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668A -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668A
KR20020065668A KR1020010005799A KR20010005799A KR20020065668A KR 20020065668 A KR20020065668 A KR 20020065668A KR 1020010005799 A KR1020010005799 A KR 1020010005799A KR 20010005799 A KR20010005799 A KR 20010005799A KR 20020065668 A KR20020065668 A KR 20020065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music
input
inform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이승철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5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5668A/ko
Publication of KR20020065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66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고객이 특정 음률만을 알고 있을 경우 그 음률정보를 이용하여서도 해당 노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종 노래에 따른 음룰 정보가 각각 분류된 상태로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온라인을 통해 각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특정 음률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에 해당되는 음률의 특정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부와, 상기 선곡부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제목 내역이 해당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웹서버(Web-server); 고객이 입력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변환하도록 음성 입력부를 가지며 이 변환된 신호를 온라인 상의 상기 웹서버로 전송 가능하도록 온라인 연결된 고객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Providing method for music service and operating method of its system}
본 발명은 온라인 상의 음악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객이 어떤 노래의 특정 음률만을 알고 그 노래를 찾고자 할 때 알고 있는 음률을 입력함으로써 쉽게 해당 노래를 찾아줄 수 있도록 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웹 사이트 상에서 음반의 판매를 위해서 구축된 웹 페이지 형태는 대부분 해당 가수가 실린 사진이나 이미지 그리고, 해당 음반의 겉 표지와 수록 곡명 및 몇 가지의 샘플 노래 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서는 고객이 특정 노래가 수록된 음반을 사고자 할 경우 모든 음반을 일일이 확인하여 해당 노래를 찾아야만 하거나, 혹은 해당 노래 제목을 이용한 검색을 통해 해당 음반을 찾도록 그 운영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음반 주문에 따른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고객이 길을 가다가 혹은, 라디오 등에서 우연히 들었던 노래일 경우 그 음반명, 가수, 가사 등을 전혀 알 수 없음에 따라 이 노래를 찾기란 불가능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재 온라인 상에서 노래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노래방에서도 고객이 부르고 싶은 곡명 혹은 가수, 가사 등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반드시 알고 있어야만 한다. 즉, 고객이 노래제목, 성별, 가수, 그룹, 장르 중 입력한 항목에 대해서만 검색 결과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각 음악 관련 서비스 운영 업체에서는 고객이 찾고자 하는 노래에 대해 자세히 모를 경우 특히, 음률만을 알고 있을 경우 기존에는 음률만을 가지고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음에 따라 일일이 각 노래를 청취한 후 원하는 노래를 확인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 아니라 이 문제점으로 인한 많은 고객의 불만이 야기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객이 특정 음률만을 알고 있을 경우 그 음률정보를 이용하여서도 해당 노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음률정보를 이용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해당 웹페이지의 화면 구성에 따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그 검색의 정확도를 조절하여 이 정확도에 따른 검색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검색 결과 내의 상세 재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과정 중 선택적인 노래 청취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데이터 베이스(DB)200...웹서버
210...수신부220... 선곡부
230... 디스플레이부300...고객의 단말기
310...음성 입력부320... 입력수단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각종 노래에 따른 음룰 정보가 각각 분류된 상태로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온라인을 통해 각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특정 음률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에 해당되는 음률의 특정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부와, 상기 선곡부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제목 내역이 해당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웹서버(Web-server);
고객이 입력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변환하도록 음성 입력부를 가지며 이 변환된 신호를 온라인 상의 상기 웹서버로 전송 가능하도록 온라인 연결된 고객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운용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특정 노래의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찾고자 하는 노래의 음률을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음률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전송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노래별 음률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유사 음률을 가지는 노래의 내역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노래의 내역 및 이 노래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해당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의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각종 노래 및 이 노래의 음률 정보가 각각 분류된 상태로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100)와,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웹서버(Web-Server)(200)와, 고객이 입력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변환하도록 음성 입력부(310)를 가지며 이 변환된 신호를 온라인 상의 상기 웹서버(200)로 전송 가능하도록 온라인 연결된 고객의 단말기(300)로 크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객의 단말기에 구성된 음성 입력부(310)는 통상적인 고객의 음성이 직접 입력되는 마이크 수단(311)이거나, 음악 파일 등이 별도 저장되는 각종 정보의 임시 저장을 위한 디스크(혹은, 메모리)(312) 수단이거나, 각 미디(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정 음률을 만드는 스탠드 키보드(313)와 같은 미디 입력 수단 중 최소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웹서버(200)는 온라인을 통해 각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특정 음률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 받는 수신부(210)와, 상기 수신된 음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에 해당되는 음률의 특정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부(220)와, 상기 선곡부(220)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제목 내역이 해당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부(2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선곡부(220)는 해당 음률의 음성 신호를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하는 신호 처리부(221)와, 상기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222)와, 상기 비교부(222)를 통해 확인된 유사 음률의 노래 내역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22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음률정보를 이용한 음반판매 쇼핑몰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시된 도 2 내지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객이 어떤 노래를 우연히 듣고 나서 그 노래의 음률만을 알고 해당 노래를 찾고자 할 경우 고객은 온라인 연결된 자신의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노래 찾기 서비스를 요청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본 발명의 웹서버(200)는 상기 고객에게 찾고자 하는 노래의 음률을 입력하도록 요청하게 된다.
