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479A - 골프 공 가열기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 공 가열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479A
KR20020065479A KR1020027004277A KR20027004277A KR20020065479A KR 20020065479 A KR20020065479 A KR 20020065479A KR 1020027004277 A KR1020027004277 A KR 1020027004277A KR 20027004277 A KR20027004277 A KR 20027004277A KR 20020065479 A KR20020065479 A KR 20020065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temperature
ball
heating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3602B1 (ko
Inventor
우에 록큰펠러
폴 사르키시안
Original Assignee
록키 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록키 리서치 filed Critical 록키 리서치
Publication of KR2002006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3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5Ball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골프 공의 타격 거리 성능은 30분 또는 이 이하의 능동 가열 시간과 이에 이은 20분 또는 그 이하의 평형 시간 동안에 30℃ 내지 55℃ 사이의 평균 온도로 골프 공을 가열함으로 개선될 수 있다. 위의 과정을 수행하는 골프 공 가열 장치는 여러 개의 골프 공을 담기 위한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능동 가열 시간 동안 공 하나 당 전력을 적어도 2와트, 바람직하게는 4와트 전달할 수 있는 전기적인 가열 요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골프 공 가열기 장치 {GOLF BALL HEATER APPLIANCE}
같은 힘으로 드라이빙 샷을 칠 때 차가운 공에 비하여 따뜻하거나 뜨거운 공이 더 멀리 날아간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30℃ 내지 50℃ 사이의 온도로 가열하면 골프 공의 드라이빙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온도 효과는 와운드 볼(wound ball)에 대해 가장 많이 얘기되는데, 이 볼은 기술적으로 우수하며,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성능을 최대화하는데 관심이 있는 골퍼들이 선호한다.
성능을 향상시키는 앞서 언급한 가열 효과를 이용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선행 기술 가열 장치들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3,683,155, 4,420,681, 4,967,062 및 5,057,670에 기재된 것처럼 제안된 가열기의 대부분은 골프 공의 가열을 위하여 뜨거운 공기를 이용한다. 앞서 언급한 특허들에 따르면, 골프 공은 사용에 앞서 적어도 6시간 이상(미국 특허 3,831,001), 그리고 이틀 정도(미국 특허 3,683,155) 대략 120℉(48.9℃)까지의 온도로 의도적으로 서서히 가열된다. 대부분의 골퍼들에게 그러한 가열 시간은 실용적이지 못하다. 상기 공들이 사용될 준비가 될 때까지, 가열된 공들은 소정의 상승된 온도에서 유지되어야하며,따라서 잘 단열된 용기 내에서 공들을 지속적으로 가열 또는 저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골프 공을 가열하여 골프공의 드라이빙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캐비티가 구비된 내부를 도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 공 가열 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구형의 캐비티 하나에 골프 공이 담겨져 닫혀진 상태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골프 공을 30분 이내에 25℃ 내지 55℃ 사이의 평균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골프 공 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능동 가열 단계와 그에 따르는 온도 평형 단계의 두 단계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골프 공 가열 장치는 통상 골퍼가 집에서 골프 코스로 차량을 몰고 가는데 걸리는 시간인 30분 이내에 동시에 다수 개의 골프 공을 평균 온도 25℃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다수 개의 골프 공을 담을 수 있도록 설계된 가열 장치는 각각의 골프 공을 담고 있는 구형의 캐비티의 가열된 표면으로부터 전도에 의해 주로 공을 가열한다. 가열 요소로의 전력이 끊어진 후에도 본 발명의 장치는 가열된 골프 공의 온도를 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각각의 공들을 담는 마주보는 반구형의 캐비티를 구비한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 및 리셉터클의 재료인 열전도성의 재료와 함께 작용하는 저항 가열 요소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과 골프 공 가열 장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로, 예를 들어 25℃ 이하로 골프 공을 냉각시키는 차가운 밤 기온의 차량이나 차고에 저장된 경우와 같이 골프 공이 밤새 25℃ 이하로 냉각되는 곳은 물론, 낮 시간의 온도가 25℃ 또는 그 이하인 장소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골프 공들을 공의 평균 온도가 적어도 25℃ 내지 대략 55℃까지, 바람직하게는 28℃와 48℃ 사이로 40분 이하의 시간 안에, 바람직하게는 30분 이하의 시간 안에 가열한다. 