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782B1 -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782B1
KR100926782B1 KR1020070119370A KR20070119370A KR100926782B1 KR 100926782 B1 KR100926782 B1 KR 100926782B1 KR 1020070119370 A KR1020070119370 A KR 1020070119370A KR 20070119370 A KR20070119370 A KR 20070119370A KR 100926782 B1 KR100926782 B1 KR 100926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bath
artificial
baths
artificial ree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2731A (ko
Inventor
문준용
최정환
Original Assignee
문준용
최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준용, 최정환 filed Critical 문준용
Priority to KR1020070119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78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2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2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폐욕조(廢浴槽: waste bathtub)를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어초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인공어초의 구조물은 테두리의 일측 중앙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테두리의 타측 중앙부분에는 이웃하는 폐욕조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폐욕조와, 상기 제1 및 제2페욕조 중 적어도 하나의 폐욕조의 수조바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돌기부를 그에 이웃하는 제2 및 제1폐욕조의 요홈부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표면에 인공석재를 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폐욕조, 열가소성수지, 인공어초, 인공어초 구조물, FRP SMC,

Description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ARTIFICIAL FISH REEF STRUCTURE FOR USING WASTE BATHTUB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어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욕조(廢浴槽: waste bathtub)를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어초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인공어초 함은 물고기가 많이 모이도록 하기 위하여 암석, 폐선(廢船), 콘크리트 블록 따위를 바다 속에 넣어 놓은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어초은 국제특허분류(IPC) 분류기호 A01K 61/00으로 분류되어 있다.
바다 속에 넣어진 인공어초의 구조물에 부착식물인 해조가 부착하여 번식하면, 그 곳에 어류들이 숨어살거나 산란장이 된다. 또한 해조(海藻)를 뜯어먹고 사는 전복·소라 등과 해조에 붙어사는 미세한 동물을 먹이로 하는 다른 수산동물이 많이 자랄 수 있다. 또한 연안어업의 대상이 되는 수산자원이 남획되기도 하는데, 인공어초는 그물을 끌 때 장애물이 되기 때문에 어획효율이 높은 끌그물어업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어 우리나라 등을 포함한 많은 연안국(沿岸國家)에서 많이 보급되어 있다.
현재의 기술에 의하여 만들어진 인공어초의 구조물은 폐선박, 폐자동차, 폐타이어, 폐비닐 등 산업폐기물을 이용하는 방법과 콘크리트로 모형을 제작·양생하여 바다속에 넣은 것이 주류를 이루어 있다. 그러나, 폐선박, 폐자동차, 폐타이어 등 산업폐기물을 이용하는 종래의 인공어초 제조방법은 폐유, 폐페인트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폐타이어와 폐비닐 등을 이용하여 인공어초를 만드는 방법은 폐타이어와 폐비닐 등을 생산시 사용되는 용제가 환경 오염을 초래하고, 폐타이어와 페비닐을 재처리 과정을 필요로 함으로써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어초는 설치 후, 유황성 물질이 소산된 후에야 제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오랜 시간이 지나고 나면 균열등으로 어초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으며, 미생물의 부착능력이 떨어져 서식어류의 먹이를 제공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의 어초는 강알카리성 물질이 석출 될 뿐만 아니라 특히, 빨리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지고, 또 독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독성물질이 석출되면 생물에 유해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생물과의 친화력이 부족함에 따라 생물의 산란, 서식 등에 악 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인체에 무해하게 사용하고 버려지는 욕조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인공어초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FRP), 모델링 콤파운드 시트(Sheet Molding Compound: SMC)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져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사용되어진 후 폐기되는 폐욕조를 조립하여 만들어진 인공어초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폐욕조의 형상을 그대로 이용하되, 바다속 넣어졌을 때 어류의 산란과 서식을 용이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인공어초의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두리의 일측 중앙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테두리의 타측 중앙부분에는 이웃하는 폐욕조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져 결합되는 요홈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폐욕조와, 상기 제1 및 제2페욕조 중 적어도 하나의 폐욕조의 수조바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돌기부를 그에 이웃하는 제2 및 제1폐욕조의 요홈부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표면에 인공석재를 부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페욕조들중 수조바닥에 개구부가 형성된 폐욕조의 개구부의 중간 부분에는 보강재를 더 설치하여 바다속에서의 물결의 이용에 의하여 폐욕조의 개구부의 변형이 없도록 하고 어군의 운동량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Aspect)에 따른 폐욕조을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폐욕조 테두리 중 일측의 중앙부분이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타측의 앙부분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페욕조들을 적어도 3개 이상 구비하며, 상기 페욕조의 돌출부를 이웃하는 페욕조의 요홈부에 끼워 결합하고, 그 표면에 인공석재반죽을 부착하여 견고히 부착될 때까지 양생하여 바다속에 넣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한다.
