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5100A -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5100A
KR20020065100A KR1020010005446A KR20010005446A KR20020065100A KR 20020065100 A KR20020065100 A KR 20020065100A KR 1020010005446 A KR1020010005446 A KR 1020010005446A KR 20010005446 A KR20010005446 A KR 20010005446A KR 20020065100 A KR20020065100 A KR 2002006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djustment
plate
block
contro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309B1 (ko
Inventor
차상협
Original Assignee
메카텍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카텍스 (주) filed Critical 메카텍스 (주)
Priority to KR10-2001-000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3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3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는 설치 위치에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카메라가 장착된 장착부재; 지지판에 고정 장착된 제 1조절블럭과, 제 1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조절판; 제 1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제 1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1작동수단; 제 1조절판에 결합된 제 2조절블럭과 제 2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조절판; 제 2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제 2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2작동수단; 제 2조절판에 결합된 제 3조절블럭과 제 3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3조절판; 제 3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제 3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3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는 다수의 조절블럭과 이 조절블럭을 아주 미세하게 움직이도록 3차원 축상으로 설치된 조절판을 구비하여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카메라의 촬상 위치의 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Camera position align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축, Y축그리고 Z축, 즉 3차원에 대한 미세한 촬상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밀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장치들, 예를 든다면 엘시디 패널을 검사하는 장치의 경우 엘시디 패널의 접촉패드와 테스트 장치의 접촉바늘이 정확하게 그 위치가 맞도록 해야하는데, 이때의 조절 위치의 촬상을 위하여 고배율 카메라가 사용된다.
이 카메라는 조절위치 부분에 표시된 얼라인먼트 표시(전술한 예에서의 엘시디 패널 검사장치의 경우에 적용된 얼라인먼트 표시는 주로 엘시디 패널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크로스 마크이다.)의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카메라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검출 카메라는 아주 미세한 표식인 얼라인먼트 마크에 대한 촬상을 거의 수십배에서 수백배 확대하여 모니터링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의 3차원 위치조절이 상당히 정밀하고 미세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대부분의 이러한 테스트 장비의 카메라에는 카메라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에 적용된 대부분의 카메라 위치조절장치는 고배율 촬상 상태에 따른 미세한 위치 조절이 수행되지 않거나, 또는 정밀한 위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가 너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성으로 세 개의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된 조절판을 설치하여 카메라의 미세한 3차원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카메라 위치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에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에 설치된 조절블럭과 조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카메라
130...지지부재
140...장착부재
200...제 1조절블럭
300...제 2조절블럭
400...제 3조절블럭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설치 위치에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장착부재; 상기 지지판에 고정 장착된 제 1조절블럭과 상기 제 1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조절판; 상기 제 1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1작동수단; 상기 제 1조절판에 결합된 제 2조절블럭과 상기 제 2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조절판; 상기 제 2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2작동수단; 상기 제 2조절판에 결합된 제 3조절블럭과 상기 제 3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3조절판; 상기 제 3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3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3작동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작동수단은 상기 제 1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조절판에 설치된 제 1래크로 마련되고, 상기 제 2작동수단은 상기 제 2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2조절판에 설치된 제 2래크로 마련되며, 상기 제 3작동수단은 상기 제 3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3피니언과 상기 제 3조절판에 설치된 제 3래크로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조절블럭과 상기 제 2조절블럭 그리고 상기 제 3조절블럭에는 상기 조절블럭들에는 상기 제 1조절판과 제 2조절판 그리고 상기제 3조절판들의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드홈과 상기 슬라이드홈에 설치된 상기 조절판들의 설치상태를 압착 및 해제하는 압착해제수단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해제수단은 상기 조절블럭들에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들이 상기 조절블럭들의 상기 슬라이더홈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일면에 직육각형태의 사각 함체 형상으로 된 카메라(100)가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조절장치는 이 카메라(100)의 측면에 결합되어 카메라(1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세 개의 조절블럭(200)(300)(400)으로 구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의 몸체(101)와 이 몸체(101)로부터 로드 형태로 연장된 촬상부(102)로 된 카메라(1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100)의 측면에 다수의 결합볼트에 의하여 결합된 장착면(141)과 이 장착면(14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조절면(142)을 가진 장착부재(140)가 마련된다.
그리고 장착부재(140)의 하측으로는 카메라(100)의 설치부분에 조절장치가 장착되도록 된 핸들(132)이 일측에 마련되고, 상면에는 전술한 조절블럭 중의 하나가 고정 장착되는 설치홈(133)이 형성된 지지판(131)으로 된 지지부재(130)가 마련된다.
이 조절블럭들에 대하여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장착부재(140)를 제 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조절블럭(200)을 구비한다. 이 제 1조절블럭(200)은 지지부재(130)의 설치홈(133)에 고정 설치된 것으로, 상면에 제 1방향 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드홈(21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210)에 끼워져서 제 1방향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 제 1조절판(2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 1조절판(220)의 내면으로는 제 1조절판(220)과 결합된 제 1래크(230)가 장착되고, 제 1래크(2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1조절블럭(2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 1피니언(240)이 마련되며, 제 1피니언(240)의 외측단부에는 제 1피니언(240)을 정역 회전시키는 제 1피니언레버(250)가 설치된다.
