC소자 중간체나 패널 표면의 형상 등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EC 소자 중간체와 패널 유리는 투명 수지 봉지재에 의하여 접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박 재료로서 구리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고 제시했지만, 금속 재료라면 무엇이든지 좋고 또한 부식 방지 처리에 대해서도 고체형 EC소자의 사용 상황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형 EC소자는 하부 투명도전막 및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막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도포한 구조의 금속박 전극을 부착시킴으로써 전극 부착시는 위치 결정된 장소에 금속박 전극을 부착하기만 하면 되며, 소자의 형상을 맞춰서 금속박 전극을 여러 형태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 전극의 금속 재료가 구리 또는 알루미늄이고, 또한 금속박 전극에는 부식 방지 처리가 됨으로써 보다 신뢰성이 높은 고체형 EC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CRT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패널 유리를 대향 유리로 하고, 또한 하부 투명도전막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구조의 금속박 전극을 배치한 고체형 EC소자에 의한 필터 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투과도 또는 휘도를 어느 범위 내에서 조정이 가능한 CRT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기판 유리 상에 박막을 형성하고 그 박막의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일렉트로크로믹 층과,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의 상부에 걸쳐서 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투명도전층 및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 전극은 구리 또는 알루미늄박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박 전극은 부식 방지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4. 기판 유리 상에 형성된 금속 반사막과, 이 금속 반사막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고 그 박막의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일렉트로크로믹 층과,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의 상부에 걸쳐서 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투명도전층 및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를 이용한 미러 장치.
  5. CRT 디스플레이 패널 표면에 패널 유리를 대향 유리로 하고, 또한 하부 투명도전층 단부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배치한 고정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에 의한 필터 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디스플레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소자에 의한 필터 층은 기판 유리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고 그 박막의 일부에 홈을 마련함으로써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과, 이 하부 투명도전층 위에 성층된 일렉트로크로믹 층과,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일부와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의 상부에 걸쳐서 박막으로 형성된 상부 투명도전층과, 이 상부 투명도전층 위에 적층시킨 봉지재 및 대향 유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일렉트로크로믹 층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투명도전층 및 상기 격리된 하부 투명도전층의 단부에, 금속박에 도전성 점착재를 부착시킨 금속박 전극을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RT 디스플레이.
KR1020027000914A 2000-11-10 2001-09-25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 KR200200702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2918 2000-11-10
JP2000342918 2000-11-10
PCT/JP2001/008297 WO2002039180A1 (fr) 2000-11-10 2001-09-25 Element electrochromique transistore et dispositif a miroir, et ecran cathodique les integr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254A true KR20020070254A (ko) 2002-09-05

Family

ID=18817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14A KR20020070254A (ko) 2000-11-10 2001-09-25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10907B2 (ko)
EP (1) EP1333316A4 (ko)
JP (1) JPWO2002039180A1 (ko)
KR (1) KR20020070254A (ko)
CN (1) CN1159620C (ko)
AU (1) AU2001288117A1 (ko)
TW (1) TWI293700B (ko)
WO (1) WO20020391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1864B2 (ja) * 2002-11-18 2008-06-18 株式会社村上開明堂 固体型ec素子
WO2004068231A1 (en) * 2003-01-31 2004-08-12 Ntera Limited Electrochromic display device
WO2006013990A1 (en) * 2004-08-03 2006-02-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FR2904123B1 (fr) * 2006-07-21 2008-09-12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imique / electrocommandable du type vitrage et a proprietes optiques et/ou energetiques variables.
