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1880A -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1880A
KR20020061880A KR1020010002960A KR20010002960A KR20020061880A KR 20020061880 A KR20020061880 A KR 20020061880A KR 1020010002960 A KR1020010002960 A KR 1020010002960A KR 20010002960 A KR20010002960 A KR 20010002960A KR 20020061880 A KR20020061880 A KR 20020061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ilm
source gas
tantalum
reac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2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209B1 (ko
Inventor
정정희
박인성
여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209B1/ko
Priority to US10/043,027 priority patent/US6919243B2/en
Publication of KR2002006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0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 C23C16/18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metallic material from metallo-organic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the layer being a laminate, i.e. composed of sublayers, e.g. stacks of alternating high-k metal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 H01L21/0224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oxidation, e.g. oxidation of the substrate of a metall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2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5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process other than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by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04Deposition from a gas or vapou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4Inorganic layers
    • H01L21/316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 H01L21/3165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 H01L21/31683Inorganic layers composed of oxides or glassy oxides or oxide based glass formed by oxidation of metallic layers, e.g. Al deposited on the body, e.g. formation of multi-layer insula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7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 H01L21/0217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 H01L21/0218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metal element, e.g. metal oxides, metal nitrides, metal oxynitrides or metal carbides characterised by the metal the material containing tantalum, e.g. Ta2O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6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 H01L21/02271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deposition from the gas or vapour phase deposition by decomposition or reaction of gaseous or vapour phase compounds,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8/00Passive two-terminal components without a potential-jump or surface barrier for integrated circuits; Details thereof;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8/40Capacitors
    • H01L28/60Electrodes
    • H01L28/82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 H01L28/90Electrodes with an enlarged surface, e.g. formed by texturisation having vertical ext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도체 커패시터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전구체를 소스가스로 화학기상증착하여 상기 하부전극 표면 상에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전처리막 상에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실리콘, 희금속 또는 금속 질화막 하부전극 상에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산화막 형성시 공급되는 산소로 인해 하부전극이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A method for formation of semiconductor capacitor having Ta2O5 film as dielectric layer}
