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3873A -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3873A
KR20020063873A KR1020027004340A KR20027004340A KR20020063873A KR 20020063873 A KR20020063873 A KR 20020063873A KR 1020027004340 A KR1020027004340 A KR 1020027004340A KR 20027004340 A KR20027004340 A KR 20027004340A KR 20020063873 A KR20020063873 A KR 20020063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iposome
hydroxy
solution
hydrogen a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토모가즈미
곤노하지메
가사이아키히로
Original Assignee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사와 야꾸힝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8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6Immunosuppressants, e.g. drugs for graft rej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즉효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수성 매질로의 재분산성이 우수한 리포좀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리포좀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된 리포좀 응축 용액을 버블링하는 중에 또는 버블링한 후 동결시키지 않고 진공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진공 건조에 의해 리포좀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liposome preparation}
타크롤리무스를 함유하는 리포좀 제제로는, 예를 들면 인지질을 리포좀 형성을 위한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콜레스테롤과 같은 안정화제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WO93/0880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물에 대하여 난용성인 타크롤리무스로부터 액체 제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제제는 체액과 접촉하더라도 활성 성분의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우수한 생체이용성 (bioavailability)을 나타내며 안정하다. 따라서, 이 제제는 주사제, 점안제, 점비제, 흡입제, 경피흡수제, 국소주사제 등으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약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타크롤리무스의 이행(transmigration)이 특히 요망되는 부위에의 집중적인 이행성을 높이거나, 반드시 이행시킬 필요가 없는 부위에의 이행을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그 결과, 약효의 향상, 부작용의 감소 및 약효의 지속성과 같은 실용상으로 우수한 효과가 수득되는 것이 알려졌다.
리포좀 제제는 뇌경색과 같은 뇌허혈 질환의 치료에 대하여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리포좀 제제는 리포좀막이 너무 안정하기 때문에, 뇌경색에 대한 내과적 치료방법으로서 사용되는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및 뇌혈관 확장제와 같이 불충분한 즉효성(rapid action)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뇌경색과 같은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우수한 즉효성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재분산성을 가진 약제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를 개선함으로써, 즉효성이 우수하며 수성 매질로의 재분산성이 우수한 리포좀 제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면역억제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최근 주목받고 있는 피페콜린산 유도체, 특히 마크롤라이드(macrolide) 화합물, 예를 들면 타크롤리무스 (tacrolimus, FK506)로서 알려진 트리사이클릭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리포좀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활성 성분을 리포좀 중에 안정하게 도입시킴으로써 (entrapped), 생리식염수, 포도당 주사 용액, 물 또는 주스와 같은 다양한 매질 중에서 안정한 용액 상태를 유지도록 하여, 주사, 예를 들면 정맥내 주사, 근육내 주사, 관절내 등에의 국소 주사, 국소 투여, 예를 들면 피부에의 도포, 점안, 점비, 및 흡입, 또한 경구 투여 및 직장 투여 등을 비롯한 각종 투여 방법에 적용시킬 수 있는, 리포좀 제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건조 리포좀 제제는 우수한 투명성(clarity)을 가지기 때문에 혈장과 같은 수성 매질로 재분산시킨 (redispersed) 경우에도 침전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제제의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리포좀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된 리포좀 응축 용액을 버블링하는 중에 또는 버블링한 후 동결시키지 않고 진공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진공 건조에 의해 리포좀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활성 성분은 리포좀 제제에 적용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활성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피페콜린산 유도체, 보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I)의 트리사이클릭 화합물에 의해 예시되는 마크롤라이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리포좀 제제에 도입시켜 사용한다. 바람직한 구성으로는, 레시틴을 리포좀-형성 지질로서 주로 사용하며, 안정화제로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는 제제가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일반식 (I)의 17-알릴-1,14-디하이드록시-12-[2-(4-하이드록시-3-메톡시사이클로헥실)-1-메틸비닐]-23,25-디메톡시-13,19,21,27-테트라메틸-11,28-디옥사-4-아자트리사이클로[22.3.1.04,9]옥타코스-18-엔-2,3,10,16-테트라온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리포좀-형성 지질로서 레시틴을 함유하는 리포좀 제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리포좀 제제에 사용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특히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이 신경 보호 작용을 가진다는 사실에 있으며, 이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이 뇌혈전증에 의해 유발되는 뇌 세포 말초상에서의 신경 및 세포의 괴사를 또한 보호하는 약효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약제로서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본 발명에서 피페콜린산 유도체는, FKBP 형-이뮤노필린(immunophilin)에 대한 친화성을 가질 수 있고, 펩티딜-프롤릴 이소메라제(isomerase) 및/또는 로타마제(rotamase)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공통의 활성을 가짐과 동시에, 피페콜린산의 유도체일 수 있다는 공통의 화학 구조를 가진 것을 의미한다.
피페콜린산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일반식 (I)의 트리사이클릭 화합물과 같은 마크롤라이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이 포함된다:
상기 식에서,
R1과 R2, R3와 R4, 및 R5와 R6의 인접하는 쌍은 각각 독립적으로:
(a) 인접하는 2 개의 수소원자이거나;
(b)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간에 또 다른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R2는 또한 알킬 그룹일 수 있으며;
R7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 그룹, 보호된 하이드록시 그룹, 알콕시 그룹, 또는 R1과 함께 옥소 그룹이고;
R8및 R9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이며;
R10은 수소원자, 알킬 그룹,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 알케닐 그룹,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케닐 그룹, 또는 옥소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이고;
X 는 옥소 그룹, 수소원자 및 하이드록시 그룹이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state), 2 개의 수소원자가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또는 식 -CH2O-로 나타낸 그룹이며;
Y 는 옥소 그룹, 수소원자 및 하이드록시 그룹이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2 개의 수소원자가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또는 식 =N-NR11R12또는 =N-OR13으로 나타낸 그룹이고;
R11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 그룹, 아릴 그룹 또는 토실 그룹이며;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2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 그룹이고;
R24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환이며;
n 은 1 또는 2 의 정수이다.
상기 정의에 더하여, Y, R10및 R23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함께, 알킬, 하이드록시, 알킬옥시, 벤질, 식 -CH2Se(C6H5)의 그룹, 및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질소, 황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일 수 있다.
상기 일반식 (I)에서 사용된 정의, 그의 구체적인 예 및 그의 바람직한 예를 설명하고 상세히 기술한다.