상기 인공어초의 제조방법은 상기 가동된 폐욕조들 중 일부의 폐욕조의 수조의 바닥면은 제거되어 관통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앞뒤에는 폐욕조의 테두리의 사이에 연결된 보강재를 더 설치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어초의 구조는 재건축 등에 의하여 대량으로 발생되는 폐욕조의 일부를 개조하여 용이하게 조립하고 그 표면에 인공석재분말을 부착하시켜 해조류가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착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킴으로써 바다 속에 넣어졌을 때 어류의 산란 및 서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FRP나 ABS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로 제작된 폐욕조의 표면에 인공석재 부만을 부착시켜 적절한 중량을 유지함으로써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 해조들이 집을 짓기에 아주 좋은 형질을 가지고 있음으로서 친환경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욕조는 일반적으로 FRP, SMC, ABS수지 등의 열가소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열가고성 수지는 몰드의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견고하고, 물에 썩거나 부패되지 않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재건축 등으로 인하여 폐기되는 폐욕조를 이용하여 인공어초를 제작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폐욕조를 가공한 상태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사시도로서, 3개의 폐욕조를 이용한 예를 도시한다.
도 1과 도 2a~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100)는 다수의 페욕조(10, 11)들이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폐욕조(10, 11)들은 크게 수조의 바닥이 원형 그대로 가공된 제1타입의 제1폐욕조(10)와 수조의 바닥이 개구된 형태로 가공된 제2타입의 제2페욕조(20)로 구별되어 있다. 여기서 수조라 함은 페욕조들(10, 11)을 일상생활공간에서 사용시 물을 받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도 2a~2c에서 참조부호 24로 표기되어있다.
상기 제1페욕조(10)와 제2폐욕조(11)들은 도 2a~도 2c와 같이 가공된 것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페욕조(10)와 제2페욕조(11)는 수조(24)의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26) 부분의 양측에 돌기부(12)와 요홈부(1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기부(12)는 외측부분의 폭이 내측부분의 폭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고, 요홈부(13)는 상기 돌기부(12)와는 반대로 외측부분의 폭이 내측부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폐욕조(10) 및 제2폐욕조(11)의 테두리(26)의 일측에 형성되는 돌기부(12)는 도 2a의 빗금친 부분을 절단하여 도 2b와 같이 형성한 것이고, 상기 테두리(26)의 타측에 형성되는 요홈부(14)는 도 2a의 빗금친 부분을 절단하여 제거함으로써 형성한다.
상기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가공된 제1 및 제2폐욕조(10, 11)들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면, 제2폐욕조(11)의 수조(24)의 바닥부분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분에 제외한 양측을 절단하여 개구부(16)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2페욕조(11)의 수조 바닥부분의 양측을 절단하면 중앙부분에 보강재(18)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재(18)는 수조의 상부와 하부의 부분이 상기 개구부(16)의 형성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강재(18)를 하나만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다수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보강재를 부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와 같이 가공된 제1폐욕조(10)와 제2폐욕조(11)의 수조의 상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어초(100)에서 움직이는 어류의 이동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보강재(18)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도 2a와 같이 가공된 제1폐욕조(10), 제2폐욕조(11) 및 수조 바닥이 개구된 제2폐욕조(11)들은 도 1과 같이 이웃하는 페욕조와 같이 상호간에 결합되어 인공어초(100)를 형성한다. 이때 폐욕조 상호간의 결합은 하기와 같다.
제1폐욕조(10)의 테두리(26)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12)는 제2폐욕조(11)의 테두리(26)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부(14)에 끼워 결합한다. 그리고 제2폐욕조(11)의 테두리(16)의 타측에 형성된 돌기부(12)에 제1폐욕조(10)의 테두리(26)의 일측에 형성된 요홈부(14)에 끼워 결합하는 방법으로 4개의 폐욕조를 "井"의 형태로 결합하면 도 1과 같은 형태의 인공어초(100)가 만들어진다.
만약, 3개의 페욕조, 예를 들면, 1개의 제1폐욕조(10)와 2개의 폐욕조(11)를 "△"의 형태로 결합하면 도 3과 같은 형태의 인공어초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페욕조의 결합개수를 적절히 조절하여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인공어초(100)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a ~도 2c와 같이 가공된 페욕조들을 도 1 및 도 3과 같은 형태로 결합하여 만들어진 인공어초(100)의 표면, 즉 제1페욕조(10)와 제2페욕조(11)의 표면들에 인공석재(30)를 부착하여 중량을 보다 증대시킴과 동시에 부착생물(식물)들의 서식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인공석재(30)를 제1페욕조(10) 및 제2폐욕조(11)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 은 석재돌반죽을 제조하여 부착하는 사용할 수 있다. 석재돌반죽을 제조하여 상기 제1페욕조(10)와 제2페욕조(11)의 표면에 부착한 경우, 인공석재(30)가 견고하게 부착될 때까지 충분한 양생을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도 1 또는 도 3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어 그 표면에 인공석재(30)가 부착된 인공어초(100)를 바다 속에 넣으면, 바다속의 부착식물과 부착생물들은 표면이 거친 인공석재(30)에 손쉽게 달라붙음으로서 용이하게 서식을 할 수 있고 성장도 보다 빨리할 수 있다. 또한 폐욕조의 재질이 FRP, SMC, ABS 등과 같은 열가소성수지이므로 바다 속에서 썩거나 부패하지 않음으로써 친환경적인 인공어장을 조성함으로써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폐욕조를 가공한 상태의 평면도,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공어초의 사시도로서, 이는 3개의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공어초, 10, 11 : 폐욕조,
12 : 돌기부, 14 : 요홈부,
16 : 개구부, 18 : 보강재,
24 : 수조, 26 : 테두리,
30 : 인공석재, DA : 절단부분,