본 발명은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높아짐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높은 정전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고유전율을 가진 유전막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고유전율을 가진 물질로 Ta2O5, TiO2, Al2O3, Y2O3, ZrO2, HfO2, BaTiO3, SrTiO3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막은 고유전율을 가진 반면, 종래 커패시터의 하부전극으로 사용되던 폴리실리콘과의 쉽게 반응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예컨대 탄탈륨 산화막 형성과정 또는 산화막 형성 후 열처리 과정에서 폴리실리콘이 산화하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탄탈륨 산화막과 폴리실리콘 사이에 질화막을 개재하여 이를 산소의 확산에 대한 장벽층으로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하부전극을 상대적으로 산화되기 어려운 물질, 예컨대 Pt, Ru, Ir 등의 희금속이나 TiN 등의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하부전극의 경우에는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리콘 기판(100) 상에 Ru막(110)을 형성하고 이를 250℃, 오존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후, 그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Ru막(110)의 표면에 주상(柱狀)의 결정상(120)이 발견된다. 이것은 RuO2로, O3로 인해 Ru막(110)이 산화되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RuO2결정상(120)들은 유전막 즉, 탄탈륨 산화막의 형성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Ru(110) 전극과 유전막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커패시터의 특성을 열화시킬 수 있다. 특히, 유전막이 실린더형 개구부를 가진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경우(예컨대, 실린더형 커패시터에서와 같이)에는 상기 개구부의 하부에는 부분적으로 유전막이 형성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유전막의 단차도포성이 매우 나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에 있어서, 금속 산화막 형성시 희금속 또는 금속질화막 하부전극에 발생하는 산화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Ru막을 오존 분위기에서 열처리한 후, 그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탄탈륨 전처리막 형성과정을 거친 Ru막을 오존 분위기에서 열처리 한 후 그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 및 종래기술에 따라 탄탈륨 산화막을 형성하여 단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반도체 커패시터 형성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전구체를 소스가스로 화학기상증착하여 상기 하부전극 표면 상에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금속 전처리막 상에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속 산화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은 탄탈륨을 포함하며, 탄탈륨을 포함하는 금속 전구체로는 Ta(OC2H5)5또는 Ta(OCH3)5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 전처리막은 상기 반도체 기판을 반응실 내로 인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실 내로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전구체를 유입시키는 단계, 상기 금속 전구체를 상기 하부전극 상에 흡착 및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응실 내의 금속 전구체를 퍼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술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반도체 커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의 커패시터는 먼저, 반도체 기판 상에 폴리실리콘, 희금속 또는 금속 질화막으로 된 하부전극을 형성한다(단계 a). 상기 희금속으로는 Ru, Pt 또는 Ir 등이 적당하다. 여기서, 상기 금속질화물은 TiN 등과 같이 단일 금속의 질화물일 수도 있으나, (Ti,Ta)N과 같이 둘 이상의 금속이 고용된 질화물일 수 도 있다. 상기 희금속 및 상기 금속질화막은 통상의 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부전극 상에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한다(단계 b).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은 탄탈륨-산소의 결합을 가진 금속 전구체를 소스가스로 화학기상증착하여 형성된다. 산소결합을 가진 탄탈륨 전구체로는 Ta(OCH2H5) 또는 Ta(OCH3)5등이 적당하다. 물론, 탄탈륨 전처리막 이외의 다른 금속 전처리막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티타늄(Ti) 전처리막의 경우, TiO(DPM)2나 Ti(t-BuO)2(DPM)2등의 전구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지르코늄(Zr) 전처리막의 경우, Zr(OBut)4등의 전구체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은 상기 탄탈륨 전구체를 소스가스로 통상의 열화학기상증착법(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원자층 증착방법(Atomic layer deposition) 및 연속층 적층방법(Sequential layer deposition)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자층 증착방법이란 화학기상증착의 한 유형으로 유입된 소스가스를 기판 표면에 화학흡착시키고 나머지 소스가스를 퍼지시킨 후 상기 흡착된 소스가스로부터 물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소스가스의 유입→퍼지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원하는 두께의 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통상 원자층 단위로 물질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단차도포성을 가진 물질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물질층 내에 함유된 불순물의 농도도 매우 낮게 된다. 