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972A -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972A
KR20020065972A KR1020010006105A KR20010006105A KR20020065972A KR 20020065972 A KR20020065972 A KR 20020065972A KR 1020010006105 A KR1020010006105 A KR 1020010006105A KR 20010006105 A KR20010006105 A KR 20010006105A KR 20020065972 A KR20020065972 A KR 20020065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lack
water
goat meat
black g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879B1 (ko
Inventor
송해범
정상환
공건오
Original Assignee
송해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범 filed Critical 송해범
Priority to KR10-2001-0006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8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염소 재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흑염소지육과 십전대보탕의 제조에 사용되는 한약재를 혼합하여 추출한 흑염소추출액, 유당과 대맥분을 혼합반죽하여 장환국수와 같은 상태로 뽑은 후 정환하여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Granular pills using black goat meat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흑염소지육과 십전대보탕의 제조에 사용되는 한약재를 포함하므로써 인체 건강에 유익하고 먹기 간편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염소지육은 사람을 보익하고 부창을 치료(허준 저 민약보감, 성도문화사) 한다고 전해져 오고 있으며 십전대보탕은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대추, 생강, 들깨, 흑대두와 같은 14종의 생약재를 세척, 건조, 분쇄한 후 적정량씩 평량하여 달여먹도록 된 것으로, 제반빈혈증, 소모성 질병예방과 치료 및 허약체질 등의 개선에 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도연 저, 방약합편, 남산당).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체의 건강에 유익한 십전대보탕의 제조에 사용되는 14종의 한약재와 흑염소의 지육이 혼합된 한방흑염소탕은 사용자가 일일이 오랜시간 달여먹어야만 하므로 제조가 번거롭고 장시간이 요구되며 음용하는데 있어서도 보관에 불편함이 있어 사용자가 부담없이 끓여 마실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흑염소 지육과 한방재를 중탕해서 제조한 흑염소탕은 매우 제한적으로 취급, 사용되었으며, 지금까지 이들은 가장 적절하게 혼합하여 환제로 제조한 시도는 전혀 공지된 바 없다.
한편, 종래에도 한방약재를 과립 또는 분말형태로 가공한 한방약차가 개발, 보급되어 왔으나, 이들은 모두 단일생약을 단순히 살균건조하여 과립 또는 분말화시킨 것이기에 보신, 보약 또는 보양효과가 크게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생약자체를 살균 건조 후 과립 또는 분말화시킨 것이기에 물에 녹지 않으며 차로 마신 후에는 항상 찌꺼기를 별도로 버려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제조공정을 간편하게 하면서 저장 및 취식이 용이할 수 있도록 건강한 흑염소의 지육을 증탕기에 넣고 여기에다 십전대보탕의 주재료인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대추, 생강, 들깨, 흑대두와 같은 14종의 생약재를 세척, 건조, 분쇄하여 혼합한 후 달여서 농축엑스로 만든 다음, 이를 유당 및 대맥분과 함께 섞어 장환기에서 장환국수로 성형하고, 이어서 그늘에서 건조한 후 제환기로 세절한 다음 정환기를 통하여 둥근 환으로 제조하여 멸균건조하였고 상기 제조한 흑보환이 상온에서도 변패되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흑염소지육과 14종의 한약재를 포함하는 흑보환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흑보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강한 흑염소지육과 십전대보탕 재료로 사용되는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대추, 생강, 들깨, 흑대두와 같은 14종의 한약재를 달여 농축엑스로 가공한 후, 이를 유당 및 대맥분과 섞어 반죽하여 장환국수로 성형한 후 건조 정환하여 흑보환을 제조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 흑보환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건강한 흑염소의 지육 55-75중량 %, 세척, 건조, 분쇄하여 준비한 14종의 한약재로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는 각각 0.5-1 중량%, 대추와 생강은 각각 