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0437A -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 Google Patents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0437A
KR20020060437A KR1020010001530A KR20010001530A KR20020060437A KR 20020060437 A KR20020060437 A KR 20020060437A KR 1020010001530 A KR1020010001530 A KR 1020010001530A KR 20010001530 A KR20010001530 A KR 20010001530A KR 20020060437 A KR20020060437 A KR 20020060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frame
artificial
vessel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김종만
박용주
명정구
Original Assignee
최홍석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석, 박병권,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최홍석
Priority to KR1020010001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60437A/ko
Publication of KR2002006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43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이용하는 침선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침선인공어초는, 외측면에 고기가 출입하는 복수개의 창(12a,12b)을 구비하는 선박본체(10); 그리고 상기 선박본체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박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면서, 선박본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20)으로 구성된다. 선박본체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침선인공어초는 노후어선 또는 회수된 선박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재활용 및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고, 어선 자체의 외부 및 내부구조에 의하여 고기에 가장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Artificial fish breed ground using a vessel}
본 발명은 침선인공어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침선인공어초에 관한 것이다.
침선인공어초는, 바닥속에 고기들이 집단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어초는 대부분콘크리틀 및 강제 이용하여 만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선박은 일정한 수명이 다하게 되면 폐기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폐기를 위한 비용도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어떠한 정책적 이유로 인하여, 어선과 같은 선박을 국가에서 매입하여 폐기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선박의 폐기는 많은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와 같이 노후어선을 포함하는 선박을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있으면 아주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선박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것에 의하여, 기본적으로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비용의 절감은 물론이고, 선박의 폐기에 따른 여러가지 손실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선인공어초의 정면도.
도 5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정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선박본체12a, 12b ..... 창
20 ..... 프레임22, 24 ..... 측면프레임
26 ..... 상부프레임28 ..... 부유방지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는, 외측면에 고기가 출입하는 복수개의 창을 구비하는 선박본체; 그리고 상기 선박본체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박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면서, 선박본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침선인공어초는, 외측면에 고기가 출입하는 복수개의 창을 각각 구비하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선박본체;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선박본체를 서로 연결하면서, 선박본체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각각의 선박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면서, 선박본체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은 H빔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선박본체를 복수개로 구성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개의 선박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것이 고기의 서식환경에 더욱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은, 격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상부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부유방지망이 설치되는 것이 좋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는, 선박본체(10)와, 상기 선박본체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선박본체(10)는 어떠한 종류의 선박도 이용 가능하고, 예를 들면 노후어선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무로 만들어지는 목선도 이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철선도 이용 가능하다.
상기 선박본체(10)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창(12a,12b)이 성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선박본체의 하부에도 창(12a)이 성형되어 있으며, 조타실 또는 선실과 같은 선박본체의 상부에도 창(12b)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선박본체의상면에도 이와 같은 복수개의 창이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창(12a,12b)을 만드는 것은, 침선인공어초로 사용될 때 고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좋은 서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임은 당연하고 해양레저(다이빙) 탐사가 가능하다. 그리고 선박의 하부는 기관실 또는 선실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더욱이 각 부분 마다 격실되는 등 복잡한 내부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선박을 이용한 침선인공어초는, 고기의 서식환경 및 해양레저활동에 아주 좋은 장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침선인공어초에는, 상기 선박본체(10)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금속재와 같이 내구성이 있는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프레임(20)이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선박본체(10)의 양측면과 밀착되어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선박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측면프레임(22,24)과, 상기 측면프레임(22,24)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프레임(26)은, 상부연결부(26a)을 통하여 선박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선박의 상면이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26)은 격자상으로 배열되어 서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부연결부(26a)는 선박의 상면과 상부프레임(26)을 연결하는 것이다. 선박의 측면프레임(22,24)도, 선박의 측면과 접촉상태로 지지되는 측면연결부(22a)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상기 연결부(22a)를 통하여 선박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것은, 수중에서 선박의 양측면이 원형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프레임(22)을 수평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을 설치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2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박의 정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양측면의 측면프레임(22,2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박의 측면연결부(22a)를 보다 명백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의 A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정면도로 도시한 것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22)의 하단부에는 측면연결부(22a)를 통하여 선박본체(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때, 예를 들면 목선으로 만들어진 선박본체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보다 견고한 연결을 위하여, 지지판(22d)를 이용하고 있다.