이에 해당 고객이 음성 입력부(310)를 통해 소정 음률을 가지는 음성을 입력하게 되면 그 음성의 음률은 고객 단말 내부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된 후 상기 웹서버(300)로 전송된다.
상기에서 음성 입력부(310)를 통해 음률을 입력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네 가지를 그 실시 예로 제시한다.
첫 번째는 통상적인 마이크(311)와 같이 고객의 음성이 직접 입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이는, 간단한 구성과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음률의 입력방법으로써 바람직한 실시 예이며, 물론 고객이 직접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각 노래가 녹음된 음악 테이프를 재생하여 상기 마이크(311)를 통해 해당 음률을 입력할 수도 있다.
두 번째는 음악 파일 등이 별도 저장된 디스켓(혹은, 디스크, 메모리)(312)을 이용하여 특정 노래의 음률이 입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세 번째는 통상적인 미디(MIDI) 인터페이스(interface)된 스탠드 키보드(313)를 고객의 단말기에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 키보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음률을 제작한 후 웹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네 번째는 도 3와 같이 해당 웹페이지의 화면상에 피아노 건반 형태의 입력항목(361)을 디스플레이하고, 이 건반의 각 음계는 키보드(321) 혹은, 마우스(322) 등의 입력수단(320)으로써 선택하도록 하여 해당 음률의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제시한다.
즉, 도 3과 같이 고객이 해당 웹 사이트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는 피아노 건반 형태의 입력항목(361)을 선택할 경우 이 선택된 입력 항목에 대한 음계에 따라 원하는 음률의 제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음률은 고객이 그 제작도중 청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제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네 번째의 방법은 전술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방법에 비해 그 음률의 전송 과정에서 음성의 음률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고객 단말기 상에서의 별도 변환 과정이 생략될 수 있고, 상기 변환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음률의 왜곡이 방지될 수 있음으로써 보다 정확한 검색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전술한 과정을 통해 음률의 입력이 완료되어 각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음률의 음성 신호는 온라인을 통해 해당 웹서버(200)의 수신부(210)로 전송되며, 이렇게 전송된 음성 신호는 선곡부(220)를 구성하는 신호 처리부(221)로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신호 처리부(221)는 상기 전달 받은 음성 신호를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하여 비교부(222)로 전달된다.