용어 "저급" 은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1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그룹을 의미한다.
"알킬 그룹" 및 "알콕시 그룹"의 알킬 부분의 바람직한 예로는 직쇄 또는 측쇄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네오펜틸 및 헥실과 같은 저급 알킬이 포함된다.
"알케닐 그룹"의 바람직한 예로는 하나의 이중결합을 가진 직쇄 또는 측쇄 지방족 탄화수소 잔기, 예를 들어 비닐, 프로페닐 (예를 들어, 알릴), 부테닐, 메틸프로페닐, 펜테닐 및 헥세닐과 같은 저급 알케닐 그룹이 포함된다.
"아릴 그룹"의 바람직한 예로는 페닐, 톨릴, 크실릴, 쿠메닐, 메시틸 및 나프틸이 포함된다.
"보호된 하이드록시 그룹" 및 후술하는 "보호된 아미노"에서 바람직한 보호그룹으로는, 저급 알킬티오메틸 그룹(예를 들어,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프로필티오메틸, 이소프로필티오메틸, 부틸티오메틸, 이소부틸티오메틸, 헥실티오메틸 등)과 같은 1-(저급 알킬티오)(저급)알킬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C1-C4 알킬티오메틸 그룹,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틸티오메틸 그룹;
트리(저급)알킬실릴(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부틸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 트리-tert-부틸실릴 등) 또는 저급 알킬-다아릴실릴(예를 들어, 메틸디페닐실릴, 에틸디페닐실릴, 프로필디페닐실릴, tert-부틸디페닐-실릴 등)과 같은 삼-치환된 실릴 그룹,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리(C1-C4)알킬실릴 그룹 및 C1-C4 알킬디페닐실릴 그룹, 가장 바람직하게는 tert-부틸디메틸실릴 그룹 및 tert-부틸디페닐실릴 그룹; 및
카복실산, 설폰산 또는 카밤산으로부터 유도된 지방족, 방향족 아실 그룹, 또는 방향족 그룹에 의해 치환된 지방족 아실 그룹와 같은 아실 그룹이 포함된다.
지방족 아실 그룹의 예로는, 카복시, 예를 들어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발레릴, 이소발레릴, 피발로일, 헥사노일, 카복시아세틸, 카복시프로피오닐, 카복시부티릴, 카복시헥사노일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임의로 갖는 저급 알카노일 그룹;
저급 알킬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임의로 갖는 사이클로(저급)알콕시(저급)알카노일 그룹,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옥시아세틸, 사이클로부틸옥시프로피오닐, 사이클로헵틸옥시부티릴, 멘틸옥시아세틸, 멘틸옥시프로피오닐, 멘틸옥시부티릴, 멘틸옥시펜타노일, 멘틸옥시헥사노일 등; 캄파설포닐 그룹; 또는
카복시 또는 보호된 카복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갖는 저급 알킬카바모일 그룹, 예를 들어 카복시(저급)알킬카바모일 그룹(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카바모일, 카복시에틸카바모일, 카복시프로필카바모일, 카복시부틸카바모일, 카복시펜틸카바모일, 카복시헥실카바모일 등), 트리-(저급)알킬실릴(저급)알콕시카보닐(저급)알킬카바모일 그룹(예를 들어, 트리메틸실릴메톡시카보닐에틸카바모일, 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프로필카바모일, 트리에틸실릴에톡시카보닐프로필카바모일, tert-부틸디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프로필카바모일, 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카보닐부틸카바모일 등) 등이 포함된다.
방향족 아실 그룹의 예로는, 니트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임의로 갖는 아로일 그룹, 예를 들어 벤조일, 톨루오일, 크실로일, 나프토일, 니트로벤조일, 디니트로벤조일, 니트로나프토일 등; 및
할로겐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임의로 갖는 아렌설포닐 그룹, 예를 들어 벤젠설포닐, 톨루엔설포닐, 크실렌설포닐, 나프탈렌설포닐, 플루오로벤젠설포닐, 클로로벤젠설포닐, 브로모벤젠설포닐, 요오도벤젠설포닐 등이 포함된다.
방향족 그룹에 의해 치환된 지방족 아실 그룹의 예로는, 저급 알콕시 또는 트리할로(저급)알킬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치환체를 임의로 갖는 아르(저급)알카노일 그룹, 예를들어, 페닐아세틸, 페닐프로피오닐, 페닐부티릴, 2-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2-페닐아세틸, 2-에틸-2-트리플루오로메틸-2-페닐아세틸, 2-트리플루오로메틸-2-프로폭시-2-페닐아세틸 등이 포함된다.
상기 언급한 아실 그룹중 보다 바람직한 아실 그룹은, 카복시를 임의로 갖는 C1-C4알카노일 그룹, 사이클로알킬 부분에 2 개의 (C1-C4)알킬을 갖는 사이클로(C5-C6)알콕시(C1-C4)알카노일 그룹, 캄파설포닐 그룹, 카복시-(C1-C4)알킬카바모일 그룹, 트리(C1-C4)알킬실릴(C1-C4)알콕시카보닐(C1-C4)-알킬카바모일 그룹, 1 또는 2 개의 니트로 그룹을 임의로 갖는 벤조일 그룹, 할로겐을 갖는 벤젠설포닐 그룹, 또는 C1-C4알콕시 및 트리할로(C1-C4)알킬 그룹을 갖는 페닐(C1-C4)알카노일 그룹이다. 이들 중,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아세틸, 카복시프로피오닐, 멘틸옥시아세틸, 캄파설포닐, 벤조일, 니트로벤조일, 디니트로벤조일, 요오도벤젠설포닐 및 2-트리플루오로메틸-2-메톡시-2-페닐아세틸이다.
"질소, 황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환 "의 바람직한 예로는 피롤릴 그룹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릴 그룹이 포함된다.