평균 공 온도는 공 내부 온도뿐 아니라 표면의 온도, 즉 공 전체의 평균 온도를 고려하는 것이다. 제 1 단계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가열기 장치를 사용하여 공의 외부 표면에 열을 가하는 능동 가열 단계이고, 그 다음 제 2 단계는 공의 온도가 평형을 이루는 단계이다. 제 1 단계에서 열은 공 하나 당 2와트, 바람직하게는 4와트 이상 수준으로 3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가해진다. 능동 가열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의 겉 표면 온도는 75℃, 바람직하게는 70℃를 넘지 않아야 한다. 특정 가열 시간은 각각의 공에 가해지는 에너지량 또는 와트 량(wattage)과 열이 가해지기 전의 공의 온도에 달려있다. 일반적으로 능동 가열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의 겉 표면 온도는 평균 대략 0.5℃/min/watt 내지 0.75℃/min/watt의 비율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초기의 공 온도가 5℃이고 공 하나 당 2와트가 가해지는 경우, 능동 가열 시간은 40분 걸리고, 외부 표면이 47℃까지 가열되어 그 후 평균 공 온도가 40℃로 평형에 도달 할 때까지는 10 내지 15분이 걸린다. 유사하게 만약 5℃의공에 공 하나 당 3와트가 가해진다면, 40℃의 공을 얻기 위해서는 25분의 능동 가열 시간과 15분의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걸린다. 공 하나 당 4와트가 가해지는 경우, 40℃의 공을 얻기 위해서는 18분의 능동 가열 시간과 15분의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이 걸린다. 위의 시간과 온도는 대략적인 값이고 다른 제조업자에 의해 제조된 다른 공마다 약간씩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평형에 도달하는 적절한 시간은 5 내지 30분 가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분 이하이다. 평형에 도달한 경우, 공의 내부와 표면의 온도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평형 단계는 공의 내부와 표면 사이에서 5℃ 이하의 온도차를 의미하고, 공의 표면 온도는 대략 55℃ 이하이다.
도 1에 도시된 골프 공 가열 장치는 각각 여러 개의 반구형의 캐비티(cavity)가 형성되어 있는 용기를 구비한 상부 조립체(10)와 하부 조립체(11)로 구성된다. 상부 조립체(10)는 뚜껑(12)과 그 안에 여러 개의 반구형의 캐비티(13)들이 형성된 상부 리셉터클(receptacle)(31)로 구성된다. 하부 조립체(11)는 그 안에 하부 리셉터클(35)이 확보되어 있고 또한 여러 개의 반구형의 캐비티(16)가 구비된 베이스(14)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 반구형의 캐비티는 골프 공의 구면의 절반보다 조금 큰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장치가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이 맞닿아 닫힐 때, 상부 리셉터클(31)과 하부 리셉터클(35)의 마주보는 면(15 및 17)들은 맞닿게 되며, 마주보는 대응되는 반구형의 캐비티들은 골프 공이 수용되는 구형의 챔버를 형성한다. 골프 공보다 아주 조금 큰 캐비티는 골프 공 표면의 대부분이 상부 및 하부 반구형 캐비티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골프 공(30)이 실질적으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고 있고 전도되기 좋게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캐비티(13 및 16)의 내면(19 및 20)과 맞물려 있는 모습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골프 공 표면의 대부분이 실질적으로 접촉하는 경우, 공의 표면을 가열하는 주요 수단으로 더운 공기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열 장치와 비교하여 전도에 의해 보다 효과적이고 빠르게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31 및 35)은 함께 작동하면서 상기 리셉터클에 접촉하고 있는 가열 요소로부터 골프 공으로 열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또는 다른 금속이나 탄소나 흑연 혼합물과 같이 열전도도가 높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기 캐비티에 놓인 골프 공이 능동 가열 단계에서 상대적으로 짧은 30분 이하의 시간 안에 적어도 대략 25℃에서 55℃의 원하는 평균 온도로 효율적이고 빠르게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리셉터클의 재질은 우수한 전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공의 외부 표면의 열에 의한 손상, 변형 또는 피해를 막기 위해 공의 표면을 75℃ 이상으로 가열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70℃를 넘지 않는다.