이는, 상기 신호 처리부(221)가 저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LPF(Low Pass Filter)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LPF를 거치는 과정에서 음률 신호로부터 각 노이즈는 제거되고 음정 및 박자만이 남게 됨으로써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비교부(222)에서는 상기 전달 받은 정보를 해당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노래별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한 음률을 가지는 노래가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비교부(222)는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되는 각 노래별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와 고객이 입력한 특정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 간에 소정의 오차 허용 범위를 설정하여 굳이 상호간의 정보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대략 유사한 것은 모두 확인될 수 있도록 하여 최초 음률의 입력시 발생되는 소정의 오류가 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해당 데이터 베이스(100)에 저장된 각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를 소정의 오차에 대한 허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리의 높낮이, 빠르기 등의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물론, 상기와 같은 오차의 범위는 도시한 도 4의 순서도와 같이 고객이 설정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광범위하게 검색을 원할 경우 상기 오차 범위를 늘이고, 세세하게 검색을 원할 경우 상기 오차 범위를 줄이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노래의 내역은 취득부(223)로 전달되고, 상기 취득부(223)에서는 상기 전달된 각 노래 내역에 따른 각종 정보를 해당 데이터 베이스(100)로부터 취득하여 디스플레이부(230)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 디스플레이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웹페이지를 통해 정보를 확인하게 되는 고객은 디스플레이된 각 노래 내역 및 이의 각종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기가 찾고자 원하였던 노래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만일, 비교부(222)에 의해 확인된 유사 음률을 가지는 노래의 내역이 확인하기 곤란할 정도로 많을 경우에는 도시한 도 5의 순서도와 같이 통상적인 기초 정보(예컨대, 해당 가수의 성별, 노래의 장르, 가수가 그룹인지 혹은 개인인지 등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입력함과 더불어 상기 확인된 결과 내에서 재검색을 수행하여 보다 그 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거나, 고객에 의해 입력된 음률과 가장 유사한 음률을 가지는 노래 순서의(혹은, 소정 순서까지의) 내역만을 디스플레이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서 해당 고객이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된 노래의 내역을 확인코자 특정 노래를 선택할 경우 이 선택된 노래에 대한 스트리밍이 이루어지도록 함은 당연하다.
이 때, 상기 해당 노래의 스트리밍은 도시한 도 6의 순서도와 같이 고객의 선택에 따라 전체적인 노래의 스트리밍 혹은 해당 노래의 특징적인 소정 부분만 스트리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고객이 특정 노래의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이라면 부분적인 스트리밍(혹은, 고객이 입력한 음률 부분에 해당되는 부분의 스트리밍)이 이루어지도록 선택함으로써 쉽고 빠른 특정 노래의 검색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때에는 상기 노래의 스트리밍과 더불어 해당 노래가 수록된 음반의 소개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켜 해당 고객이 상기 음반에 대한 구매를 쉽게 행할 수 있도록 연결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음반의 아이콘에 구매 결제를 위한 네트워크를 링크시킨 것을 제시한다.
또한, 웹페이지 상에 음반 정보 선택항목을 추가로 활성화하고, 이 음반 정보 선택항목은 해당 음반 사이트에 링크시킴으로써 고객이 특정 노래의 음반 정보를 알고 싶을 경우 상기 음반 정보 선택항목(351)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음반 사이트(350)로부터 상기 노래의 음반정보가 제공됨이 가능하다.
이 때, 음반 정보와 함께 해당 음반에 관련된 음반 목록, 뮤직 비디오, 해당 음반의 보다 상세한 설명 혹은, 추가적인 내용 및 연관된 내용 즉, 해당 가수의 현재 활동 상태, 과거 발행한 음반의 목록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가수의 동향정보는 동영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률 정보를 이용한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운용 방법은 고객이 알고 있는 소정 부분의 음률만으로도 찾고자 하는 해당 노래를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음률만으로 해당 노래를 검색하는 과정에서 그 오차를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검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검색된 노래 내역을 각각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노래의 특징적인 부분 특히, 고객이 알고 있는 부분에 대한 소정 부분의 노래만이 스트리밍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른 확인이 가능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각종 노래에 따른 음룰 정보가 각각 분류된 상태로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온라인을 통해 각 고객으로부터 입력된 특정 음률의 음성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전송받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음률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석된 정보에 해당되는 음률의 특정 노래를 선곡하는 선곡부와, 상기 선곡부에 의해 선곡된 노래의 제목 내역이 해당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가지는 웹서버(Web-server);
    고객이 입력한 음성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변환하도록 음성 입력부를 가지며 이 변환된 신호를 온라인 상의 상기 웹서버로 전송 가능하도록 온라인 연결된 고객의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곡부는 해당 음률의 음성 신호를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비교부를 통해 확인된 유사 음률의 노래 내역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력부는 통상적인 마이크와 같이 고객의 음성이 직접 입력되는 수단이거나, 음악 파일 등이 별도 저장된 디스켓(혹은, 디스크, 메모리)와 같은 수단, 스탠드 키보드와 같이 각 미디(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소정 음률을 만드는 수단, 해당 웹 사이트내에서 키보드 혹은 마우스와 같은 각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각 음계를 직접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음률을 만드는 수단 중 최소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고객으로부터 특정 노래의 검색 요청이 있을 경우 찾고자 하는 노래의 음률을 입력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음률을 디지털 음성신호로써 전송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노래별 음률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유사 