R24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환이며, 바람직한 R24는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사이클로(C5-7)알킬 그룹일 수 있고, 하기 그룹을 예로 들 수 있다:
(a) 3,4-디-옥소-사이클로헥실 그룹,
(b) 3-R20-4-R21-사이클로헥실 그룹,
[여기서, R20은 하이드록시, 알콕시 그룹, 옥소 그룹, 또는 -OCH2OCH2CH2OCH3그룹이고, R21은 하이드록시, -OCN, 알콕시 그룹,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옥시, 1-테트라졸릴, 2-테트라졸릴, -OCH2OCH2CH2OCH3그룹, 보호된 하이드록시 그룹,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아미노옥살릴옥시, 아지도 그룹, p-톨릴옥시티오카보닐옥시, 또는 R25R26CHOO-(여기서, R25는 임의로 보호된 하이드록시 또는 보호된 아미노이고, R26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이거나, R20및 R21은 서로 결합하여 에폭시 환에서 산소원자를 형성한다]; 또는
(c) 메톡시메틸, 임의로 보호된 하이드록시메틸, 아실옥시메틸(여기서, 아실 부분은 4급화될 수 있는 디메틸아미노 그룹 또는 에스테르화 될 수 있는 카복시 그룹을 임의로 함유한다), 보호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 및/또는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아미노옥살릴옥시메틸에 의해 치환된, 사이클로펜틸 그룹.
바람직한 예는 2-포르밀-사이클로펜틸 그룹이다.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옥시"중의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 부분은 EP-A-532,088중 화학식 (I)의 화합물의 R1에 대하여 예시된 것일 수 있으며, 1-하이드록시에틸인돌-5-일이 바람직하고,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트리사이클릭 화합물 (I)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우수한 면역억제활성, 항미생물활성, 및 그 밖의 약리활성을 가지며, 그 자체로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대한 거부반응, 이식편대숙주반응, 자기면역질환 및 감염증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이 그의 제조 방법과 함께 잘 알려져 있으며[EP-A-0184162, EP-A-0323042, EP-A-423714, EP-A-427680, EP-A-465426, EP-A-480623, EP-A-532088, EP-A-532089, EP-A-569337, EP-A-626385, WO89/05303, WO93/05058, WO96/31514, WO91/13889, WO91/19495, WO93/04680, WO93/5059 등],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특히, 타클로리무스, FR900520(아스코마이신, ascomycin), FR900523 및 FR900525 라 칭하는 화합물은,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속 미생물, 예를 들면 스트렙토마이세스 츠쿠바엔시스(streptomyces tsukubaensis) No. 9993[기탁기관: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 Technology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구명칭: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일본국 이바라키 츠쿠바시 하가시 1-쵸메 1-3 소재, 기탁일: 1984년 10월 5일, 수탁번호 FERM BP-927] 또는 스트렙토마이세스 하이그로스코피쿠스 서브스페시스 야쿠시마엔시스(streptomyces hygroscopicus subsp. yakushimaensis) No. 7238[기탁기관: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 Technology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구명칭: Fermentation Research Institute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일본국 이바라키 츠쿠바시 하가시 1-쵸메 1-3 소재, 기탁일: 1985년 1월 12일, 수탁번호 FERM BP-928](EP-A-0184162)에 의해 생성된 생성물이다. 특히, 하기 구조식의 타크롤리무스가 대표적인 화합물이다:
화학명 : 17-알릴-1,14-디하이드록시-12-[2-(4-하이드록시-3-메톡시사이클로헥실)-1-메틸비닐]-23,25-디메톡시-13,19,21,27-테트라메틸-11,28-디옥사-4-아자트리사이클로[22.3.1.04,9]옥타코스-18-엔-2,3,10,16-테트라온
바람직한 트리사이클릭 화합물 (I)의 예는,
R3와 R4, 및/또는 R5와 R6의 인접하는 쌍이 각각 독립적으로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간에 또 다른 결합을 형성하고;
R8및 R2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이며;
R9는 하이드록시 그룹이고;
R10은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 또는 알릴 그룹이며;
X 는 옥소 그룹, 수소원자 및 하이드록시 그룹이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2 개의 수소원자가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또는 옥소 그룹이고;
Y 는 옥소 그룹이며;
R14, R15, R16, R17, R18, R19및 R22는 각각 메틸 그룹이고;
R24는 3-R20-4-R21-사이클로헥실 그룹이며[여기서, R20은 하이드록시, 알콕시 그룹, 옥소 그룹, 또는 -OCH2OCH2CH2OCH3그룹이고, R21은 하이드록시, -OCN, 알콕시 그룹, 적합한 치환체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아릴옥시, 1-테트라졸릴, 2-테트라졸릴, -OCH2OCH2CH2OCH3그룹, 보호된 하이드록시 그룹,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아미노옥살릴옥시, 아지도 그룹, p-톨릴옥시티오카보닐옥시, 또는 R25R26CHOO-(여기서, R25는 임의로 보호된 하이드록시 또는 보호된 아미노이고, R26은 수소 또는 메틸이다)이거나, R20및 R21은 함께 에폭시 환에서 산소원자를 형성한다];
n 은 1 또는 2 의 정수인 화합물이다.
가장 바람직한 트리사이클릭 화합물 (I)은, 타크롤리무스 이외에 EP-A-427,680의 실시예 66a에 개시된 할로겐화된-아스코마이신(ASM 981)(예를 들어, 33-에피-클로로-33-데스옥시아스코마이신), EP-A-532,088에 개시된 32-O-(1-하이드록시에틸인돌-5-일)아스코마이신(L-732,531), WO93/04680에 개시된 32-(1H--테트라졸릴-1-일)아스코마이신(ABT281) 등과 같은 아스코마이신 유도체이다.
그 밖에 다른 바람직한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의 예로서 라파마이신 (rapamycin)[THE MERCK INDEX(12th eddition) No. 8288] 및 그의 유도체를 들 수있다. 바람직한 유도체의 예는 WO95/16691 제 1 페이지에 개시된 화학식 A의 40 위치의 하이드록시가 -OR1(여기에서, R1은 하이드록시알킬, 하이드로알콕시알킬, 아실아미노알킬 또는 아미노알킬이다)로 치환된 O-치환된 유도체, 예를 들면, 40-O-(2-하이드록시)에틸-라파마이신, 40-O-(3-하이드록시)프로필-라파마이신, 40-O-[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라파마이신 및 40-O-(2-아세트아미노에틸)-라파마이신이다.