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알루미늄이나 구리 또는 다른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금속의 블록이나 두꺼운 부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리셉터클은 실질적으로 하우징부와 리셉터클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상부 및 하부 단열재료(24 및 26)를 각각 구비하는 알루미늄이나 구리 또는 다른 효율적으로 열을 전달하는 금속의 박판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을 형성하는 데에는 다른 금속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훌륭한 열전도성을 갖는 다른 재료는 탄소나 흑연 발포 혼합물을 포함한다. 탄소 발포체가 실질적으로 알루미늄이나 구리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갖기 때문에, 그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높은 열전도도와 낮은 밀도가 바람직한 용도에서 선호된다. 매우 열전도도가 높은 발포체는 또한 기계적인 특성을 개량하기 위한 적층식 또는 샌드위치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특정 재료로는 테네시 오크 릿지에 있는 오크 릿지 연구소에 의해 개발된 열전도성의 중간상 피치 베이스 탄소 발포체(mesophase pitch-based carbon foam)로 만들어지는 발포체 코어 샌드위치 판재가 있다. 그러한 판재는 접착력이 있는 발포체에 고정된 알루미늄이나 구리의 외부 층 사이에 탄소 발포체가 끼워지는 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는 가열 요소로의 전력이 끊기고 난 후 적어도 2시간 동안 가열된 공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기 위해 충분히 단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가열되고 가열 요소로의 전력이 끊기고 난 후 평형을 이룬 공들을 대략 25℃ 이상에서 4시간 동안 대략 48℃까지 유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열 덕분에 15℃의 주위 환경에서 평균 6℃/hr 보다 더 작은 비율로 골프 공의 열이 손실되게 된다.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를 이루는 재료의 단열 계수와 결합된 단열 계수를 얻기 위한 특정 단열 물질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골프 공의 온도 감소율은 높은 열용량이나 상변화 물질 또는 상부 및/또는 하부 하우징부 내에서처럼 장치 내의 재료들을 통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적절한 물질에는 수화염(hydrated salt)과 공융염(eutectic salt)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상변화 물질은 물론물도 포함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변화 물질이 25℃ 내지 75℃의 온도 범위에서 상변화를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것처럼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은 각각 원형의 캐비티 입구 부분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평평한 표면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장치가 완전히 닫혀 있을 때,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의 평평한 표면은 그 표면 영역의 대부분을 따라 만나서 접촉하고 있다. 그리하여 열이 두 개의 접촉하고 있는 표면 사이에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러한 접촉 때문에 하나의 가열 요소(25)가 상부 또는 하부 조립체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가 상부 및/또는 하부 조립체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각각의 구형의 캐비티에 놓인 골프 공들에 열을 효율적이고 적절하게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열 요소들은 배치된 조립체 내에서 열전도성의 금속 리셉터클과 충분히 접촉하고 있어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가열 요소(25)에는 예를 들어 110V 내지 120V 교류 전원과 같은 전원으로부터 전기 수용부(27)로 삽입되는 전원 코드를 수용하기 위한 플러그(28)가 구비되어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은 6V 또는 12V 배터리나 배터리 팩 또는 그와 비슷한 것과 같은 직류 전원으로부터 가열요소로 전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열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과 가열기 요소는 적어도 2와트 내지 15와트까지의 에너지를 여러 개의 골프 공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 하나 당 3와트,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티에 놓인 공 하나 당 4와트 이상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장치가 4개의 골프 공을 담을 수 있을 때, 바람직한 전원은 12와트의 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와트를 전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6개의 공을 담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주위로의 열손실을 고려할 때, 적어도 12와트의 전력 용량, 바람직하게는 18와트, 가장 바람직하게는 24와트 이상 75와트 이하의 전력 용량이 요구된다. 