Claims (5)

  1.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구조물에 있어서,
    테두리 일측의 중앙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테두리 타측의 중앙부분에는 이웃하는 폐욕조의 테두리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는 요홈부가 형성된 제1 및 제2폐욕조와,
    상기 제1 및 제2페욕조 중 적어도 하나의 폐욕조의 수조바닥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돌기부를 그에 이웃하는 제2 및 제1폐욕조의 요홈부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폐욕조의 표면에 인공석재를 부착하여 형성된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조의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페욕조들의 수조바닥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보강재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어초 구조물.
  3. 삭제
  4.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폐욕조 테두리 중 일측의 중앙부분이 돌출되도록 돌출부를 가공 형성하고, 타측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도록 하는 요홈부를 형성하여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된 페욕조들을 적어도 3개 이상 구비하며, 상기 페욕조의 돌출부를 이웃하는 페욕조의 요홈부에 끼워 결합하고, 그 표면에 인공석재반죽을 부착하여 견고히 부착될 때까지 양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된 폐욕조들 중 일부의 폐욕조의 수조 바닥면은 제거되어 관통된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개구부의 앞뒤에는 폐욕조의 테두리의 사이에 연결된 보강재를 더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제조 방법.
KR1020070119370A 2007-11-21 2007-11-21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26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70A KR100926782B1 (ko) 2007-11-21 2007-11-21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370A KR100926782B1 (ko) 2007-11-21 2007-11-21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731A KR20090052731A (ko) 2009-05-26
KR100926782B1 true KR100926782B1 (ko) 2009-11-12

Family

ID=40860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370A KR100926782B1 (ko) 2007-11-21 2007-11-21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68B1 (ko) *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781367B1 (ko)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73A (ja) 1996-08-26 1998-03-10 Toa Harbor Works Co Ltd 古タイヤ魚礁
KR20020060437A (ko) * 2001-01-11 2002-07-18 최홍석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KR20020079665A (ko) * 2002-09-11 2002-10-19 이준우 폐 콘크리트 침목과 폐 콘크리트 전신주를 이용한 인공어초
JP2003092950A (ja) 2001-09-25 2003-04-02 Komatsu Ltd 漁礁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6473A (ja) 1996-08-26 1998-03-10 Toa Harbor Works Co Ltd 古タイヤ魚礁
KR20020060437A (ko) * 2001-01-11 2002-07-18 최홍석 선박을 이용한 인공 어초
JP2003092950A (ja) 2001-09-25 2003-04-02 Komatsu Ltd 漁礁およびカウンタウエイト
KR20020079665A (ko) * 2002-09-11 2002-10-19 이준우 폐 콘크리트 침목과 폐 콘크리트 전신주를 이용한 인공어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68B1 (ko) *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781367B1 (ko) 2017-06-28 2017-09-26 동산콘크리트산업(주) 조립식 블록어초 및 이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2731A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281B1 (ko) 대형 정삼각뿔 인공어초
KR100926782B1 (ko) 폐 욕조를 이용한 인공어초 구조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9912B1 (ko) 친환경 종이 부표
US20210137084A1 (en) Combination lure
KR20060084838A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KR200477518Y1 (ko) 바다숲 조성용 십자형 해중림초
KR100704144B1 (ko) 인공어초
KR20090000182U (ko) 굴 패각 투석식 강제어초
KR100969232B1 (ko) 개량 요철형 인공어초
CN103168724B (zh) 一种发散型拼接礁体
KR101968220B1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KR200411496Y1 (ko) 인공어초
KR101460941B1 (ko) 가재해삼어초
KR101247751B1 (ko) 가두리 양식장용 부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0572Y1 (ko) 유선형 격판을 구비하는 사각형 인공어초
KR101125868B1 (ko)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KR102501049B1 (ko) 전복 양식 쉘터용 친환경 패널 및 그 친환경 쉘터와 이를 이용한 전복양식설비
KR20010035105A (ko) 폐비닐수지와 석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200323918Y1 (ko) 폐비닐과 폐철 및 자연석을 이용한 조립식 인공어초
KR200227405Y1 (ko) 폐비닐수지와 석재를 이용한 인공어초
KR20130097539A (ko) 대게보육어초
KR200387037Y1 (ko) 인공어초
KR101578554B1 (ko) 인공어초
KR100740419B1 (ko) 친환경 소재로 구성된 하이브리드형 인공어초
KR200271842Y1 (ko) 농업용 폐비닐을 이용한 심해용 인공어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