7-11중량%, 들깨와 흑대두는 각각 3-6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상기 흑염소 지육과 14종의 한약재에 대해 물을 1 : 1.2배로 투입한 후 추가로 4.5L 의 물을 더 첨가하여 100-110℃에서 24시간 가열하여 농축엑기스를 제조하는 열수출을 위한 제 1 공정; 상기 제 1 공정에서 얻은 농축엑스 20%와 유당 10%, 대맥분 70%를 혼합하고 반죽하여 반죽물을 얻는 제 2 공정; 상기 제 2 공정에서 얻은 반죽물을 장환기에 통과시켜 장환국수로 성형한 후 그늘에서 건조시킨 다음, 제환기로 세절하고, 정환기로 둥근 흑보환으로 제조하고 멸균건조하여 제품화하는 제 3 공정을 결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흑염소 지육과 14종의 한약재를 중탕하여 농축엑스로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흑염소 지육의 양은 55-75중량%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65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 흑염소 지육과 14종의 한약재를 중탕하여 농축엑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의 양은 0.5-1중량%가 바람직하여 가장 바람직하게는 0.7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 흑염소 지육과 14종의 한약재를 중탕하여 농축엑스르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대추와 생강의 양은 7-11중량%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9.3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 흑염소 지육과 14종의 한약재를 중탕하여 농축엑스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들깨와 흑대두의 양은 3-6중량%가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7중량% 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은 간편하게 먹을 수 있고 찌꺼기가 전혀 남지 않으며, 특히 이러한 흑보환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제반 빈혈증, 소모성질병 예방과 치료 및 허약체질 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염소 지육 함유 흑보환 제조
건강한 흑염소의 신선한 지육 7,000g를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고 중탕기에 넣었다. 십전대보탕 재료인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등 10종은 각각 75g 씩 대추와 생강은 각각 1,000g 씩, 들깨와 흑대두는 각각 500g 평량하여 세척, 건조 및 분쇄하여 상기 흑염소 지육을 넣은 중탕기에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따라서 흑염소 지육과 약제 혼합물의 전체 양은 10.75Kg이 되었으며 상기 전체 양의 1.2배에 해당하는 12.09L의 물을 붓고, 다시 여기에 4.5L의 물을 더 첨가한 후 105℃에서 24시간동안 중탕기에서 달여 착즙하고 이 착즙을 다시 90℃로 달여서 물엿과 같은 농축엑스를 제조하였다. 추가로 4.5L의 물을 첨가하는 것은 중탕시 증발량을 감안한 것으로 약효상실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농축엑스 20%와 유당 10%, 대맥분 70%의 혼합비율로 섞어 반죽한 다음 장환기를 통하여 장환국수로 성형한 후 그늘에서 건조시킨 뒤 제환기로 세절하여, 정환기로 직경 4mm의 흑보환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흑보환은 포장단위로 유통시켜 판매하고 하루에 2∼3회 정도 5개씩 먹으면 제반 빈혈증, 소모성질병 및 악창 예방과 치료 및 허약체질 등을 개선할 수 있어 건강증진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흑염소 지육 55∼75중량% 와 14종의 한약재로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각각 0.5∼1중량%, 대추와 생강 각각 7∼11중량%, 들깨와 흑대두는 각각 3∼6중량%를 중탕하여 얻은 농축엑스 20%와 유당 10%, 대맥분 70%를 섞어 제조한 본 발명 제품 흑보환은 제품에 찌꺼기가 전혀 발생하지 않아 깔끔하며 간편하게 취식할 수 있고 건강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흑염소의 지육 55∼75중량%, 세척, 건조, 분쇄한 당귀, 천궁, 백작약, 숙지황, 감초, 백출, 백복령, 인삼, 황기, 육계 각각 0.5∼1중량%, 대추와 생강 각각 7∼11중량%, 들깨와 흑대두 각각 3∼6중량%를 중탕기에 넣고 상기 중탕기에 넣은 흑염소 지육과 한약재에 대해 물을 1: 1.2배로 투입한 후 추가로 4.5L의 물을 더 첨가하여 100∼110℃에서 24시간 중탕하는 농축엑스 제조 공정; 상기 농축엑스 제조공정에서 얻은 농축엑스 20%와 유당 10%, 대맥분 70%를 혼합하는 반죽공정; 상기 반죽공정에서 얻은 반죽물을 직경 4mm의장환기를 통과하여 장환국수로 성형한 후 건조시킨 다음 제환기로 세절하고, 정환기로 둥근환으로 성형하는 흑보환 제조공정을 결합하는 것이 특징인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의해 