또한, 제 1조절블럭(2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10)의 측부에 슬라이드홈(210)과 동일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슬릿(260)이 형성되고, 이 슬릿(260)에 제 1조절블럭(200)의 측면을 관통하되, 슬릿(260)의 폭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제 1조절판(220)이 슬라이드홈(210)에 압착되거나 그 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압착로드(27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슬릿(260)의 조절된 폭을 유지시켜지도록 다수의 폭 유지볼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폭 유지볼트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하의 다른 조절블럭의 슬릿에도 모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반복설명은 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 2조절블럭(300)은 전술한 제 1조절판(220)에 결합 설치된 것으로, 측면에 제 2방향, 즉 제 1방향에 대한 동일면에서의 2차원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드홈(31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310)에 끼워져서 제 2방향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 제 2조절판(3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 2조절판(320)의 내면으로는 제 2조절판(320)과 결합된 제 2래크(330)가 장착되고, 제 2래크(330)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2조절블럭(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 2피니언(340)이 마련되며, 제 2피니언(340)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제 2피니언(340)의 단부에 제 2피니언 레버(3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조절블럭(3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10)의 측부에 슬라이드홈(310)과 동일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슬릿(360)이 형성되고, 이 슬릿(360)에 제 2조절블럭(300)의 측면을 관통하되, 슬릿(360)의 폭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제 2조절판(320)이 슬라이드홈(310)에 압착되거나 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압착로드(370)를 구비하고 있다.
계속해서 이 제 3조절블럭(400)은 제 2조절판(320)에 고정 장착된 것으로, 측면에 제 3방향, 즉 제 2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측으로 연장된 슬라이드홈(410)이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홈(410)에 끼워져서 제 3방향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된 제 3조절판(420)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제 3조절판(420)의 내면으로는 제 3조절판(420)과 결합된 제 3래크(430)가 장착되고, 제 3래크(430)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제 3조절블럭(4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제 3피니언(440)이 마련되며, 제 3피니언(440)을 정역 회전시키도록 제 3피니언(440)의 단부에 결합된 제 3피니언레버(450)가 설치된다.
또한, 제 3조절블럭(4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10)의 측부에 슬라이드홈(410)과 동일방향으로 절개 형성된 슬릿(460)이 형성되고, 이 슬릿(460)에 제 3조절블럭(400)의 측면을 관통하되, 슬릿(460)의 폭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제 3조절판(420)이 슬라이드홈(410)에 압착되거나 압착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압착로드(47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절장치의 상면과 측면 부분을 카메라와 함께 덮는 덮개(110)가 구현되고, 이 덮개(110)의 설치상태를 조절 유지시키는 축부재가 설치된 덮개 지지판(120)이 지지부재(130)의 측면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의 작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는 엘시디 패널 검사장치 등의 접촉 위치의 정밀한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즉 카메라(100)의 촬상 상태에 따라 수십배에서 수백배 확대된 얼라인먼트 표식의 촬상 위치에 대한 X축과 Z축 그리고 Y축, 즉 제 1방향과 제 2방향 그리고 제 3방향에 대한 3차원 정밀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때의 조절상태는 먼저 제 1방향으로 위치 조절을 수행할 경우 제 1피니언레버(25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래크(230)가 구동하여 제 1조절판(220)을 구동시킨다. 이때 제 1조절판(220)의 구동으로 제 1조절판(220)에 결합된 제 2조절블럭(300)이 제 3조절블럭(400)과 함께 움직여 장착부재(140)에 설치된 카메라(100)가 제 1방향 측으로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제 2방향에 대한 조절을 수행할 경우에는 제 2피니언레버(35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 2래크(330)가 구동하여 제 2조절판(320)을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제 3조절블럭(400)이 움직이게 되어 장착부재(140)에 설치된 카메라(100)가 제 2방향 측으로 이동하여 위치조절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3방향에 대한 조절을 수행할 경우에는 제 3피니언레버(450)를 구동시킴으로써 제 3래크(430)가 구동하여 제 3조절판(420)을 움직이게 되고, 이로 인해 제 3조절판(420)에 결합된 장착부재(140)가 움직여 카메라(100)의 제 3방향에 대한 위치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3가지 방향에 대한 위치조절을 수행할 경우에는 각 축방향에 대한 제 1피니언레버(250), 제 2피니언레버(350) 그리고 제 3피니언레버(45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시키면 각 조절판(220)(320)(420)이 구동하면서 3차원 위치조절이 이루어진다.