상기 장치의 전력 용량이 크면 클수록 공들은 더 빨리 가열될 수 있다. 앞에서 지적되었던 것처럼, 본 발명의 장치는, 주위 온도와 같은 온도의 공에 대하여 전력이 공급되기 시작하는 시각으로부터 30분 안에 공의 표면을 과열하지 않고 적어도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48℃까지 그리고 55℃까지의 평균 온도를 가진 여러 개의 공들을 생산할 수 있다. 물론, 주위 온도, 즉 공의 초기 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요구되는 평균 온도 범위까지 공을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4℃ 이상의 주위 온도로부터 적어도 25℃까지 30분 이내에 여러 개의 공들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0.54Btu/hr·in2가량을 공 표면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Btu/hr·in2내지 2.71Btu/hr·in2를 전달 할 수 있다. 25℃ 이하의, 대개는 20℃ 이하의 주위 온도로부터 공을 가열하는 가열 장치의 용량은 차량을 골프 코스나 드라이빙 레인지(driving range)로 몰고 가는 평균적인 또는 통상적인 시간에 대응된다. 그러한 가열 용량을 가진 가열 장치는 골프 코스로 운전하여 가는 동안, 30분 또는 그 이하의 시간동안에 차량의 담배 라이터 아울렛으로부터 간편하게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내부 공 온도가 25℃ 이하로부터 앞서 언급한 온도 범위로 상승되는 동안의 능동 가열 단계에서는 공 표면의 온도가 75℃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온도 센서 및 가열 요소들과 함께 작동하여 골프 공의 과열을 막는 하나 이상의 전원 공급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요소들은 골프 공의 평균 온도가 55℃(131℉) 이상으로 및/또는 표면 온도가 75℃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막는데, 상기 요소들은 그 온도에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또한 이러한 차단장치와 온도 센싱 요소는 골프 공이 일정 온도, 예를 들어 25℃까지 식을 때, 전원이 켜지게 되며, 따라서 그 온도에서 가열 요소로 전력이 공급된다. 이렇게 하여 30분 또는 그 이하의 초기 또는 능동 가열 단계 후에 공이 경기를 위해 준비 될 때까지 원하는 온도 범위 내에서 내부의 공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도 가열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요소로서 골프 공이 설정 온도나 최고 온도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는지 그리고 여전히 가열 중인지를 보는 사람에게 알려주는, 가열 요소로 전원이 공급될 때 불이 켜지는 램프(visible light)(32)가 구비될 수 있다. 골프 공이 원하는 온도로 가열되었을 때, 그리고 골프 공이 최소 온도 25℃이거나 그 이상인 때 불이 켜져 있게 되는 준비 램프(33)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골프 공의 온도 상태 및 전원 공급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 또는 기타 균등물이, 본 발명의 장치에 제공되는 골프 공의 표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저항 온도계(thermistor), 온도계(thermometer) 또는 이와 균등한 온도 감지 요소와 같은 온도 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장치가 닫혀 있는 한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의 표면을 따라 장치 전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그러한 온도 감지 요소가 캐비티에 각각 설치될 필요는 없다. 저항온도계 또는 다른 온도 감지 요소의 선택, 설치 그리고 개수는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열린 상태와 완전히 닫힌 상태 사이에서 상부 및 하부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잠그거나 열기 위해 짝을 이루어 결합할 수 있는 상부 및 하부 체결 부재(20 및 22)가 각각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힌지(18)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절하게 열리고 닫히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상부 및 하부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clamp)나 래치(latch)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프 공의 드라이빙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골프 공을 가열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고, 다수 개의 공에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일정 시간 동안 가열된 골프 공의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Claims (21)