연속층 증착방법이란, 상기 원자층 증착방법을 개량한 것으로, 소스가스가 기판에 흡착되는 기구가 화학흡착 뿐만 아니라, 물리적 흡착도 포함하도록 소스가스의 유량 및 챔버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한 사이클에 여러 개의 원자층이 형성되게 하는 방법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원자층 적층방법이라는 용어는 연속층 적층방법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실린더형 커패시터와 같이 3차원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의 경우 탄탈륨 전처리막의 균일한 형성을 위하여 원자층 증착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원자층 증착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희금속 또는 금속질화막으로 된 하부전극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반응실 내로 인입한 뒤, 상기 반응실 내로 전처리막 형성을 위한 소스가스로 산소를 함유하는 탄탈륨 전구체를 유입한다. 유입된 상기 탄탈륨 전구체는 기판 상에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흡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반응실 내에 퍼지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반응실 내에 잔류하는 소스가스를 퍼지시킨다. 상기 소스가스 유입→퍼지의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상기 하부전극 상에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이 골고루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반복되는 사이클의 수는 커패시터의 형태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형 커패시터와 같이 높은 어스펙트비를 갖는홀 형태의 하부전극을 가진 경우에는 하부전극 전체에 탄탈륨 전처리막이 골고루 형성되도록 사이클의 반복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탄탈륨 전처리막은 전구체 내에 포함된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막이 되지만, 별도의 산소소스를 사용하지 않고, 탄탈륨 전구체 내에 포함된 산소만을 사용하므로 막 형성속도는 매우 느리며, 사이클의 반복회수를 증가시키더라도 결과적인 전처리막의 두께에는 그다지 변화가 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증착과정의 탄탈륨 전구체의 유입량은 1~2000sccm이 적당하다. 상기 퍼지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을 사용하며, 유입량은 1~2000sccm이 적당하다. 상기 반응실의 온도는 100~600℃의 온도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실의 압력은 0.1 ~ 30 torr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방법에 의해 탄탈륨 전처리막이 형성된 후,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 상에 탄탈륨 산화막을 형성한다(단계 c). 상기 탄탈륨 산화막은 통상의 열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원자층 형성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탈륨 산화막 형성을 위한 탄탈륨 소스가스로는 Ta(OCH2H5)5또는 Ta(OCH3)5, 또는 TaCl5를 사용할 수 있고, 산소 소스가스로는 H2O, H2O2, O2, N2O 또는 O3를 사용하거나, 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린더형 커패시터와 같이 3차원 구조를 갖는 커패시터의 경우 탄탈륨 산화막의 단차도포성을 높이기 위해 원자층 증착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반응실 내로 인입하고, 상기 반응실 내로 탄탈륨 소스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시킨다.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반응실 내의 탄탈륨 소스가스를 퍼지시키고, 상기 반응실 내로 산소 소스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시킨다. 이어서, 상기 흡착된 탄탈륨 소스가스 및 산소 소스가스를 반응시켜 탄탈륨 산화막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착과정의 탄탈륨 전구체의 유입량은 1~2000sccm,산소 소스가스의 유입량은 1~2000sccm이 적당하다. 상기 퍼지 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며, 유입량은 1~2000sccm이 적당하다. 상기 반응실의 온도는 100~600℃의 온도범위에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응실의 압력은 0.1 ~ 10 torr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탄탈륨 산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한다(단계 d). 상기 상부전극으로는 폴리실리콘, 화학기상증착되거나 원자층적층방법을 통해 형성된 TiN 등의 금속질화막 또는 Ru, Ir, Pt 등의 희금속이나 이들의 복합막이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1
본 실험예는 본 발명의 탄탈륨 전처리막의 산화억제효과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3개의 평평한 실리콘 기판을 준비하여, 상기 각 실리콘 기판 상에 TEOS막을 형성하고, 상기 TEOS막 상에 약 300Å 두께의 Ru막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Ru막 상에 Ta(OC2H5)5를 탄탈륨 전구체로 하여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탄탈륨 전처리막은 앞서 실시예에서 상술한 원자층적층방법으로 Ta(OC2H5)5유입→퍼지의 사이클을 반복하여 형성되었다. 사이클 횟수는 기판별로 10회, 100회, 200회로 달리하였다.
이어서, 반응실에서 250℃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상기 전처리막이 형성된 각 실리콘 기판 상에 산소소스로 O3를 흘리면서 상기 각 실리콘 기판 상의 Ru막을 산화시키고, 상기 반도체 기판의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관찰결과, 사이클 반복횟수와는 상관없이 각 Ru막에는 RuO2의 형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일례로, 100회 사이클로 전처리막을 형성한 경우의 기판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200)의 TEOS막(210) 상에 형성된 Ru막(220)의 표면은 매끈하며,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탄탈륨 전처리막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Ru막(220) 표면에 주상의 RuO2막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u막(220)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전처리막(미도시)은 그 두께(약 10Å 정도)가 매우 얇다.