즉, 지지판(22d)를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선박본체(10)의 측면에 먼저 고정시킨다. 그리고 측면프레임(22)과 상기 지지판(22d)를 연결하는 측면연결부(22a)를 그 사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측면프레임(22) 및 측면연결부(22a)의 구성은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연결부(26a)의 구성도, 측면연결부와 동일한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선박의 상면에 지지판을 고정시킨 후, 용접에 의하여 상부프레임(26)과 지지판 사이에 상부연결부(26a)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프레임(22,24)은, 적어도 선박의 양측면에 접촉되는 부분(22f)(도 2 참조)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의 양측면을 보다 견고하게 장기간 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상부프레임(26)에서 선미에 해당하는 부분(26f)와 선두에 해당하는 부분(26g)도, 선박의 상면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하거나, 적어도 상부프레임(26)의 단부가 선박의 상면과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에서, 상기 선두부분(26g)이, 지지판(26n)를 이용하여 선박의 상면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프레임(26)와 양측면프레임(22,24)를 포함하는 프레임(20)은 바닷물 속에서 가장 내구성이 강한 철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는 그 이상의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철재로 상기 프레임(2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미 시판되고 있으며, 외력에 대하여 원형 유지능력이 우수한 H빔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6)은, 격자상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프레임(26)의 격자상의 구조는, 바닷물 속에서 장기간 있는 경우, 조류 등의 외력에 대하여 가장 견고하게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격자상의 상부프레임(26)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부유방지망(28)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부유방지망(28)은, 바다속에서 장기간 있게 되면, 선박본체(10)의 일부가 부식 등의 이유로 손상되어 분리되는 경우, 이러한 일부가 수면으로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부유방지망(28) 역시 바닷물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금속류 중에서 선택하여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복수개로 구성되는 측면프레임(22,24)의 하단부는 전부 유사한 높이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프레임(22,24)의 하단부를 거의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은, 예를 들면 바닷속에서 갯벌 등에 본 발명의 침선인공어초가 투입되는 경우, 전체적인 선박이 기울지 않고, 원형 그대로의 상태를 바다속에서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프레임(22,24)의 하단부에는 갯벌의 상면 등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면적(상대적으로 측면프레임의 단면보다는 넓은 면적)을 가지는 지지판(22b)를 용접 등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개의 선박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구현하는 실시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선박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경우에는 선박본체(10)를 한개로 구성하는 경우에 한정될 수는 없는 것이다.
도 4에는 복수개의 선박을 동시에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선박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구현하고자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침선인공어초는, 한쌍의 어선본체(110)와, 상기 어선본체(110)을 둘러싸는 프레임(120)으로 구성되고 있다.어선본체(110)에 대한 구성은 상술한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프레임(120)은, 한쌍의 어선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122,124)와,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26)을 포함한다. 측면프레임(122,124) 자체의 구성은,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부프레임(126)도, 종래의 것과 실질적으로 거의 동일하다. 상부프레임(126)은, 상부연결부(126a)를 통하여 선박의 상면과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쌍의 선박 또는 복수개의 선박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경우에는, 각각의 선박 사이는 약간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침선인공어초에 있어서 고기의 서식환경의 측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한쌍의 선박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123)를 개재하고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23)는 프레임(120)을 만드는 것과 완전히 동일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스페이서(123)이 개재되어 있는 선박의 사이공간에, 측면프레임을 별도로 장착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부프레임(126)의 중심에 대응하면서 양선박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에, 선박의 측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측면프레임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물고기가 출입할 수 있는 복수개의창이 성형된 선박본체와, 상기 선박본체를 둘러싸서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침선인공어초를 만드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은, 기본적으로 선박 본체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프레임에 대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측면 및 상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선박 전체를 둘러쌀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침선인공어초는, 노후어선 또는 정책적으로 회수한 선박을 이용하고 있는 것이어서, 환경보호적인 측면 및 재활용의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어선의 내부에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기의 서식환경에 아주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laims (12)

  1. 외측면에 고기가 출입하는 복수개의 창을 구비하는 선박본체; 그리고
    상기 선박본체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선박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면서, 선박본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침선인공어초.
  2. 외측면에 고기가 출입하는 복수개의 창을 각각 구비하고,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개의 선박본체;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선박본체를 서로 연결하면서, 선박본체가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각각의 선박에 접촉하거나 적어도 일단부가 선박에 고정되면서, 선박본체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침선인공어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침선인공어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H빔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선박의 최외측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측면프레임과;
    상기 측면프레임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고, 선박의 상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침선인공어초.
  6.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선박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개재하는 침선인공어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은 수직상태로 배열되고, 적어도 일부는 선박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면프레임의 하단부는 거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면프레임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측면프레임의 단면적 보다 넓은 지지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10.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격자상으로 구성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11.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는, 선박의 상면 및 선박의 측면에 접촉하거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12.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부유방지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선인공어초.