  1. 30분 이하의 능동 가열 시간 동안에 2와트 이상의 에너지를 골프 공에 가하여, 25℃ 미만 온도의 골프 공을 평균 온도 25℃ 내지 55℃ 사이로 가열하는 단계; 20분 이하의 시간 동안 능동 가열 없이 상기 골프 공의 온도를 평형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골프 공이 경기에 쓰일 때까지 평균 온도 25℃ 내지 55℃ 사이로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공은 상기 능동 가열 시간 동안에 평균 온도 28℃ 내지 28℃ 사이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가열 시간이 2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가열은, 가열 시간 동안 0.54Btu/hr·in2내지 2.71Btu/hr·in2의 열에너지를 상기 골프 공의 표면에 가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된 골프 공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평균 6℃/hr 미만의 열손실 비율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공의 외부 표면 온도는 상기 능동 가열 시간 동안에 7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평형 단계에 의하여 공의 중심과 외부 표면간의 온도차가 5℃ 이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온도 평형이 되는 시간이 15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의 드라이빙 거리 향상 방법.
  9. 다수 개의 캐비티가 구비된 열전도도성 리셉터클과, 거기에 장착되어 함께 작동하고 상기 각각의 캐비티에 담긴 다수 개의 골프 공의 각각의 공 표면에 0.54Btu/hr·in2이상의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골프 공의 표면에 최대 2.71Btu/hr·in2의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골프 공의 표면에 0.97Btu/hr·in2이상의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기는 골프 공 하나 당 2와트 내지 15와트의 총 가열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기는 골프 공 하나 당 3와트 내지 12와트의 총 가열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 공 가열기 장치는, 각각 같은 수의 다수 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구형의 캐비티(16)들이 구비된 하부 리셉터클(35) 및 상부 리셉터클(31)과,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리셉터클과 접촉하고 있는 하나 이상의 저항 가열기 요소(25)를 포함하며;
    상기 캐비티(16)는 각각 여러 개의 골프 공들 중에서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상부 리셉터클(31)에 있는 상기 캐비티(16)들은 상기 하부 리셉터클(35)에 있는 캐비티들과 마주보고 있고;
    상기 반구형의 캐비티들 각각은 골프 공의 외부 표면의 대부분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도록 치수가 정해지고;
    상기 마주보는 캐비티들은 상기 장치가 닫힐 때 구형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은 상기 캐비티 각각에 담긴 골프 공으로 0.54Btu/hr·in2이상을 전달할 수 있는 열전도도를 가진 열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가열기 요소는 공 하나 당 2와트 이상을 전달할 수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기 요소와 상기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은 상기 다수 개의 골프 공이 30분 이하의 시간 안에 4℃ 이상의 주위 온도로부터 25℃ 이상의 평균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은 각각 단열재료(24 및 26)로 만들어진 상부 및 하부 하우징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가열 요소로의 전력이 끊어진 후 4시간 동안 상기 장치는 그 안에서 55℃까지 가열된 공의 평균 온도를 최소 25℃의 평균 온도에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와, 55℃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에 대하여 작동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리셉터클 각각은 상기 열전도성 금속의 박판, 상기 상부 리셉터클과 상기 상부 하우징부 사이의 제1 공간, 상기 하부 리셉터클과 상기 하부 하우징부 사이의 제2 공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저항 가열기 요소로의 전력이 끊어진 후 2시간 동안 그 안에서 55℃까지 가열된 골프 공의 온도를 20℃ 이상의 온도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상기 제1 및 제2 공간 사이의 단열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재료는 탄소 또는 흑연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재료는 중간상 피치 베이스 탄소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재료는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박판 사이에 적층된 탄소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료가 6℃/hr보다 더 작은 비율로 가열된 골프 공의 열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공 가열기 장치.