JP2009015152A (ja) * 2007-07-06 2009-01-22 Murakami Corp 電子デバイスの接続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8048690B2 (en) * 2007-11-08 2011-11-01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ame
US9782949B2 (en) 2008-05-30 2017-10-10 Corning Incorporated Glass laminated articles and layered articles
US8514476B2 (en) 2008-06-25 2013-08-20 View, Inc. Multi-pane dynamic window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719751B2 (en) * 2008-09-17 2010-05-18 Soladigm, Inc. Electrical contact technique for electrochromic windows
US9664974B2 (en) 2009-03-31 2017-05-30 View, Inc. Fabrication of low defectivity electrochromic devices
US11599003B2 (en) 2011-09-30 2023-03-07 View, Inc. Fabrication of electrochromic devices
US9007674B2 (en) 2011-09-30 2015-04-14 View, Inc. Defect-mitigation layers in electrochromic devices
EP2486447B1 (en) * 2009-10-05 2020-04-22 Acreo Swedish ICT AB Electrochemical device
WO2011087726A2 (en) 2009-12-22 2011-07-21 Soladigm, Inc. Wireless powered electrochromic windows
US10747082B2 (en) 2009-12-22 2020-08-18 View, Inc. Onboard controller for multistate windows
US8213074B1 (en) 2011-03-16 2012-07-03 Soladigm, Inc. Onboard controller for multistate windows
US10303035B2 (en) 2009-12-22 2019-05-28 View, Inc. Self-contained EC IGU
WO2018200740A2 (en) 2017-04-26 2018-11-01 View, Inc. Tintable window system for building services
US9958750B2 (en) 2010-11-08 2018-05-01 View, Inc. Electrochromic window fabrication methods
US11054792B2 (en) 2012-04-13 2021-07-06 View, Inc. Monitoring sites containing switchable optical devices and controllers
US10429712B2 (en) 2012-04-20 2019-10-01 View, Inc. Angled bus bar
US10989977B2 (en) 2011-03-16 2021-04-27 View, Inc. Onboard controller for multistate windows
WO2016094445A1 (en) 2014-12-08 2016-06-16 View, Inc. Multiple interacting systems at a site
US20210394489A1 (en) 2011-12-12 2021-12-23 View, Inc. Thin-film devices and fabrication
KR20200035328A (ko) 2011-12-12 2020-04-02 뷰, 인크. 박막 디바이스 및 제조
US10295880B2 (en) 2011-12-12 2019-05-21 View, Inc. Narrow pre-deposition laser deletion
US11865632B2 (en) 2011-12-12 2024-01-09 View, Inc. Thin-film devices and fabrication
US10802371B2 (en) 2011-12-12 2020-10-13 View, Inc. Thin-film devices and fabrication
US11635666B2 (en) 2012-03-13 2023-04-25 View, Inc Methods of controlling multi-zone tintable windows
US9341912B2 (en) 2012-03-13 2016-05-17 View, Inc. Multi-zone EC windows
EP3223532B1 (en) 2012-04-13 2019-10-09 View, Inc. Applications for controlling optically switchable devices
US11255120B2 (en) 2012-05-25 2022-02-22 View, Inc. Tester and electrical connectors for insulated glass units
RU2678028C2 (ru) 2013-06-18 2019-01-22 Вью, Инк. Электрохромные устройства непрямоугольных форм
EP3046717B1 (en) * 2013-09-17 2019-12-11 ABB Schweiz AG Method for ultrasonic welding with particles trapping
US10884311B2 (en) 2013-12-24 2021-01-05 View, Inc. Obscuring bus bars in electrochromic glass structures
US11906868B2 (en) 2013-12-24 2024-02-20 View, Inc. Obscuring bus bars in electrochromic glass structures
WO2015100419A1 (en) 2013-12-24 2015-07-02 View, Inc. Obscuring bus bars in electrochromic glass structures
US11868103B2 (en) 2014-03-05 2024-01-09 View, Inc. Site monitoring system
CA3156883A1 (en) 2014-03-05 2015-09-11 View, Inc. Monitoring sites containing switchable optical devices and controllers
US11150616B2 (en) 2014-03-05 2021-10-19 View, Inc. Site monitoring system
US10481459B2 (en) 2014-06-30 2019-11-19 View, Inc. Control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s of optically switchable windows during reduced power availability
US11054711B2 (en) 2014-11-25 2021-07-06 View, Inc. Electromagnetic-shielding electrochromic windows
WO2016154064A1 (en) 2015-03-20 2016-09-29 View, Inc. Faster switching low-defect electrochromic windows
US11740948B2 (en) 2014-12-08 2023-08-29 View, Inc. Multiple interacting systems at a site
TWI534518B (zh) * 2015-05-15 2016-05-21 Tintable Kibing Co Ltd Electrochromic device
US11384596B2 (en) 2015-09-18 2022-07-12 View, Inc. Trunk line window controllers
US11493819B2 (en) 2017-04-26 2022-11-08 View, Inc. Displays for tintable windows
US11892738B2 (en) 2017-04-26 2024-02-06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US11747696B2 (en) 2017-04-26 2023-09-05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US11747698B2 (en) 2017-04-26 2023-09-05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CN109116653A (zh) * 2017-06-22 2019-01-01 常州雅谱新材料有限公司 一种窄边电致调光器件