이들 O-치환된 유도체는, 라파마이신(또는 디하이드로 또는 데옥소-라파마이신)을 적합한 반응 조건하에서 이탈기에 부착된 유기 라디칼[예를 들면, RX(여기서, R 은 알킬, 알릴 또는 벤질 부분과 같은 O-치환체로서 바람직한 유기 라디칼이고, X 는 CCl3C(NH)O 또는 CF3SO3와 같은 이탈기이다)]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조건은, 산성 또는 중성 조건, 예를 들어 X 가 CCl3C(NH)O 인 경우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산, 캄파설폰산 또는 p-톨루엔설폰산, 또는 이들 각각의 피리디늄 또는 치환된 피리디늄 염과 같은 산의 존재하, 또는 X 가 CF3SO3인 경우 피리딘, 치환된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펜타메틸피페리딘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라파마이신 유도체는 WO94/09010에 개시된 40-O-(2-하이드록시)에틸 라파마이신이며, 이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트리사이클릭 화합물(I) 및, 라파마이신 및 그의 유도체는 유사한 기본 구조, 즉 트리사이클릭 마크롤라이드 구조, 및 적어도 하나의 유사한 생물학적 특성(예를 들면, 면역억제활성)을 갖는다.
트리사이클릭 화합물(I), 및 라파마이신 및 그의 유도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염으로, 예를 들어 무기 또는 유기 염기와의 염, 특히 나트륨염 및 칼륨염과 같은 알칼리 금속 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 염, 암모늄염, 및 트리에틸아민염 및 N-벤질-N-메틸아민염과 같은 아민 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피페콜린산 유도체 및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에 대해서는, 컨포머(conformer), 및 비대칭 탄소원자(들)에 기인하는 광학이성체 및 이중결합에 기인하는 기하이성체와 같은 한 쌍 이상의 입체이성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컨포머 또는 이성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피페콜린산 유도체 및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용매화물로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수화물 및 에탄올레이트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피페콜린산 유도체의 예로는 하기한 것이 포함된다:
(1) 4-페닐-1,2,4-트리아졸린-3,5-디온과 라파마이신의 반응에 의해 합성되는 하기 Way-124466 화합물(Ocain 등,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Vol. 192, No. 3, 1993);
(2) RAP-Pa 라 칭하는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Charkraborty 등, Chemistry and Biology, March 1995, 2: 157-161);
(3) 하기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Ikeda 등, J. Am. Chem. Soc. 1994, 116, 4143-4144);
(4) Wang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 4, No. 9, pp. 1161-1166, 1994, 특히 화합물 2a-2d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5) 하기 페페콜산 유도체(Birkenshaw 등, Bioorganic and MedicinalChemistry Letters, Vol. 4, No. 21, pp. 2501-2506, 1994);
(6) Holt 등, J. Am. Chem. Soc. 1993, 115, 9925-9938, 특히 화합물 4-14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7) Caffer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4, No. 21, pp. 2507-2510, 1994에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8) Teague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3, No. 10, pp. 1947-1950, 1993에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9) Yamashita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4, No. 2, pp. 325-328, 1994, 특히 화합물 11, 12 및 19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10) Holt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4, No. 2, pp. 315-320, 1994, 특히 화합물 3-21 및 23-24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11) Holt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3, No. 10, pp. 1977-1980, 1993; 특히 화합물 3-15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12) Hauske 등, J. Med. Chem. 1992, 35, 4284-4296, 특히 화합물 6, 9-10, 21-24, 26, 28, 31-32 및 52-55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13) Teague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4, No. 13, pp. 1581-1584, 1994에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및
(14) Stocks 등, Bioorganic and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 4, No. 12, pp. 1457-1460, 1994, 특히 화합물 2, 15-17로 개시된 피페콜린산 유도체 화합물.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리포좀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된 리포좀 응축 용액을 버블링하는 중에 또는 버블링한 후 진공 건조시킴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진공하에 응축 용액을 안정한 상태에서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리포좀 응축 용액을 버블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열 변화,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공 조건하에서 응축 용액의 온도를 낮춘 후 응축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응축 용액의 열 변화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응축 용액의 온도를 -10 ℃ 이하로 낮춘 후 20 ℃ 이상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을 권하며, 응축 용액의 온도를 -10 ℃ 이하로 낮춘 후 20 내지 70 ℃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응축 용액의 온도를 -20 내지 -50 ℃로 낮춘 후 25 내지 60 ℃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응축 용액의 온도를 -30 내지 -40 ℃로 낮춘 후 30 내지 50℃의 온도로 상승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응축 용액이 흐르는(flowing) 중에 흐른 후에 그 응축용액을 진공 조건하에 세팅하여 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 용액으로 채워진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응축 용액을 흘려보낼 수 있다.
열 변화 또는 흐름에 의해 버블을 발생시킬 경우, 응축 용액을 그 액상을 유지하면서, 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진공 건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응축 용액을 그 액상을 유지하면서 통상의 조작 조건을 적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여기서, "진공"이란 적어도 중간 정도의 진공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지, 반드시 완전 진공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결 건조된 리포좀 제제는 혈장과 같은 수성 매질로 재분산될 경우 투명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동결 건조 방법은 피해야 하며, 응축 용액을 동결시키지 않는 진공 건조 방법을 권하는 바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상기 언급한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 필수 조건이며, 리포좀 자체의 구조, 조성, 구성 성분, 제조 방법, 리포좀의 크기, 및 리포좀과 병용될 수 있는 화합물의 형태는, 피페콜린산 유도체를 리포좀에 안정하게 도입시키거나 약제의 즉효성을 발휘하는데에 지장이 없는 조건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포좀 구조체는 대단층 리포좀(LUV; large unilamellar vesicle), 다중층 리포좀(MLV; multilamellar vesicle) 및 소단층 리포좀(SUV;small unilamellar vesicle)일 수 있다. 또한, 그 크기도 LUV 에 대해서는 200 내지 1000 ㎚, MLV 에 대해서는 400 내지 3500 ㎚, SUV 에 대해서는 20 내지 50 ㎚ 정도의 입자경을 취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세망내피계(RES; reticroendothelial system)로의 집적(accumulation)이 적은 SUV 가 바람직하다.
리포좀 구조를 형성하는 지질로는 인지질이나 질소지질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인지질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예로는, 천연 인지질, 예를 들면 난황 레시틴(포스파티딜 콜린), 대두 레시틴, 리조레시틴(lysolecithin), 스핀고마이에린 (sphingomyelin),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디포스파티딜 글리세롤, 카디올리핀(cardiolipin), 플라즈마로겐 등; 이들 인지질로부터 통상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수소첨가 생성물; 및 합성 지질, 예를 들면 디세틸 포스페이트,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 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 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 세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 콜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 세린 등이 포함되며, 보다 바람직한 것은 레시틴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난황 레시틴이다.