한편, 각각의 조절블럭(200)(300)(400)들에 설치된 각 조절판(220)(320)(420)들은 조절이 완료된 경우에는 그 조절위치에 정확히 그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카메라(100)의 위치 조절을 수행할 경우에는 각각의 압착로드(270)(370)(470)를 풀어 각 슬라이더홈(210)(310)(410)에서 조절판(220)(320)(420)들의 구동이 가능하게 하고, 조절이 완료되면 각 압착로드(270)(370)(470)로 슬릿(260)(360)(460)에 압착하여 슬라이드홈(210)(310)(410)에 설치된 조절판(220)(320)(420)들을 압착하도록 함으로써 각 조절판(220)(320)(420)들의 조절위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는 다수의 조절블럭과 이 조절블럭을 아주 미세하게 움직이도록 3차원 축상으로 설치된 조절판을 구비하여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위치를 3차원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하여 카메라의 촬상 위치의 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설치 위치에 카메라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카메라가 장착된 장착부재
    상기 지지판에 고정 장착된 제 1조절블럭과 상기 제 1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1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1조절판;
    상기 제 1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1작동수단;
    상기 제 1조절판에 결합된 제 2조절블럭과 상기 제 2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2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조절판;
    상기 제 2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2작동수단;
    상기 제 2조절판에 결합된 제 3조절블럭과 상기 제 3조절블럭의 일면에 제 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3조절판;
    상기 제 3조절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제 3조절판을 작동시키는 제 3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작동수단은 상기 제 1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1피니언과 상기 제 1조절판에 설치된 제 1래크로 마련되고, 상기 제 2작동수단은 상기 제 2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2피니언과 상기 제 2조절판에 설치된 제 2래크로 마련되며, 상기 제 3작동수단은 상기 제 3조절블럭에 설치된 제 3피니언과 상기 제 3조절판에 설치된 제 3래크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절블럭과 상기 제 2조절블럭 그리고 상기 제 3조절블럭에는 상기 조절블럭들에는 상기 제 1조절판과 제 2조절판 그리고 상기 제 3조절판들이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더홈과 상기 슬라이더홈에 설치된 상기 조절판들의 설치상태를 압착 및 해제하는 압착해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해제수단은 상기 조절블럭들에 상기 슬라이더홈을 따라 형성된 슬롯과 상기 슬롯을 가압하여 상기 조절판들이 상기 조절블럭들의 상기 슬라이더홈에 압착되도록 하는 압착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KR10-2001-0005446A 2001-02-05 2001-02-05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KR10041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46A KR100417309B1 (ko) 2001-02-05 2001-02-05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446A KR100417309B1 (ko) 2001-02-05 2001-02-05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100A true KR20020065100A (ko) 2002-08-13
KR100417309B1 KR100417309B1 (ko) 2004-02-05

Family

ID=2769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446A KR100417309B1 (ko) 2001-02-05 2001-02-05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7126A (zh) * 2015-05-21 2017-01-04 研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机固定装置及具有该相机固定装置的视觉识别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2015A (ja) * 1984-07-24 1986-02-14 Minolta Camera Co Ltd 光源装置
JPS6391640A (ja) * 1986-10-06 1988-04-22 Fuji Photo Film Co Ltd カメラのズ−ムレンズ駆動機構
JPS645160A (en) * 1987-06-26 1989-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lid-state image pickup element adjusting device
JPH06137852A (ja) * 1992-10-23 1994-05-20 Hitachi Zosen Corp 直線運動体の運動誤差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7126A (zh) * 2015-05-21 2017-01-04 研祥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相机固定装置及具有该相机固定装置的视觉识别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309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07472B4 (de) Linsenantriebsvorrichtung
JP2008122145A (ja) プローブ位置合わせ方法及び可動式プローブユニット機構並びに検査装置
DE112014003320B4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ivellierung, Kraftausgleichung und Kontaktabfühlung beim Bonden von Halbleiterwafern
DE102005032520A1 (de) Konfigurierbarer Prober zum Testen eines TFT LCD Arrays
CN108780122B (zh) 用于受测试器件的模块化轨道系统、轨道系统、机构以及设备
JP6943641B2 (ja) 試料ホルダーシステム及び試料観察装置
JP4687624B2 (ja) 基板支持装置
DE202012013742U1 (de) Prüfbaugruppe, die einen Tisch mit mehreren Freiheitsgraden aufweist
EP0253349A2 (de) Anordnung zur genauen gegenseitigen Ausrichtung einer Maske und einer Halbleiterscheibe in einem Lithographiegerät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EP2573795B1 (e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KR101123618B1 (ko) 브레이크 장치 및 브레이크 방법
KR100417309B1 (ko) 카메라 위치 조절장치
EP2454583B1 (de) Inspektionssystem
JP2008101938A (ja) 検査装置
KR102167529B1 (ko) 슬림형 위치결정 스테이지장치
JP4916712B2 (ja) 表示パネル検査装置
CN211086786U (zh) 一种激光扫描共聚焦显微镜用针孔二维调节装置
CN208751481U (zh) 一种简易影像检测装置
JP4973923B2 (ja) パンチング機構のダイの芯出し装置
JP5062516B2 (ja) パンチングマシンのダイの芯出し方法
JP3486379B2 (ja) 位置調整ステージ
DE202006020618U1 (de) Mikroskopsystem zum Testen von Halbleitern
CN218966397U (zh) Smt手动锡膏印刷设备
US6967677B1 (en) Microscan guidance
CN217931723U (zh) 针卡标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