실험예 2
본 실험예는 실린더형 커패시터에서와 같이 어스펙트비가 큰 홀 형태의 하부전극 상에 유전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Ru막 상에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함으로써 단차도포성이 우수한 유전막을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실리콘 기판 상에 TEOS 절연막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하여 어스펙트비가 약 15인 실린더형 개구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기판의 절연막 상에 Ru막을 형성하고,이어서, 상기 Ru막 상에 Ta(OC2H5)5를 소스가스로 하여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의 탄탈륨 전처리막 형성방법, 즉 원자층 적층방법에 의해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하였다. 상기 전처리막 형성시 전구체 유입→퍼지의 사이클은 100회의 사이클을 적용하였다. 이어서, 상기 과정을 거친 기판 상에 Ta(OC2H5)5를 탄탈륨 소스가스로 하고, O3을 산소소스로 하여 원자층 적층방법을 사용하여 250℃에서 탄탈륨 산화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기판의 개구부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한편,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하여 실리콘 기판 상에 TEOS막 형성, 개구부 패터닝, Ru막 형성 및 탄탈륨 산화막 형성과정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나, 탄탈륨 전처리막을 형성하지 않은 기판을 별도로 제조하여 그 개구부 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전처리막 형성과정을 거친 기판과 전처리막 형성과정을 거치지 않은 기판의 개구부 단면을 촬영한 전자현미경 사진의 개략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4a를 보면, Ru막(310) 상에 탄탈륨 전처리막(330) 형성과정을 거친 경우 탄탈륨 산화막(340)이 개구부(350) 상부 및 하부에서 균일하게 형성된 반면, 도 4b의 경우, 탄탈륨 산화막(340)이 개구부(350) 하부에서는 거의 형성되지 않았는데, 이는 주상의 RuO2결정(320)들이 존재하는데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지 않은 참조부호 300은 TEOS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에 있어서, 폴리실리콘, 희금속 또는 금속 질화막 하부전극 상에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산화막 형성시 공급되는 산소로 인해 하부전극이 산화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어스펙트비가 큰 커패시터에 있어서, 하부전극의 표면에 고른 금속 산화막을 형성함으로써, 하부전극의 산화로 인해 산화된 부위에 금속 산화막이 형성되지 않아 금속 산화막의 단차도포성이 나빠지는 현상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다.

Claims (16)

  1. a) 반도체 기판 상에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b)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전구체를 소스가스로 화학기상증착하여 상기 하부전극 표면 상에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금속 전처리막 상에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산화막 상에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폴리실리콘막, 희금속막, 금속질화물막또는 이들의 복합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희금속은 Ru, Pt, 또는 Ir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탄탈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Ta(OC2H5)5또는 Ta(OCH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질화물은 Ti, Ta 또는 W의 질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e) 상기 반도체 기판을 반응실 내로 인입하는 단계;
    f) 상기 반응실 내로 산소를 함유하는 금속 전구체를 유입시키는 단계;
    g) 상기 금속 전구체를 상기 하부전극 상에 흡착 및 반응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반응실 내의 금속 전구체를 퍼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탄탈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전구체는 Ta(OC2H5)5또는 Ta(OCH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내지 g)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여 금속 전처리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 내지 h) 단계에서 반응실 온도는 100 ~ 6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의 퍼지가스는 질소 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금속 전처리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반응실 내로 인입하는 단계;
    상기 반응실 내로 금속 소스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실 내의 금속 소스가스를 퍼지시키는 단계;
    상기 반응실 내로 산소 소스가스를 유입하여 상기 기판 상에 흡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착된 금속 소스가스 및 산소 소스가스를 반응시켜 금속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소스가스는 탄탈륨을 포함하는 소스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가스는 Ta(OC2H5)5또는 Ta(OCH3)5또는 TaCl5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소스가스로는 H2O, H2O2, O2, N2O, 또는 O3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KR10-2001-0002960A 2001-01-18 2001-01-18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KR100393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960A KR100393209B1 (ko) 2001-01-18 2001-01-18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US10/043,027 US6919243B2 (en) 2001-01-18 2002-01-09 Methods of forming an integrated circuit capacitor in which a metal preprocessed layer is formed on an electrod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2960A KR100393209B1 (ko) 2001-01-18 2001-01-18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880A true KR20020061880A (ko) 2002-07-25
KR100393209B1 KR100393209B1 (ko) 2003-07-31

Family

ID=1970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2960A KR100393209B1 (ko) 2001-01-18 2001-01-18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919243B2 (ko)