이들 인지질을 포함하는 지질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 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질에서 포스파티딜 그룹중 음극성 그룹과 이들과 결합하는 원자단(에탄올아민, 콜린 등)중 양극성 그룹이 전기적으로 균형을 이루어 전체 분자가 전기적으로 중성을 띤다. 예를 들면, 레시틴, 스핀고마이에린,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 콜린 등이 종종 단독으로 사용된다.반대로, 포스파티딜 그룹(음극성 그룹)에 결합된 원자단(예를 들면, 세린, 글리세롤, 이노시톨 등)이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음극성을 띠는 지질(예를 들어 포스파티딜 세린,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등), 또는 음극성을 띠는 지질(예를 들어, 포스파티딘산 또는 디세틸포스페이트)은 본 발명에서 지질로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은 중성 지질과 병용하는 것을 권하는 바이다. 이들 중, 포스파티딘산 및 디세틸포스페이트는 리포좀 형성시의 주요 인지질로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리포좀 형성용 첨가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 제제의 안정성이나 조작성을 고려하면 부형제 및/또는 안정화제와 같은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안정화제로는 예를 들어 락토스, 말토스, 스테아릴아민, α-토코페롤, 강글리오소이드(gangliosoide), 산성 당지질 설파타이드, 및 황산 그룹을 가진 당지질 및 산성 당지질류가 포함된다.
콜레스테롤과 같은 안정화제를 사용하여 리포좀 제제를 제조할 경우,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정도의 즉효성을 얻기 어려우며, 이 콜레스테롤은 일반적으로 뇌경색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콜레스테롤 대신에 락토스 및 말토스를 안정화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캐스터 오일 계면활성제(HCO-60)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마크롤라이드 화합물의 재결정화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계면활성제가 뇌와 같은 환부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재결정화 억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 및 후술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변형예를 만들 수 있으며, 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타크롤리무스(5 g) 및 α-토코페롤(0.3 g)을 적당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100 ㎖의 혼합용액을 수득하였다. 난황 레시틴(100 g)을 이 혼합용액에 용해시킨 후, 용액중의 에탄올을 1330 ㎩하에 40 ℃에서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용액을 10% 말토스 수용액 10 ℓ(약 10.3 ㎏)에 교반기로 대강 분산시켜 비완전(roughly) 분산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분산 용액을 유화 압력 241325 ㎪ 및 배압(back pressure) 13790 ㎪하에서 고압 유화 장치(이스라엘의 데비 코.(DeBee Co.)사에 의해 제조된 DeBee 2000)에 의해 유화시킨 후, 이 분산액을 0.22 ㎛ 필터를 통하여 무균 여과하였다. 약 10.4 g의 여액을 바이얼에 채웠다(바이얼은 여액을 채우기 전에 세척 및 세정해 두었음). 진공 고무 마개(rubber stopper)를 바이얼내로 밀어넣고(마개 중간까지), 바이얼을 동결 건조기에 넣었다. 이 기계를 3990 ㎩하에 25 ℃에서 작동시켜 여액중 용해된 가스를 탈기하였다. 탈기시킨 여액을 1330 ㎩하에 40 ℃에서 응축하여응축 용액을 수득하였다. 응축 용액을 -40 ℃로 냉각시킨 다음, 용액의 온도를 고진공 조건(1.33 ㎩)하에서 40 ℃로 상승시켜 용액을 버블링하였다. 버블 용액을 13.3 ㎩하에 30 ℃에서 진공건조시킨 다음, 용액을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대기압으로 가압한 후, 바이얼을 밀봉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리포좀 제제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동결 건조 방법)
타크롤리무스(5 g) 및 α-토코페롤(0.3 g)을 적당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100 ㎖의 혼합용액을 수득하였다. 난황 레시틴(100 g)을 이 혼합용액에 용해시킨 후, 용액중의 에탄올을 1330 ㎩하에 40 ℃에서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용액을 10% 말토스 수용액 10 ℓ(약 10.3 ㎏)에 교반기로 대강 분산시켜 비완전 분산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분산 용액을 유화 압력 241325 ㎪ 및 배압 13790 ㎪하에서 고압 유화 장치(DeBee 2000)에 의해 유화시킨 후, 이 분산액을 0.22 ㎛ 필터를 통하여 무균 여과하였다. 약 10.4 g의 여액을 바이얼에 채우고(바이얼은 여액을 채우기 전에 세척 및 세정해 두었음), 동결건조시켰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리포좀 제제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
건조방법 동결 건조 진공 건조
외관(색) 덩어리(백색) 버블 덩어리(백색)
함량 *1 4.99 4.91
물의 양(%) *2 0.4 4.1
재분산에 필요한 시간(초) *3 15 15
pH *4 5.45 5.82
투과율 *5 4.9 66.8
평균 입자경(㎚) *6 91 42
혈장중 침전 *7
생리식염수중 침전 *7
여과 압력(㎪) *8 10 이상 1.3
*1 함량 : 건조 리포좀 제제중에 함유된 타크롤리무스의 양(㎎/바이얼)을 HPLC에 의해 측정하였다.
*2 물의 양 : 건조 리포좀 제제중에 함유된 물의 양을 카를 피셔 방법(Karl Fischer's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3 재분산에 필요한 시간 : 약 9 ㎖의 주사용수 및 건조 리포좀 제제를 용기에 첨가한 다음 이 용기를 실온하에 40 ㎝의 진폭으로 손으로 흔들어(초당 2회 왕복운동), 물에 대한 리포좀 제제의 용해도를 15 초마다 측정하였다.
* 4 pH : 재분산 용액(리포좀 제제를 물에 용해시켜 수득함, *3 참조)의 pH를 pH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5 투과율 : 재분산 용액의 투과율을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셀 크기 1 ㎝ ×1㎝).
* 6 평균 입자경 : 재분산 용액중 리포좀의 평균 입자경을 동적광산란법(dynamic light-scattering method)으로 측정하였다.
* 7 침전 :재분산 용액을 혈장 또는 생리식염수와 2 대 1의 비율로 혼합하여 수득된 혼합 용액을 원심분리하고, 용액중의 침전을 눈으로 평가하였다.