KR1020027004277A 1999-10-20 2000-10-13 골프 공 가열기 장치 KR100723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421,606 1999-10-20
US09/421,606 US6130411A (en) 1999-10-20 1999-10-20 Golf ball heater appli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479A true KR20020065479A (ko) 2002-08-13
KR100723602B1 KR100723602B1 (ko) 2007-06-04

Family

ID=23671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277A KR100723602B1 (ko) 1999-10-20 2000-10-13 골프 공 가열기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130411A (ko)
EP (1) EP1222006B1 (ko)
JP (1) JP2003512105A (ko)
KR (1) KR100723602B1 (ko)
CN (1) CN100408131C (ko)
AU (1) AU776748B2 (ko)
CA (1) CA2382981C (ko)
DE (1) DE60007163T2 (ko)
ES (1) ES2210013T3 (ko)
HK (1) HK1048079B (ko)
MX (1) MXPA02003686A (ko)
WO (1) WO20010286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3208B1 (en) * 2000-02-15 2002-03-05 Vestu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d food delivery
US6433313B1 (en) * 2000-02-15 2002-08-13 Vestu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d food delivery
US6384387B1 (en) 2000-02-15 2002-05-07 Vestur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ed food delivery
US6430935B1 (en) * 2001-08-22 2002-08-13 Ut-Battelle, Llc Personal cooling air filtering device
GB2384997B (en) * 2002-02-11 2004-02-04 Paul Lotz Golf ball heating compartment
US7138613B1 (en) 2005-07-29 2006-11-21 Scott Michael Walsh Golf ball heater
US7238920B1 (en) 2006-01-27 2007-07-03 Fernando Prieto Modular bat warming system
US7230212B1 (en) * 2006-06-27 2007-06-12 Rocky Research Golf ball heater
US8088026B2 (en) * 2006-10-03 2012-01-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ase transition golf ball and method of use
US20100051599A1 (en) * 2008-08-28 2010-03-04 Denitto Louis Golf ball warmer and carrying case
US20120109026A1 (en) * 2009-03-30 2012-05-03 Mcwilliams Kevin Thermal transfer device
US8283603B2 (en) * 2009-10-23 2012-10-09 Nike, Inc. Device for heating a golf ball
US8602914B2 (en) * 2010-01-20 2013-12-10 Nik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a golf ball
US8663512B2 (en) 2010-08-02 2014-03-04 Nike, Inc. Kit and method for customization of golf balls
US20130172105A1 (en) * 2011-07-29 2013-07-04 Nike, Inc. Golf Ball Having Temperature Controllable Compression Deformation
US9457240B2 (en) 2011-12-27 2016-10-04 Nike, Inc. Golf ball with configurable materials and method of post production modification
US9333393B2 (en) 2011-12-30 2016-05-10 Nike, Inc. Method of making a golf ball core
US9554670B2 (en) * 2014-12-31 2017-01-31 Chi Yung Yan Waffle-iron type cooking apparatus for cooking and forming rounded bun shaped waffles
JP6749474B2 (ja) * 2016-08-18 2020-09-02 カーステン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コーポレーション 局所的熱処理
CN106540419B (zh) * 2016-11-24 2019-01-01 嘉善傲博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提高篮球圆度的球表皮加固装置
WO2018112873A1 (zh) * 2016-12-23 2018-06-28 东莞市宏纶运动用品有限公司 球体加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017A (en) * 1932-01-12 1933-12-12 Charles C Naeve Cooking iron