JP7098888B2 (ja) * 2017-07-13 2022-07-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用背面電極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ペーパー、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P3887902A1 (en) * 2018-11-26 2021-10-06 View, Inc. Adhesive bus bars in electrochromic windows
CN110471230B (zh) * 2019-09-06 2021-10-08 南通繁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玻璃及其制造方法
TW202206925A (zh) 2020-03-26 2022-02-16 美商視野公司 多用戶端網路中之存取及傳訊
US11631493B2 (en) 2020-05-27 2023-04-18 View Operat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building wellness
CN113568233B (zh) * 2021-07-21 2022-10-14 深圳市光羿科技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87890A (en) 1975-04-09 1977-10-05 Rank Organisation Ltd Electro-optical displays
JPH0820648B2 (ja) * 1986-08-04 1996-03-04 株式会社ニコン 端面に取出し電極部を設けたec素子
CA1313562C (en) * 1988-08-17 1993-02-09 Nikon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
JPH02127620A (ja) * 1988-11-08 1990-05-16 Optrex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US5187607A (en) * 1989-03-13 1993-02-16 Nikon Corporation Electrochromic device with low resistance electrical connections
JPH03157625A (ja) * 1989-11-15 1991-07-05 Hitachi Maxell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素子
US5066112A (en) 1989-12-21 1991-11-19 Donnelly Corporation Perimeter coated, electro-optic mirror
JPH05142585A (ja) * 1991-11-15 1993-06-11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デイスプレイパネル
CA2122443A1 (en) * 1992-01-10 1993-07-22 Laurence R. Gilbert Improved electrodes for light modulating devices
BE1007482A3 (nl) 1993-09-08 1995-07-11 Philips Electronics Nv Beeldweergaveinrichting voorzien van een elektro-optisch medium.
JP3534288B2 (ja) * 1997-03-07 2004-06-07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調光ガラ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9802339A1 (de) * 1998-01-23 1999-07-29 Bayer Ag Elektrochrome Zelle
JP2000002895A (ja) * 1998-04-14 2000-01-07 Murakami Corp 全固体型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防眩ミラーの封止構造
US6062920A (en) * 1998-08-26 2000-05-16 Gentex Corporation Custom terminal connector for use in electrochromic devices
US6144479A (en) * 1998-12-16 2000-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reflectivity contrast enhancement filter
US6471360B2 (en) * 2000-08-03 2002-10-29 Ppg Industries Ohio, Inc. Switchable electrochromic devices with uniform switching and preferential area sha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620C (zh) 2004-07-28
EP1333316A4 (en) 2004-04-07
WO2002039180A1 (fr) 2002-05-16
AU2001288117A1 (en) 2002-05-21
US6710907B2 (en) 2004-03-23
EP1333316A1 (en) 2003-08-06
JPWO2002039180A1 (ja) 2004-03-18
TWI293700B (ko) 2008-02-21
US20020149829A1 (en) 2002-10-17
CN1380990A (zh) 200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70254A (ko) 고체형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및 그 소자를 이용한 미러장치 및 crt 디스플레이
US6787204B2 (en) Multiple glazed insulating unit, especially for an aircraft window, with electromagnetic armor
US5066112A (en) Perimeter coated, electro-optic mirror
KR100201675B1 (ko) 안테나 커넥터 장치
CA2500074A1 (en) Electrochromic devices having no positional offset between substrates
TW20114244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80108110A (ko) 적층 창유리 및 이들의 밀폐물 및 주변 보강 수단
JP7119305B2 (ja) 調光体
JP4490461B2 (ja) 液晶表示装置
RU2765961C1 (ru) Стекло со сборными шинами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таким стеклом
KR101415569B1 (ko) 전기영동 유닛,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779583A1 (en) Light control unit
JP2023512543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を含む接続構造
KR101939054B1 (ko) 스마트 윈도우용 필름에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필름
US11067868B2 (en) Thin wire bus bar
JPH0546320Y2 (ko)
JP7098888B2 (ja) 電子ペーパー用背面電極基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ペーパー、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13711118B (zh) 调光片以及调光装置
JPS63276035A (ja) Ec素子用電極パタ−ンの製造方法
CN116338998B (zh) 一种显示模组
JPH0895075A (ja) 液晶表示装置
CN114296267B (zh)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JP2938600B2 (ja) 液晶シート
JP3408489B2 (ja) 液晶表示パネル
CN115943729A (zh) 具有电联接元件的片材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