* 8 여과 압력 : 재분산 용액을 0.22 ㎛ 필터가 장착된 주입형 슬리브 (injection type sleeve)를 통해 여과시키고 오토라디오그래피(autoradiography)를 사용하여 여과 압력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수득된 리포좀 제제가 약간 많은 양의 물을 함유하였지만,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재분산후 비교실시예 1의 리포좀 제제에 비해 우수한 투과율을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의 투명성도 비교 실시예 1보다 더 우수하였다. 실시예 1의 리포좀 제제는 혈장과의 혼합시 침전을 형성하지 않았으며 재분산후 유리한 특성을 유지하였다.
[실시예 2]
타크롤리무스(5 g)를 적당량의 에탄올에 용해시켜 100 ㎖의 혼합용액을 수득하였다. 난황 레시틴(100 g)을 이 혼합용액에 용해시킨 후, 용액중의 에탄올을 1330 ㎩하에 40 ℃에서 제거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용액을 10% 말토스 수용액 10 ℓ(약 10.3 ㎏)에 교반기로 대강 분산시켜 비완전 분산 용액을 수득하였다.
이 분산 용액을 유화 압력 241325 ㎪ 및 배압 13790 ㎪하에서 고압 유화 장치(DeBee 2000)에 의해 유화시킨 후, 이 분산액을 0.22 ㎛ 필터를 통하여 무균 여과하였다. 약 10.4 g의 여액을 바이얼에 채웠다(바이얼은 여액을 채우기 전에 세척 및 세정해 두었음). 진공 고무 마개를 바이얼내로 밀어넣고(마개의 중간 까지), 바이얼을 동결 건조기에 넣었다. 이 기계를 3990 ㎩하에 25 ℃에서 작동시켜 여액중 용해된 가스를 탈기하였다. 탈기시킨 여액을 1330 ㎩하에 40 ℃에서 응축하여 응축 용액을 수득하였다. 응축 용액을 -40 ℃로 냉각시킨 다음, 용액의 온도를 고진공 조건(1.33 ㎩)하에 40 ℃로 상승시켜 용액을 버블링하였다. 버블 용액을 13.3 ㎩하에 30 ℃에서 진공 건조시킨 다음, 용액을 질소 가스를 사용하여 대기압으로 가압한 후, 바이얼을 밀봉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리포좀 제제는 실시예 1의 리포좀 제제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제제를 하기 처방으로부터 수득하였다.
타크롤리무스 3 ㎎
정제된 난황 레시틴 100 ㎎
락토스 일수화물 1000 ㎎
합계 1103 ㎎
이렇게 하여 수득된 실시예 3의 리포좀 제제는 실시예 1의 리포좀 제제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제제를 하기 처방으로부터 수득하였다.
타크롤리무스 3 ㎎
정제된 난황 레시틴 100 ㎎
α-토코페롤 0.3 ㎎
말토스 1000 ㎎
합계 1103.3 ㎎
이렇게 하여 수득된 실시예 4의 리포좀 제제는 실시예 1의 리포좀 제제와 동일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수성 매질로의 재분산성이 우수한 리포좀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예를 들면, 재분산후 우수한 투명성, 좁은 분포 범위의 평균 입자경 및 혈장과 혼합시 침전을 형성하지 않는 것).
본 발명에 따른 리포좀 제제는, 콜레스테롤를 함유하는 통상의 리포좀 제제에 비해 리포좀이 쉽게 붕괴될 수 있으므로, 볼루스 투여(bolus administration)를 실시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즉효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으므로, 순환기계통 기관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아 우수한 효과를 수득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포좀 제제는, 약효의 즉효성이 기대되는 질환, 예를 들면 뇌허혈 질환(예를 들면, 두부 손상, 뇌출혈(예를 들면, 거미막하출혈, 뇌내출혈), 내경색, 뇌혈전, 뇌경색증, 심정지, 뇌졸중, 일과성 뇌허혈 발작(TIA), 고혈압성 뇌증)의 치료 및 예방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활성 성분인 피페콜린산 유도체, 특히 마크롤라이드 화합물, 예를 들면 트리사이클릭 화합물(I)의 약리작용에 의거하여, 하기 질환이나 하기 상태의 치료 및 예방에도 유용하다:
심장, 신장, 간, 골수, 피부, 각막, 폐, 췌장, 소장, 수족, 근육, 신경, 추간판, 기관, 근모세포, 연골 등과 같은 장기 또는 조직의 이식에 대한 거부반응;
골수 이식에 의한 이식편대숙주반응;
류머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낭창, 하시모토 갑상선염,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I 형 당뇨병 등과 같은 자기면역질환;
병원성 미생물(예를 들면, 아스페르길루스 푸미가투스(Aspergillus fumigatus), 푸사리움 옥시스포룸(Fusarium oxysporum), 트리코피톤 아스테로이데스(Trichophyton asteroides) 등에 의한 감염증;
염증성 또는 증식항진성 피부병 또는 면역학적-매개 피부질환(예를 들면, 건선,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양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편평태선, 천포창, 수포성 유천포창, 수포성 표피 박리증, 담마진, 맥관부종, 맥관염, 홍반, 피부호산구 증가증, 홍반성 낭창, 좌창 및 원형 탈모증);
자기면역질환의 안질환(예를 들면, 각결막염, 춘계결막염, 베체트병 관련 포도막염, 각막염, 헤르페스성 각막염, 원추형 각막염, 각막상피이영양증, 각막백반, 눈천포창, 무렌각막궤양, 공막염, 그레이브스 안병증(Graves' ophthalomopathy),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 건성 각결막염(드라이 아이), 플리크테눌 (phlyctenule), 홍체모양체염, 유육종증, 내분비안병증 등);
가역적 폐색성 기도 질환[천식(예를 들면,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천식, 내인성 천식, 외인성 천식 및 진애성 천식), 특히 만성 또는 난치성 천식(예를 들면, 지발형 천식 및 기도 반응성 항진), 및 기관지염 등];
점막 또는 혈관의 염증(예를 들면 위궤양, 허혈성 또는 혈전성 혈관손상, 허혈성 장질환, 장염, 괴사성 장결장염, 화상에 의한 장손상, 류코트리엔 B4-매개 질환);
장의 염증/알레르기(예를 들면, 소아지방변증, 직장염, 호산성 위장관염, 비만세포증, 크론병(Crohn's disease) 및 궤양성 대장염);
위장관으로부터 원격 부위에 증후성 증상을 발현하는 식품관련 알레르기 질환(예를 들면, 편두통, 비염 및 습진);
신질환(예를 들면, 간질성 신염, 구드패스츄어 증후군, 용혈성 요독증후군 및 당뇨병성 신병증) 및 신증후군(예를 들면, 사구체신염);
신경성 질환(예를 들면 다발성 근염, 길랑-바레 증후군, 메니에르병, 다발성 신경염, 단발성 신경염, 뇌경색, 알쯔하이머병, 파킨슨병,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및 신경근병증);
내분비질환(예를 들면, 갑상선기능항진증 및 바세도병);
혈액질환(예를 들면, (진정)적혈구계 무형성증, 재생불량성 빈혈, 형성부전성 빈혈, 특발성 혈소판감소성 자반병, 자기면역성 용혈성 빈형, 무과립구증, 악성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및 적혈구 형성 부전증);
골질환(예를 들면, 골다공증);
호흡기계통 질환(예를 들면, 사르코이도시스, 폐섬유증 및 특발성 간질성 폐렴);
피부질환(예를 들면, 피부근염, 심상성 백반증, 심상성 어린선, 광선과민증 및 피부 T-세포 림프종);
순환기계통 질환(예를 들면, 세동맥성경화증, 죽상경화증, 대동맥염 증후군,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및 심근증);