제조된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KR10-2001-0006105A 2001-02-08 2001-02-08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KR10042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105A KR100426879B1 (ko) 2001-02-08 2001-02-08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105A KR100426879B1 (ko) 2001-02-08 2001-02-08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72A true KR20020065972A (ko) 2002-08-14
KR100426879B1 KR100426879B1 (ko) 2004-04-13

Family

ID=2769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105A KR100426879B1 (ko) 2001-02-08 2001-02-08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19B1 (ko) * 2009-12-30 2012-05-18 박광희 깻잎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147B1 (ko) 2008-11-21 2011-11-02 영양군 흑염소 중탕액의 제조방법
KR101873034B1 (ko) 2016-06-07 2018-08-02 윤성진 흑염소 조청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7521B1 (ko) 2022-12-22 2023-11-30 한마음염소 영농조합법인 흑염소 진액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8754A (ko) * 1983-05-24 1984-12-19 이칠형 흑염소 육골인스턴트식품 제조방법
KR950002626A (ko) * 1993-07-26 1995-02-16 김영두 흑염소를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KR0135226B1 (ko) * 1994-08-31 1998-04-22 서중일 토종염소를 이용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33564A (ko) * 1998-04-25 1998-07-25 김기신 계육 조리 방법
KR20000021202A (ko) * 1998-09-25 2000-04-25 강희송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360689B1 (ko) * 2000-01-05 2002-11-13 학교법인 영광학원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과립형 흑보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7819B1 (ko) * 2009-12-30 2012-05-18 박광희 깻잎을 주성분으로 하는 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879B1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40858A (zh) 一种药食两用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023767B (zh) 一种竹炭茶块
CN104171856A (zh) 一种具有安神作用的杂粮面粉及其制备方法
CN101695539A (zh) 一种延缓衰老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30111050A (ko) 건강 환 제조방법
CN102406009A (zh) 一种地黄叶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1642251B (zh) 一种适合中老年人的营养米及其加工方法
KR100426879B1 (ko)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흑보환 및 그 제조방법
CN105833211A (zh) 一种消炎健胃中兽药
KR100360689B1 (ko) 흑염소 지육을 주재료로한 과립형 흑보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261464B1 (ko) 총명사물탕 재를 이용한 과립 총명차의 제조방법
KR100261463B1 (ko) 십전대보탕 원료를 이용한 과립 대보차의 제조방법
CN106107870A (zh) 一种补气养血保健料酒及其制作方法
CN112914009A (zh) 一种阳虚体质保健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CN101061828B (zh) 家畜保健饲料
CN105581009A (zh) 一种肉鸡饲料及其使用的中药添加剂
CN103566315A (zh) 止泻中药
CN106359952A (zh) 一种用于山羊痘病的饲料添加剂
CN105994890A (zh) 一种山楂酸甜高钙软糖及其制备方法
CN109745512A (zh) 一种治疗小儿疳积咳喘的中药组合物
CN104886298A (zh) 一种利用中草药及糙米制备减肥茶的方法
CN105707240A (zh) 一种合欢皮安神解郁奶茶及其生产方法
CN106138867A (zh) 一种含有中药提取物和牛初乳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4522573A (zh) 一种和胃降逆的葛根粉
CN104069371A (zh) 一种辅助治疗月经不调的保健泡腾片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