US3497676A (en) * 1968-06-07 1970-02-24 Kenneth W Gravatt Golf-ball warmer
US3683155A (en) * 1971-02-12 1972-08-08 Donald I Loofbourow Golf ball heater
US3746837A (en) * 1972-07-18 1973-07-17 I Frey Food warming appliance
US3831001A (en) * 1973-08-17 1974-08-20 R Goodrich Golf ball heating device
US4049949A (en) * 1975-05-01 1977-09-20 Ron Fitzsimons Golf ball warmer
JPS52534A (en) * 1975-06-20 1977-01-05 Kazuo Kawaguchi Golf ball heating method
US4155002A (en) * 1977-06-01 1979-05-15 Wilburt Cohen Golf ball heating device
JPS57134175A (en) * 1981-02-12 1982-08-19 Samusan Kk Heating and warmth preserving container of golf ball
BE888785A (nl) * 1981-05-13 1981-08-28 Vos Marc De Draagbare golfballenverwarmer voor een of meerdere golfballen met als doel de afstand dat een golfbal aflegt te verlengen bij golfslagen
US4420681A (en) * 1982-05-03 1983-12-13 Arnold Howard M Golf ball warmer
JPS60124386A (ja) * 1983-12-09 1985-07-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定温発熱体
US4967062A (en) * 1989-12-08 1990-10-30 Advanced Golf Concepts, Inc. Golf ball heating device
US5057670A (en) 1989-11-27 1991-10-15 Advanced Golf Concepts, Inc. Golf ball heating device
DE4323641C2 (de) * 1993-07-15 1995-09-14 Klaus Neder Vorrichtung zum Erwärmen eines Balles, insbesondere eines Squashballes
US5758379A (en) * 1996-01-25 1998-06-02 Hovnanian; Vahak Stephan Golf ball washer and conditioner
US5998771A (en) * 1997-11-25 1999-12-07 Mariano; Dominic J. Heat dispensing ball cad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76748B2 (en) 2004-09-23
EP1222006B1 (en) 2003-12-10
DE60007163D1 (de) 2004-01-22
CA2382981C (en) 2009-12-29
WO2001028639A3 (en) 2001-06-14
ES2210013T3 (es) 2004-07-01
WO2001028639A2 (en) 2001-04-26
JP2003512105A (ja) 2003-04-02
DE60007163T2 (de) 2004-07-22
AU1333201A (en) 2001-04-30
MXPA02003686A (es) 2003-10-14
CN100408131C (zh) 2008-08-06
KR100723602B1 (ko) 2007-06-04
CA2382981A1 (en) 2001-04-26
HK1048079B (zh) 2004-09-10
HK1048079A1 (en) 2003-03-21
US6130411A (en) 2000-10-10
EP1222006A2 (en) 2002-07-17
CN1379693A (zh) 200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3602B1 (ko) 골프 공 가열기 장치
US7230212B1 (en) Golf ball heater
US6072161A (en) Beverage container
US8258434B2 (en) Heating apparatus for heat retaining hair clips
JPH11354166A (ja) バッテリ温度制御装置
CA1247491A (en) Hairsetter for flexible hair curlers
JP2002282136A (ja) 輸送用貯蔵庫
JPS6298154A (ja) 蓄熱装置
CN212754082U (zh) 加热装置
JPH11176484A (ja) マルチ型充放電装置
JP2011140321A (ja) 保温収納具
CN214223411U (zh) 热风机
KR860001713Y1 (ko) 축열 보온 도시락
JPH04108004U (ja) ヘアーカーラ
RU2136085C1 (ru) Аккумуляторная батарея с внутренним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ом
JP2630538B2 (ja) 保温器
RU2062601C1 (ru) Электрочайник
JP3865964B2 (ja) ウエットティッシュ容器
CN2268351Y (zh) 小型红外辐射装置
KR100369457B1 (ko) 찜질팩의 냉,온장치
JPS596635Y2 (ja) 投げ込みヒ−タ−
KR20180102753A (ko) 발전수단을 구비한 냉온장 컵홀더
JPH0660898A (ja) 燃料電池の加熱装置
JPH04369325A (ja) Ptcセラミック素子を用いた薄形パネルヒータ
JPH11313769A (ja) ピザ保温器及びピザ保温器用加熱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