음률을 가지는 노래의 내역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취득된 노래의 내역 및 이 노래에 대한 각종 정보를 해당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찾고자 하는 노래 음률의 입력 요청 단계에서는, 해당 웹페이지 상에음률의 직접 입력 혹은, 파일을 이용한 입력 등의 선택을 위한 선택 대화창을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노래의 음률에 대한 입력 방법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음률과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각 노래별 음률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는, 해당 음률의 음성 신호를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음정 및 박자 단위로 분리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각 음률의 음정 및 박자 정보는 소정의 오차에 대한 허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범위가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웹페이지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노래의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경우 해당 노래를 스트리밍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노래의 스트리밍은 해당 노래의 특징적인 부분만 수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의 스트리밍과 더불어 해당 노래가 수록된 음반의 소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1020010005799A 2001-02-07 2001-02-07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200656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99A KR20020065668A (ko) 2001-02-07 2001-02-07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799A KR20020065668A (ko) 2001-02-07 2001-02-07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668A true KR20020065668A (ko) 2002-08-14

Family

ID=2769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799A KR20020065668A (ko) 2001-02-07 2001-02-07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566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02B1 (ko) * 2002-01-17 2005-04-25 주식회사 옵투스 음악선률 수치화에 의한 곡 저장 및 검색방법
KR100497356B1 (ko) * 2002-06-12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노래선곡방법 및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691A (ja) * 1995-11-15 1997-05-27 Brother Ind Ltd 楽曲検索装置
JPH1115468A (ja) * 1997-05-01 1999-01-22 N T T Data:Kk 楽曲検索方法、楽曲検索装置、楽曲検索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H11120198A (ja) * 1997-10-20 1999-04-30 Sony Corp 楽曲検索装置
JPH11272274A (ja) * 1998-03-19 1999-10-08 Tomoya Sonoda 歌声による曲検索法
JP2000172693A (ja) * 1998-12-01 2000-06-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およ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356996A (ja) * 1999-04-12 2000-12-26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検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8691A (ja) * 1995-11-15 1997-05-27 Brother Ind Ltd 楽曲検索装置
JPH1115468A (ja) * 1997-05-01 1999-01-22 N T T Data:Kk 楽曲検索方法、楽曲検索装置、楽曲検索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H11120198A (ja) * 1997-10-20 1999-04-30 Sony Corp 楽曲検索装置
JPH11272274A (ja) * 1998-03-19 1999-10-08 Tomoya Sonoda 歌声による曲検索法
JP2000172693A (ja) * 1998-12-01 2000-06-2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音楽検索装置,音楽検索方法および音楽検索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0356996A (ja) * 1999-04-12 2000-12-26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検索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02B1 (ko) * 2002-01-17 2005-04-25 주식회사 옵투스 음악선률 수치화에 의한 곡 저장 및 검색방법
KR100497356B1 (ko) * 2002-06-12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석을 이용한 노래선곡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86B1 (ko) 악곡들을 식별하는 방법
US6188010B1 (en) Music search by melody input
US70750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on of musical preferences
JP4033944B2 (ja) 演奏する楽曲に合わせた推薦楽曲選出機能に特徴を有する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US201502692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oss-library recommendation
US6307139B1 (en) Search index for a music file
KR100893797B1 (ko)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JP5066963B2 (ja) 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
JPH10187174A (ja)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4981630B2 (ja) 感性マッチング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530616A (ja) インターネットブラウザ
EP2122510A2 (en) Music-based search engine
JPH06290574A (ja) 楽曲検索装置
KR20120051343A (ko) 음악 시각화 방법을 이용한 음악 재생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9503A (ko) 사용자별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음악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258874A (ja) 音楽試聴方法、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音楽検索サーバ
KR100702059B1 (ko) 고객 특성이 피드백 반영되는 질의 풀 기반의 유비쿼터스음악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65668A (ko) 음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 운영 방법
KR20000058995A (ko) 웹을 이용한 음악작곡 시스템 및 방법
JP2003131674A (ja) 楽曲検索システム
WO2020218075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3058147A (ja) 音楽コンテンツ自動分類装置及び自動分類方法
KR102165940B1 (ko) Cbmr 기반 음을 이용한 음악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remer A system for harmonic analysis of polyphonic music
KR20020053979A (ko) 내용 기반의 음악 자료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