교원병(예를 들면, 피부경화증, 베게너 육아종 및 쇼그렌 증후군);
지방과당증;
호산구성 근막염;
치주병[예를 들면, 치은, 치주, 치조골 또는 치아 시멘트질의 손상];
남성형 탈모증, 노인성 탈모증;
근 이영양증;
농피증 및 세자리 증후군;
염색체 이상-관련 질환(예를 들면, 다운증후군);
애디슨병;
활성산소-매개 질환[예를 들면, 장기손상(보존, 이식 또는 허혈성 질환(예를 들면, 혈전증, 심근경색 등)과 관련된 장기(예를 들면, 심장, 간, 신장, 소화관 등)의 허혈성 혈류 손상)];
장질환(예를 들면, 내독소 쇼크, 위막성 대장염, 약제- 또는 방사선-유발 대장염);
신질환(예를 들면, 허혈성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폐질환(예를 들면 폐중 산소 또는 약제(예를 들면, 파라코트, 블레오마이신 등)에 의해 유발된 중독, 폐암 및 폐기종);
안질환(예를 들어, 백내장, 철침착증(안구철침착증), 망막염, 색소변성증, 노인성반점, 유리체 반흔, 알칼리 화상 각막);
피부염(예를 들면, 다형홍반, 선형 면역글로불린 A 수포성 피부염, 시멘트 피부염);
및 그 밖의 질환(예를 들면, 치은염, 치주염, 패혈증, 췌장염, 또는 환경오염(예, 대기오염), 노화, 발암물질, 암 전이 및 고산병에 의해 유발된 질환);
히스타민 유리 또는 류코트리엔 C4 유리에 의해 유발된 질환;
혈관성형술후 관상동맥의 재협착 및 수술후 장관유착;
자기면역질환 및 염증 상태(예를 들면, 원발성 점막부종, 자기면역성 위축성 위염, 조기 폐경, 남성 불임증, 연소성 당뇨병, 심상성 천포창, 유천포창, 교감성 안염, 수정체 포도막염, 특발성 백혈구 감소증, 활동성 만성 간염, 특발성 간경변, 원판상 반성 루프스, 자기면역성 정소염, 관절염(예를 들면, 변형관절염), 또는 다발성 연골염);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증, AIDS;
알레르기성 결막염; 및
외상, 열상 또는 수술에 의한 비후성 반흔이나 켈로이드 등.
또한, 트리사이클릭 화합물(I)과 같은 마크롤라이드계 화합물은, 간 재생 활성 및/또는 간세포 비대 및 과다형성 자극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간 질환[예를 들어, 면역원성 질환(자기면역성 간 질환,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 또는 경화성 담도염과 같은 만성 자기면역성 간 질환), 부분적 간절제, 급성 간괴사(예를 들면, 독성, 바이러스성 간염, 쇼크 또는 무산소증에 의한 괴사), B형 간염, 비A 비B 간염, 간경변 및 간부전(예, 전격성 간염, 지발성 간염, 및 "급성에서 만성으로 이행하는" 간부전)]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약제는 또한 화학요법 효과의 증강활성,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ytomegalovirus) 감염 저해활성, 항염증활성, 펩티딜-프롤릴 이소메라제 또는 로타마제에 대한 저해활성, 항말라리아활성, 항종양활성 등과 같은 트리사이클릭 마크롤라이드의 유용한 약리작용에 의해 다양한 질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높이는데 유용하다.

Claims (12)

  1. 리포좀 용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된 리포좀 응축 용액을 버블링하는 중에 또는 버블링한 후 동결시키지 않고 진공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건조에 의해 리포좀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 조건하에서 응축 용액의 온도를 낮춘 후 응축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켜 버블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응축 용액의 온도를 -10 ℃ 이하로 낮춘 후 20 ℃ 이상으로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응축 용액의 온도를 -30 내지 -40 ℃로 낮춘 후 30 내지 50 ℃로 상승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 용액이 흐르는(flowing) 중에 또는 흐른 후에 그 응축 용액을 진공 조건하에 세팅하여 버블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응축 용액을, 그 액상을 유지하면서, 버블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 피페콜린산 유도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리포좀 제제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피페콜린산 유도체가 하기 일반식 (I)의 마크롤라이드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인 방법:
    상기 식에서,
    R1과 R2, R3와 R4, 및 R5와 R6의 각각의 인접 탄소원자와 결합된 각각의 쌍은:
    (a) 수소원자를 나타내거나;
    (b) 그들이 결합된 각각의 탄소원자간에 또 다른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R2는 또한 알킬 그룹일 수 있으며;
    R7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 그룹, 보호된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알콕시 그룹을 나타내거나, R1과 결합하여 옥소 그룹을 나타낼 수 있고;
    R8및 R9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을 나타내며;
    R10은 수소원자, 알킬 그룹,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 알케닐 그룹,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케닐 그룹, 또는 옥소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X 는 옥소 그룹, 수소원자 및 하이드록시 그룹이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2 개의 수소원자가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또는 식 -CH2O-로 나타낸 그룹을 나타내며;
    Y 는 옥소 그룹, 수소원자 및 하이드록시 그룹이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state), 2 개의 수소원자가 하나의 탄소원자에 결합된 상태, 또는 식 N-NR11R12또는 N-OR13으로 나타낸 그룹이고;
    R11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알킬 그룹, 아릴 그룹 또는 토실 그룹을 나타내며;
    R13, R14, R15, R16, R17, R18, R19, R22및 R23은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또는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R24는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임의로 치환된 환을 나타내며;
    n 은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단, 상기 정의에 더하여, Y, R10및 R23은 그들이 결합된 탄소원자와 결합하여, 알킬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알킬옥시 그룹, 벤질 그룹, 식 -CH2Se(C6H5)의 그룹, 및 하나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으며, 질소, 황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나타낼 수 있다.