KR (1) KR100393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3973B2 (en) 2002-07-29 2007-12-04 Elpida Memory, Inc. ALD process for capacitor dielectric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2873A (ja) * 2002-03-22 2003-10-03 Son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4855B1 (ko) * 2002-07-26 200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박막 형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커패시터 형성 방법 및트랜지스터 형성 방법
US7030042B2 (en) * 2002-08-28 2006-04-18 Micron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tantalum oxide layers and tantalum precursor compounds
US6784049B2 (en) * 2002-08-28 2004-08-3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orming refractory metal oxide layers with tetramethyldisiloxane
US6861355B2 (en) * 2002-08-29 2005-03-01 Micron Technology, Inc. Metal plating using seed film
US20040092072A1 (en) * 2002-11-07 2004-05-13 Kim Sarah E. Arrangements having increased on-die capacitance
US6863725B2 (en) * 2003-02-04 2005-03-08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 Ta2O5 comprising layer
US7230292B2 (en) * 2003-08-05 2007-06-12 Micron Technology, Inc. Stud electrode and process for mak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2271A (en) * 1994-01-13 2000-04-18 Rohm Co., Ltd. Ferroelectric capacitor including an iridium oxide layer in the lower electrode
JPH10173490A (ja) * 1996-12-10 1998-06-26 Sony Corp シンセサイザ受信機
US6218260B1 (en) * 1997-04-22 2001-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orming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having improved electrode and dielectric layer characteristics and capacitors formed thereby
KR100319888B1 (ko) * 1998-06-16 2002-01-10 윤종용 선택적 금속층 형성방법, 이를 이용한 커패시터 형성 및 콘택홀 매립방법
JP2000012796A (ja) * 1998-06-19 2000-01-14 Hitachi Ltd 半導体装置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549566B1 (ko) * 1998-10-29 2007-12-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장치의 캐퍼시터 형성방법
KR100304699B1 (ko) * 1999-01-05 2001-09-26 윤종용 탄탈륨 산화막을 갖춘 커패시터 제조방법
JP2000208720A (ja) * 1999-01-13 2000-07-28 Lucent Technol Inc 電子デバイス、momキャパシタ、mosトランジスタ、拡散バリア層
JP2000311989A (ja) * 1999-04-27 2000-11-07 Sharp Corp 強誘電体キャパシタ素子及び不揮発性半導体記憶素子
GB2358284B (en) * 1999-07-02 2004-07-14 Hyundai Electronics Ind Method of manufacturing capaci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51238B1 (ko) * 1999-09-14 2002-09-0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US6420230B1 (en) * 2000-08-31 2002-07-16 Micron Technology, Inc. Capacitor fabrication methods and capacitor constru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3973B2 (en) 2002-07-29 2007-12-04 Elpida Memory, Inc. ALD process for capacitor dielect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94634A1 (en) 2002-07-18
KR100393209B1 (ko) 2003-07-31
US6919243B2 (en)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567B2 (en) Method for forming polyatomic layers
KR100275738B1 (ko) 원자층 증착법을 이용한 박막 제조방법
US7135207B2 (en)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using alcohol for forming metal oxide thin film
KR100985352B1 (ko) 원자층 증착에 의해 금속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
US6734480B2 (en) Semiconductor capacitors having tantalum oxide layers
JP5038659B2 (ja) 正方晶系構造のジルコニウム酸化膜形成方法及びその膜を備えたキャパシタの製造方法
US7160817B2 (en) Dielectric material forming methods
US8256077B2 (en) Method for forming a capacitor dielectric having tetragonal phase
US20120120549A1 (en) Mixed Composition Interface Layer and Method of Forming
US742576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electric film in a capacitor
KR100393209B1 (ko) 금속 산화막을 유전막으로 하는 반도체 커패시터의 형성방법
KR100716642B1 (ko) 캐패시터의 유전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43350B1 (ko) 스트론튬루테늄산화물의 단원자층 증착 방법
KR101152390B1 (ko) 캐패시터의 유전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851275B1 (ko) 다원계 금속 산화물 박막 증착 방법
KR20010084675A (ko) 확산방지막을 가진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형성방법
JP4212013B2 (ja) 誘電体膜の作製方法
KR100511914B1 (ko) 피이사이클 시브이디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03323A (ko)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산화물박막의 형성 방법
KR100799110B1 (ko) 반도체 소자의 박막 형성방법
KR20050002011A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박막 형성방법
KR20100040020A (ko) 귀금속류 박막의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캐패시터 제조 방법
KR20040055458A (ko) 반도체 소자의 절연박막 형성방법
KR20070035625A (ko) 반도체 장치의 박막 형성 방법
KR20030002035A (ko) 원자층증착법에 의한 박막의 형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