KR1020010001530A 2001-01-11 2001-01-11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200200604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30A KR20020060437A (ko) 2001-01-11 2001-01-11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530A KR20020060437A (ko) 2001-01-11 2001-01-11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732U Division KR200227439Y1 (ko) 2001-01-11 2001-01-11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437A true KR20020060437A (ko) 2002-07-18

Family

ID=27691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530A KR20020060437A (ko) 2001-01-11 2001-01-11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6043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09B1 (ko) * 2007-04-06 2007-07-11 주식회사 해중 탱크카 인공어초
KR100926782B1 (ko) * 2007-11-21 2009-11-12 문준용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1946719A (zh) * 2010-07-23 2011-01-19 浙江海洋学院 一种废旧渔船改装鱼礁及其改装方法
CN104663538A (zh) * 2014-10-24 2015-06-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利用木质废船组成浮船礁的结构及方法
CN104663536A (zh) * 2014-10-24 2015-06-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对扣式浮船礁群及其方法
CN106804496A (zh) * 2016-12-27 2017-06-09 浙江海洋大学 罗氏沼虾高密度分层式集约化养殖方法
KR102465952B1 (ko) * 2021-06-02 2022-11-11 해주이엔씨 (주) 침선어초 지지용 스프레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0829A (en) * 1980-09-09 1982-03-25 Hitachi Shipbuilding Eng Co Breeding field and fish bank in sea utilizing used ship
JPS589629A (ja) * 1981-07-09 1983-01-20 日立造船株式会社 古船を利用した魚礁
JPH0159053U (ko) * 1987-10-09 1989-04-13
JP2000037148A (ja) * 1998-07-23 2000-02-08 Hanshin Kogyo Kk 人工漁礁
KR20000030658A (ko) * 2000-03-10 2000-06-05 전민환 강제폐선박의어초화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0829A (en) * 1980-09-09 1982-03-25 Hitachi Shipbuilding Eng Co Breeding field and fish bank in sea utilizing used ship
JPS589629A (ja) * 1981-07-09 1983-01-20 日立造船株式会社 古船を利用した魚礁
JPH0159053U (ko) * 1987-10-09 1989-04-13
JP2000037148A (ja) * 1998-07-23 2000-02-08 Hanshin Kogyo Kk 人工漁礁
KR20000030658A (ko) * 2000-03-10 2000-06-05 전민환 강제폐선박의어초화공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09B1 (ko) * 2007-04-06 2007-07-11 주식회사 해중 탱크카 인공어초
KR100926782B1 (ko) * 2007-11-21 2009-11-12 문준용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1946719A (zh) * 2010-07-23 2011-01-19 浙江海洋学院 一种废旧渔船改装鱼礁及其改装方法
CN104663538A (zh) * 2014-10-24 2015-06-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利用木质废船组成浮船礁的结构及方法
CN104663536A (zh) * 2014-10-24 2015-06-0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对扣式浮船礁群及其方法
CN104663536B (zh) * 2014-10-24 2017-02-01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对扣式浮船礁群及其方法
CN106804496A (zh) * 2016-12-27 2017-06-09 浙江海洋大学 罗氏沼虾高密度分层式集约化养殖方法
CN106804496B (zh) * 2016-12-27 2020-06-16 浙江海洋大学 罗氏沼虾高密度分层式集约化养殖方法
KR102465952B1 (ko) * 2021-06-02 2022-11-11 해주이엔씨 (주) 침선어초 지지용 스프레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040412U (zh) 一种新型人工鱼礁
KR100913808B1 (ko) 삼각 패조류 인공어초
KR20020060437A (ko)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200227439Y1 (ko)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RU179174U1 (ru) Донно-пелагический рифовый модуль
KR101547443B1 (ko) H빔을 이용한 콘크리트 루프구조체가 설치된 침선어초
KR200435836Y1 (ko) 양식장용 플로트의 결합구조
KR101572415B1 (ko) 밸러스트 콘크리트와 일체화된 쉘터구조물을 가지는 침선어초
CN104494790A (zh) 一种海上休闲垂钓设施
JP2022542995A (ja) 外洋水産養殖用魚囲い
KR101621680B1 (ko) 용승작용을 유도하는 강제어초구조체
KR200425747Y1 (ko) 수중 환타지아 레저장 구조물
JP3215272B2 (ja) マダコ魚礁
KR200392536Y1 (ko) 해중림 조성용 하우스형 인공어초
CN211064667U (zh) 一种海鱼养殖用抗风浪网箱
KR101597079B1 (ko) 강제 보프레임이 설치된 침선어초
JP3145444U (ja) プロペラガード
KR101841956B1 (ko) 터널형 강제어초
CN219920018U (zh) 一种带有高层鱼礁的渔业观察平台
CN220301251U (zh) 沙滩生态装置
KR101988427B1 (ko) 김 양식용 부표
KR200230478Y1 (ko) 전복양식집침강틀구조
KR200361510Y1 (ko) 어류용 복합어초
FR2579643A1 (fr) Module de realisation de structures destinees a etre immerge pour former des recifs artifici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