  9. 제 1 항에 있어서, 레시틴을 리포좀-형성 지질로서 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리포좀이 콜레스테롤을 함유하지 않는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마크롤라이드 화합물(I)이 17-알릴-1,14-디하이드록시-12-[2-(4-하이드록시-3-메톡시사이클로헥실)-1-메틸비닐]-23,25-디메톡시-13,19, 21,27-테트라메틸-11,28-디옥사-4-아자트리사이클로[22.3.1.04,9]옥타코스-18-엔-2,3,10,16-테트라온 또는 그의 수화물인 방법.
  12. 제 1 항에 정의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리포좀 제제.
KR1020027004340A 1999-10-18 2000-10-03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 KR200200638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583499 1999-10-18
JPJP-P-1999-00295834 1999-10-18
PCT/JP2000/006852 WO2001028522A2 (en) 1999-10-18 2000-10-03 Method for producing liposome prepa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873A true KR20020063873A (ko) 2002-08-05

Family

ID=1782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4340A KR20020063873A (ko) 1999-10-18 2000-10-03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79461B1 (ko)
EP (1) EP1221938A2 (ko)
JP (1) JP2003512314A (ko)
KR (1) KR20020063873A (ko)
CN (1) CN1411368A (ko)
AR (1) AR026076A1 (ko)
AU (1) AU7452900A (ko)
BR (1) BR0015053A (ko)
CA (1) CA2386155A1 (ko)
HU (1) HUP0203159A3 (ko)
MX (1) MXPA02003846A (ko)
RU (1) RU2002113171A (ko)
WO (1) WO200102852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37B1 (ko) * 2003-05-07 2007-12-10 아프메디카, 인크. 흉터 조직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4194T3 (es) 2005-02-09 2016-03-18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Formulaciones líquida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o dolencias
ITMI20051826A1 (it) * 2005-09-29 2007-03-30 Novachem S A Kit per la somministrazione parenterale di medicamenti
BRPI0707612B8 (pt) * 2006-02-09 2021-05-25 Macusight Inc vaso lacrado e formulações líquidas contidas no mesmo
AU2013200089B2 (en) * 2006-02-09 2016-03-03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Stabl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and use
US8222271B2 (en) 2006-03-23 2012-07-17 Santen Pharmaceutical Co., Ltd.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vascular permeability-related diseases or conditions
US8906397B2 (en) 2011-02-07 2014-12-09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Ltd Permeation enhancers for topical formulations
US20120201871A1 (en) * 2011-02-07 2012-08-09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Ltd. Permeation enhancers with liposomes for topical formulations
US8871811B2 (en) 2011-02-07 2014-10-28 Professional Compounding Centers of America, Ltd Permeation enhancers for topical formulations
EP3351245A4 (en) * 2015-09-18 2019-05-22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RAPAMYCIN OR A DERIVATIVE THEREOF
CN110151590A (zh) * 2019-06-19 2019-08-23 湖州浦瑞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视黄醇视黄酸酯纳米制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2130A (en) 1981-07-06 1985-07-30 Rush-Presbyterian-St. Luke's Medical Center Preparation of synthetic frythrocytes
US4880635B1 (en) 1984-08-08 1996-07-02 Liposome Company Dehydrated liposomes
US5096629A (en) 1988-08-29 1992-03-17 501 Nippon Fine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eparing lipid powder for use in preparing liposomes and method for preparing liposomes
CA2110490C (en) 1991-06-18 2008-07-29 Evan C. Unger Drug delivery systems comprising gas-filled liposomes at least 90% devoid of liquid in their interior
EP0658344B1 (en) * 1991-10-31 2000-01-05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Liposome preparation containing tricyclic compound
JP3329554B2 (ja) * 1993-03-10 2002-09-30 千葉製粉株式会社 乾燥小胞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837B1 (ko) * 2003-05-07 2007-12-10 아프메디카, 인크. 흉터 조직 형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0203159A3 (en) 2004-12-28
CA2386155A1 (en) 2001-04-26
AR026076A1 (es) 2002-12-26
WO2001028522A3 (en) 2002-05-10
JP2003512314A (ja) 2003-04-02
CN1411368A (zh) 2003-04-16
RU2002113171A (ru) 2004-01-27
MXPA02003846A (es) 2002-09-30
BR0015053A (pt) 2002-07-02
EP1221938A2 (en) 2002-07-17
AU7452900A (en) 2001-04-30
HUP0203159A2 (hu) 2002-12-28
WO2001028522A2 (en) 2001-04-26
US6979461B1 (en) 2005-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1085B1 (ko) 활성성분으로 트리사이클릭 화합물을 함유하는 현탁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3396888B2 (ja) 医薬組成物
JP4284706B2 (ja) 医薬組成物
JP4221762B2 (ja) 医薬組成物
KR20020063873A (ko) 리포좀 제제의 제조방법
KR100206722B1 (ko) 활성성분으로 트리사이클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010102370A (ko) 리포좀 제제
KR100253492B1 (ko) 트리사이클로화합물함유 리포솜제제(liposome preparation containing tricyclic compound)
KR20040002980A (ko) 트리사이클릭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H06183970A (ja) 医薬用組成物
MXPA01008326A (ko)
ZA200107325B (en) Liposome preparations.
MXPA99007451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200230296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tricyclic compoun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kin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